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3 pp.333-34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333

The effect of cycloplegic Cyclogyl and Atropine on cytotoxicity in the conjunctiva cell

Young-Hwan Lee1), Eun-Sun Seo2)
1)Dept. of Optometry, Chunnam Techno University, Gokseong
2)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Eun-Sun Seo 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061-330-3555, Fax: 061-330-3550, E-mail: eunsun111@hanmail.net
July 12, 2015 August 22, 2015 September 18, 2015

Abstract

Purpose:

Cyclogyl and Atropine are in use as cycloplegic ag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ycloplegic agents on the conjunctival cell.


Methods:

A conjunctival cell line was treated for 15 minutes with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nd atropine sulfate at their concentrations of 1%, 0.75%, 0.50%, and 0.25%, respectively, and the preservative of benzalkonium chloride at the concentrations of 0.01%, 0.0075%, 0.005%, and 0.0025%; and then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MTT assay.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investigat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fter hematoxylin-eosin staining, and apoptosis was measured, using flow cytometry.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ell viability exceeded 70% only in 0.25% cyclopentolate HCl and 0.25% atropine sulfate. And as a result of the H-E staining, the cell count decreased and fragmentation of neuclei was observed in 1% Cyclogyl and 1% Atropine. In 1% Cyclogyl 1% and 1% Atropine, the A0 level was found to be 52.92% and 31.36%, compared with the contrast group, and apoptosis occurred.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 the cycloplegic agents of 1% Cyclogyl and 1% Atropine, the cell viability does not exceed 30% and apoptosis occurs.



조절마비제인 Cyclogyl 과 Atropine 이 배양 결막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 영환1), 서 은선2)
1)전남과학대학교 안경광학과, 곡성
2)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Ⅰ. 서 론

    조절마비제란 부교감신경 차단제로 섬모체근을 마비 시켜 조절이 일어나지 않는 확대 된 상태에서 안저 검사 및 굴절검사에 사용되어지는 약물로, 소아 환자와 원시 나 사시가 있는 환자에서 정확한 굴절검사를 위해 조절 마비가 필요하다.1) 조절마비제로 Cyclogyl 과 Atropine 이 사용되고 있으며, Cyclogyl 은 조절마 비 작용을 하는 Cyclopentolate HCl 1% 와 보존제로 BAC 0.01% 을 함유하고 있으며, Atropine 은 Atropine Sulfate 1% 와 BAC 0.01% 을 포함하고 있다.

    조절마비제 영향이 나이, 조절기능, 홍채의 색소 침 착 정도 등의 영향을 받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조절기 능이 클수록, 홍채의 색소 침착이 심할수록 더 강한 농 도와 빈번한 점안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2) 성인 의 조절마비하 굴절검사는 작용시간이 반나절에서 하 루 정도 지속되는 조절마비제들이 사용되고 있다.3) Cyclogyl 의 농도 및 점안 횟수에는 여러 의견이 있으 나 Duane4)은 6세 이하의 어린이에서는 2% 의 Cyclogyl 을 5분 간격으로 3회 점안하는 방법이 필요 하며, 청소년층은 0.5% 또는 1% Cyclogyl 2회 점안 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이처럼 Cyclogyl 은 굴절검사 하기에 편리한 약제이고 그 신속성 때문에 주목을 끄는 약제인 것이다. 조절마비제를 사용할 시에 알레르기성 결막염, 눈꺼풀 결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안압 증가, 결막과 각막의 색소 침착, 황반부종, 각막 내피세포 손 상, 점적 직후의 작열감과 일시적인 결막 충혈, 눈부 심,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6) 이로 인한 결막세포의 손상을 알아보기 위해 결막세포주를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 생존율과 형태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 고, 세포자연사를 관찰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기를 이 용하여 세포 주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실험 재료

    본 연구에 사용된 세포는 사람의 결막세포인 clone 1-5c-4 세포를 사용하였다. clone 1-5c-4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10% 의 fetal bovine serum (FBS; Cambrex, USA)와 fungizone 및 antibiotics를 함유한 RPMI1640 (Gibco, USA)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조절마비제는 cyclopentolate HCl(10 mg/mℓ)와 BAC(0.1 mg/mℓ)로 조제된 Cyclogyl (Alcon, USA) 1% 와 Atropine sulfate(10 mg/mℓ)와 BAC(0.1 mg/mℓ)로 조제된 Atropine (Alcon, USA) 1% 을 사용하였 다. Cyclopentolate HCl과 atropine sulfate, BAC는 Sigma-Aldrich(USA)에서 구입하였다.

    2. 세포배양 및 처리

    세포 배양은 75 cm2의 배양용 플라스크(NUNC, USA) 에 일정량의 배양액을 넣어 37℃, 5% CO2로 조정된 CO2 항온기(Forma Scientific, USA)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된 세포는 0.25% trypsin–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로 부유시킨 후 0.4% trypan-blue로 염색하여 혈구계산기로 세포 수를 산정하였다. 세포 생 존율 실험은 배양된 세포를 96 well plate (Nunc, USA) 에 1×106 cells/well의 세포 부유액을 200 μl씩 분주하 여 24시간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배양된 결막세포주를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 은 1.0%, 0.75%, 0.50%, 0.25% 농도로, BAC는 0.01%, 0.0075%, 0.005%, 0.0025% 농도로 배양액 에 녹인 후 15분 처리 후 phophate buffered saline (1×, pH 7.2)로 헹군 후 새로운 배양액을 넣고 24시 간 추가 배양한 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은 세포배 양 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3. 세포 생존율 측정(MTT assay)

    MTT assay는 Mosmann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7) MTT( 3-[ 4, 5-dime thyl thi azol -2-yl ] -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assay는 세포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활성도 를 측정하여 세포사 진행과정의 초기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세포 배양액을 MTT 200 μg/㎖가 포함된 배양액으로 교환하고 3시간 반응시킨 후 배양 액을 DMSO 200 μl/well로 교체하여 5분간 실온 방치 시켰다. 그런 다음 formazan을 용해시켜 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Tech, U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4. Hematoxylin-Eosin(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에 의한 세포 형태 조사

    H-E 염색을 위해 세포는 6 well plate에 멸균된 plastic Thermanox coverslips (NUNC, USA)를 넣 은 후 그 위에 세포를 배양하였다.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 BAC를 15분 처리한 후, 처리용액을 제거한 뒤 coverslips만 떼어내었다. 형태학적 관찰을 위해 70% 에탄올에서 10 분 동안 고정한 후 핵과 세포질을 H-E으로 대조 염색하 였다. 염색 후 알코올 과정을 거쳐 탈수시켰으며, 투명 화 과정을 거친 후 canadian balsam (Wako Pure Chemical, Japan)으로 봉입하여 영구표본을 제작하였 다. H-E로 염색된 세포는 광학현미경(×100)하에서 관 찰하여 핵 응축(pyknotic nuclei) 또는 세포예정사 소 체(apoptotic body)로 보이는 세포들을 촬영하였다.

    5. 세포주기 분석에 의한 세포자연사 관찰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 BAC를 15분 처리한 후 clone 1-5c-4 세포의 세포주기 분석을 위해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의 핵 내 DNA양을 측정하는 Seifer8) 등 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Culture dish로부터 수확한 세 포에 hypotonic fluorochrome solution을 첨가하여 4℃에서 6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유세포 분석에 방해 가 되는 세포덩어리를 35 μm nylon mesh로 여과한 후, 아르곤 레이저의 488 nm 파장에서 발기하여 610 nm의 파장으로 여기되는 propidium iodide의 형광성 에 따라 DNA양을 측정하였다.

    유세포분석기의 histogram에서 Ao (Go/G1보다 DNA 형광성이 낮은 구역의 세포 군집), Go/G1 (DNA 합성전기), S (DNA 합성기), G2/M (DNA 합성 후 유사 분열기)의 각각의 구역을 얻은 후, 세포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NA 검사에 요구되는 정확한 alignment를 위해 calibrated fluorescent bead standard (DNA-CHECK Coulter cytometry, Hialeah, FL)를 이용하여 50% peak height에서 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을 1.9% 이하로 유지하였다.

    6. 세포 독성 평가

    세포 독성의 평가 기준은 호주의 뉴 사우스 웨일즈 (New South Wales) 대학의 부설 Cooperative Research Center for Eye Research and Technology (CRCERT)에서 시행한 세포 독성 염색법을 사용한 잠재 독성 평가 보고서를 기준으로 하여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 BAC는 배양액을 버린 후 배양액과 동일한 양을 15분간 처리하 여 MTT 비색검정으로 대조군에 비해 세포 증식 저해율 이 30% 이상이면 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7.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Origin 6.0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방법을 사용했으며, 유의수준 p< 0.05의 범위 내에서 그 결과들은 평균에 대한 표준 편 차로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MTT assay)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를 농도별(1.0%, 0.75%, 0.50%, 0.25%), BAC를 농도별(0.01%, 0.0075%, 0.005%, 0.0025%), 15분 처리한 후 96 well에 배양한 clone 1-5c-4 cells에 처리하여 대조군과 처리군을 비교한 결과 Cyclogyl 1% 에서는 대조군 대비 21.3%, 0.75% 에서는 21.7%, 0.50% 에서는 24.6% 로 세포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0.25% 에서는 36.3% 의 세 포 생존율을 보였다(Fig. 1). Cyclopentolate HCl 1% 에서는 대조군 대비 20.1%, 0.75% 에서는 23.8%, 0.50% 에서는 59.7%, 0.25% 에서는 85.5% 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Fig. 1). BAC 0.01% 에서는 대조군 대비 31.2%, 0.0075% 에서는 33.6%, 0.005% 에서는 37.2%, 0.0025% 에서는 58.8% 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 다(Fig. 1).

    Atropine 1% 에서는 대조군 대비 24.8% 로 세포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판명되었고, 0.75% 에서는 31.7%, 0.50% 에서는 40.9%, 0.25% 에서는 60.3%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Fig. 2). Atropine Sulfate 1% 에서는 대조군 대비 29.3%, 0.75% 에서는 37.9%, 0.50% 에서는 55.8%, 0.25% 에서는 74.1% 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Fig. 2).

    2. H-E 염색 후 광학현미경에 의한 세포 형태 조사

    핵과 세포질을 H-E으로 대조 염색해서 형태를 광 학현미경(×100)으로 관찰한 결과, Cyclogyl 0.25% 와 cyclopentolate HCl 0.25% 처리군에서는 대조군 과 비교해서 세포수가 감소하고 핵의 응축을 관찰할 수 있었고, Cyclogyl 1% 와 cyclopentolate HCl 1% 처리군에서는 핵의 응축과 핵의 분절이 관찰되었으 며, BAC 0.0025%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세포수의 감소와 핵의 응축이 관찰되었고 BAC 0.01% 처리군에서는 세포의 형태가 위축되었고 핵의 분절이 관찰되었다(Fig. 3).

    Atropine 0.25% 와 atropine sulfate 0.25% 처리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세포수가 감소하고 핵의 응축을 관찰할 수 있었고, Atropine 1% 와 atropine sulfate 1% 처리군에서는 핵의 응축과 핵의 분절이 관 찰되었다(Fig. 4).

    3. 세포주기 분석에 의한 세포자연사 관찰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를 농도별(1.0%, 0.75%, 0.50%, 0.25%), BAC를 농도별(0.01%, 0.0075%, 0.005%, 0.0025%)로 배양된 clone 1-5c-4 cells에 15분 처리 한 후에 수확한 세포들의 주기를 분석한 결과, 세포핵 이 propidium iodide에 약하게 염색되어 세포자연사 를 보이는 Ao기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7.31% 로 세포 자연사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Cyclogyl 를 0.25% 처리 시 Ao기의 세포가 10.84%, 0.5% 에서는 23.68%, 0.75% 에서는 34.44%, 1% 에 서는 52.92% 로 증가하였고, cycolpentolate HCl를 0.25% 처리 시 Ao기의 세포가 4.44%, 0.5%, 0.75%, 1% 에서는 Ao기의 세포가 9.32%, 12.34%, 15.61% 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BAC를 0.0025% 처리 시 Ao기의 세포가 11.12%, 0.005% 와 0.0075% 에서는 각각 13.15% 와 18.03% 로 증가했으며, 0.01% 에서는 19.33% 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5).

    Atropine 를 0.25% 처리 시 Ao기의 세포가 9.21%, 0.5% 에서는 15.36%, 0.75% 에서는 25.65%, 1% 에서는 31.36% 로 증가하였고, atropine sulfate 를 0.25% 처리 시 Ao기의 세포가 9.77%, 0.5%, 0.75%, 1% 에서는 Ao기의 세포가 10.51%, 13.73%, 14.07% 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6).

    Ⅳ. 고 찰

    조절력을 차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 절마비제는 첫째, 검안경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동공을 확대 시키고 둘째, 특히 어린이들의 섬모체근 을 마비시켜 굴절검사를 돕고, 셋째, 포도막염에서 유착을 방지하고 동통과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공을 확대시키고 섬모체근을 마비시키기 위한 것이 다.9)

    조절마비제 종류에는 작용시간이 긴 atropine sulfate와 작용시간이 짧은 cyclopentolate HCl, tropicamide 등이 있다. Atrpine sulfate는 점안 후 30~40분 사이에 섬모체근 마비를 일으키기 시작하 여 2시간 내에 최대효과를 보이며, 정상안에서 6일에 서 14일 동안 지속되는 조절마비제로 소아에서 조절 마비제로 쓰이는 것 이외에도 홍채염의 치료시 하루 2~3회 국소 점안한다.9) Cyclopentolate HCl는 조절 마비가 점안 후 30~60분 이내에 발생하며, 지속시간 은 24시간 미만이며, tropicamide는 최대 조절마비 효과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0~25분이며, 효 과 작용시간은 15~20분에 불과하므로 검사를 하는 시점이 매우 중요하며 완전히 원상태로 회복되기까지 는 5~6시간이 걸린다.9-13)

    본 연구에서는 Cyclogyl, cyclopentolate HCl, Atropine, atropine Sulfate를 농도별(1.0%, 0.75%, 0.50%, 0.25%)와 BAC를 농도별(0.01%, 0.0075%, 0.005%, 0.0025%) 독성을 세포수준에서 MTT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알아보 고자 시행하였다.

    Cyclopentolate HCl 0.25% 와 atropine sulfate 0.25% 에서만 세포 생존율이 70% 를 넘는 것으로 세 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yclogyl 1% 에 서는 세포 생존율이 21.3%, 0.75% 에서는 21.7%, 0.5% 에서는 24.6%, 0.25% 에서는 대조군 대비 36.3% 로 모든 농도에서 독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 었다. Atropine 1% 에서는 대조군 대비 24.8% 로 세포 생존율이 30% 미만으로 판명되었고, 0.75% 에 서는 31.7%, 0.50% 에서는 40.9%, 0.25% 에서는 60.3% 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조절마비제는 보존제로 BAC를 사용하는 데 보존제인 BAC를 첨가하지 않고 성분인 cyclopentolate HCl과 atropine sulfate를 단독으로 처리 했을 경우에 독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BAC에 의 한 독성이 많이 관여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는 4급 암모늄염으로 보존제, 항균제, 용해보조제, 습윤제로 사용되며 cetrimide와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처 럼 사용된다. 안과적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BAC 농도가 0.01~0.02% 정도이며, 안정 성이 좋고 반감기가 길며 Pseudomonas 속의 세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나, 외상 후 각막 상피의 재생을 지연시키며, 세포막에 작용하여 이온이나 물질의 투 과성을 변화시키고, 결막이나 세포조직에 작용하여 독성을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4-16) BAC는 Debbasch 등17)과 Seo18)의 결막세포를 이용한 실험에 서 MTT assay를 이용하여 0.01% 로 15분 후 평가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31.5% 로 조사되었는데 본 연구 에서도 31.2% 의 세포 생존율 보여 유의한 결과를 보 였다. BAC가 함유된 점안제를 사용한 경우 자극감을 호소했고, 눈알의 표면 질환이 있는 환자가 BAC가 포함된 점안제를 장기간 사용해서 각막 내피의 손상 으로 인해 각막이식을 하게 된 사례를 보고한 바도 있다. H-E 염색법으로 세포들을 관찰한 결과 실험한 약물들의 0.25% 농도에서부터 세포수가 감소하기 시 작했고 1% 의 농도에서는 핵의 분절을 관찰할 수 있 었다. 보존제인 BAC에서는 0.0025% 에서 세포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농도인 0.01% 에서는 세포수가 감소하고 세포핵의 분절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램된 세포사멸의 과정으로 정상세포의 생리학적, 발생학적, 면역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막에서도 세포자연사 가 각막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으로 알려지고 있다. 탈락과 재생을 반복하는 상피 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세포사멸이 일어나면 실질에 영 향을 미치게 되어 각막의 구조에 변화가 올 수 있다. 유세포분석기에 의해 세포 주기의 분석 결과 A0기는 세포자연사에 의해 propidium iodide에 대한 세포 핵의 약한 염색성을 보이는 시기인데 높을수록 세포 자연사가 많음을 나타낸다. 대조군에서는 A0기 수치 가 7.31% 를 나타냈는데 Cyclogyl 1% 에서는 A0기 수치가 52.92% 를 나타냈고 Atropine 1% 에서는 A0기 수치가 31.36% 로 이 수치는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세포자연사가 관찰되었다.

    점안마취제인 Alcaine 는 마취제 성분인 proparacaine hydrochloride (PPC)와 0.01% BAC를 함 유하고 있고 세포독성에 대한 epigallocatechingallate (EGCG)의 보호효과를 알아본 결과 점안마취 제인 PPC에 EGCG를 전 처리함으로 세포생존율이 증 가시키고, 유도된 세포자연사를 억제시켜 EGCG는 세 포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8) Park 등19)의 연구에서는 EGCG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EGCG 를 농도별로 전 처리한 결과 EGCG의 처리 농도가 높을 수록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H2O2의 단독 처리군 인 58% 의 생존율을 비교했을 때, H2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하여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조절마비제의 세 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천연보존제로서의 EGCG 활용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Cyclogyl 과 Atropine 의 조절마비제로 주로 사 용되는 1% 농도 경우에는 세포 생존율이 30%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간의 사용은 각막과 결막세 포에 손상을 줄 것으로 검사시 투여할 때는 올바른 점안방법과 부작용을 충분히 숙지시킨 후 점안하여 검사하고, 추후 세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천연 보존제 활용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ure

    JMBI-17-3-333_F1.gif

    Cytotoxicity of Cyclogyl, Cycolpentolate HCl, BAC on clone 1-5c-4 cells assessed with the MTT assay.

    JMBI-17-3-333_F2.gif

    Cytotoxicity of Atropine, Atropine Sulfate, BAC on clone 1-5c-4 cells assessed with the MTT assay.

    JMBI-17-3-333_F3.gif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cultured clone cells treated with various of concentrations.

    A: controlB: CyclogylⓇ 0.25%C: Cyclopentolate HCl 0.25%D: BAC 0.0025%E: CyclogylⓇ 1%F: Cyclopentolate HCl 1%G: BAC 0.01%

    JMBI-17-3-333_F4.gif

    Hematoxylin-Eosin staining of cultured clone cells treated with various of concentrations.A: controlB: AtropineⓇ 0.25%C: Atorpine Sulfate 0.25%D: BAC 0.0025%E: AtropineⓇ 1%F: Atorpine Sulfate 1%G: BAC 0.01%

    JMBI-17-3-333_F5.gif

    DNA histogram from cultured clone 1-5c-4 cell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Cyclogyl, Cycolpentolate HCl, BAC.

    A: controlB: CyclogylⓇ 0.25%C: Cycolpentolate HCl 0.25%D: BAC 0.0025%E: CyclogylⓇ 0.50%F: Cycolpentolate HCl 0.50%G: BAC 0.005%H: CyclogylⓇ 0.75%I: Cycolpentolate HCl 0.75%J: BAC 0.0075%K: CyclogylⓇ 1.0%L: Cycolpentolate HCl 1.0%M: BAC 0.01%

    JMBI-17-3-333_F6.gif

    DNA histogram from cultured clone 1-5c-4 cell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Atropine, Atropine Sulfate, BAC.

    A: controlB: AtropineⓇ 0.25%C: Atropine Sulfate 0.25%D: BAC 0.0025%E: AtropineⓇ 0.50%F: Atropine Sulfate 0.50%G: BAC 0.005%H: AtropineⓇ 0.75%I: Atropine Sulfate 0.75%J: BAC 0.0075%K: AtropineⓇ 1.0%L: Atropine Sulfate 1.0%M: BAC 0.01%

    Table

    Reference

    1. Moon NJ, Kim JC, Koo BS: The study on the necessity of cycloplegic refraction in school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29(3), 377-385, 1988.
    2. Choi O, Choo CH, Cho SC: The studies on the residual accommodation of Koreans. II. The residual accommodation under 0.5 percent scopolamine and 1 percent cyclogyl cycloplegia. Yonsei Med J. 5, 62-64, 1964.
    3. Hofmeister EM, Kaupp SE, Schallhorn SC: Comparison of tropicamide and cyclopentolate for cycloplegic efractions in myopic adult refractive surgery patients. J Cataract Refract Surg. 31(4), 694-700, 2005.
    4. Duane TD: Clinical ophthalmology, Opthalmic optics and refraction, Vol 5., The C.V. Mosby Co, St. Louis, pp. 383-444, 1976.
    5. Rengstorff RH, Doughty CB: Mydriatic and cycloplegic drugs: a review of ocular and systemic complications. Am J Optom Physiol Opt. 59(2), 162-177, 1982.
    6. Choi MJ, Baek SH, Gong SM: Comparison of Autorefraction and Clinical Refraction with or without in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46(5), 837-846, 2005.
    7.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1-2), 55-63, 1983.
    8. Seifer DB, Honig J, Penzias As et al.: Flow cytometric analysis of deoxynibonucleic acid in hyman granulose cells as a function of chronological age and ovulation induction regemen. J Clin Endocrinol Metab. 75(2), 636-640, 1992.
    9. Daniel Vaughan, Taylor Asbury, Paul Riordan-Eva: General ophthalmology, 1th ed., Hanwoori, pp. 64-66, 1999.
    10. Miranda MN: Residual accomodation. A comparison between cyclopentolate 1% and a combination of cyclopentolate 1% and tropicamide 1%. Arch ophthalmol. 87(5), 515-517, 1972.
    11. Zetterström C: A cross-over study of cycloplegic effects of a single topical applocation of cyclopentolate-phenylephrine and routine atropinisation for 3.5 days. Acta Ophthalmol (Copenh). 63(5), 525-529, 1985.
    12. Mider B, Rittenburgh RS: An evaluation of cyclogy (compound 75 GT). Am J ophthalmol. 36(12), 1724-1726, 1953.
    13. Priestley BS, Medine MM: A new mydriatic and cycloplegic drug. Compound 75 G.T. Am J ophthalmol. 34(4), 572-575, 1951.
    14. Silvany RE, Dougherty JM, McCulley JP: Effect of contact lens preservatives on Acanthamoeba. Ophthalmology. 98(6), 854-857, 1991.
    15. Koh EK, Kim JM, Yoon Y et al.: The Investigation of the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Artificial Tear and Saline Solution. Korean J Vis Sci. 2(1), 41-51, 2000.
    16. Lee JS, Jung DY, Oum BS et al.: Cytotoxicity of Benzalkonium Chloride on the Corneal Epithelial Cell of Rabbit. J Korean Ophthalmol Soc. 39(7), 1326-1333, 1998.
    17. Debbasch C, Brignole F, Pisella PJ et al.: Quaternary ammoniums and other preservatives' contribution in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on Chang conjunctival cells. Invest Ophthalmol Vis Sci. 42(3), 642-652, 2001.
    18. Seo ES: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EGCG Against the Cytotoxicity Induced by Topical Anesthetic Proparacaine Hydrochloride. J Korean Oph Opt Soc. 18(4), 525-531, 2013.
    19. Park SK, Chae SC, Kho EG et al.: The protective effects of EGCG extracted from green tea on apoptosis induced by H2O2 in conjunctival cell lines. J Korean Oph Opt Soc. 13(3), 95-10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