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195-20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195

Optical Analysis of the Gullstrand’s Schematic Human Eye and a Myopic Astigmatism Human Eye by Using Matrix Method

Myoung-Hee Lee, Soo-Kyeong Moon, Dae-Woon Park, Hyeun-Jun I, Young-Chul Kim
Departmen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Chul Kim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031-740-7201, Fax: 031-740-7365, E-mail: yckim@eulji.ac.kr
July 21, 2015 August 23,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Matrix methode as a useful analysis tool for complex optical system which consists of several lenses and analyzed some optical systems include a human eye with the methode.


Methods:

We calculated refractive powers for the cornea, crystalline lens, entire optic system with Gullstrand schematic eye by the Matrix method as well as the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then comparative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The calculated refractive power of the cornea were 43.05D, 43.10D, crystalline lenses were 19.50D, 19.50D with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matrix method in Gullstrand’s schematic eye, respectively. And refractive power of the entire optic system was 59.05D in both case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ocal length of a myopic astigmatism human eye, adopted in this study, were 24.85 mm, 25.15 mm. and also 24.84 mm, 25.14 mm with matrix method in,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refractive power for the cornea, crystalline lens, entire optic system in schematic eye and myopic astigmatism of a human eye were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hus, the matrix methode can be used to analyze some more complex optic system include astigmatism human eye.



행렬전달식을 이용한 굴스트란드 모형안과 실제 눈에서의 광학적 분석

이 명희, 문 수경, 박 대원, 이 현준, 김 영철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성남

    Ⅰ. 서 론

    표준 정시의 안광학계를 구성하는 각막, 수정체, 방수, 유리체 등의 굴절률과 각 굴절면의 곡률, 굴절 력 등의 계산된 수치를 정리 나열한 것을 광학적 모 형안이라고 한다.1) 각막, 수정체 등은 모형안을 이루 는 각각의 광학계로 모형안은 여러 개의 광학계가 모 여 이루어진 복합 광학계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광학적 모형안으로는 굴스트란드 모형 안이 있으며, 이는 굴절매체를 간략화시켜 광학 계산 을 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하고 있다.2-3) 하지만 이러 한 광학적 모형안은 근축영역에서 의미를 가지기 때 문에 주로 가우스 결상방정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굴 절력 등이 계산되어진다.

    가우스 결상방정식이란 근축 근사 영역에서 물체 의 위치와 상의 위치에 대한 상관관계식을 표현한 방 정식으로4) 얇은 렌즈, 두꺼운 렌즈, 그리고 여러 렌 즈가 합성된 복합 광학계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 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개의 광 학계로 이루어진 복합 광학계에서는 그 계산이 복잡 하여지므로 계산의 편리함을 위하여 행렬전달식을 이 용하였다.5-6)

    행렬전달식은 광선이 렌즈에 입사할 때의 입사높 이, 입사각과 렌즈를 통과할 때의 출사고, 출사각과 의 관계식 [ y f α f ] = M [ y 0 α 0 ] 으로 표현된다(Fig. 1).5) 여 기서 M 은 광학계에서의 광선의 굴절과 이동에 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주어진 광학계에 대한 행렬 M 의 성분들을 계산하면 그 광학계에 대한 정보 를 분석할 수 있다. 행렬전달식을 사용함으로 몇 개 의 광학계가 존재하던지 계산을 좀 더 단순화시키면 서도 가우스의 렌즈 결상식과 비슷한 결과를 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근축 근사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모형안을 분석 한 후 두 결과를 비교하여 행렬전달식의 타당성을 확 인하고자하였으며, 이를 실제 사람의 눈에도 적용하 여 광학적으로 분석하였다.5)

    본문 1절에서는 두꺼운 렌즈에서의 가우스 결상방 정식과 행렬전달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2절에서 굴스 트란드 모형안의 굴절력을 행렬전달식과 가우스 결상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한 후 결과를 비교하여 행렬전 달식이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3절에서는 실제 눈에서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 방법으로 굴절력을 구하고 비교 분석한 후 종합하여 결론을 맺는다.

    Ⅱ. 본 론

    1. 두꺼운 렌즈

    현재 광학시스템을 분석하는 체계적이면서도 다양 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행렬전달식은 그 중의 한 방 법이며 입사광선의 위치(y), 각(α)과 출사광선의 위치 (y’) 및 각(α’)을 가지고 만들어낸 관계식으로서 여러 개의 렌즈로 인한 복잡한 계산을 면에서의 굴절과 동 일 매질에서의 진행 관계로 좀 더 단순하게 표현된다. 예를 들어 그림 2와 같이 두 개의 굴절면을 갖는 렌 즈에 대한 행렬은

    M = [ 1 0 n L n n R 2 n L n ] [ 1 t 0 1 ] [ 1 0 n n L n L R 1 n n L ]

    으로 표현된다. 즉 하나의 렌즈에 대하여 첫 번째 면 에서의 굴절 M1, 두 면 사이에서의 이동 M2, 그리고 두 번째 면에서의 굴절 M3M=M3M2M1순서대로 나타내어 렌즈에 의한 입사광선과 출사광선의 관계식 을 계산할 수 있다. 즉, [ y f α f ] = M [ y 0 α 0 ] 으로 표현되며, y0, α0는 각각 광축으로부터 입사광선의 입사높이와 입사각이다.

    여러 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광학계에 대한 행렬은 [ y f α f ] = M N M N 1 M 2 M 1 [ y 0 α 0 ] 로 표현하여 분석할 수 있다.7) 또한 행렬전달식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사높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광선의 입사높이는 동공의 평 균크기가 2~4 mm이므로 광축으로부터 동공크기의 절반인 1~2 mm이나 근축광선의 추적식인 가우스 결 상방정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높이를 0.01 mm로 하 여 계산하였다.

    2. 굴스트란드 모형안

    사람의 눈은 여러 개의 얇은 렌즈가 결합한 형태로 가정할 수 있으며, 굴절면과 광선이 만나는 부분에서 는 ( 1 0 n n n R n n ) 행렬, 광선이 동일한 매질에서 이동 할 경우 ( 1 t 0 1 ) 행렬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n은 굴절 면 앞 매질의 굴절률, n’은 굴절면을 포함한 매질의 굴절률, R은 굴절면의 곡률반경, t는 광선이 이동하 는 굴절면 사이의 길이를 나타낸다.

    각막과 수정체 등 주요 굴절매체의 굴절력을 가우 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굴스트란드 모형안의 기본 수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Fig. 3).8)

    굴스트란드 모형안은 굴절면의 개수에 따라 정식 모형안과 약식모형안 2가지로 나누어진다. 각막, 수 정체피질 및 수정체핵 각각의 전면과 후면 총 6개 굴 절면으로 구분하여 광학적 수치를 구한 정식모형안과 각막 전·후면을 한 개의 등가굴절면으로 하고, 여기 에 수정체 전·후면 두 개를 합해 총 3개의 굴절면으 로 축약한 약식모형안이 있다.4)

    1) 각막

    첫 번째로 굴스트란드 정식모형안에서 각막의 전 면곡률반경은 R1=7.7 mm, 후면곡률반경은 R2= 6.8 mm, 중심두께는 t=0.5 mm, 각막 앞 공기의 굴절률 은 n1=1, 각막의 굴절률은 n2=1.376, 각막 뒤 방수의 굴절률은 n3=1.336이다. 이 수치들을 가우스 결상방 정식,

    D = n 2 n 1 R 1 + n 3 n 2 R 2 ( n 2 n 1 ) ( n 3 n 2 ) R 1 · R 2 · t n 2

    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43.05D의 결과를 얻는다. 이 는 굴스트란드 정식모형안의 각막굴절력 43.05D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행렬전달식으로 계산하면 43.10D의 결과를 가지게 되며 이는 모형안의 각막굴 절력과 0.16%의 차이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 다(Table 1).9)

    두 번째로 굴스트란드 약식모형안에서 각막은 단 일등가구면으로 곡률 7.8 mm이다. 이 때 가우스 결 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굴절력을 계산하면 각각 43.17D, 43.12D로 굴스트란드 약식모형안의 각막굴 절력 43.08D와 0.20%, 0.09%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 준다.

    2) 수정체

    수정체도 각막과 마찬가지로 굴스트란드 정식모형 안과 약식모형안 두 가지 모형안으로 나누어 각각의 굴절력을 계산할 수 있다.

    첫 번째로 굴스트란드의 정식모형안의 굴절면은 각막 전후면, 수정체피질의 전후면, 수정체핵 전후면 으로 6개이고 굴절률은 핵 1.406이고 피질 1.386으로 그림 4와 같다.4)

    정식모형안에서의 수정체 굴절력 계산 결과 가우 스 결상방정식으로 19.50D, 행렬전달식으로 19.50D 로 모형안의 수정체 굴절력 19.11D와 2.0%의 적은 차 이를 보여준다(Table 2).

    두 번째로 굴스트란드 약식모형안에서의 수정체는 그림 5와 같이 전후면 두 개의 굴절면으로 이루어졌다. 전면과 후면의 곡률반경이 각각 R1=0.01 mm, R2= -0.006 mm인 볼록렌즈 형태이며, 두께는 t= 0.0036 mm, 방수 굴절률 n1=1.336, 수정체의 굴절률 n2=1.4085, 유리체 굴절률 n3=1.336이다.4) 가우스 결 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의 결과가 각각 20.28D, 20.69D로 약식모형안의 수정체 굴절력 20.53D와 각 각 1.2%, 0.8%의 차이를 보여준다.

    3) 전체 모형안

    전체 모형안의 굴절력은 수정체를 핵과 피질로 구 분한 요소들로 계산하였을 때 가우스 전달방정식으로 각막정점초점거리, 정점굴절력은 각각 24.39 mm, 59.05D의 값으로 계산되어지며 이는 정식모형안의 정 점초점거리 24 mm, 정점굴절력 60D에 대하여 1.6% 의 차이를 가진다.

    이를 행렬전달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이 여러 행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y f α f ] = [ 수정체피질후면 R ] [ 수정체피질후면 T ] [ 수정체핵후면 R ] [ 수정체핵 T ] [ 수정체핵전면 R ] [ 수정체피질전면 T ] [ 수정체피질전면 R ] [ 방수 T ] [ 각막후면 R ] [ 각막 T ] [ 각막전면 R ] [ y 0 α 0 ]

    여기서 R은 Refraction, T는 Translation을 나타 내며 이를 계산하면 망막 뒤 0.39 mm에 상이 생기며 위치는 각막 정점으로부터 24.39 mm이다. 따라서 정점굴절력은 59.05D으로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마찬 가지로 모형안의 정점굴절력 60D와 1.6% 차이를 보 인다(Table 3).

    3. 대상안

    앞에서 굴스트란드 모형안을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계산 후 비교한 결과 두 계산한 결과 와 모형안 값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실제 근 시성 난시안의 정점초점거리를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계산하여 보았다. 그림 6은 피검사자 의 측정값을 나타낸 것으로 피검사자는 안축길이 27.58 mm의 축성 근시성 난시안으로 망막 앞으로 수직, 수평 상이 생기게 된다(Fig. 6).

    가우스 결상방정식을 이용하였을 때 수직정점초점거 리는 24.85 mm, 수평정점초점거리는 25.15 mm이며 수직, 수평 정점초점거리는 0.30 mm의 차이가 있다.

    이를 행렬전달식으로 계산하면 수직정점초점거리 24.84 mm, 수평정점초점거리는 25.14 mm이며 0.30 mm의 차이가 있다(Table 4).

    Ⅲ. 결 과

    본 연구는 두꺼운 렌즈와 굴스트란드 모형안을 가 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으로 계산하여 두 식의 결과 값이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실제 사람의 눈으로 계산하여 보았을 때 두 방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막굴절력에 대한 계산 결과, 가우스 결상방정식 은 43.05D, 행렬전달식은 43.10D이다. 이는 굴스트 란드 정식모형안의 각막굴절력 43.05D와 0.00%, 0.16%으로 같거나 적은 차이를 보였다. 굴스트란드 정식모형안의 수정체 굴절력에 대한 계산 결과는 가 우스의 결상방정식, 행렬전달식 모두 19.50D로 계산 되며 굴스트란드 정식모형안의 수정체굴절력 19.11D 와 2.0%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굴스트란드 정식모형안의 전체 광학계 굴절 력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로 가우스 결상방정식은 정 점굴절력 59.05D으로 정식모형안의 정점굴절력 60D 와 1.6% 차이가 있다. 행렬전달식은 정점초점거리 24.385 mm, 정점굴절력 59.05D로 가우스 결상방정 식과 마찬가지로 모형안의 정점굴절력 60D와 1.6%의 차이가 있다.

    위 결과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행렬전달식은 모형안 의 기본 수치로 계산하였을 때 계산결과가 모형안 굴 절력과 2%내 차이로 두 방법 모두 유효하다고 판단된 다. 하지만 행렬전달식은 가우스 결상방정식과 다르 게 입사하는 광선의 높이에 따라서 초점의 거리가 달 라지므로 사람의 평균 동공크기가 2~4 mm이므로 입 사높이를 0.01 mm로 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안축 길이 27.58 mm의 축성 근시성 난시안에서 가우스 결 상방정식의 수직정점초점거리는 24.85 mm, 수평정 점초점거리는 25.15 mm이며 행렬전달식의 수직정점 초점거리는 24.84 mm, 수평정점초점거리는 25.14 mm이다. 두 방법 모두 수직, 수평 상의 거리차이는 0.30 mm이다(Table 5).

    Ⅳ . 고찰 및 결론

    안광학계에서 굴절에 관여하는 각막, 수정체, 방 수, 유리체 등의 굴절률과 각 굴절면의 곡률, 굴절력 을 정리한 굴스트란드 모형안은 근축영역에서 의미가 있기 때문에 가우스의 결상방정식을 이용하여 각각의 굴절력을 계산할 수 있다.

    가우스의 결상방정식은 얇은 렌즈, 두꺼운 렌즈, 여러 렌즈가 합성된 복합 광학계에서도 계산이 가능 하지만 복합 광학계에 대해서는 그 계산이 복잡하다. 이를 비교적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행렬전달식 을 이용하는 것이다.

    행렬전달식은 주어진 광학계에 대하여 입사광선과 출사광선에 대한 높이와 각에 관한 관계식을 행렬식 으로 나타낸 것으로 복잡한 광학계에서 계산을 좀 더 단순화시키면서도 가우스의 렌즈 결상식과 비슷한 결 과를 나타낸다. 이를 굴스트란드 모형안과 실제 사람 의 눈을 가지고 계산하였을 때 두 계산 결과가 모형안 의 값과 2%이내의 차이로 유효하다고 판단되어지며 실제 눈에서는 두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가 거의 동일 하므로 행렬전달식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렬전달식은 가우스 결상방정식으로 계산하기 복 잡한 복합 광학계에 대해 보다 쉽게 접근을 할 수 있 었다. 이는 ICL 근시교정술 환자에게 적용하여 적합 한 렌즈를 보다 쉽게 계산하여 구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ICL 삽입 시 최적의 교정효과를 보이는 렌즈 삽 입위치를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회전 으로 인한 난시유발 문제가 있을 수 있는 토릭 ICL대 신 구면 ICL을 사용하여 난시를 보정해줄 수 있는 렌 즈 삽입의 최적의 위치를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토릭 ICL의 회전으로 인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10)

    Figure

    JMBI-17-3-195_F1.gif

    Progress of a ray through a optical systems.

    JMBI-17-3-195_F2.gif

    Progress of a ray through a thick lens.

    JMBI-17-3-195_F3.gif

    The Gullstrand’s schematic eye.

    JMBI-17-3-195_F4.gif

    Crystalline lens of Gullstrand’s schematic eye.

    JMBI-17-3-195_F5.gif

    Refractive index of the crystalline lens, n=1.413.

    JMBI-17-3-195_F6.gif

    Real eye of myopic astigmatism

    Table

    Results of the cornea refractive powers for the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the matrix method of the Gullstrand’s schematic eye.

    Results of the crystalline lens refractive powers for the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the matrix method of the Gullstrand’s schematic eye.

    Results of the hole human eye refractive powers for the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the matrix method of the Gullstrand’s schematic eye.

    Focal length of Gaussian Imagery equation and matrix method with myopic astigmatism eye.

    Result of Gullstrand's schematic eye and myopic astigmatism eye.

    Reference

    1. Mah KC: Measuremnets of the ocular dimensions and modelling of the schematic eye in Koreans, SungKyunKwan Universuty PhD Thesis, 19-152, 1999.
    2. Hitzenberger CK: Optical measurement of the axial eye length by laser Doppler interferometry. Invest Ophthalmol Vis Sci. 32(3), 616-624. 1991.
    3. Kim SG: Optical constant of the reduced eye based on theoretical finite model eye. Korean J Opt Photonics 15(3), 268-273, 2004.
    4. Su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 pp. 31-43, 2008.
    5. Gerrard A, Burch JM: Introduction to matrix methods in optics, Reprint ed., New York, Wiley, pp. 24-75, 2012.
    6. Kim TY, Kim SR: On the Validity of the Effective Cavity Model with the Transfer Matrix Method as a Frame of Reference in VCSELs. J Institute Electronics Engineers Korea 41(7), 31-36, 2004.
    7. Pedrotti FL, Pedrotti LS: Introduction to Optics, 2n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pp. 62~86, 1992.
    8. Mah KC, Lee KJ, Lee DH et al.: Schematic Eye Model of Four Refracting Surfaces. Korean J Vis Sci. 1(1), 67-79, 1999.
    9. Han SH, Kim BH, Yoon JH et al.: Change in the eyes` refractive power and pupil`s size following intensity of illumination using Auto Ref-Keratometer. Korean J Vis Sci. 15(1), 1-7, 2013.
    10. Choi WS, Choi BJ, Her J: Two-year Endothalial Changes after Iris Fixed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Korean. J Korean Opthalmol Soc. 49(2), 230-23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