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321-33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321

The Suitability Study of Maindot Test for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Chang-Seon Lee1), Youn-Joo Bae1), Duk-Yong Sung2), Ki-Hong Kim1)
1)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san
2)Dept. of Ophthalmic Optics, Suseong College, Daeg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Hong Kim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san TEL: 053-850-2551, Fax: 053-850-3184, E-mail: kkh2337@cu.ac.kr
July 17, 2015 August 20,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This is suitability study of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with Maindot test.


Method:

A mean age is 15.48(±3.23), 14 persons(11 men, 8 women)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9 or higher and the normal binocular vision and control, and intermittent exotropia of 19 persons(11 men, 8 women) with the far and near deviation is 10PD(Prism Diopter) or more despite normal visual acuity and binocular vision, are evaluated by using Maindot test, training before and after, 6 and 12 months after training.


Resul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Maindot test and subjective symptoms is that the high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ed to decreasing subjective symptoms(diplopia)(p<0.001).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objective refraction is that high binocular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 to deviation’s decrease and PRC’s increase(p<0.001).


Conclusions:

Having been correlated the movements and subjective symptoms, Maindot test provide optometrist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check on successful vision training, prognosis and the predict subject symptoms.



외안근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를 위한 Maindot 검사의 적합성 연구

이 창선1), 배 연주1), 성 덕용2), 김 기홍1)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경산
2)수성대학교 안경광학과, 대구

    Ⅰ. 서 론

    최근 스포츠의학에서는 관절기능이상자들의 기능 적, 병적 요인에 의한 관절기능 수준을 평가하기 위 해 여러 고유수용감각 측정방법이 고안되었다. 대표 적으로 현재 Threshold to detection of passive motion(TDPM)과 관절위치감각검사(Joint Position Sense; JPS), standing balance와 같은 다양한 검사 방법이 관절운동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1) 하지만 검안학에서는 외안근의 근건 접합부에 위치하 여 눈의 위치와 운동의 미세한 조절에 관한 정보를 뇌로 전달 및 조절하는 감각수용체인 근방추체, Golgi 근건체, palisade endings 등 세 가지 종류의 고유수용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2-5) 양안시 이상자 들에 대한 양안시 안구운동에 대한 외안근 고유수용 감각검사는 현재 알려진 바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 서는 관절 고유수용감각 검사인 JPS 방법을 응용하 여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Maindot 검사 검사장비 및 방법을 고안 하였다. 그리 고 고안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기능검사(Maindot 검사)가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오 외 5명이 발표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 평가에 서의 관절위치감각 검사(JPS)의 효용성’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여 Maindot 검사의 외안근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의 적합성 유무를 알아보고자 한다.

    고유수용감각은 특정한 감각 양식으로서 관절의 움직임과 관절의 위치감각에 반응하고 기능적인 관절 안정성에 기여한다.9) 고유수용감각의 고유수용체는 피부나 근육, 건, 인대, 관절 강내에 존재하며, 관절 내의 기계적인 부하를 구심성 신경자극으로 변환시키 는 역할을 한다.10)

    고유수용감각의 손상 시에는 이러한 고유수용체로 부터 받아들이는 감각유입의 부족으로 근육의 불안정 성과 근력 약화뿐만 아니라 고유수용감각에 악영향을 미친다.9,11) 이러한 이유로 고유수용감각 정보는 관절 손상을 예견하는 위험 인자(risk factor)로 작용할 수 도 있다.2-14)

    고유수용감각을 측정하기 위한 기능적인 검사에는 Threshold to detection of passive motion(TDPM) 과 관절위치감각 검사(JPS)등이 있다.15) TDPM은 관 절각이 천천히 변화할 때 움직임의 변화에 반응하는 검사이며, JPS는 목표각을 정해놓고 스스로 관절각 을 재현하거나 움직이는 동안 목표각에 반응하는 검 사다.15) 특히, JPS 검사는 정적인 고유수용감각을 통 해 공간 내 관절의 위치를 인지함을 측정하는 것으로 술 후 고유수용감각의 변화를 쉽고 간편하게 측정하 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고유수용감각검사 방법 중 쉽고, 간단하며, 평 가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JPS 검사방법을 응용 하여 Maindot 검사방법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고안한 Maindot 검사가 양안시 고유수용감 각 능력평가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방법

    정위안(Orthophoric, OP)과 간헐성 외사시안 (Intermittent exotropia, IE)의 시기능 훈련 후 양 안시 고유수용감각 수준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울산 T 센터를 방문한 평균나이 15.48(±3.23)세의 교정시력 이 0.9이상, 양안시 및 조절기능이 정상인 14명의 정 위안(남 8, 여 6)과 교정시력과 조절기능은 정상이나 원, 근거리 편위량이 10PD를 초과하고, 시기능훈련 을 10주간 성실히 수행한 훈련자 19명의 간헐성 외사 시안(남 11, 여 8)을 대상으로 훈련 전, 종료 직후 및 종료 후 6, 12개월간의 타각 및 자각증상 그리고 고 안한 Maindot 검사를 실시하였다.

    2. Maindot 검사 측정 방법

    본 연구에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기능을 검사할 수 있도록 고안된 Maindot 검사 장비는 관절위치감 각검사의 원리를 응용하여 개발하였다. Fig. 1과 같 이 양안단일시를 형성을 위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JPS의 관절 움직임 ‘목표각 (aim angle)’ 대신 환자 개개인의 양안단일시를 형성 하기 위한 외안근의 ‘폭주각’을 목표각으로 설정한 후, 양안단일시를 차단하는 Dark red filter lens (DRFL)를 단안에 장입하여 피검자가 스스로 양안단 일시를 위한 폭주각을 재현하도록 하여 폭주각에 대 한 반응상태를 측정하였다. 폭주각에 대한 반응원리 는 DRFL을 통해 주시하는 단안은 주시시표가 적색으 로 보이게 하여 양안단일시에 대한 분리자극을 받아 피검자 개개인의 편위에 따른 양안동시시 상태를 형 성시킨다. 즉 Fig. 1에서와 같이, 간헐성 외사시안에 게 DRFL을 장입하기 전에 양안단일시 상태는 JPS검 사에서 검사자가 피검자에게 설정한 각에 해당하며, DRFL을 장입 후에 양안동시시 상태(편위상태)는 JPS검사에서 검사자가 설정한 각에 대한 피검자의 고유수용감각으로 이루려는 목표각에 해당된다.

    이러한 분리자극에 의한 양안동시시 상태는 피검자 의 양안단일시를 위한 폭주각에 해당하며, 피검자의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에 따라 무의식 또는 의식적 양안단일시를 위한 융합반사(fusional reflex)가 이루 어진다. 이 때, 피검자의 편위량과 상관없이 무의식적 양안단일시를 이룬다면 양안단일시를 위한 양안시 고 유수용감각 능력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음 을 알 수 있고, 무의식적 양안단일시를 이루고 있지만 양안동시시 상태가 일시적으로 발생된 후 양안단일시 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매우 높은 수준보단 낮 지만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 다. 한편 의식적 양안단일시를 이룬다면 양안단일시 를 위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낮은 수준이며, 의식적으로도 양안단일시를 이루지 못한다면 고유수 용감각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하겠다.

    검사순서는 명소시의 검안실에서 우안에 DRFL을 아래 Fig. 2과 같이 편안(우안)에 장착한 후 원거리(3 m)의 Maindot 시표를 DRFL을 통해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DRFL이 장착된 우안에 차폐자를 일정시간(약 5초) 가린 후 가렸던 차폐자를 개방하여 피검자의 보 이는 상이 한 개의 점만 보이는 ‘양안단일시 상태’인 지 확인한다. 이 때 양안단일시 상태가 아닌 두 개의 점이 보이는 ‘양안동시시 상태’라면 한 개의 점만 보 이는 양안단일시 재현을 위해 피검자에게 양안 단일 시를 위하여 운동을 자신의 뜻대로 통제할 수 있는 상태인 운동조절(Motor control)을 한 후 다시 우안 을 일정시간 차폐한 다음 차폐자를 개방시켜 양안시 상태가 형성되는지를 확인한다.

    본 연구의 Maindot 검사는 총 3회 반복 측정하였 으며, 그 중 정상 양안시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채 택하였으며, 눈 앞 40 cm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근 거리 Maindot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시에 우안에는 적색점이 지각될 것이고, 좌안 에는 흰점이 지각될 것이다. 검사에 대한 기록은 피 검자가 주시상태에서 적색점과 흰점이 분리되어 복시 로 보이면 ‘Maindot 검사 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 력 매우 낮음’으로 기록하고 1점을 부여하며, 적색점 과 흰점을 피검자의 의지로 단일점으로 만들 수 있고 또한 복시로 만들 수 있다면 ‘Maindot 검사 시 양안 시 고유수용감각 능력 낮음’으로 기록하고 2점을 부 여한다. 한편, 적색점과 흰점이 복시로 보인다고 하 나 순간적으로 수초 내로 의지를 발생시키지 않은 상 태에서도 단일점이 되면 ‘Maindot 검사 시 양안시 고 유수용감각 능력이 높음’으로 기록하고 3점을 부여하 고, 복시 없이 바로 적색점과 흰점이 단일점으로 보 인다면 ‘Maindot 검사 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 이 매우 높음’으로 기록하고 4점을 부여한다. 이 때,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3점과 4점이 부여된 피검자는 의식하는 대로 두 개의 점을 단일점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지 검사할 수 있는 ‘의식적 양안동시시 유발 검 사’에서도 한 점으로 보이는 양안단일시를 형성하여 야 하며, 만약 단일점이 아닌 2개의 점으로 만들 수 있다고 응답할 경우 의지적 양안동시시가 가능하므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낮은 2점을 부여하여야 한다.

    3. 시기능 훈련 방법

    억제가 없는 양안동시시 상태인 간헐성 외사시안 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억제제거훈련은 실시하지 않 았고 폭주융합훈련을 중점적으로 실시하였다. 폭주훈 련방법으로는 Brock string6) 및 Anaglyphs 훈련7)을 응용한 컴퓨터프로그램과 MYSTERY CIRCLE 프로 그램8)을 이용하여 증상을 호소하는 간헐성 외사시안 에게 실시하였다. 훈련방법선택은 피검자의 환경 및 훈련이해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였으며 훈련장 소는 10주간 집에서 훈련계획에 따라 훈련하였고, 10 주 중 1주일에 1회씩 센터에 방문하여 훈련자의 타각 및 자각증상과 고유수용감각 변화를 관찰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 타각증상 비교 검정

    Table 1과 같이 양안시 이상이 없고 편안한 시생활 을 영위하는 정위안(N=14)과 양안시이상에 의해 시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 성 외사시안(N=19)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전의 원 거리 및 근거리 편위량과 원거리 및 근거리 PRC의 복시점 그리고 NPC를 기준으로 원근 간의 증상 차이 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타각증상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감각기능 타각증상 비교 검정

    Table 2와 같이 정위(N=14)와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의 시기능 훈련 전의 Worth 4 dot 검사에 의한 감각이상검사에서 대해 Mann- Whitney test 검정분석 결과, 원거리의 경우 유의확률 이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근거리의 경 우 유의확률이 0.391로 0.05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P=0.391). 그러나 Maindot 검사값 에 의한 고유수용감각검사에서 대해 Mann-Whitney test 검정 분석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모두 유의 확률이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3.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자각증상(복 시) 비교 검정

    Table 3와 같이 정위(N=14)와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의 시기능 훈련 전의 복시 를 나타내는 자각증상 결과에 대해 Mann-Whitney test 검정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4.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 타각증상 비교 검정

    Table 4와 같이 양안시 이상이 없고 편안한 시생 활을 영위하는 정위안(N=14)과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후 원거리 및 근거리 편위량과 원거리 및 근거리 PRC의 복시점, NPC를 기준으로 두군 간의 증상 차 이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원거리 및 근 거리 편위 변화에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그러나 원거리 및 근거리 PRC의 복시점 검정에서는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05).

    5.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 자각증상 비교 검정

    Table 5와 같이 정위(N=14)와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의 시기능 훈련 후의 Worth 4 dot 검사값에 대해 Mann-Whitney test 검 정 분석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의 모두 유의확률이 1.00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 또 한, Maindot 검사값에 대해 Mann-Whitney test 검 정 분석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모두 두군 간의 유의확률이 각각 0.098, 0.930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자각증상(복시) 비교 검정

    Table 6과 같이 정위(N=14)와 훈련을 성실히 수행 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의 시기능 훈련 후 자각증 상(복시)결과에 대해 Mann-Whitney test 검정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461으로 두군 간의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p=0.461, p>0.05).

    7. Maindot 검사와 타각증상과의 상관관계

    Table 7와 같이 시기능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 성 외사시안(N=19)을 대상으로 원거리 Maindot 검사 값과 타각증상의 상관관계 검정에 있어 비모수적인 상 관계수인 kendall의 tau-b는 원거리 편위는 -0.590, 원거리 PRC의 복시점은 0.441, 원거리 Worth 4 dot 검사값은 0.485로 계산되었고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 을 보여주었다(p<0.001). 또한 Speaman의 상관계수 rho는 원거리 편위 -0.692, 원거리 PRC의 복시점 0.519, 원거리 Worth 4 dot 검사값은 0.516으로 Maindot 검사값이 높을수록 원거리 편위는 감소하고, 원거리 PRC와 Worth 4 dot 검사값은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p<0.001). 한편 Table 8과 같이 근거 리 Maindot 검사값과 타각증상의 상관관계 검증에 있 어 비모수적인 상관계수인 kendall의 tau-b는 근거 리 편위 -0.625, 근거리 PRC의 복시점 0.365으로 계 산되어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001). 그 러나 근거리 Worth 4 dot 검사값은 0.141로 계산되어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p>0.05). 또한 Speaman 의 상관계수 rho는 원거리 편위는 -0.423, 원거리 PRC의 복시점는 0.519, 원거리 Worth 4 dot 검사값 은 0.516으로 Maindot 검사값이 높을수록 원거리 편 위는 감소하고, 원거리 PRC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다(p<0.001). 하지만 근거리 Worth 4 dot 검사값 은 0.150으로 Maindot 검사값과 상관관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p>0.05).

    8. Worth 4 dot 및 Maindot 검사와 자각증 상과의 상관관계

    Worth 4 dot 검사결과 및 Maindot 검사결과와의 자각증상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기능 훈련을 성 실히 수행한 간헐성 외사시안(N=19)를 대상으로 훈련 전과 훈련 종료직후 그리고 훈련 후 6, 12개월 후 모든 Worth 4 dot 검사결과 및 Maindot 검사결과, 자각증 상결과를 비모수적인 상관분석인 kendall의 tau-b와 Spearman의 순위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Table 9와 같이 원거리 Worth 4 dot 검사값과 자각증상(복시)와 의 상관관계 검정에 있어 비모수적인 상관계수인 kendall의 tau-b는 -0.650으로 계산되었고 통계적 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001). 또한 Speaman의 상관계수 rho는 -0.685로 Worth 4 dot 검사값이 높 을수록 복시의 자각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다(p<0.001). 하지만 근거리 Worth 4 dot 검사값과 복시와의 상관관계 검정에 있어 비모수적인 상관계수 인 kendall의 tau-b는 -0.151으로 계산되었고 통계 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p>0.05). Speaman 의 상관계수 rho 또한 -1.59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 여주지 못하였다(p>0.05). 한편, Table 10과 같이 원 거리 Maindot 검사값와 자각증상(복시)와의 상관관계 검정에 있어 비모수적인 상관계수인 kendall의 taub는 -0.737으로 계산되었고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 주었다(p<0.001). 또한 Speaman의 상관계수 rho는 -0.817로 Maindot 검사값이 높을수록 복시의 자각증 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01). 그리고 근거리 Maindot 검사값과 자각증상(복시)와의 상관관 계 검증에 있어서도 비모수적인 상관계수인 kendall 의 tau-b는 -0.757로 계산되었고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001). 그리고 Speaman의 상관계수 rho 또한 -0.835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p<0.001).

    9. Maindot 고유수용감각능력 변화

    Table 11과 같이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성 외 사시안(N=19)의 원, 근거리 시기능 훈련 전과 10주간 의 시기능 훈련 후(Pre-Post ability of proprioception) Maindot 검사값의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 력 변화에 대해 비모수적 방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검정한 결과 근거리 및 원거리 고유수용 감각 능력평가에서 각각 유의확률이 0.00으로 시기 능 훈련 전과 후의 고유수용감각능력이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p<0.001).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첫 번째 적합성 평가방법은 시기능 훈 련을 수행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을 대상으로 시기 능 훈련 전과 시기능 훈련 후 6개월, 12개월에 따른 양안시 운동기능 및 양안시 감각기능 그리고 양안시 고유수용감각을 평가하여, 오 외 5명1)이 발표한 기존 의 고유수용감각검사 방법과 비교하였다. Fig.4와 같 이 성공적 시기능 훈련을 수행한 간헐외사시안(N= 19)에 대해 시기능훈련 전과 종료 직후, 그리고 종료 후 6개월 및 12개월 간의 Maindot 검사 결과 시기능 훈련 전과 훈련 후의 양안시 고유수용감각능력이 향 상되었으며, Table 9, 10과 같이 Maindot 검사에서 시기능 훈련 종료 후에도 형성된 양안시 고유수용감 각능력이 유지되어 Fig. 3 우측그림과 같이 JPS 검사 와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평가방법은 Maindot 검사 결과가 고유수 용감각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지를 평가하였다. 고유 수용감각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반복된 자극에 대 한 신경의 반응이 향상되어야 하며, 근력이 증가하여 야 한다.1) 이러한 신경반응과 근력의 증가는 운동학 습을 위한 중요한 요소며, 고유수용감각 향상의 특징 이다. 따라서 고유수용감각과 운동기능 그리고 만족 도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1) 양안시 고유수용 감각 또한 자극증상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점을 주시할 때, 양안단일시가 어렵거나 부 담이 큰 간헐성 외사시안은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 력수준이 매우 낮을 것이며, 그 결과 타각 및 자각검 사에서 나쁜 결과를 보일 것이고, Maindot 검사 결과 값도 낮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간헐성 외 사시안에게 폭주융합훈련 통해 반복된 자극과 반응을 발생시켜 감각피드백을 제공시켜 준다면 편위량, 융 합능력 등 같은 양안시 운동기능과 양안시 감각기능 이 향상되고, 또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도 향상되어 Maindot 검사 결과값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Maindot 검사값이 이러한 고유수용감각의 변화의 특 징에 잘 반영하는 지 알아보기 위해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성 외사시안(N=19)의 시기능 훈련 전과 정위안(N=14)의 타각 및 자각증상을 관찰하였고, 시 기능 훈련 후와 정위의 타각 및 자각증상을 관찰하였 다. 그리고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성 외사시안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전과 후의 Maindot 검사값과 타각 및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 다. 그 결과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시기능 훈련 전의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헐성 외사시안과 편안한 시 생활을 영위하는 정위안의 양안시 운동기능 및 감각 기능 및 자각증상 비교 검정에 있어 근거리 Worth 4 dot 검사를 제외한 모든 결과값에 대해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01). 이 때, 근거리 Worth 4 dot 검 사에서 간헐성 외사시안과 정위안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원인은 간헐성 외사시안의 대부분은 개산과다유 형으로 원거리 주시 보다 근거리 주시에서 비교적 높 은 융합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위와 같은 양안 단일시 유지가 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p>0.05). 이 를 뒷받침할 수 있는 보고서 중 Wick 등16)은 최근의 연구에서 간헐성 외사시안의 24%가 개산과다 유형이 었다고 보고하였으며, 개산과다 유형의 특징적 소견 은 근거리에서 양안단일시가 가능하여 입체시가 정상 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리고 시기능 훈련 후의 훈련을 성실히 수행한 간 헐성 외사시안과 정위안의 타각 및 자각증상 비교 검 정에서는 PRC의 복시점 평가를 제외한 모든 결과값 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 때, PRC 의 복시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table 4 와 같이 시기능 훈련으로 인해 오히려 PRC의 복시점 가 정위안보다 높게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본 실험의 검정결과는 간헐성 외사시안이 시기능 훈련으로 인해 양안시기능의 타각 및 자각증상과 고유수용 감각능력 이 정위안과 유사하게 형성 및 향상 된다는 것을 나 타내는 것이다. 또한 table 7-8과 같이 Maindot 결 과값과 양안시 타각검사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양안 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향상될수록 편위량은 줄고, PRC의 복시점은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관계 가 있음을 검정하였다(p<0.001).

    세 번째 평가방법은 Maindot 검사가 양안시 고유 수용감각능력 향상에 따른 자각증상 변화를 잘 반영 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양안시 감각검사인 Worth 4 dot 검사값과 Maindot 검사값의 자각증상 상관관 계를 검정하였다. 이유는 양안시 고유수용감각의 특 징은 고유수용감각의 향상은 감각피드백에 의한 양안 시 기능개선과 더불어 환자의 시생활에 편안함 즉 자 각증상 개선을 제공해줄 것이기 때문이다.17) 그 결과, Table 10과 같이 Maindot 검사와 자각증상의 상관관 계 분석에 있어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높을수 록 자각증상(복시)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01). 한편, Table 9와 같이 양안시 감각검사인 Worth 4 dot 검사와 자각증상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근거리의 상관계수가 -1.59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 여주지 못하였다(P>0.05). 즉, Worth 4 dot 검사는 단순한 양안단일시 유무 확인을 위한 검사일 뿐, 양 안시 고유수용감각은 반영하는 검사로는 적합하지 않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Maindot 검사가 기존의 감각이상검사방법에 비해 양안시 고유수용감 각검사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검정한 결과이다. 이는 ‘운동학습에 의한 운동능력과 함께 고유수용감각능력 도 향상된다’는 고유수용감각의 특징과 부합되는 결 과이며,17,18) 이는 곧 시기능 훈련의 운동감각피드백 으로 인한 고유수용감각 능력에 따라 양안시 생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간헐성 외사시안의 시기능 훈련의 궁극적 목표는 ‘양안시 운동 및 감각기능 개선을 통해 정위와 같은 양안시 생활에 평안함을 제공하는 것’에 있으므로, 운 동 및 자각증상과 상관성을 가지는 양안시 고유수용 감각능력검사인 Maindot 검사는 시기능 훈련의 성공 유무 판단 및 예후 그리고 자각증상 예측에 있어 검 사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igure

    JMBI-17-3-321_F1.gif

    Views of patients who have intermittent exotropia before and after they wear a dark red filter lens.

    JMBI-17-3-321_F2.gif

    a : A normal red filter lens, b : A dark red filter lens(DRFL), An image wearing DRFL on a right for Maindot test.

    JMBI-17-3-321_F3.gif

    Comparison of resulting values from JPS test to measure the changes in proprioceptive sense of patients having reconstruction with those from Maindot test to measure the changes in binocular proprioceptive sense of participants having vision training for intermittent exotropia. (JPS: Joint position sense Test, Maindot(D): Maindot test at distance, Maindot(N): Maindot test at near, Pre-oper : Preoperation, mo: months)

    Table

    A comparison of the quantity of deviation, PRC(break) and NPC on intermittent exotropia before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A comparison of the worth 4 dot test and maindot test on intermittent exotropia before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A comparison of subjective symptom(diplopia) on intermittent exotropia before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A comparison of the quantity of deviation, PRC(break) and NRC on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A comparison of the worth 4 dot test and maindot test on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A comparison of subjective symptom(diplopia) on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the vision training and orthophoric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ymptom and objective symptom at distanc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ymptom and objective symptom at near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ymptom(diplopia) and the worth 4 dot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symptom(diplopia) and the Main dot test

    The results of Maindot test by the pre - post vision training

    Reference

    1. Oh SJ, Choi JY, Kim JG et al. : The Effectiveness of Joint Position Sense Test in Evaluating the Proprioceptive Func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Korean J Sports Medicine 29(2), 83-88, 2011.
    2. Von Noorden GK :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5th ed., St. Louis, Mosby, pp. 32-33, 1996.
    3. Donaldson IM : The function of the proprioceptors of the eye muscles.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1685-1754, 2000.
    4. Hulliger M : The Mammalian muscle spindle and its central control.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110, 1984.
    5. Prochazka A : Comprehensive Physiology: Propriocetive feedback and movement regulation, 1st ed., New Jersey, Am Physiol Soc., pp. 89-127, 1996.
    6. Weissberg EM : Essentials of clinical binocular vision, 1st ed., Oxford, Butterworth- Heinemann, pp. 201-213, 2004.
    7. Scheiman M, Wick B :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147-163, 2002.
    8. Lee CS, Son JS, Kim IS et al. : The Study on the Effect of Vision Training System. J Korean Oph Opt Soc. 14(1), 81-86, 2009.
    9. Reider B, Arcand MA, Diehl LH et al : Proprioception of the knee before and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19(1), 2-12, 2003.
    10. Miura K, Ishibashi Y, Tsuda E et al. : The effect of local and general fatigue on knee proprioception. Arthroscopy 20(4), 414-418, 2004.
    11. Carter ND, Jenkinson TR, Wilson D et al. : Joint position sense and rehabilitation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t knee. Br J Sports Med. 31(3), 209-212, 1997.
    12. Zazulak BT, Hewett TE, Reeves NP et al. : The Effects of Core Proprioception on Knee Injury : A Prospective Binomechanical–Epidemiological Study. Am J Sports Med. 35(3), 368–373, 2007.
    13. Roberts D, Andersson G, Fridén T :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ACL-Deficient Knees is Related to Cartilage Injury, Laxity and Age: A Retrospective Study of 54 Patients. Acta Orthop Scand. 75(1), 78-83, 2004.
    14. Fridèn T, Roberts D, Zätterström R et al. : Proprioceptive defects after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the relation to associated anatomical lesions and subjective knee function.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7(4), 226-231, 1999.
    15. Corrigan JP, Cashman WF, Brady MP : Proprioception in the cruciate deficient knee. J Bone Joint Surg Br. 74(2), 247-250, 1992.
    16. Wick B : The efficacy of optometric vision therapy, the 1986/1987 AOA Future of Visual Development/Performance Task Force. J Am Optom Assoc. 59(2), 95-105 1988.
    17. von Holst E, Mittelstaedt H : Das reafferen zprinzip. naturwissen schaften. 37(20), 464-476 1950.
    18. Riemann BL, Lephart SM : The Sensorimotor System, Part II: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Joint Stability. J Athl Train. 37(1), 80-84,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