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237-24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37

The effect of subjective symptoms cause of before and after wear change color glasses to hansen patients

Jeong-lim Lee1), Kyu-Byung Lee2)
1)Glasses house, Suwon
2)Dept. of Optometry Chungcheong Univ, Choung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u-Byung Lee Dep. of Optometry, Chungcheong Univ, Choungju Tel:043-230-2752, Fax:043-230-2759, E-mail: cabin98@hanmail.net
July 15, 2015 August 13,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subjective symptoms to wear change color glasses to the Hansen patients. we evaluate to get better the symptoms of tears and glare caused by change color glasses


Method:

Hansen, 29 patients in Wonju (9 males, 20 females, mean age 74.86±5.86 years) were examined for symptoms to target in question was a vision exams and glasses prescription. After checking the state of the first person wearing glasses discoloration after 2 months was found a change in the secondary symptoms through a questionnaire(23 patients).


Result: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29±0.18 in 58 eye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44±0.21, effect of visual acuity correction(EVAC) is 22.58±18.05%.



First subjective symptoms was found to dazzling (26), Dim (25), eyestrain (18), tears (17), after wear change color glasses is no problem (21), Dim (1) foreign body (1), eyestrain(1). Before wear glasses, tears is no symptoms(10), mild(9), moderate(9), severe(1) in the indoor and no symptoms(10), mild(6), moderate(11), severe(2) in the outdoor. Glare is no symptoms(5) mild(18) moderate(4), severe (2) in the indoor and no symptoms(5) mild(16) moderate(4), severe (4) in the outdoors. Result of examining the signs of wear change color glasses and tear and glare, tears is no symptoms(19), mild(4) in room, it was no symptoms(20), mild(2), moderate(1) in the outdoor. weared change color glasses glare was no symptoms(23) in the room. it was no symptoms(22), mild(1) in the out door.


Conclusion:

Subjective symptoms of before and after wearing change color glasses to hansen patients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erefore, discoloration glasses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subjective symptoms. tears and glare became to eased to symptoms by change color glasses. Tears and glare with Hansen patients can be seen very effective to evaluates subjective symptoms



한센환자의 변색안경 착용 전·후에 따른 자각증상의 개선효과

이 정임1), 이 규병2)
1)안경하우스, 수원
2)충청대학교 안경광학과 청주

    Ⅰ. 서 론

    한센병은 바이러스성 세균에 의한 피부와 말초신 경에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오랜 잠복기를 거 쳐서 나타난다. 병형은 크게 L 형과 T 형의 두 가지 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시아계통은 L형이 많으며 안 합병증을 유발하는 비율이 높다.1) 일반적으로 눈과 관련된 안 합병증을 감별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1. 시력장애가 있는가? 2. 안구동통이 있는가? 3. 수 명현상이 있는가? 4. 안구 압통이 있는가? 5. 발적이 각막주위에 심한가? 6. 동공의 크기의 차이가 있는 가? 7. 동공이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는가? 등의 설문조사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들이 많을 수록 한센병에 의한 눈의 변화를 의심할 수 있다. 홍 채의 변화는 한센병에 있어서 실명의 전조 증상으로 이 경우 동공의 모양이 불규칙하게 보일 수 있다.2)

    광변색(photochromic)이란 자외선(UV-A와 UVB, 400 nm 이하) 및 단파장의 가시광선(특히 430~ 470 nm의 청색광) 분포가 많을 때 광변색 물질의 포 화 농도가 높아지면서 색 농도가 진해지고, 적외선과 장파장의 가시광선의 분포가 많을 때는 광변색 물질 의 포화농도가 낮아져서 반응속도가 느려져 색농도가 옅어지는 현상을 말한다.3-5) 이러한 광변색 현상을 이용한 광학분야의 응용은 필름, 유리, 렌즈 등에 활 용되고 있다.6) 광변색 렌즈란 자외선과 적외선, 여러 파장의 가시광선의 양에 따라 색이 바뀌는 렌즈로, 실외에서 해당 파장의 빛(주로 햇빛)을 많이 받을수 록 색 농도가 진해지고 실내에서와 같이 자외선의 농 도가 줄어들면 색 농도가 옅어지는 렌즈를 말한다.7) 광변색 렌즈는 70~80%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여 눈의 피로를 적게 하고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안과영역에서 광변색 렌즈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8-11) 한센환자는 동공으로 들어오 는 빛의 양을 조절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12)를 토대 로 한센병 유병자에 대해 변색렌즈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색렌 즈의 기능이 자각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 고자 하였으며 변색렌즈 착용 전, 후의 눈물흘림과 눈부심 및 눈 피로 증상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원주에 거주하는 한센환자 29명(남자 9명, 여자20 명, 평균나이 74.86±5.86세)를 대상으로 2개월간 2 차에 걸쳐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2차 검사에서는 6명 이 중도 탈락되어 최종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1) 시력검사 및 굴절검사

    최초 연구를 시작할 때 나안시력을 측정하였으며 차 트프로젝트(NP-3S, Nikon)와 자동안굴절계 (KR- 7000,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굴절검사를 3회 이 상 측정한 평균값을 하였고 이 값을 활용한 자각적 굴 절검사값을 착용시킨 후 교정시력을 측정하였으며 안 경렌즈는 D사의 70 Gray와 Brown(spherical photochromic SEMI finished lens, reflective index: 1.55, special gravity: 1.20, Abbe value: 40, Material properties: TR-500)제품을 사용하였다.

    2) 1,2차 문진

    문진은 1차 모두 일대일 대면검사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지를 검사자가 읽어주고 설명하면서 피검자의 대 답을 검사자가 기록하였다. 2차 검사는 변색안경 착 용 2개월 후 1차 검사자가 아닌 다른 검사자가 동일 한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문진 할 때에 자각증상은 한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모두 기록하였다.

    3. 자료처리와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였다. 변 색렌즈 착용 전·후 자각증상의 차이, 변색렌즈 착용 전·후 눈물, 변색렌즈 착용 전·후 눈부심과 눈의 피로를 빈도, 교차분석으로 하였다. 통계검정에서 유 의확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하였 다. 또한 시력교정효과(effect of visual acuity correction, EVAC)는 다음의 수식으로 산출하였다.

    시력교정효과 ( % ) = 교정시력 - 나안시력 이론적교정시력(1.0) - 나안시력 ×100

    Ⅲ. 연구결과

    1. 대상의 특징

    대상자는 남자 9명(31.03%), 여자 20명(68.97%)이 었으며 평균 연령은 74.9±5.9세이며 60대 5명, 70 대 20명 80대 4명 이었다. 토안 2안이었고, 억지로 감기는 눈은 4안이 있었다. 문진을 통해 녹내장 6명, 결막염 1명, 황반변성 1명이 있었다. Table 1

    2. 최초 나안시력, 교정시력, 등가구면굴절력, 동공크기, 수축시 동공크기 및 교정효과

    대상자에 대해 최초 연구를 시작할 때 측정한 나안시 력(VSC)은 0.29±0.18이었고 교정시력(VCC)은 0.44± 0.21이었다. 또한 등가구면굴절력(SE)은 –0.41±1.07D 이었으며 시력교정효과(EVAC)는 22.58±18.05%로 나 타났다. 동공 크기는 3.34±1.46 mm, 수축시는 3.13±1.34 mm이었다. Table 2

    3. 자각증상

    설문지 조사에서 자각증상은 문제없음, 침침함, 비 문증, 복시, 이물감, 안구통증, 눈물흘림, 분비물, 가 려움, 충혈, 눈의 피로, 눈부심의 12개 항목으로 측정 하였으며 증상을 호소하는 모든 경우를 체크하였다. 그 결과 자각증상을 호소한 대상자 수는 눈부심 26명, 침침함 25명, 눈의 피로 18명, 눈물 17명, 가려움 16명, 충혈 12명, 분비물 10명, 안구통증 9명, 이물감 8명, 복시 8명, 비문증 8명, 문제없음 0명으로 나타났다. Table 3, Fig. 1, 2

    4. 눈물과 눈부심의 정도

    눈물과 눈부심을 아주 심함, 중등도, 경함, 무증상 으로 구분하여 실내와 실외로 구분하여 문진한 결과, 눈물은 실내에서 무증상 10명, 경함 9명 중등도 9명, 심함 1명의 순으로, 실외에서는 중등도 11명, 무증상 10명, 경함 6명, 심함 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눈부 심은 실내에서 경함 18명, 무증상 5명, 중등도 4명, 심함 2명의 순으로, 실외에서는 경함 16명, 무증상 5 명, 중등도 4명, 심함 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4

    5. 2차 검사 대상자 현황

    1차 대상자 29명을 대상으로 변색렌즈 그레이 13 명, 브라운 16명으로 구분하여 변색렌즈 효과를 조사 하였으며 2차 검사는 그레이 10명, 브라운 13명으로 23명(미참여자 각각 3명씩 6명)이 참여하였다. Table 5

    6. 변색렌즈 착용 후 눈물과 눈부심과 눈의 피로

    23명을 대상으로 변색렌즈 착용 후 눈물흘림과 눈 부심의 증상을 살펴본 결과, 눈물은 실내에서 무증상 19명, 경함 4명으로, 실외에서는 무증상 20명, 경함 2명, 중등도 1명으로 나타났다. 눈부심은 실내에서 무증상 23명, 실외에서 무증상 22명, 경함 1명으로 나타났으며. 눈의 피로는 무증상 22명, 경함 1명으로 나타났다. Table 6, Fig. 3, 4

    7. 변색렌즈 착용 전·후의 자각증상 비교

    변색렌즈 착용 후 자각증상은 무증상 21명, 침침함 1명, 눈의 피로 1명으로 나타났으며, 변색렌즈의 착용 전·후 자각증상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5). Table 7

    8. 변색렌즈의 착용 전·후 눈물과 눈부심 비교

    변색렌즈 착용 전·후의 눈물과 눈부심을 살펴본 결과 눈물은 실내에서는 증상없음이 초기 8명에서 19 명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경미함은 6명에서 4명 으로 감소하였고(p>0.05) 중등도는 8명에서 0명으로 감소하였다(p<0.05), 실외에서는 증상없음이 8명에 서 20명으로 증가하였고(p<0.05) 경미함은 5명에서 2명(p>0.05)으로 중등도는 10명에서 1명으로 (p<0.05)으로 나타났다. 변색안경 착용 전·후 눈부 심을 살펴보면 실내에서 증상없음이 5명에서 23명 (p<0.05)으로 경미함이 14명에서 0명(p<0.05)으로 중등도가 3명에서 0명(p>0.05)으로 심각함이 1명에 서 0명(p>0.05)으로 나타났으며, 실외에서는 증상없 음이 5명에서 22명(p<0.05)으로 경미함은 13명에서 1 명(p<0.05)으로 중등도는 3명에서 0명(p>0.05)으로 심각함은 2명에서 0명(p>0.05)으로 각각 나타났다. Fig. 5, Table 8

    Ⅳ. 고 찰

    한센병은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이며 신경을 손상 시키는 것이 특징이고 피부와 말초신경에 주로 나타 난다. 이러한 신경의 손상은 안합병증을 유발시키며, 바이러스가 눈에 직접 침범하면 각막의 감각을 저하 시켜 시력저하를 유발하고 홍채에 침범하면 동공산대 근을 위축시키며 안면신경13-14)을 침범하면 여러 안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15)

    눈물을 생성하는 기관에 이상이 생기면 눈물 부족 으로 눈이 건조하게 되며 한센병는 기질적으로 눈물 분기기능을 저하시키므로 건성안을 유발시킨다. 김영 진 등16)은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는 군과 호소하지 않 은 군에서 눈물막 지방층의 형태학적 관찰 및 비교하 기 위해 눈물막 파열시간을 비침습적 방법(Noninvasive break up Time, NIBUT)과 침습적 방법 (Invasive Break up time, IBUT)으로 조사한 결과 증상을 호소하는 군은 Brown-Yellow(약 112nm)에 서 불균질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증상을 호소하지 않 는 군에서는 Amorphous(약 94nm)에서 균질한 형태 를 나타내며 지방층의 형태가 눈물막 파열시간과 관 련이 있다고 보고했다. 김다영 등17)은 안구건조증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세 종류의 설문지(SPEED, OSDI, TERTC-DEQ)와 타각적 검사(NIBUT, Schirmer test)를 활용할 수 있으며, 정상안과 건성안을 구분 후 세 종류의 설문지와 타각적검사의 일치도를 비교 한 결과 SPEED가 타각적 검사와의 일치도가 높아 안 구건조증 평가를 위한 설문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 라고 보고했다. 선정순 등18)은 건성안을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문항으로 첫 번째 요인(이물감, 가려움, 껄끄 러움, 건조함, 충혈) 중에서 3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 타나고, 두 번째 요인(작열감, 쓰라림, 따끔거림), 세 번째 요인(안통, 눈부심, 피로), 네 번째 요인(찌걱거 림, 분비물이나 눈곱, 시력장애)에서 각각 1가지 이상 나타나며 건성안 문진표는 안경원에서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건성안을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건성안은 타각적 측정 할 수도 있으나 안경사의 법적 업무범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방법으로 건성안을 측정하고 눈물흘림과 눈부심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눈마름증후군(Dry eye syndrome)은 눈물 분비 감 소 또는 과도한 눈물 증발에 의해 발생하는 안구 표 면의 손상 및 증상을 말한다. 최근 안구표면, 안검 및 눈물샘의 눈물분비기능단위체(Lacrimal functional unit)의 개념이 소개되면서 눈마름증후근의 치료에 있어서도 안구표면 및 안검의 염증을 줄이는 방향으 로 바뀌어 가고 있다. 눈물분비기능단위체란, 각결막 의 안구표면상피가 삼차신경을 통하여 뇌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고 신경신호 전달에 의해 부교감신경 이 눈물샘과 마이봄샘, 결막의 술잔세포를 자극해서 눈물을 분비하고 있는데 어느 한 경로라도 이상이 생 기면 눈물 양과 조성의 항상성이 파괴되어 안구표면 의 염증이 발생한다는 개념이다.19) 따라서 삼차신경 의 손상이 있는 한센환자는 눈이 건조할 것이며 눈부 심, 침침함, 눈물흘림과 같은 자각증상을 호소할 것 으로 예상된다. 한센환자의 안구건조증 원인은 안면 신경의 마비로 인한 순목 기능 장애, 삼차신경의 마 비로 인한 각막의 감각 저하, 그리고 대상자들의 나 이가 많음이 원인일 수 있다. 또한 눈부심 현상은 안 면신경의 마비, 안합병증과 각막의 감각 저하로 인한 각막표면의 불균일성으로 유발될 수 있다.

    하진운 등20)은 눈부심의 주관적 정도를 안경착용 전·후로 비교한 결과 안경 착용 후 유의하게 눈부심 현상이 감소되었으며, 광변색 렌즈 착용 후 눈물흘 림, 안피로의 호전 여부를 관찰한 결과 안질환 증상 이 호전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광 변색 렌즈는 자외선(특히 UV-B)과 청색광을 차단하 여 백내장과 황반변성 등의 빛과 관련된 눈의 손상을 줄이고 대비감도를 증가시키며 현휘감도를 감소시켜 시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자각증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눈부 심(26명), 침침함(25명), 안피로(18명), 눈물흘림(17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침침함이 높게 나 타난 것은 한센환자의 교정시력이 0.44±0.21이고 교정효과는 22.58±18.05%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교 정시력이 낮은 상태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안피로는 잘 보이지 않으면서 눈부심이 심한 것이 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자각증상들이 시력교정용 변색안경 착용 후에는 거의 없어진 결과에서 변색안경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력교정 안경 착용도 자각증상 개선의 한 측면으 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난시교정으로 시력향상 뿐 아니라 눈부심 감소, 침침함 개선, 눈물흘림의 감소, 안피로의 감소 효과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한센 환자의 시력교정을 통한 자각증상 개선효과는 추가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은 객관적으로 검증 되지 않았지만 선행논문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들 (SPEED, OSDI, TERTC-DEQ)의 일부를 발췌하여 사용하였으므로 검사 결과는 유의미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센환자들의 눈물흘림과 눈부심 등 시력관련 자각증상이 변색안경으로 완화될 수 있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센환자의 변색안경 착용효과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Ⅴ. 결 론

    한센환자들을 대상으로 변색안경 착용 전·후 눈 물흘림과 눈부심 등을 비교한 결과 유의하게 완화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센환자들에게 변색안 경을 제공하면 자각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ppendix 1.

    1차 문 진 표

    본 설문 조사는 성인들의 시력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주변 환경이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시력 개선을 도모할 목적으로 마련하였사오니 정성어린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나 이:                        성별: 남·여

    전화번호:

    1. 본인이 느끼는 시각문제는 어떤 것입니까?

    (해당되는 항목을 모두 고르세요)

    1. 문제없음          2. 침침하다  3. 눈앞에 검은 점이 보인다.

    4 사물이 두개로 보인다(복시)  5. 이물감   6. 안구통증(오전, 오후, 종일)

    7. 눈물            8. 분비물   9. 가려움

    10.충혈             11.눈의 피로

    12. 눈부심 상태(항상, 대부분, 가끔, 조금, 전혀 )

    눈부심의 실내

    눈부심의 실외

    눈물 실내:

    눈물 실외

       섬광증 유, 무

    2. 현재 아래의 병력을 가지고 계시면 기록해주십시오.

    1. 고혈압

       유병기간: 년 치료여부: 1. 치료안함 2. 약물치료 3. 주사치료 4. 기타

    2. 당뇨병

       유병기간: 년 치료여부: 1. 치료안함 2. 약물치료 3. 주사치료 4. 기타

    3. 녹내장

       유병기간: 년 치료여부: 1. 치료안함 2. 약물치료 3. 기타

    4. 백내장

       유 무 (R , L ,OU) 수술: 유 무 (R , L , OU)

    3. 질병과 관련하여 안과 진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예   #x2003;아니오)

       예라면 어떤 것인지 아십니까?(        )

    4. 안경원에서 검사 받은 적이 있습니까?(예, 아니요)

         예라면 어떤 이유입니까? (        )

    Appendix 2.

    2차 문 진 표

                                         성명:     남·여

    자각증상:

    1) 문제없음, 2) 침침함, 3) 비문증 4) 복시, 5) 이물감, 6) 안통증, 7) 눈물, 8) 분비물, 9) 가려움, 10) 충혈, 11) 안피로, 12) 눈부심

    1) 안경착용 후 불편한 점은?

    2) 시력교정효과 -변색안경 쓰고 먼 곳을 볼 때

    3) 시력교정효과 –돋보기 안경 쓰고 가까운 곳을 볼 때

    4) 안경착용 후 눈물

    실내:

    실외:

    5) 안경착용후 눈부심

    실내:

    실외:

    6) 안경착용 후 눈의 피로

    7) 실내에서 실외로 갔을 때 불편한 점이 있습니까?

      1) 눈부시다, 2) 색이 너무 진해서 안보인다, 3) 불편한 점이 없다

    8) 실외에서 실내로 갔을 때 불편한 점이 있습니까?

      1) 갑자기 안보인다, 2) 색이 변하는 속도가 느리다 3) 불편한 점이 없다

    Figure

    JMBI-17-3-237_F1.gif

    Subjective symptoms at baseline questionnaire

    JMBI-17-3-237_F2.gif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 between indoor and outdoor

    JMBI-17-3-237_F3.gif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 at indoor and outdoor of wearing

    JMBI-17-3-237_F4.gif

    Subjective symptoms of hansen’s patient before and after wearing change color glasses

    JMBI-17-3-237_F5.gif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 before and after wearing change color glasses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Uncorrected visual acuity, corrected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 pupil size, constracted pupil size and EVAC at baseline

    Subjective symptoms at baseline questionnaire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 between indoor and outdo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2 month later (unit: person)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 at indoor and outdoor of wearing the transition glasses (unit: person)

    Subjective symptoms after wearing transition glasses (unit: person)

    Comparison of tears and glare,before and after wearing transition glasses

    Reference

    1. Ffyche TJ : Role of iris changes as a cause of blindness in lepromatous leprosy. Br J Ophthalmol. 65(4), 231-239, 1981. http://www.ncbi.nlm.nih.gov/pubmed/7236566
    2. Kim JW, Lee HS, Coutright P : Training for Primary Eye Care in Leprosy. J Korean Ophthalmol Soc. 31(3), 367-372, 1990. http://www.riss.kr/link?id=A19712744
    3. Khairutdinov RF, Giertz K, Hurst JK et al.: Photochromism of Spirooxazines in Homogeneous Solution and Phospholipid Liposomes. J Org Am Chem Soc. 120(49), 12707-12713, 1998.
    4. Kim EK, Choi YK, Lee MH : Photoinduced Refractive Index Change of a Photochromic Diarylethene Polymer. Macromolecules 32 (15), 4855–4860, 1999.
    5. Biteau J, Chaput F, Lahlil K et al : Large and Stable Refractive Index Change in Photochromic Hybrid Materials. Chem Mater. 10(7), 1945–1950, 1998.
    6. Takeshita M, Soong CF, Irie M : Alkali metal ion effect on the photochromism of 1,2- bis(2,4-dimethylthien-3-yl)-perfluorocyclopentene having benzo-15-crown-5 moieties. Tetrahedron Letters 39(42), 7717– 7720, 1998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0403998016815
    7. Bens T, Frewert D, Kodatis K et al. : Coupling of Chromophores: Carotenoids and Photoactive Diarylethenes – Photoreactivity versus Radiationless Deactivation. Eur J Org Chem. 1998(11), 2333-2338, 1998.
    8. Taylor HR, West S, Muñoz B et al.: The longterm effects of visible light on the eye. Arch Ophthalmol. 110(1), 99-104,1992. http://www.ncbi.nlm.nih.gov/pubmed/1731731
    9. Rosenblum YZ, Zak PP, Ostrovsky MA et al. : Spectral filters in low-vision correc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4), 335-341, 2000. http://www.ncbi.nlm.nih.gov/pubmed/10962699
    10. Shiina I, Kubota M, Oshiumi H et al. : An Effective Use of Benzoic Anhydride and Its Derivatives for the Synthesis of Carboxylic Esters and Lactones: A Powerful and Convenient Mixed Anhydride Method Promoted by Basic Catalysts. J Org Chem. 69(6), 1822–1830, 2004. http://www.ncbi.nlm.nih.gov/pubmed/15058924
    11. Lee JL : Ocular Function and Refractive Errors of Leprosy Patients, Eulji university MS Thesis, pp.20-35, 2014. http://www.riss.kr/link?id=T13427239
    12. Khong AM, Mannis MJ, Plotnik RD et al. : Computerized tpopgraphic analysis of the healing graft after penetrating keratopalsy for keratoconus. Am J Ophthalmol. 115(2), 209-215, 1993. http://www.ncbi.nlm.nih.gov/pubmed/8430730
    13. Dana MR, Hochman MA, Viana MA et al. : Ocular menifestations of leprosy in a noninstitutionalized community in the United States. Arch Ophthalmol. 112(5), 626-629, 1994. http://www.ncbi.nlm.nih.gov/pubmed/8185519
    14. Lee JL : Comparison of ocular function and refractive errors both hansen patients and old people. Korean Lepr Bull. 47(1), 47-62, 2014.http://www.koreamed.org/SearchBasic.php?RID=0125KLB%2F2014.47.1.47&DT=1&QY=Comparison+%5BALL%5D+of+%5BALL%5D+ ocular+%5BALL%5D+function+%5BALL%5 D + a n d + r e f r a c t i v e + % 5 B A L L % 5 D +errors+%5BALL%5D+both+%5BALL%5D+hansen+%5BALL%5D+patients+%5BALL%5D+and+old+%5BALL%5D+people+%5BALL%5D
    15. Kim DH, Kwon OJ, Kim SM et al. : Ocular Physiology, 4th ed., Seoul, Hyunmoon, pp.219-226, 2012. http://www.riss.kr/link?id=M13779531
    16. Kim YJ, Kim JC, Shyn KH et al.: Characteristics of Tear Lipid Layer on Tears copy in Dry Eye Symptom and Non-Dry Eye Symptom Group. J Korean Ophthalmol Soc. 40(6), 1464-1472, 1999. http://www.riss.kr/link?id=A100448113
    17. Kim DY, Lee SH, Cho HG et al. :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for Dry Eye Screening Test. J Korean Oph Opt Soc. 19(4), 499-504, 2014. http://www.riss.kr/link?id=A100272726
    18. Sun JS, Ryu GC, Cho JH : Development of Dry Eye Questionnaire easy to use in Optical Shops. Korean J Vis Sci. 15(4), 385-393, 2013. http://www.riss.kr/link?id=A99884012
    19. Chun YS : Current Concepts and Therapeutic Management of Dry Eye. J Korean Med Assoc. 50(9), 842-847, 2007. http://koreamed.org/ SearchBasic.php?DT= 1&RID=0119JKMA%2F2007.50.9.842
    20. Ha JW, Kim JS : The Development of UV-blocking Photochromic Lens.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10(2), 1139-1142, 2004. http://www.riss.kr/link?id=A100530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