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299-30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99

The Change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in Mild, Moderate and Severe Glaucoma Patients

Joo-Hyung Choi,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Daej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Daejeon TEL: 031-740-7182, Fax: 031-740-7365, E-mail: kjl@eulji.ac.kr
July 21, 2015 August 15,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To assess binocular vision changes in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patients with severity of glaucoma.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ive subjects with POAG were divided according to mean deviation (MD) into mild (-1.90±1.58 dB, 45.0±10.8 years), moderate (-8.30±3.07 dB, 45.6±10.2 years) and severe (-14.1±1.70 dB, 47.8±11.2 years) group. All glaucoma subjects and age-matched normal subjects underwent binocular visual field testing; phoria angle, NPC (near point of convergence), fusion amplitude, sensory suppression and stereoacuity. All measurements among group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SPSS 21.0.


Results:

The patients with mild glaucoma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near exophoria angle, increased in NPC, decreased in near 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near 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and stereoacuity. With the progression of the glaucoma, in the patients with moderate glaucoma decreased far fusional reserve were found and in the patients with severe glaucoma increased far exophoria angle, decreased far positive total convergence, far and near sensory suppression were found, additionally.


Conclusion:

Visual functions related to near vision and stereoacuity were decreased in early glaucoma patients and visual functions related to far vision, sensory suppression were additionally decreased with the severity of glaucoma.



초기, 중기, 말기 녹내장 환자에서 양안시기능 변화

최 주형, 이 군자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대전

    Ⅰ. 서 론

    시신경은 망막의 가장 안쪽 층에 퍼져 있는 신경섬 유가 시신경유두에 모여 들어 후안부에서 다발을 형 성하는 것으로 시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 다. 안압 상승 및 혈액 공급의 장애로 인해 생기는 녹 내장은 시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시야결손을 일으킨다. 녹내장 환자의 경우 시신경섬유의 주행은 일정하기 때문에 녹내장성 시야결손은 특징적인 형태 를 띤다. 녹내장 초기에는 시신경유두의 위아래쪽 부 위가 손상되는데, 이 부위로 들어오는 시신경섬유가 전달해주는 주시점 주위 및 코쪽 시야에 결손이 나타 난다. 녹내장 환자의 주시점 주위 시야결손은 주시점 에서 10~20° 사이의 비제름 영역(Bjerrum area)에 고립된 작은 암점이 하나 또는 둘 이상 나타나고, 코 쪽 시야가 수평선의 위·아래에서 계단 모양으로 차 이가 나타나며, 흔히 활모양 암점 또는 주시점 주위 시야결손이 함께 나타난다. 활모양 암점은 주시점에 서 귀쪽으로 10~20° 떨어져 생리적 맹점 (physiologic blind spot)과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며 코쪽의 수평선까지 연결되어 녹내장이 진행됨에 따라 위·아래 활모양 암점이 합쳐져 고리모양 암점(ring scotoma)이 되기도 한다. 녹내장 말기에는 중심시력 만 남는 관모양시야가 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 면 시야가 완전히 소멸될 수 있다.1,2) 이러한 시야결 손이 있더라도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기능이 유지되 어 여전히 빛을 볼 수는 있고 중심시야는 녹내장이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 남아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만성녹내장 환자들은 시력에는 불편함이 없다고 느낀 다.3)

    우리 눈의 양안시기능은 양안의 다른 정보를 하나 로 통합하는 기능으로 양안의 상이 하나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망막에서 전달되는 각각의 시각정보가 유사 하고 광학적으로 좋아야 할 뿐만 아니라 양안의 미세 한 협업적인 안구운동(motor coordination)과 망막 상을 동시에 인식(simultaneous perception)하는 기 능 및 감각적 융합(sensory fusion) 기능이 모두 가 능해야 한다.4) 따라서 녹내장 환자의 경우 신경조직 의 결손이 양안에서 서서히 진행되고 망막의 신경세 포의 손상이 일반적으로 양안에서 비대칭적으로 발생 하기 때문에 양안시기능에 큰 손실을 줄 수 있고 특 히 전두엽으로 전달되는 시신경의 손상은 양안시기능 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5)

    또한 신경섬유 손상 및 시야결손으로 인해 뇌로 전 달되는 단안 시각정보의 감소는 융합능력 및 입체시 와 같은 양안시기능을 저하시켜 운전이나 거리감과 같은 입체 감각이 필요한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다고 보고되었다.6-18)

    현재까지 녹내장 환자의 양안시기능과 관련된 연 구는 주로 설문조사를 통한 녹내장 환자의 삶의 질17) 과 야외활동 및 슈퍼마켓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보 고와9,19-22), 양안시기능에 대한 연구5,13,23)가 대부분 이며 녹내장의 진행 단계에 따른 양안시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녹내장 환자의 진행 단계별 양안시 기능을 평가하는 것은 녹내장 환자의 증상이 진행되 면서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편함을 예측할 수 있는 자 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 녹내장 진행 단계에 따른 양안시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저자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구18) 대 상자와 추가로 말기 녹내장 환자를 포함하여 녹내장 진행단계에 따라 초기, 중기 및 말기군으로 세분하여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재분석하였다. 2013년과 2014 년 사이에 분당 J 병원 안과를 내원한 녹내장 환자 중 백내장과 황반변성 등의 안질환이 있거나 부등시, 6.00 diopter(D) 이상의 굴절이상, 약시, 안내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에 작용 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녹내장군 은 안과 전문의에게 원발개방각 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 45명 중 시야검사에서 MD(mean deviation, 시 야감도의 평균) 값에 따라 초기(-6 dB 이하), 중기 (-6~-12 dB), 말기(-12 dB 이상)로 분류하였다. 정 상 대조군은 안압이 21 mmHg 이하이고 녹내장성 시 신경 병증이 없는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검 사는 녹내장군과 정상 대조군 모두 동일하게 시행하 였다.

    2. 연구방법

    1) 녹내장 검사

    안압검사는 비접촉식안압계(NCT, CT-80,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VFI(Visual Field Index, 남아 있는 시 야)검사는 정적시야계(Perimeter, Humphery AII- 750I, Carl Zeiss,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고, 안검이 동공을 덮는 경우 시야검사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안검을 고정시켜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RNFL(Retinal Nerve Fiber Layer,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빛간섭단층 촬영기기(OCT, 4000, Carl Zeiss, Germany)의 Optic Disc Cube 200*200 모드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시력 및 굴절이상도 측정

    교정시력검사는 시력표(Digital Chart, Huvitz, Korea)의 Snellen 시표를 사용하여 5 m 거리에서 단 안을 각각 측정하였고 시력의 기록은 LogMAR 단위 를 이용하였으며, 굴절이상도는 자동굴절검사기 (ARK, KR-8800,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3) 양안시기능 검사

    사시각은 프리즘바(Prism Bar, Luneau, France) 로 차폐검사와 차폐-비차폐 검사를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이 없을 때까지 프리즘을 부가하여 원거리와 근거리 사시각을 각각 측정하였다. 융합능력은 프리 즘바(Prism Bar, Luneau, France)의 B.I 프리즘을 사용하여 원거리 음성전폭주와 근거리 음성전폭주 및 음성상대폭주를 측정하였고 B.O 프리즘을 사용하여 원거리 양성전폭주 및 폭주여력과 근거리 양성전폭주 및 양성상대폭주를 측정하였다. 억제검사는 적록필터 를 이용하여 원거리와 근거리 Worth 4점 검사 (BLS-1, Neitz, Japan)를 시행하였다. 폭주근점은 피검자 눈앞 40 cm 위치에서 양안의 중앙선에서 15 도 아래에 위치시킨 작은 타깃을 서서히 접근시켜 분 리 근점을 측정하였다. 입체시는 40 cm 거리에서 편 광안경을 착용하여 Titmus fly 검사(Stereo, Stereo OPI, U.S)를, 적록안경 착용 후 TNO 검사(TNO, Lameris Tech., Netherlands)를 시행하였다.

    5) 통계분석

    녹내장군과 정상군의 양안시기능과 만족도를 비교 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은 SPSS(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모수의 두 그룹 사이의 연속변수는 T 검정을 이용하였고 비모수 의 두 그룹 사이의 비교는 Mann-Whitney 검정을 이용하였다. 범주형 변수는 Chi-square를 이용하였 으며, 네 그룹 사이의 비교는 Kruskal-Wallis 검정 을 이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 특성

    원발개방각 녹내장 환자 45명(정상안압 43명, 고안 압 2명)은 초기(30명), 중기(10명), 말기(5명)로 분류하 여 비교하였다. 대상자 중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녹내장 군에서 초기(63.3% : 36.7%), 중기(60.0% : 40.0%), 말기(60.0% : 40.0%), 정상안(50.0% : 50.0%)로 나타 났다. 나이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45.0±10.8세, 중기 45.6±10.2세, 말기 47.8±11.2세로 정상안의 43.6± 10.8세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71, Table 1). 각 연령대 별로 20대 대상자는 녹내장 환자 특성상 초기 그룹에만 있었고 중기 및 말기 그룹에는 대상자가 없었 으며, 30~50대 연령대에서는 대상자 분포가 약간의 차 이가 있지만 대상자 분포가 양안시기능검사에 영향을 줄 정도의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다(Table 2). 굴절이상도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1.91±2.25 D, 중기 -1.82±2.23 D, 말기 -0.75±1.81 D로 정상안의 -1.70±2.11 D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57, Table 1). 교정시력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0.004±0.17 LogMAR, 중기 0.004±0.18 LogMAR, 말기 0.008± 0.12 LogMAR로 정상안의 0.007±0.27과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p=0.643, Table 1).

    2. 녹내장 관련 검사값

    안압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15.6±3.33 mmHg, 중기 15.0±2.26 mmHg, 말기 13.6±1.14 mmHg로 정상안 의 15.7±2.60 mmHg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녹내 장 그룹 간 차이도 없었다(p=0.280, Table 3). 녹내장 성 손상의 경우 안압의 상승이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본 연구에서 녹내장 환자와 정상안 사이에 안압 차이가 없거나 말기 환자에서 정상안 보다 오히려 평균 안압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녹내장 환자가 도르졸라미드 (dorzolamide),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와 같은 안압하강 안약을 점안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야감도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1.90±1.58 dB, 중기 -8.30±3.07 dB, 말기 -14.1±1.70 dB로 정상 안의 0.92±10.6 dB 보다 세 그룹 모두 시야 감도가 유의하게 낮았고, 녹내장 진행 단계별 그룹 사이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Table 3). VFI는 녹내 장군에서 초기 95.0±19.1%, 중기 79.6±8.92%, 말 기 62.1±5.20%로 정상안의 98.7±1.96 보다 세 그룹 모두 남은 시야가 유의하게 적었고, 녹내장 진행 단계 별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Table 3). RNFL 두께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81.6± 11.0 μm, 중기 74.0±10.4 μm, 말기 69.4±12.9 μm 으로 정상안의 92.5±9.33 μm 보다 세 그룹 모두 RNFL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졌으며, 녹내장 진행 단 계별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Table 3).

    3. 양안시기능 검사값

    1) 사시각 및 폭주근점

    원거리 사시각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2.36±3.09 △, 중기 -3.30±3.65 △, 말기 -5.00±3.16 △로 초기와 중기 그룹에서는 정상안의 -1.30±1.84 △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말기 그룹에서는 외편위 방 향으로 증가되었고 초기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48). 반면 근거리 사시각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4.70±3.28 △, 중기 -7.20±4.49 △, 말기 -11.6±4.56 △로 정상안의 -2.46±2.92 △ 보다 세 그룹 모두 근거리 사시각이 외편위 방향으로 증가되 었고 (p=0.000, Table 4), 초기와 말기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5). 녹내장군의 사시각 은 정상안과 차이가 있었는데 녹내장 환자와 정상안 의 연령이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녹내장 환자에게 나 타난 외편위는 연령에 의한 요인은 아니라고 판단된 다. 나이가 많아지면 물체를 주시할 때 시선은 (passive gaze position) 근거리에서는 외편위가 더 많아지고, 원거리에서는 외편위가 적어져 내편위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나이가 듦에 따라 외안근과 인대의 탄력성, 양안 굴절력의 차이, 감각적 억제 등이 양안 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24) 녹내장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시점 주위 시야결손, 코쪽 시야 결손, 활모양 암점 등의 특징적인 시야 결손은 사시 각에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5) 녹내장 환자에서 외편위가 나타나는 것은 양안의 시기능이 비대칭적이기 때문에 감각성 억제 메카니즘이 관여된 것으로 보인다. Reche-Sainz 등25)은 초기와 중기 녹 내장 환자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사시각이 외편위 방 향으로 증가되며 근거리에서는 외편위량이 더 증가되 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원거리 사시각 은 초기 환자에서는 정상안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말기 환자에서만 외편위 방향으로 증가를 보였다. 이 것은 본 연구의 환자 평균연령이 45.8±10.2세로 선 행연구의25) 67.1±9.53세 보다 젊기 때문으로 환자의 나이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폭주근점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8.08±2.60 cm, 중 기 9.25±2.84 cm, 말기 9.60±2.19 cm로 정상안의 5.78±2.14 cm 보다 세 그룹 모두 눈에서 멀어졌지 만(p=0.000), 녹내장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4). 정상안의 폭주근점은 5.0~7.5 cm로 보고 되었는데25,26) 본 연구에서 정상안의 폭주근점은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측정되었고25) 녹내장 환자의 폭 주근점은 정상안보다 길었고 녹내장 진행 정도에 따 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이 녹내장 환 자에서 폭주근점이 길어지는 것은 주변부 망막으로부 터 오는 자극이 양안에서 다르기 때문에 융합성 폭주 력(fusion convergence)이 감소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이며,27) 주변시야 위축을 보이는 망막색소변성증과 같은 질환에서도 융합버전스(fusion vergence)가 약 화되어 폭주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전폭주(Total Convergence)

    원거리 음성전폭주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8.10± 2.46 △, 중기 -7.80±1.47 △, 말기 -8.60±3.57 △ 로 정상안의 -9.53±2.67 △와 모든 그룹 사이에 유 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1, Table 5). 원거리 양성 전폭주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15.4±4.87 △, 중기 14.5±6.13 △, 말기 11.6±8.26 △로 초기와 중기에 서는 정상안 17.5±7.25 △와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녹내장 말기에서 정상안 보다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p=0.049, Table 5). 이는 녹내장 말기에서 나타난 사 시각의 외편위 방향으로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근거리 음성전폭주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17.7± 4.77 △, 중기 -15.0±3.12 △, 말기 -15.6±0.54 △로 모두 정상안의 -19.2±6.15 △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8, Table 5). 근거리 양성전폭주는 녹 내장군에서 초기 23.5±7.99 △, 중기 21.6±6.43 △, 말기 18.0±8.47 △로 정상안의 30.6±7.52 △ 보다 적게 나타났고(p=0.002, Table 5), 녹내장 초기 에는 정상안과 차이가 없지만 중기와 말기 그룹에서 는 유의하게 적어졌다(p=0.007, p=0.001). 이는 녹 내장 중기 이상에서 나타나는 고리모양 암점(ring scotoma) 및 중심암점(central scotoma) 으로 인해 원거리 양성전폭주의 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원거리와 근거리 음성전폭주는 선행연구25)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차이가 없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원거리 양성전폭주는 녹내장 말기에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고 초기 및 중기 녹내장 환자에서 모두 감소한다는 선행연구25)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이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24,28), 두 연구 사이에 연령 차이 로 인해 결과가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근거리 양성 전폭주는 모든 단계의 녹내장 환자에서 정상안 보다 낮게 나타나 선행연구25)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3) 폭주여력(상대폭주)

    원거리 폭주여력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12.6±4.09 △, 중기 11.4±4.57 △, 말기 10.4±6.94 △로 나타 나, 정상안 14.3±6.18 △와 차이가 없었으나 녹내장 중기와 말기에서는 원거리 폭주여력이 감소되었다(p= 0.042, p=0.029). 근거리 음성상대폭주는 녹내장군 에서 초기 -11.0±5.78 △, 중기 -11.8±2.14 △, 말 기 -12.0±4.30 △로 나타나 정상안의 -13.9±5.56 △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99, Table 6). 그러나 근거리 양성상대폭주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19.5±8.31 △, 중기 16.9±6.69 △, 말기 14.1±6.57 △로 나타나 정상안의 24.8±7.12 △보다 세 그룹 모 두 근거리 양성상대폭주가 감소하였고(p=0.002, Table 6), 녹내장 초기와 말기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37).

    원거리 폭주여력은 중기 이상의 녹내장 환자에서 낮게 나타났고 근거리 양성상대폭주는 초기, 중기, 말기 녹내장 환자 모두에서 낮게 나타나, 녹내장 초 기에는 근거리와 관련한 융합능력이 먼저 감소되고 녹내장이 진행됨에 따라 원거리 융합능력도 함께 감 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대로 녹 내장 초기에 나타나는 코쪽 시야결손으로 인해 근거 리 양성상대폭주가 감소되었고 녹내장 중기 및 말기 에서 나타나는 고리모양 암점과 중심암점으로 인해 원거리 폭주여력도 함께 감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억제

    원거리와 근거리 억제검사에서 억제 비율이 녹내 장 초기와 중기에서 0%로 정상안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녹내장 말기에서는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억제비율이 4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 Chi-square test). 녹내장 초기에는 신경 섬유의 주행방향에 따라 주로 주변부에 집중되는 시 야결손이 나타나 중심부에 억제가 크게 나타나지 않 았으나 녹내장 말기에 이르면 중심부까지 시야결손이 침범하여 양안 상의 단일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한쪽 눈의 상을 포기하는 억제가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에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선 행연구25)의 Worth 4점 검사를 이용한 억제검사에서 는 초기와 중기 녹내장 환자에서 원거리 억제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말기 녹내장 환자에서만 원거리와 근거리 억제가 나타난 본 연구 결과와 차이 를 보였다.

    5) 입체시

    Titmus 검사에 의한 입체시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96.3±78.4″, 중기 114±112″, 말기 960±1161″로 정상안의 44.6±9.47″보다 세 그룹 모두 감소하였 고(p=0.000, Table 7), (Fig. 1), 녹내장 말기는 초기 및 중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상 입체시 60″를 초과하는 비정상 입체시 비율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46.7%, 중기 40%, 말기 100%로 정상안의 11.5% 보다 세 그룹 모두 비정상 입체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0, Chi-square test), (Fig. 2).

    TNO 검사에 의한 입체시는 녹내장군에서 초기 223±176″, 중기 260±220″, 말기 2,008±1372″로 정상안의 89.4±61.3″보다 세 그룹 모두 감소하였고 (p=0.000, Table 7), (Fig. 1), 녹내장 말기는 초기 및 중기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0″를 초과하는 비 율은 녹내장군에서 초기 80%, 중기 100%, 말기 100%로 정상안의 34.6% 보다 모두 비정상 입체시 비 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0, Chi-square test), (Fig. 2).

    입체시는 양안의 중심 고시와 망막의 정상대응을 기반으로 생기는 양안시의 최고 기능으로서 여러 연 구에서 녹내장 환자에서의 입체시 감소를 확인하였 다.5,22,25,29)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25,30)와 동일하게 녹내장 환자에서 입체감을 표현하지 못한 환자들의 입체시를 3000″로 코드화 하여 분석하였다. Titmus 검사에서 녹내장 환자의 평균 입체시는 초기 96.3±78.4″, 중기 114±112″, 말기 960±1161″로 정상안 보다 입체시 저하가 현저히 나타났고, TNO 검사에서도 녹내장 환자의 평균 입체시가 초기 223±176″, 중기 260± 220″, 말기 2008±1372″로 정상안 보다 현저히 저하되었다. 또한 정상 입체시는 40~60″로 알려져 있지만5,22,25,30) 입체시와 양안시기 능을 함께 평가한 선행연구25)와 동일하게 정상 입체 시를 60″로 간주하였을 때 Titmus와 TNO 검사에 의 한 비정상 입체시 비율은 녹내장 초기, 중기, 말기 그 룹에서 모두 정상안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행연구25) 에서는 초기 및 중기 녹내장 환자의 Titmus 검사 값 은 180.54± 77.45″, TNO 검사 값은 134±103.29″ 로 정상안 보다 낮게 나타났고 비정상 입체시 비율은 Titmus와 TNO 검사 모두 녹내장 환자에서 높게 나 타나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녹내장 환자의 입체시 저하는 본 연구 및 선행연구30) 에서도 보고되었고, 녹내장 의증 환자에서도 입체시가 정상안보다 현저히 저하된다고 보고되었다.5,22) 녹내 장 환자에서의 입체시 감소는 신경절 세포의 손상이 대 뇌피질에서 시각정보를 입력하는데 상대적 지연을 일 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5) 녹내장 환자에 서 이와 같은 입체시의 저하는 시야결손이 확연하게 나 타나지 않은 녹내장 초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축 삭질 흐름(axoplasmic flow)의 차단으로 소멸된 신경 절세포로 인한 단안 시각정보의 단절로 인해 양안 융합 에 어려움을 주기 때문이며 또한, 신경섬유의 손상이 시각의 광자극에 대해서 대뇌후두엽(occipital lobe)의 시각중추 부근 뇌파의 전위변동을 나타내는 시각유발 전위(visual evoked cortical potential)가 정상안에 비해 상대적 지연을 일으켜 양안 상호작용(binocular interaction)에 영향을 미치고 입체시 형성에 어려움 을 주기 때문으로,5,31,32) 입체시 검사결과는 초기 녹내 장 여부를 판단(screen)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 사료된다.

    Ⅳ. 결 론

    녹내장 환자의 경우 초기에는 근거리 사시각이 외 편위 방향으로 증가하고, 폭주근점이 멀어지며, 근거 리 양성전폭주 및 양성상대폭주 그리고 입체시 감소 등 근거리 관련 시기능 저하가 녹내장 초기에 관찰되 고 녹내장이 진행됨에 따라 원거리 관련 시기능도 저 하되어 녹내장 말기에는 원거리 사시각이 외편위 방 향으로 증가하고, 원거리 양성전폭주가 감소하였으 며, 원·근거리 억제가 관찰되었다. 녹내장이 진행되 면서 시야결손이 비대칭적으로 변하고 양안에서 오는 시자극이 다르기 때문에 융합버전스, 감각성 메카니 즘 등에 변화를 주게 되어 양안시기능이 저하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경절세포 손상으로 인한 단안 시각정보의 단절과 신경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시각유 발전위의 상대적 지연이 입체시 형성에 어려움을 주 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JMBI-17-3-299_F1.gif

    Stereoacuity in subjects with glaucoma and normal group using Titmus and TNO test.

    JMBI-17-3-299_F2.gif

    Percentage of stereopsis under and above 60″for Titmus and TNO test in subjects with glaucoma and normal group.

    Table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Classification of age of the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Intraocular pressure and variables of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Phoria angle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of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Total convergence by break point of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Fusional reserve by blur point of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Stereoacuity in patients with glaucoma and normal subjects using Titmus and TNO test.

    Reference

    1. Yoon DH, Lee SW, Choi O et al.: Ophthalmology. 7nd ed., Seoul, Ilchokak, pp. 207-210, 2005.
    2. Park DH, Hong SP, Kwon JY: The differences of visual field defects in three types of primary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45(4), 599-606, 2004.
    3. Flammer J: Glaucoma: A Guide for Patients, An Introduction for Care Providers, A Quick Reference, 3rd ed., Kirkland, Hogrefe & Huber Pub, pp. 18-30, 99-108, 2007.
    4. Hart WM, Adler FH: Adler’s physiology of the eye: clinical application. 9th ed., St. Louis, Mosby Inc, 1992.
    5. Gupta N, Krishnadev N, Hamstra SJ et al.: Depth perception deficits in glaucoma suspects. Br J Ophthalmol. 90(8), 979-981, 2006.
    6. Kotecha A, O'Leary N, Melmoth D et al.: The functional consequences of glaucoma for eyehand coordin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0(1), 203-213, 2009.
    7. Parc C, Tiberghien E, Pierre-Kahn V: Driving habits in glaucoma patients. J Fr Ophtalmol. 35(4), 235-241, 2012.
    8. Güerri N, Polo V, Larrosa JM et 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tinal sensitivity threshold values assessed b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in glaucoma. Arch Soc Esp Oftalmol. 88(6), 223-230, 2013.
    9. Sippel K, Kasneci E, Aehling K et al.: Binocular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and its impact on visual exploration - a supermarket study. PLoS One. 9(8), e106089, 2014.
    10. Takahashi Gl, Otori Y, Urashima M et al.: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Japanese Glaucoma Patients and its Relationship With Visual Function. J Glaucoma. Epub ahead of print, 2015
    11. Zhou C, Qian S, Wu P et al.: Quality of life of glaucoma patients in China: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orrelates-a cross-sectional study. Qual Life Res. 23(3), 999-1008, 2013.
    12. Kong XM, Zhu WQ, Hong JX et al.: Is glaucoma comprehension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urbance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glaucoma? A cross-sectional study. BMJ Open. 4(5), e004632, 2014.
    13. Bassi CJ, Galanis JC: Binocular visual impairment in glaucoma. Ophthalmology 98(9), 1406-1411, 1991.
    14. McGwin G Jr, Huisingh C, Jain SG et al.: Binocular visual field impairment in glaucoma and at-fault motor vehicle collisions. J Glaucoma. 24(2), 138-143, 2015.
    15. Ono T, Yuki K, Awano-Tanabe S et al.: Driving self-restriction and motor vehicle collision occurrence in glaucoma. Optom Vis Sci. 92(3), 357-364, 2015.
    16. Lee JW, Chan CW, Chan JC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parameters and glaucoma- specific quality of life in Chinese primary open-angle glaucoma patients. Hong Kong Med J. 20(4), 274-278, 2014.
    17. Skalicky SE, Goldberg I: Are we ready to assess quality of life routinely in our glaucoma patients?. Bull Soc Belge Ophtalmol. 315, 5–7, 2010.
    18. Choi JH, Lee KJ: Assessment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in Glaucoma. Korean J Vis Sci. 17(2), 131-140, 2015.
    19. Lisboa R, Chun YS, Zangwill LM et al.: Association between rates of binocular visual field loss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laucoma. JAMA Ophthalmol. 131(4), 486-494, 2013.
    20. Medeiros FA, Gracitelli CP, Boer ER et al.: Longitudinal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ates of progressive visual field loss in glaucoma patients. Ophthalmology 122(2), 293-301, 2015.
    21. Nelson P, Aspinall P, Papasouliotis O et al.: Quality of life in glaucoma and its relationship with visual function. J Glaucoma. 12(2), 139-150, 2003.
    22. Essock EA, Fechtner RD, Zimmerman TJ et al.: Binocular function in early glaucoma. J Glaucoma. 5(6), 395-405, 1996.
    23. El-Gohary AA, Siam GA: Stereopsis and contrast sensitivity binocular summation in early glaucoma. Res J Med Med Sci. 4, 85-88, 2009
    24. Evans BJW, Pickwell D: Pickwell’s binocular vision anomalies: investigation and treatment. 4th ed., Edinburgh,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pp. 63–98, 2002.
    25. Reche-Sainz JA, Gómez de Liaño R, Toledano-Fernández N et al.: Binocular vision in glaucoma. Arch Soc Esp Oftalmol. 88(5), 174-178, 2013.
    26. Scheiman M, Gallaway M, Frantz KA et al.: Nearpoint of convergence: test procedure, target selection, and normative data. Optom Vis Sci. 80(3), 214-225, 2003
    27. Semmlow JL, Hung GK, Ciuffreda KJ: Quantitative assessment of disparity vergence components. Invest Ophthalmol Vis Sci. 27(4), 558-564, 1986.
    28. Gupta V, Dutta P, OV M et al.: Effect of glaucoma on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atients. Invest Ophthalmol Vis Sci. 52(11), 8433-8437, 2011.
    29. Abraham NG, Srinivasan K, Thomas J: Normative data for near point of convergence, accommodation, and phoria. Oman J Ophthalmol. 8(1), 14-18, 2015.
    30. Lakshmanan Y, George RJ: Stereoacuity in mild, moderate and severe glaucoma. Ophthalmic Physiol Opt. 33(2), 172-178, 2013.
    31. Bergua A1, Horn FK, Martus P et al.: Stereoscopic visual evoked potential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open-angle glaucoma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2(3), 197-203, 2004.
    32. Parisi V: Impaired visual function in glaucoma. Clin Neurophysiol. 112(2), 351-35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