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4 pp.415-42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4.415

The Effects of Vision and Hearing Fun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i-Sun Kim1), Eun-Yeong Shin2), Seok-Hee Joo3)
1)Dept. of Technical Education, Sehan University, Yeongam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 Audiology, Sehan University, Yeongam
3)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Sehan University, Yeong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k-Hee Joo Departmen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Sehan University, Yeongam Tel: +82-10-8430-3020, E-mail: opticjoo@sehan.ac.kr
October 13, 2015 November 21, 2015 December 11, 201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ion and hearing loss and knowing whether the effect of those will be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As a result, it would like to provide a basis for eye health policy and vision & h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peopl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50 elderly people who are 65 years old and over(Male:19, Female:31). Vision and hearing function were measured by distance vision acuity, refraction error diopter, and pure tone audiometry.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SGDS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MMSE-K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distance vision was declining,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life had decreased significantly(p <.05). In mild hyperopia and myopia eyes compared to normal eyes, WHOQOL-BREF and SGDS showed negative resul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 .05). As hearing loss increases, WHOQOL-BREF, SGDS, and MMSE-K showed negative resul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 .05). Distance vision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coefficient .36(p < .05) and .38(p < .01) in physical health and overall quality of life. Hearing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coefficient -.30(p < .05) in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s:

Vision and hearing loss in the Elderly have negative effects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노인의 시각과 청각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 기선1), 신 은영2), 주 석희3)
1)세한대학교 기술교육과, 영암
2)세한대학교 언어치료청각학과, 영암
3)세한대학교 안경광학과, 영암

    Ⅰ. 서 론

    우리나라 총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 는 비율은 2014년 12.7%로 5가구 중 1가구(20%)가 고령가구 이며 매년 증가추세에 있어 12년 후인 2028 년에는 20% 넘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노인인구에서 만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백내장, 녹내장, 황반 변성과 같은 노인성안질환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 시력저하의 주요 원인일 수 있 는 백내장의 경우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받 는 수술이며, 60대의 경우는 71.5%, 70대 이상에서 는 91.4%가 백내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 의 시력저하가 보편적인 건강문제라고 할 수 있다.2)

    한국의 65세 노인 4,040명을 대상으로 한 김희정 등의 연구에 따르면 시력 및 청력의 장애를 가지고 있 는 사람이 각각 37.3%, 14.0%로 나타났으며3) 저소득 층 노인의 경우에는 76.6%가 시력의 저하를, 44.2% 가 청력의 저하를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이러한 65세 이상 노인의 시력장애와 청력장애는 노화로 인해 모든 감각적 수용 기능이 저하되므로 몸 전체 인지 기능의 감소를 유발하게 되어 삶의 질을 포함한 노인의 전반적인 사회활동 영역에 다양한 영 향을 미친다.5) 또한 보통의 경우 개인이 한 가지의 감각장애를 가진 경우 보상적으로 다른 감각 기관이 발달하여 이에 많이 의존하게 되는데 반해 시력저하 와 청력손실은 여러 가지 감각장애가 복합되어 있어 서 다른 감각의 보상이 불가능하게 되어 더 큰 어려 움을 겪게 만든다.6)

    이처럼 시력 및 청력의 기능 저하는 노인의 기능적 문제와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심신상태, 삶의 질 및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외국의 경우 감각기능 저하와 우울 및 인지기능 저하의 관계에 대 해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감각저하가 있는 노인 의 경우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하는 경우가 더 많으며, 특히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우울의 빈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7) 그리고 시력저하는 인지기능의 손상 과 관련이 있어 양안시력이 0.5미만인 경우 인지기능 손상의 위험성이 약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손 상된 시력을 교정하면 우울과 인지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청각 기능 저하 역시 노인에 게 있어 중요한 문제로, 청력이 손실된 경우 우울 증 상이 나타날 확률이 약 2.5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9) 또한 청력손실은 인지기능의 손상과 관련이 있으며, 청력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 은 경우에 비해 인지기능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최근 국내의 연구에서도 시각 기능과 삶의 질에 관 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누진렌즈 사 용자, 녹내장 환자, 초등학교 학생의 근시도, 라식수 술 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것이다. 하 지만 최근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의제가 되 고 있는 노인복지와 관련된 시각·청각 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기존에 일 부 연구되기는 하였으나 이는 기관의 통계 자료를 근 거로 보고된 것으로 직접 검사를 통한 실험연구결과 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시각과 청각 기능을 검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삶의 질, 우울 증,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 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안보건 정책과 시·청각 재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015년 8~9월에 걸쳐 ○○대학교 안경광학과와 언어치료청각학과 임상 센터에 내원한 전남지역에 거 주하는 노인 71 명을 대상으로 시력 검사와 청력 검 사 및 삶의 질 척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시행하 였다. 이 중 시력검사와 청력검사를 모두 시행한 50 명(남: 19명, 여: 31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자 의 연령은 평균 73.18±5.13세였고, 65~69세, 70~ 79세, 80세 이상으로 60대, 70대, 80대 이상으로 연 령대로 구분하였으며 각 연령대별 인원수는 <Table 1>과 같다.

    2. 연구방법

    1) 시력검사

    원거리 시력검사는 양안시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평소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안경착용 후 교정시력 을,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은 원거리시력을 평가 값으로 이용하였다. 조명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측정 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으며 시력판정은 투영 식 시시력표(CP-100, Dongyang, Korea)의 같은 줄 시표 중 절반 이상을 읽었을 때 해당시력으로 하였다. 시표의 표기는 소수식 시력으로 기록하였으며, 0.7이 상을 정상, 0.4이상에서 0.6이하를 경도(mild), 원거 리시력이 0.3 이하인 경우를 중등도 이상(moderate or greater)으로 분류하였다. 굴절이상도는 자동굴절 검사기(RK-F1, Canon,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다. 양안의 굴절도수 중 굴절력이 정시에 가까운 도 수를 평가에 활용하였다. 최적구면굴절력이 -0.50D 이상에서 +1.00D이하를 정상, -0.75D이상에서 -3.00D 이하를 경도 근시, -3.25D이상을 중등도 이 상 근시, +1.00D 이상을 경도 원시로 분류하였다.

    2) 청력검사

    청력검사는 배경정보 조사, 이경검사와 고막운동 도 검사(Interacoustics MT 10)를 통하여 외이나 중 이에 문제가 없는 노인을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를 시행하였다. 순음청력검사(Interacoustics AD 226) 는 40 dB A 이하의 조용한 방에서 진행되었고 0.5, 1, 2, 4 kHz의 주파수에서 청력역치를 주파수별로 측 정하였다. 오른쪽과 왼쪽 중 0.5, 1, 2, 4 kHz의 주 파수에서 청력이 더 좋은 쪽 귀를 기준으로 25 dB HL 이하는 정상(normal), 25~40 dB HL은 경도 (mild), 40 dB HL 초과는 중도 이상(moderate or greater)으로 분류하였다.11)

    3) 삶의 질 측정

    삶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관계와 정신적 요소를 포함한 다차원적인 삶의 질 평가 도구로는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WHOQOL)가 개발되었다. 이는 문항수가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단축하고 타당도와 신뢰 성이 표준형만큼 높은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단축 형(WHOQOL-BREF)이 개발되었다.12) WHOQOLBRE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는 26문항으로 최근 2주간 주관적으로 느 낀 삶의 질을 자가 평가하는 척도이다. 국내에서는 번역 본으로 한국인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판 삶의 질 척도-단축형이 개발되어 있다(Appendix 1).13) 이 척도 는 신체적 건강(physical, 3, 4, 10, 15, 16, 17, 18번), 심리적 건강(psychological, 5, 6, 7, 11, 19, 26번), 사회적 관계(social, 20, 21, 22번), 생활 환경 (environmental, 8, 9, 12, 13, 14, 23, 24, 25번) 등의 4개의 영역에 속하는 24개의 문항과 전반적인 삶의 질 (overall QOL)과 전반적인 건강상태(general health) 에 대한 2개의 문항(1번과 2번)으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 은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전혀 아니다’는 1점, ‘약간 그렇다’는 2점, ‘그렇다’는 3점, ‘많이 그렇다’는 4점, ‘매우 많이 그렇다’는 5점으로 총점이 높을수록 삶의 질 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볼 수 있다. 질문 중 3, 4, 26번은 ‘매우 많이 그렇다’가 가장 부정적인 반응이기 때문에 채점할 때 6점에서 해당 답안의 점수를 빼고 계산 한다. 각 영역의 점수를 4-20점대 또는 0-100점대 척도 로 변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영역에 대하 여 분석하기 쉬운 0-100점대의 척도(WHOQOLBREF) 를 사용하였다.

    4) 노인성 우울 측정

    노인성 우울증 척도(GDS, Geriatric Depression Scale)는 시력과 청력을 비롯한 신체 기능의 저하와 인지기능의 감퇴 같은 노인의 특징을 적용하여 개발 한 것으로 30문항의 자기보고형 우울척도로 “예/아니 오”로 답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14) 하지만 노인들이 측정하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진단적 타당 도 연구를 통해 GDS 문항 중 우울증상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15문항을 선별하여 축약형 노인성 우울증 척도(SGDS,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가 개발되었다(Appendix 2).15) 국내에서는 조 맹제 등16)에 의해 우리나라 노인들의 실정에 맞게 번 역한 한국어판 SGDS가 개발되었고 총점은 0점~15점 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증상을 보이는 것이다.

    5) 인지기능 측정

    MMSE-K(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ppendix 3)는 인지장애의 평가에 가 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검사도구인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MMSE 의 신뢰도와 구인타당도는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MMSE 평가는 피검사자의 연령, 교육수 준, 문화적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무학이 많은 한국 노인들의 상황에는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 지기 어렵다는 연구보고들이 있어왔으며, 이에 한국 의 실정에 맞게 문항내용 및 채점방법을 다소 변경하 여 조정된 평가방법이다.17) MMSE-K 개발자들은 30 점 만점인 이 검사에서 23점 이하인 경우를 치매 등과 같은 인지장애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다.17)

    3. 자료분석

    연구결과는 SPSS 20.0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 하였으며, 시력과 청력검사,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의 결과를 시력손실 정도와 청력손실 정도에 따라 기 술통계 분석하였다. Kruskal-Wallis를 사용하여 시 력손실 정도와 청력손실 정도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증, 인지기능의 점수 차이를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살펴보고, Bonferroni를 통하여 사후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의수준 .05 미만에서 시력검사와 청력 검사 및 삶의 질, 우울증, 인지기능 결과의 상관성을 Spearman 상관분석으로 조사하였다.

    Ⅲ. 결 과

    노인 50명 전체의 삶의 질 점수는 85.48±13.93점 으로 영역별로 신체적 건강 영역은 23.82±5.63점, 심리적 건강 영역은 20.96±5.17점, 사회적 관계 영 역은 10.52±1.82점, 환경 영역은 27.56±5.77점, 전 반적인 삶의 질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는 각각 3.66± 1.10점과 3.04±1.32점이었다. 우울 점수는 3.44± 2.98점, 인지기능의 점수는 25.32±2.97점이었다.

    1. 시력저하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검사 결과

    1) 원거리 시력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검사

    원거리시력을 정상, 경도, 중등도 이상의 3단계로 분류하여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을 분석한 결과 원 거리시력이 경도, 중등도 이상으로 저하됨에 따라 심 리적 건강 영역과 전반적인 삶의 영역이 감소되는 유 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 <.05). 원거리 시력저하가 심리적 건강상태와 전반적인 삶의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건강영역도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지만 시력저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p = .12) 삶의 질에 있어서도 시력이 저하됨에 따라 삶의 질 점수가 감소되었다(p = .13). 우울 및 인지기능 검 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2) 최적구면도수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검사

    대상자의 눈을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그 구면도수와 난시도수를 최적구면도수로 환산하여 정상, 경도 근시, 중등도 이상 근시, 경도원시의 4단계 로 분류하였다. 정상안 28명, 경도근시안이 11명, 중 등도 이상 근시안이 1명, 경도 원시안이 10명으로 나타 났다. 중등도 이상 근시안은 1명 뿐으로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최적구면도수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을 평가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

    2. 청력손실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검사 결과

    청력손실의 정상, 경도, 중도 이상의 단계별로 삶 의 질 점수 및 그 영역별 점수, 우울, 인지기능의 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 .05). 하지만 삶의 질 점수는 90.30±15.39점, 85.42±14.02점, 82.56±12.88점으로 청력손실 정도 가 심할수록 삶의 질 점수가 감소하여 삶의 질에 부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력손실 에 따른 우울 점수도 청력손실이 심할수록 우울 점수 가 2.60±2.41점, 3.46±2.99점, 3.94±3.34점으로 증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인지기능도 마 찬가지로 청력손실이 심할수록 인지기능의 점수가 25.90±3.28점, 25.75±3.18점, 24.31±2.30점으로 감소하여 인지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Table 4).

    3. 시력저하와 청력손실에 따른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 검사 결과

    시력과 청력이 모두 정상인 경우, 시력은 정상이나 청력손실이 있는 경우, 청력은 정상이나 시력저하가 있는 경우, 시력과 청력에 모두 이상이 있는 경우 사 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5). 하지만 연구 대상자의 수가 더 많았더라면 이들의 상 관성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1) 시력과 청력이 모두 정상인 경우

    시력과 청력이 모두 정상인 경우는 전체 50명 중 2 명이었고, 두 감각기관이 정상일 경우 삶의 질의 점 수는 85.48±13.93점, 우울 점수는 3.44±2.98점, 인지기능 점수는 25.32±3.87점이었다(Figure 1).

    2) 두 감각 기관 중 청력손실만 있는 경우

    두 가지 감각 기관 중 하나만 정상인 경우는 15명 이었으며, 두 감각기관 중 시력이 정상이나 청력손실 이 있는 경우는 50명 중 7명으로 삶의 질 점수는 88.43±10.83점, 우울 점수는 3.71±3.15점, 인지기 능 점수는 24.71±1.11점이었다(Figure 1).

    3) 두 감각 기관 중 시력저하만 있는 경우

    청력은 정상이나 시력이 저하된 경우는 50명 중 8 명으로 시력저하만 있는 노인의 삶의 질 점수는 90.63±17.40점, 우울 점수는 2.75±2.49점, 인지기 능점수는 25.38±3.46점이었다(Figure 1).

    4) 두 가지 감각 기관이 모두 저하된 경우

    두 가지 감각 기관 모두 기능이 저하된 경우는 33 명으로 두 감각기관 모두 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의 삶의 질 점수는 88.39±13.96점, 우울 점수는 3.64± 3.14점, 인지기능점수는 25.27±3.18점으로 나타났 다(Figure 1).

    4. 시력과 청력 및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의 상관성

    원거리시력은 신체적 건강과 전반적인 삶의 질에 서 상관계수 .36(p < .05)과 .38(p < .01)로 낮은 상관 관계를 보였고, 청력과 인지기능은 상관계수 -.30(p < .05)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Table 5).

    Ⅳ. 고찰 및 결론

    노인의 감각기관의 손상은 노인 일상생활의 다양 한 활동들에 대하여 어려움을 가져오게 되는데 특히 나 신체적인 건강과 가족들의 지지를 통한 사회적인 관계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18) 특히 노인의 고· 심도 청력손실은 신체적 건강, 자존감, 인지기능, 일 의 수행력에 저하를 가져오고 사회적인 의사소통과 가족 사이의 유대관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기 때문에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생각해야 한다. 시 각과 청각의 말초적인 노화는 문자와 음성을 이해하 는데 어려움이 생기고 인지능력의 저하와 같은 중추 적인 문제는 의사소통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므 로 노인의 삶의 질을 포함한 전반적인 사회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19,20) 그리하여 노인들은 시력과 청력 중 하나의 기능 장애가 있는 노인들보다 두 가지 기능 모두 저하가 있을 경우 우울과 삶의 질 의 저하를 더 많이 느낀다.21, 22)

    본 연구 결과를 통해 65세 이상의 노인은 정상 시 력과 청력을 가진 경우보다 두 기관 중 하나의 감각 기관에 이상이 있는 노인이 더 많고 시력과 청력손실 이 모두 있는 노인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는 아닐지라도 시력저하 와 청력손실이 노인의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원거리 시력저하가 있을수록 삶의 질의 감소를 느끼 고, 경도 근시안과 경도 원시안 노인의 경우 정상 시 력을 가진 노인보다 삶의 질의 저하와 우울을 느끼고 있으며, 경도 근시안 노인은 정상 시력의 노인보다 인지기능의 저하를 나타냈다. 시력이 중등도 이상으 로 저하될 경우 심리적 건강 영역과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의 점수는 감소가 크게 나타났지만 신체적 건 강 영역 점수는 상대적으로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이는 노화가 진행될수록 신체적 건강 저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추측된다. 즉, 노인은 신 체적인 면보다는 정신적인 면에서 더 큰 변화가 이루 어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노인의 청력손 실에 대해서도 경도, 중도 청력손실이 될수록 삶의 질의 저하, 우울, 인지기능의 저하를 보였다.

    시력과 청력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는 시력과 청력이 정상인 경우 보다 삶의 질의 저하, 우울, 인지 기능의 저하를 나타냈다. 시력만 정상인 경우는 청력 만 정상인 경우보다 삶의 질의 저하, 우울, 인지기능 의 저하를 더 느끼고 있었다. 중국의 노인을 대상으 로 시력과 청력의 기능 저하에 따른 심리적인 웰빙에 관한 연구에서는 시력의 저하가 청력손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8) 이는 본 연구 결과 와 상반된 결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의료기술과 첨 단화된 안경원이 중국보다 더욱 잘 발달되어 있어 시 력 보정이 비교적 용이하여 심리적으로 시력저하에 대한 저항감이 중국보다 더 적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시력보조기구보다 보청기와 같은 청각보조기구 가 대중적이지 못하여 청력손실에 대한 보정이 상대 적으로 미흡하여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 되어진다.

    시력과 청력손실로 인한 노인의 우울함, 외로움과 삶의 질의 저하는 시력과 청력손실에 대한 회복과 통 합을 위한 보조장치의 사용과 시·청각재활프로그램 을 통하여 어느 정도 회복할 수 있다.23) 시력과 청각 보조장치는 시력저하와 청력손실이 있는 노인들의 기 능적인 향상을 가져오게 되고 적합한 훈련프로그램은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노인의 의사소 통의 향상은 인지기능의 상태를 더욱 증진할 수도 있 다. 하지만 중추적인 시력의 손실은 농이나 듣기 아주 어려운 심도 이상의 청력손실 노인들이 독화에 의존 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 과의 삶의 질 영역 중 환경적 영역은 시력과 청력저하 가 심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경도 근시안 의 노인과 경도 원시안 노인 역시 정상 노인 보다 환 경적 영역에서 부정적인 점수 분포를 보였다. 시각 및 청각의 두 감각기관의 손상이 있는 노인의 사회화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개인들의 의사소통을 위해 적합 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22) 특히 노인의 시·청각 재 활프로그램은 노인의 기능적인 능력의 회복 뿐 아니 라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의 심리·사회적 영향에 대한 분류인 활동제한(activity limitation)과 참여제 약(participation restrictions) 같은 심리·사회적 접근을 고려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시력저하와 청력손실이 있는 노인 뿐 아니라 배 우자와 가족에게도 적용된다.24) 본 연구를 기초로 하 여 추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시·청각재활프로그램 제작과 시행, 노인들의 보다 나은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APPENDIX 1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 설문지

    ※ 다음 각 질문을 읽고, 최근 2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당신의 느낌을 평가한 후 당신에게 가장 적절한 답의 번호에 ○를 치세요.

    1. 당신은, 당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겠습니까?

    ① 매우 나쁨   ② 나쁨   ③ 나쁘지도 좋지도 않음   ④ 좋음   ⑤ 매우 좋음

    2. 당신은, 당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 다음은 당신이 지난 2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어떤 것들을 얼마나 많이 경험하였는지를 묻는 질문들입니 다.

    3. 당신은 (신체적) 통증으로 인해 당신이 해야 할 일들을 어느 정도 방해받는다고 느낍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4. 당신은 일상생활을 잘 하기 위해 얼마나 치료가 필요합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5. 당신은 인생을 얼마나 즐기십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6. 당신은, 당신의 삶이 어느 정도 의미 있다고 느낍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7. 당신은 얼마나 잘 정신을 집중할 수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8. 당신은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안전하다고 느낍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9. 당신은 얼마나 건강이 좋은 주거 환경에 살고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 다음 문제들은 지난 2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당신이 어떤 것들을 “얼마나 전적으로” 경험하였으며 혹은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묻는 것입니다.

    10. 당신은 일상생활을 위한 에너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11. 당신의 신체적 외모에 만족합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12. 당신은, 당신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돈을 가지고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13. 당신은 매일 삶에서 당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얼마나 쉽게 구할 수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14. 당신은 여가활동을 위한 기회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15. 당신은 얼마나 잘 돌아다닐 수 있습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약간 그렇다   ③ 그렇다   ④ 많이 그렇다   ⑤ 매우 많이 그렇다

    ※ 다음은 지난 2주 동안(오늘을 포함해서) 당신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 대해 당신이 얼마나 만족했고, 행복했고, 좋았는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16. 당신은, 당신의 수면(잘 자는 것)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17. 당신은 일상생활의 활동을 수행하는 당신의 능력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18. 당신은, 당신의 일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19. 당신은 당신 스스로에게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0. 당신은, 당신의 개인적 대인관계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1. 당신은, 당신의 성생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2. 당신은, 당신의 친구로부터 받고 있는 도움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3. 당신은, 당신이 살고 있는 장소의 상태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4. 당신은 의료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25. 당신은, 당신이 사용하는 교통수단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   ④ 만족   ⑤ 매우 만족

    ※ 다음은 예를 들어, 당신의 가족 또는 친구로부터의 도움, 혹은 안전상 위험과 같은 것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 했거나 느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26. 당신은 침울한 기분, 절망, 불안,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얼마나 자주 느낍니까?

    ① 전혀 아니다   ② 드물게 그렇다   ③ 제법 그렇다   ④ 매우 자주 그렇다   ⑤ 항상 그렇다

    ▶오각형 그리기◀

    image-1.gif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5년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 에 의하여 씌어진 것임.

    Figure

    JMBI-17-4-415_F1.gif

    QOL, SGDS, MMSE-K scores by Vision and Hearing loss

    Table

    Distribution of subjects by age

    Descriptive of categories by Distance Acuity

    Descriptive of categories by Spherical Equivalence Diopter

    Descriptive of categories by Hearing Level

    Correlation between QOL scales and Vision/Hearing

    축약형 노인성 우울증 척도(SGDS) 설문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판별 검사(MMSE-K) 설문지

    Reference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lderly Statistics 2014. Available at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pp. 3-4, 2014.
    2. Cha KJ, Eun Y: The Study on Functional State,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3), 225-234, 2013.
    3. Kim HJ, Kim BH, Kim OS: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6), 584-594, 2011.
    4. Jeon EY: Functional status and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commnity-dwelling low-incom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2), 92-101, 2009.
    5. Lee BL, Wilson M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taract and glaucoma. Journal of Glaucoma. 9, 87-94, 2000.
    6. Song MS: Effects of the sensory impairment on functioning levels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23(4), 678-693, 1992.
    7. Bernabei V, Morini V, Moretti F et al.: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ve-anxiety syndrome in Italian elderly. Aging and Health. 15(4), 467-474, 2011.
    8. Clemons TE, Rankin MW, McBee WL: Cognitive impairment in 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Archives of Opthalmology. 124(4), 537-543, 2006.
    9. Saito HN, Nishiwaki Y, Michicawa T et al.: Hearing handicap predicts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3 years in older community-dwelling Japanes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1), 93-97, 2010.
    10. Lin FR: Hearing loss and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6, 1131-1136, 2011.
    11. Hickson L, Worall L: Hearing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in older people. Critical reviews in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9(3&4), 219-243, 1997.
    12. WHO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28, 551-558, 1998.
    13. Min SK, Kim KI, Lee CI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nd WHOQOL-BREF. Quality of Life Research. 11(6), 593-600, 2002.
    14. Yeasavage JA, Brink TL, Rose T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1983.
    15. Sheikh VI, Yesavage V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shorter version. In Brink TL(eds.),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Y: Haworth. 1986.
    16. Cho MJ, Bae JN, Suh GH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Ⅲ -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1), 48-63, 1999.
    17. Kwon YC, Park JH: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1989.
    18. Chou KL, Chi I : Combined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in elderly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825-832, 2004.
    19. Shin EY : The Standards Quality of Life Scales for Hearing Handicap of the Elderly. Korean Academy of Audiology. 9(2), 165-174, 2013.
    20. Hwang JH, Shin EY, Kim JS: A Study on Hearing Self-status and Aural Rehabilitation Program Needs of the Elderly who Attend Geriatric Welfare. Korean Academy Audiology. 9(2), 175-189, 2013.
    21. Smith SL, Bennett LW, Wilson RH: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dual sensory impairment (hearing and vision) in a veteran population. J Rehabil Res Dev. 45(4), 597-609, 2008.
    22. Berry P, Mascia J, Steinman BA: Vision and hearing loss in older adults: Double trouble. Care Manag J. 5(1), 35-40, 2004.
    23. Shin EY, Cho SJ, Joo SH: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 and Hearing for Elderly People in Jeallanam-do. Korean J. Vis. Sci. 16(4), 419-428. 2014.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