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213-22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13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Eun-Sun Seo1), Kyoung-A Chung2)
1)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2)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Na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oung-A Ch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061-330-3147, Fax: 061-330-3550, E-mail: jka0414@hanmail.net
July 30, 2015 August 25,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D University, and the grade point average from university admission until first semester 2015 was used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2.


Resul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to all factors between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was the adjusting to college life(r=.320).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an interest and a talent(β=.356, p=.012) among career identity factors, and all the variables excluding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for satisfaction with major were significant, while only the academic adjustment(β=.367, p=.032) among adjusting to college life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factor among sub-factors of self-esteem having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self-appreciation(β=.292, p=.047). The factors being put with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same time hav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ere general satisfaction with major(β=.465, p=.002) and perceived satisfaction with major(β=-.415, p=.003), whi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program being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is required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 은선1), 정 경아2)
1)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2)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나주

    Ⅰ. 서 론

    수능이 끝나고 대학생이 되는 신입생과 신입생에 서 선배로 거듭나는 대학생들에게 대학생활 중 가장 크게 느껴지는 어려움을 물어보면 대부분 취업, 학점 관리, 등록금, 어학점수를 꼽을 수 있다. 이는 경기하 락에 따른 고용 불안정이 높아져 취업경쟁이 날로 치 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이 대 학을 진학함에 흥미보다는 성적에 맞춰 합격과 취업 위주로 학과를 선택함으로 전공 교육과정 중에 본인 의 적성과 맞지 않거나 전공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을 따라 가지 못하므로 대학생활에 부적 응을 겪을 수 있다.1) 대학 생활의 부적응은 학습에 대 한 흥미 상실로 인한 성적 불량, 대학의 면학분위기 저해 그리고 자신의 선택에 신뢰하지 못하고 대학 생 활적응에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성공적인 대 학생활에 대한 준거로 여러 가지 변이가 있으나 그중 중요한 준거중 하나로 학업성취를 들 수 있다. 학업 성취를 단지 학습 성취가 누적된 단순한 결과가 아니 라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는 과정이나 작용으로 본다 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는 지적영역의 능력이외에 많 은 변이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아야 한다.3)

    대학시기에 학업적 요구를 얼마나 성공적으로 성 취하고 있는가가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측정하는 지표 가 되며, 이러한 학업성취는 일종의 성공경험으로서 개인의 자신감을 증진시키며, 대학 졸업 후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4)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측정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이수교과에 대한 평가결과인 학점(Grade Point Average: GPA)이 이용되고 있다. 학점은 보다 심층 적이고 보편적인 대학생의 역량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학점을 기반으로 한 대학생의 성취도 향상을 분석 하거나 많은 기업들이 필요한 인력을 선발하는 과정 에서 선발준거로 활용하고 있다.5)

    진로정체감은 청년의 주요 도전 과제 중의 하나로 진로정체감 형성에는 일관된 진로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정도로 구체화된 자기 개념 또는 정체감 형성의 발달이 수반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진로정체감은 진 로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설명 할 수 있는 변인으로 분명한 진로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분명하고도 안정적 인 인생 목표, 흥미, 기술, 그리고 직업을 가진다. 따 라서 분명한 진로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성격 과 일치하는 직업과 직업 환경을 찾아 일하고자 노력 한다.6)

    전공만족도 연구는 대학 교육의 과정을 밝혀주는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대학생의 진로 사회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중, 고등 교육 현장에서 진로지도나 대학진로 또는 취업 지도에 중 요한 자료가 된다.7) 대학 입학 후 입학 동기, 전공과 적성의 상이함으로 인해 전공에 대한 부적응과 불만 족이 야기되면 학과에 대한 부적정인 인식은 개인의 전공 모호성을 만들어 학습에 대한 흥미상실로 인한 성적불량, 학교에서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소외감 유발, 대학생활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한 불안, 신경 증, 정신병 등 각종 심리적 문제 유발, 학과의 전반적 인 면학 분위기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잠재적 가능성 개발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어 개인적, 사회 적 손실, 국가적 손실 등을 야기한다.8)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들이 대학이라는 환경 속에 서 생활하면서 학업, 대인관계 및 정서적 측면에서 대학생활의 요구에 대처하는 적절한 반응을 말하며, 9) 적응에서 고려되는 요소인 개인과 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대학생과 대학환경으로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10) 즉 대학생들이 대학이라는 환경 속에서 학 업적 성취나 대인관계 형성 등과 같은 새로운 경험 에 대처해 나가는 것이 곧 대학생활적응이라고 하겠 다. Baker와 Siryk11)은 여러 견해를 종합해서 대학 생활적응을 학업적적응, 사회적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등의 하위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학업 적적응은 초기연구에서 학업유지의 중요 요인이었지 만 최근에는 인지적 학습능력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학업에 대한 동기, 요구에 부딪쳤을 때의 행동, 학업 환경과 관련된 일반적인 만족감, 시간관리, 분명한 목적의식이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이 유능하고 중요하며 가치가 있 다고 믿는 정도이며 자신에 관하여 내리는 평가라고 정의한다.12) 또한 청년시기에 이루어져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으로 그것이 대학생에게도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13) 긍정적인 자존감을 가진 학생은 자신이 처한 현 상황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인 지하고 판단 할 줄 알고 학교생활의 적응력이 좋으며 부정적 자존감을 가진 학생은 자신에 대한 열등감과 자신이 처한 현 상황에 대해 비판적이고 학교생활의 적응력이 나쁠 것으로 사료된다. 즉, 낮은 자존감은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지니고 향후 대학 생의 진로태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14)

    안경광학과 전공 대학생의 일차적인 교육목표는 국민의 안 보건향상 및 시력증진을 제공하기 위하여 책임지는 전문 보건의료인으로 이론과 실습교육을 통해 보건의료 전문가로 양성하는데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경광학 분야에서는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으로 학업성취도에 관한 적극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안경광학과 학 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 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수업 시간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응답자는 110명이었는데,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하고 108 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1일부터 7월 20일까지이다.

    2. 연구도구

    1)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는 일련의 교육활동이 이루어진 뒤 학 습자가 무엇을 얼마나 학습했는지의 정도를 의미하며 교육활동에 대한 결과적 성과라고 할 수 있다.15) 학업 성취의 정도를 여러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겠지만 가 장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은 평균학점(Grade Point Average: GPA)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 입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으로 측정하였으며 4.5점이 만점이다.

    2) 진로정체감

    진로정체감은 자신의 진로를 얼마나 명확히 인지하 고 확신하고 있는지를 말하는 것으로, 진로목표(goal), 흥미(interest), 성격(personality), 재능(talents) 등 에 명확하고 안정적인 상(picture)을 가진 상태를 의미 한다.16-17) 이 연구에서는 Holland, Daiger, Power18) 가 개발한 진로상황검사(MVS, My Vocational Situation)의 정체감 척도(Identity scale) 18문항을 Kim17)이 번안하고, Kwon과 Kim19)이 간호대학생에 맞게 14문항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연구자가 안경 광학과 학생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Kim17)의 척 도는 18개의 문항에 “그렇다” 또는 “아니다” 중에 응답 하게 되어 있고, 이 중 “아니다”에 응답한 반응의 총 수 로 계산하였으나, Kwon과 Kim19)의 척도는 4점 척도 로 수정하여 합산한 점수를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 는 5점 척도(1점-매우 그렇다, 5점-전혀 그렇지 않다) 로 응답을 하게 한 후, 5점 만점의 평점을 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신뢰도 분석 및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 및 요인 적 재량이 낮은 1문항을 제외하고 사용하였으며,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각각 흥미와 재능 (6문항), 목표와 직업(4문항), 성격(3문항)으로 명명 하였다. Kim1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0.89였 고, Kwon과 Kim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0.88이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0.893이었는데, 하위 요인의 신뢰도는 흥미와 재능 0.845, 목표와 직업 0.777, 성격 0.699이었다.

    3) 전공만족도

    Kim과 Ha의 연구8)에서 학과만족을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 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라고 정의하 면서 자신이 현재 소속된 학과가 자신의 이상이나 진 로에 대한 기대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Kim과 Ha의 연구8)에서는 미국 일리노이대학 에서 개발한 프로그램평가조사(Program Evaluation Survey)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과만족 척도를 34문항 으로 구성하였는데, 이 중 Lee20)가 전공만족 관련 18 문항을 추출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전공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 6문항(전공에 대한 일반적 관심에 대한 만족정도),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 6문항(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한 개인의 만족정도), 교과에 대한 만족 3문항(전공 교과 내용 및 운영에 대한 만족정도),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 3문항(교수-학생간의 관계 및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정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1점 ‘매 우 그렇다’에서 5점 ‘전혀 그렇지 않다’의 Likert 척도 로 측정되었으며, 역코딩 후 요인별 5점 만점의 평점 을 구하였으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Lee20)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0 이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0.945였고, 하위요인의 신 뢰도는 일반만족 0.912, 인식만족 0.883, 교과만족 0.873, 관계만족 0.863으로 나타났다.

    4)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적응은 학생들이 학업면, 대인관계 및 사 회적 요구와 관련된 사회면, 심리적 또는 신체적인 개 인-정서면, 대학환경면에서 대학생활의 요구에 대처 하는 적절한 반응을 뜻한다.11.21) 이 연구에서 대상자 의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ker와 Siryk11)이 개발한 대학생활적응(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척도를 Hyun과 Choi22)이 번안하고, Kim21)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 용하였다. Hyun과 Choi22)의 연구에서는 67문항을 9 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나, Kim21)의 연구에서는 5점 척 도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학업적응 24문항, 사회적응 20문항, 개 인-정서적응 16문항, 대학환경적응 16문항의 4개의 하위척도로 나뉘는데, 대학환경적응 16문항은 사회적 응과 8개 문항이, 학업적응과는 1개 문항이 각각 중 복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숙사나 하숙, 자취생에게만 해당하는 3개의 문항을 제외하여 64문항으로 계산하 였다. 이 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음을 뜻한다. Baker와 Siryk11)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0.94이고, Hyun과 Choi22)의 연구에서는 0.92였으며 하위요인별로는 0.78에서 0.83사이에 분포되어 있었고, Kim21) 연구 에서는 0.90이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0.954이었다. 하위요인별로는 학업적응 0.898, 사회적응 0.893, 개인-정서적응 0.830, 대학환경적응 0.873이었다.

    5)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자기 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23)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서 는 Coopersmith12)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Kang2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Kang24) 의 연구에서는 예-아니요의 이분형 척도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다른 척도와 마찬가지로 5점 Likert 척도 로 측정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척도는 자기존중(5문항), 타인과의 관계(7문항), 지도력과 인기(6문항), 자기주장(7문항)의 4개의 하 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타인과의 관계에 해당하 는 문항 중 1문항의 내적일관성이 낮아 제외하고 24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Coopersmith12)의 연구에서 검 사-재검사 신뢰도는 r=0.88이었으며, Kang24)의 연 구에서도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r=0.86이었다. 이 연구와 비슷하게 5점 만점으로 변환하여 측정한 Kim2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는 0.89이고, 하위 요인별로는 0.69에서 0.73사이에 분포되어 있었는 데, 이 연구에서는 0.901이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자 기존중 0.735, 타인과의 관계 0.691, 지도력과 인기 0.797, 자기주장 0.751이었다.

    3. 자료분석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 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 도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진로정체감,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의 기술통계량을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 른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을 실시하였고, 변수간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검정의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남학생이 60.2%, 여학생이 39.8%로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학년별로는 고루 분포하였다. 출신고교 는 일반고의 이과 출신이 53.7%, 문과 출신이 42.6% 였고, 전문계고 2.8%, 기타 0.9%였다. 안경광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동기는 취업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 가 46.3%로 가장 많았고, 부모님 또는 주위의 권유로 (23.1%),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12.0%), 관련업종 종사자의 권유로(11.1%) 등의 순이었다. 학과를 선택 한 시기는 절반 가까이(45.4%)가 고등학교 재학 중이 라고 하였고, 대입원서 접수 전 30.6%, 대입원서 접 수기간 15.7%였으며, 다른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졸 업 후에 진로를 변경하여 입학한 학생은 8.3%였다. 안경광학과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는 알고 있는 사람 (잘 알고 있었다. 7.4%,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 38.0%)에 비해 몰랐던 사람(이름만 들어봤다 38.9%, 전혀 알지 못했다 15.7%)이 더 많았으며, 현재 계획 중인 졸업 후 진로는 과반수이상이 안경원(일반 안경 원 25.0%, 체인점 안경원 31.5%, 본인이 안경원 개 원 0.9%)을 희망하고 있었고, 안과병원은 20.4%, 관 련 다국적 기업으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는 17.6%, 진학을 계획하는 경우는 4.6%로 나타났다.

    2. 응답자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

    응답자의 진로정체감 총점의 평균은 3.10점 (±0.66)이었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흥미와 재능 2.95 점(±0.75), 목표와 직업 3.11점(±0.77), 성격 3.37 점(±0.78)이었다. 전공만족도의 총점의 평균은 3.49 점(±0.60)이었는데, 가장 만족도가 높은 하위요인은 학생-교수간 관계 만족도로 3.80점(±0.81)이었고, 교과만족도 3.56점(±0.70), 일반만족도 3.50점 (±0.68), 인식만족도 3.29점(±0.67)의 순이었다. 대 학생활적응의 경우에는 총점의 평균은 3.26점 (±0.49)이었고, 적응 정도가 가장 높은 하위요인은 대학환경 적응으로 3.50점(±0.57)이었고, 사회적응 3.36점(±0.57), 개인-정서적응 3.12점(±0.52), 학 업적응 3.07점(±0.51)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 감 총점의 평균은 3.36점(±0.50)이었으며, 하위 요인 별로는 자기존중 3.26점(±0.69), 타인과의 관계 3.67 점(±0.55), 지도력과 인기 3.35(±0.63)점, 자기주장 3.19점(±0.55)이었다. 성적은 4.50 만점에 평균 3.08(±0.54)로 나타났다(Table 2).

    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응답자의 성별, 학년, 출신고교가 일반계 고등학교 의 자연계열인지 여부, 전공 선택시 가장 영향을 미 친 사람이 본인인지 타인인지에 따라, 학과선택시기 에 따라(타대학 재학 중 또는 졸업 후 제외), 학과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3).

    4.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 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 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 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Table 4).

    5.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 해 평균학점을 종속변수로, 각 변수별 하위요인을 독 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에 앞서 회귀모형의 가정을 만족하는지를 점검하였는데, Durbin-Watson 통계량은 1.864~1.959로 2에 가까 워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였다. 또한, 공차한 계가 0.1보다 작거나 분산팽창지수(VIF)가 10보다 큰 변수는 없어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도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 진로정체감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흥미와 재능(β =.356, p=.012)이었고 설명력은 8.0%였다(Table 5).

    2)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 미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일반만족(β =.634, p=.000), 인식만족(β =-.343, p=.009), 학생-교수 관계만족(β =.255, p=.043)의 순이었다. 일반만족과 학생-교수 관계만족은 정적인 영향을, 인식만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즉, 일반적인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학생-교수 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 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4.2%였다(Table 6).

    3)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 =.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15.2% 였다(Table 7).

    4)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 =.292, p=.047)이었고 설 명력은 7.1%였다(Table 8).

    5)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위요인별 회귀분석에서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 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 아본 결과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 =-.415, p=.003)가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전공만족도가 인식만족도에 비해 더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 반적인 전공만족도는 정적인 영향을, 인식만족도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모형의 설명력은 24.7%였다(Table 9).

    Ⅳ. 고 찰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 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성별, 학년, 출신고교가 일반계 고등학교 의 자연계열인지 여부, 전공 선택시 가장 영향을 미 친 사람이 본인인지 타인인지에 따라, 학과선택시기 에 따라, 학과에 대한 사전 지식 정도에 따라 학업성 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로정체감은 자신의 진로를 얼마나 명확히 인지 하고 확신하고 있는지를 말하는 것으로, 진로목표 (goal), 흥미(interest), 성격(personality), 재능 (talents) 등에 명확하고 안정적인 상(picture)을 가 진 상태를 의미한다.16-17) 진로정체감의 하위 요인별 총점은 흥미와 재능 2.95점(±0.75), 목표와 직업 3.11점(±0.77), 성격 3.37점(±0.78)이었다. 학업성 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흥미와 재능(β =.356, p=.012)이었다. 흥미는 인간의 발달과 관련하여 진 로, 직업과 관련되어 있으면서 학습의 측면에서는 개 인적 기질 흥미와 관련되어 있다.26) 급변하는 현대사 회에서 이제는 평생직장과 평생직업의 의미가 퇴보하 고 있기에 자신의 흥미가 어떤 것이고 자기가 좋아하 는 일을 하게 되면 동기화 수준이 높고 더 열심히 일 하게 되며 따라서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과 유사하거나 좋아하는 일을 하게 되 면 편안함과 만족감을 보다 많이 느끼게 되며 성공적 으로 일할 수 있다.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은 자신을 타인에 비해 더 적절치 못하다고 느끼고, 어른들과 동료에게 덜 수용된다고 느끼며, 문제해결에 있어서 효과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고, 정서적 표현에 있어서 도 부자유스럽거나 적절치 못하며, 학업성취가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에 비하여 더 부정적인 자아감정을 표출한다.27) 학업성취도와 의사결정 양식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진로정체감을 예언할 수 있다고 하였 다. 진로정체감이 높은 학생은 진로정체감이 낮은 학 생에 비해 대학 학과 선택문제에 대한 관심도와 참여 도가 높으며,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대한 확신이 크 고, 자신이 선택한 학과에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므로 학업성취 또한 높게 나타난다.27) Kang24)의 연 구에서 진로정체감이 학업성취도와 의의 있는 정적상 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Choi28)는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진로의 탐색과 선택과정에서 합리적인 의사 결정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하여 이 연구 결과와 일 치하였다. 진로정체감과 학업성취도 두 변인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써 진로 정체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규명해봄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전공만족도는 학과만족을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 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라고 정의하였다.8) 전공만족도의 총점의 평균은 3.49점(±0.60)이었는 데, 가장 만족도가 높은 하위요인은 학생-교수간 관 계 만족도로 3.80점(±0.81)이었고, 교과만족도 3.56 점(±0.70), 일반만족도 3.50점(±0.68), 인식만족도 3.29점(±0.67)의 순이었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일반만족(β =.634, p=.000), 인식만족(β =-.343, p=.009), 학생-교수 관계만족(β =.255, p=.043)의 순이었다. 일반만족과 학생-교수 관계만족은 정적인 영향을, 인식만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즉, 일 반적인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학생-교수 관계만족도가 높을수 록 학업성취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ho29) 의 연구 결과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 관계는 통 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 공만족도가 높으면 학점평균과 전공점수가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교양 점수와 전공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학 점과 전공점수가 높은 학생일수록 앞으로 자신과 관 련된 전공으로 진로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에서 학생들의 수학능력 시험 성적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대학만족도 및 교육과정 만족도 등이 수업태도에 영향을 주고, 궁극적으로는 수업태 도가 학업성취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30) Lee와 Jung31)의 연구에서 안경광학과 재 학생의 성적은 전공만족도, 취업에 대한 자신감, 안 경업계의 전망을 밝게 보는 학생일수록 높게 분석되 었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학교환경이 중요함을 강조 하고 있으며, 학생과 학생간의 상호작용, 교수와 학 생간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 등이 학업성적에 매우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표명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다양한 접근, 지속적인 연구의 필 요성을 주장하고 있다.32-33) 이에 안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전공과목 구성, 효율적인 학 습법 개발, 교수자의 전공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과 뚜렷한 목표 제시, 스터디그룹 등의 결성으로 학생들 의 학습방법에 대한 정보공유, 초청강연회를 통한 취 업 관련의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전공 공부에 몰입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등을 제공하면 재학생들의 전공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들이 대학이라는 환경 속에 서 생활하면서 학업, 대인관계 및 정서적 측면에서 대학생활의 요구에 대처하는 적절한 반응을 말하며,9) 대학생활적응의 총점의 평균은 3.26점(±0.49)이었 고, 적응 정도가 가장 높은 요인은 대학환경 적응으 로 3.50점(±0.57)이었고, 사회적응 3.36점(±0.57), 개인-정서적응 3.12점(±0.52), 학업적응 3.07점 (±0.51)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응(β =.367, p=.032)만 이었다. Jeon34)의 연구 결과를 보면 대학생활적응 세 부영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업적 적응 (r=0.434), 사회적 적응(r=0.518), 개인정서적 적응 (r=0.333), 대학환경적응(r=0.528)과는 양의 상관관 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본 연구결과 에서도 대학생활 적응(r=0.320)이 통계적으로 유의 성이 있었다. Kim35)의 연구에서는 학과 행사 및 동아 리 활동 등이 대학생의 자기조절 관련 활동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하여 학교생활 만족도, 궁 극적으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준다고 밝히고 있 다. Kim과 Shin36)의 연구결과에서 학생들의 학업성 취도와 성공적인 학교 생활적응에 있어서 학과교수의 전공수업 만족도가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으 며,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하여 학과교수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기간에는 학과 에 대한 사전지식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안경광학과 에 대한 흥미와 동기 부여, 선후배간 또는 교수와의 일대일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동아리활동이나 사회 봉사활동 등의 소그룹 만남을 통하여 관계를 형성시 키고 보다 바람직한 진로설계를 하도록 도와주는 등 의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여 효과적 인 대학생활적응을 유도하는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자기 존경의 정도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23) 자아존중감 총점의 평균은 3.36점(±0.50)이었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자기존중 3.26점(±0.69), 타인과의 관계 3.67점(±0.55), 지 도력과 인기 3.35(±0.63)점, 자기주장 3.19점 (±0.55)이었다. 성적은 4.50 만점에 평균 3.08 (±0.54)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 =.292, p=.047)이었다. 자아존중 감에서 하위 요인인 자기존중은 자기 자신을 장점이 많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며, 쉽게 포기하지 않는 경향에 대한 것을 의미한다. Jeong37) 의 연구에서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생활에 성공적이 며 대인 관계가 좋고 상황대처를 잘 하며, 학업수행 및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려면 개인이 어떤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나 자신에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하는 자아존중감에 대 한 교육이 선행돼야할 것이며, 자아존중감과 진로계 획 여부에 대한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나타냈으며, 특히 자아존중감과 진로계획 여부요 인 사이에 부분적 이나마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38) Lew39)는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 도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자신이 장 점과 가치가 있는 사람으로 믿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 는 학생일수록 학업성취가 높아진다는 하였다. 자존 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수행에 대해 높은 기대를 하며 학습과제를 더 가치 있게 판 단하며 높은 수준의 과제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40)

    Shin 등30)은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취업역량강화프로그램과 같은 보완교육이 확대되어 야 한다고 하였고,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학생들 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킴으로 써 향후 취업에 유리한 결과를 보이며 앞으로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 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41)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국 가고시를 통하여 안경사 전공 면허를 발급받기 때문 에 학업에 대한 적응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따라서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 공에 기초가 되는 과목을 선별하여 방학 중 선행학습 을 하고 학기 중에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 공에 대한 심화 또는 선행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생 들로 하여금 전공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학과 만족 도를 높임으로서 학생들의 중도 탈락률을 감소시키고 과에 대한 소속감과 안경사에 대한 직업에 대한 자부 심을 가질 수 있게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 에 필요한 안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 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일개 대학 재학생에 국한 되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안경광학과 학생들에 게 일반화 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는 더욱 많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욱 신뢰성이 높은 연구가 되리라 생각 된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과 정보습득경로, 선택 이유, 선택 시기를 분석하고 이러한 정보들이 성적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생을 이해하 고 학생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 의 진로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이 연구 자료가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of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aptatio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between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aptatio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 Career Identity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 Major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 College Adaptatio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 Self-Esteem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Reference

    1. Kim JK, Hwang BD, Choi R: The Accomplishments of Students Majoring Physical Therapy to Vocational Personality of HOLLAND.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9(2), 77-85, 2013.
    2. Kim JY: The Relationship of Freshman's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Depression. J. Adolescent Welfare 10(4), 243-263, 2008.
    3. Lee MA: The study of the effect of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J Eeducation Evaluation 19(1), 161-181, 2006.
    4. Lee IS: A study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employment stres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Data Analysis Soc. 13(5), 2487-2500, 2011.
    5. Lee JI, Kim,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J Vocat Edu Res. 31(2), 227-246, 2012.
    6. Lee JH: The Relationships Between Cluster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and the Career Maturation of College Students. J lea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tion 13(2), 39-59, 2013.
    7. Lim YS: A Study on Career Socializ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Focus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J Educational research 9, 107-129, 1993.
    8.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 Counseling 1(1), 7-20, 2000.
    9. Chang DW, Park JH, Na TJ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a Major-adjust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Aptitude Discrepancy. Student life research 14, 1109-1154, 1986.
    10. Arkoff A: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1st ed., Magraw Hill Book Company, 1968.
    11. Baker RW, Siryk B: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 Counselling Psychology. 31(2), 179-189, 1984.
    12.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1st ed., London, W.H. Freeman & Company, 1967.
    13. Nam SH: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 7-8, 2009.
    14. Lee SY: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elf 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the undergraduate, Seoul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 3, 2004.
    15.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erminology of educational psychology, 1st ed., Seoul, Available a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 d=1945046&ci d=41989&categoryId=41989, Hakjisa, 2000.
    16. Holland JL, Holland JE: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414, 1977.
    17. Kim, B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 9-60, 1997.
    18. Holland JF, Daiger DC, Power PG: My vocational situation. 1st ed., Palo Alto, Consulting Psycology Press, 1980.
    19. Kwon YH, Kim CN: Effect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Community Nursing 13(2), 216-229, 2002.
    20. Lee DJ: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Yonsei University MS Thesis, pp. 24-55, 2004.
    21. Kim HW: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 25-26, 2005.
    22. Hyun JW: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threat on the performance of task, Yonsei University MS Thesis, pp. 21, 1992.
    23.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1st ed.,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4. Kang JG: Effects of self-concept, career maturity and school achievement upon occupational status aspi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29-30, 1986.
    25. Kim J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Educational Faith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Yeungnam University MS Thesis, pp. 28-29, 2010.
    26. Hidi S: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1990.
    27. Nam DH: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ego-identity o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Kongju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30-33, 1994.
    28. Choi SG: Research about high school student of career maturity : focus 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Hanyang University MS Thesis, pp. 38-39, 1992.
    29. Cho WS: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major-interest, Daejin University MS Thesis, pp. 48-57, 2009.
    30. Shin JC, Jung JS, Shin TS: Caus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Factors. J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1), 287-313, 2008.
    31. Lee SM, Jung SA: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Optometry with Factors of Department Selection and Grade, Major Satisfaction. Korean J Vis Sci, 16(4), 455-462, 2014.
    32. Ryan RM, Stiller JD, Lynch JH: Representations of relationships to teacher, parents, and friends as predi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nd self-esteem. J Early Adolesc, 14(2), 226-249, 1994.
    33. Spencer MB: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43-57, 1999.
    34. Jeon S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cation 11(1), 93-115, 2010.
    35. Kim H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resulted by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prospect. Korean J Youth Studies 11(3), 199-215, 2004.
    36. Kim SY, Shin HJ: The Validity of the Consisting Factors of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ir Department Professors' Performanc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atisfactions for their Department Professors' Performance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J Korean Teacher Education 29(1), 207-226, 2012.
    37. 37 Jeong U: Function of Self-Esteem : A Cross- Cultural Perspectiv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23-29, 2004.
    38. Oh, JS, Kim SB, Park CJ: Impact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Plan on Academic Achievement. J Sci Education 16(2), 119-131, 2014.
    39. Lew KH: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J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 14(6), 2700-2706, 2013.
    40. Meece JL, Blumenfeld PC, Hoyle RH: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 Educational Psychology 80(4), 514-523, 1988.
    41. Seoung YH, Kim S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J Digital Convergence 11(2), 356-38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