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4 pp.471-480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4.471

Comparison between Gradient AC/A Ratio and 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al Spherical Powers

Se-Hee Lee1), Dong-Sik Yu2), Jeong-Sik Son2), Ki-Hong Kim1), Byeong-Ho Roh2), Ho-Weon Kwak2)*
1)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yeongsan
2)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s, Kyungwoon University, Gumi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o-Weon Kwak Dep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Kyungwoon University, Gumi Tel: 010-3536-8779, E-mail: hwkwak@ikw.ac.kr
July 5, 2015 August 12, 2015 December 11, 2015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imulus (±)AC/A ratio, response (±)AC/A and general gradient AC/A ratio according to additional spherical powers in phoria groups. Then, these AC/A ratios were compared at each phoria


Methods:

Using the open-field autorefractometer (Nvision-K 5001) and modified Thorington method(MIM card, Muscle Imbalance Measure card) at 40cm fixation distance to 85 persons with average 20.72±1.78 ages, the accommodative responses and the near horizontal phorias were measured by changing accommodative stimulus through additional lenses at the binocular vision.


Results:

When the stimulus (±)AC/A ratio and the general gradient AC/A ratio were compared, In exophoria group, the stimulus (-)AC/A ratio were greater tha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t (-) additional lenses. In esophoria group, the stimulus (+)AC/A ratio had greater tha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t (+) additional lenses. But the difference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response (±)AC/A ratio by using the additional lenses, exophoria group had more differences of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response (-)AC/A ratio at -0.50D, -1.00D, -1.50D, -2.00D addition lens (p<0.05). esophoria group had more differences at +0.50D, +1.00D, +1.50D, +2.00D addition lens (p<0.05). Thes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When response (+)AC/A and response (-)AC/A ratio were compared by the repeated measurement ANOVA, In exophoria group and esophoria group, the differences of (-)AC/A ratio at accommodative stimulus by (-) addition lens and response (+)AC/A ratio at accommodative relaxation by (+) addition len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nclusions:

Accommodative convergence was shown effective changes with (-) lens stimulus in exophoria and with (+) lens stimulus in esophoria. Therefore, when the abnormal binocular vision was prescribed in the clinical trials, it is necessary to apply response (+), (-)AC/A ratio rather than general gradient AC/A ratio.



구면굴절력 가입에 따른 경사AC/A비와 반응AC/A비의 비교 연구

이 세희1), 유 동식2), 손 정식2), 김 기홍1), 노 병호2), 곽 호원2)*
1)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경산
2)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구미

    Ⅰ. 서 론

    최근 현대인들은 세컨드 스크린 (second screen) 의 사용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오랜 시간 근거리 작 업으로 인하여 눈의 조절과 폭주의 불균형으로 안정 피로를 자각하게 된다.1,2) 이로 인해 최근 임상에서는 근거리 양안시이상의 검사와 처치의 중요성이 강조되 어지고 있다. 특히 굴절이상의 처방이나 도수 가입에 의한 양안시이상의 처치에서는 가입된 렌즈가 눈의 안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AC/A비(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AC/A ratio)를 통해 이해하고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가입 렌즈의 도수 결정은 근거리 수평사위량과 일반적인 경사AC/A비를 기준으로 하며, 특히 근거리 에서의 안위는 조절성폭주(accommodative convertgence) 에 큰 영향을 미친다.3) 따라서 근거리 작 업 시에 도수를 가입하게 되면 가입된 도수만큼 반응 하는 조절량에 변화가 생기게 되고 그로 인한 조절성 폭주량이 변화되어 사위가 보정되기도 한다. 외사위 일 때는 원용 및 근용 안경에 (-)방향으로 구면굴절 력을 가하면 조절력이 개입되어 조절성폭주로 사위량 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내사위는 (+)방향으로 구면굴 절력을 가하면 조절이 이완되어 사위량을 줄일 수 있 다. 일반적인 경사 AC/A비는 조절자극을 위해 가해 지는 도수에 따라 조절지체가 달라지므로 렌즈 가입 에 따른 경사AC/A비를 구분하여 처치에 응용할 필요 가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대부분 렌즈 가입 전에 측정된 일반적인 경사AC/A비만을 사용하여 이 를 기초로 처치가 이루어지고 있다.4-6)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임상에서 이루어지는 렌즈 가입을 통한 양 안시이상 처치에서, 각 사위 그룹별 가입 렌즈에 따 른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렌즈를 부가할 때의 마이너스(-)AC/A비, (+)렌즈를 부가할 때인 플러스(+)AC/A비를 구하였 다. 이에 일반적인 경사 AC/A비와 자극(±)AC/A비, 반응(±)AC/A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 반응(±)AC/A비 내에서 (±)가입 렌즈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에서 각 사위별로 렌즈 가 입에 의한 양안시이상 처치에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특별한 안과적 질환, 전신질환, 정신질환 이 없고 시력 또는 교정시력이 0.9 이상인 20대 (20.72±1.78세)의 대학생 85명(남자 55명, 여자 3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시기능은 모건 의 표준값(Morgan’s norm)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굴 절이상은 S-5.00 D~S+3.50 D, 난시는 최고 C-2.00 D 범위이고, 근거리 수평사위 방향에 따른 분포는 외 사위 그룹(‘-’ 부호로 표기함)은 32명(37.6%)으로 평 균 근거리 수평사위도는 –11.33± 3.02 △, 정위 그룹 은 41명(48.2%)으로 평균 근거리 수평사위도는 – 3.21±1.92 △, 내사위 그룹(‘+’ 부호로 표기함)은 12 명(14.1%)으로 평균 4.88±2.65 △의 근거리 수평사 위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연구 대상자는 평균 – 5.12±2.53 △의 근거리 수평사위도를 보였다.7)

    2. 연구 방법

    1) 조절반응량 검사

    조절반응량 검사는 원거리 완전교정 상태에서 근거 리 시표를 40cm 거리에 고정시키고 양안 개방형자동 굴절계(Nvision-K5001, Shin-nippon, Japan)를 사 용하여 양안에 +2.00 D~-2.00 D 사이의 렌즈를 0.50 D 단위로 부가한 후에 양안시 상태에서 우안의 조절반 응을 5번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사용하였다.7)

    2) 근거리 수평사위도 검사

    근거리 수평사위도 검사는 수정된토링톤법(modified Thorington method, BC1209N, Bernell, USA) 으로 측정하였으며,8) 시표는 수정된토링톤 시표와 적 색 마독스로드 및 펜 라이트를 이용하였다. 검사거리 는 40 cm에서 실시하였으며, 수평사위도 측정과 함께 우안의 조절반응량을 측정하기 위해 피검자의 좌안에 마독스로드를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시표의 중앙에 펜 라이트를 고정시켰다. 피검자에게 시표 중앙의 점광원 을 주시한 상태에서 선조상이 지나는 시표의 수평축의 숫자를 읽게 하였다. 선조상이 점광원을 중심으로 시 표의 오른쪽에 있으면 외사위, 왼쪽에 있으면 내사위 로 분류하였다. 근거리 수평사위도 기댓값은 3±3 △ exo이다. 즉 6 △ exo~0 △의 범위 내에 있으면 근거 리 정위, 6 △ exo를 벗어나면 근거리 외사위, 0 △을 벗어나면 근거리 내사위로 분류하였다.9)

    3) AC/A비 측정

    반응(±)AC/A비는 원거리 완전교정 상태에서 근거 리 사위도 검사를 한 후에 (±)렌즈를 부가하여 측정 하였다. (+)렌즈 부가에 의한 조절 이완은 안위를 외 편위 시키고 (-)렌즈 부가에 의한 조절 자극은 내편위 를 유발한다. 조절자극으로 유발된 안위 편위량을 조 절자극으로 발생한 조절반응량으로 나누어줌으로써 단위조절에 대한 편위량인 반응AC/A비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반응(+)AC/A비는 근거리에서 (+)렌즈 가 입으로 조절을 이완시켜 측정된 반응AC/A비이고 반 응(-)AC/A비는 근거리에서 (-)렌즈 가입으로 조절을 자극시켜 측정된 반응AC/A비로 나타내었다. 자극 (+)AC/A비는 근거리에서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안위의 편위량을 조절자극량으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자극(-)AC/A비는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조절자극 량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단, 일반적 경사AC/A비는 동일한 크기의 (+)렌즈와 (-)렌즈 조절자극에 따른 편 위량 변화를 기준한 자극AC/A비를 말한다.10)

    3. 연구 자료 처리 방법

    통계 분석은 SPSS(Ver. 20.0 for Windows, SPSS Inc)의 대응 t-test와 반복 측정 ANOVA 등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고, 유의도 수준은 α= 0.05로 두고 유 의확률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고 판단하였다.11)

    Ⅲ. 결과 및 고찰

    1. 조절자극량에 따른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도 측정

    조절자극량에 따른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 도의 변화를 알아 본 결과, 외사위 그룹에서 가입 렌 즈(+0.50~+2.00 D)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 조절반응량 변화폭은 1.46 D로서 가입 렌즈(-0.50~ -2.00 D)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의 1.50 D 보 다 작게 나타났다(Table 1). 내사위 그룹에서는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 조절반응량 변화폭이 1.49 D로서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1.37 D 보다 크게 나타났다. 정위 그룹에서 가입 렌 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절반응량 변화폭이 1.47 D이었고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변화폭은 1.44 D로 나타났다.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은 외사위 그룹에서 가입렌즈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 4.18 △으로서 가입 렌즈를 (-)방향으 로 부가하였을 때의 7.00 △보다 작게 나타났다. 내 사위 그룹에서는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10.24 △으로서 (-)방 향으로 하였을 때의 7.53 △보다 크게 나타났다. 정 위 그룹에서는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5.14 △으로서 (-)방 향으로 하였을 때 4.73△보다 크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외사위 그룹에서는 가입 렌즈를 (-)방향으 로 부가하였을 때의 조절반응량 변화폭과 근거리 수 평사위도의 변화폭이 가입 렌즈를 (+)방향으로 부가 하였을 때보다 크게 나타났고, 내사위 그룹에서는 가 입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 조절반응량과 수 평사위도의 변화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Table 1).

    본 연구에서 근거리에서의 가입 렌즈를 (-)방향으 로 부가하였을 때 외사위의 조절반응량이 내사위보다 큰 것은 외사위의 조절래그가 내사위에 비하여 작게 나타나는데 기인하는 것이다.12) 이것은 조절반응량이 외사위는 증가하고, 내사위에서는 감소한다는 Rouse13)와 Rosenfield14)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 러나 내사위는 가입렌즈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 사위도가 정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제 융합 할 때 필요로 하는 음성융합성폭주의 양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5,16)

    2. 외사위 그룹에서 일반적인 경사 AC/A비와 자극 (±)AC/A비 및 반응 (±)AC/A비의 비교

    Fig. 1.은 외사위 그룹에서 가입 렌즈에 따른 일반 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및 반응 (±) AC/A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의 비교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적인 경사(-)AC/A비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반응(±) AC/A비 비교에서 S-0.5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AC/A비는 2.92±1.75 △/D, 반응 (-)AC/A비는 4.86±1.57 △/D (p=0.033), S-1.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AC/A비는 3.08±1.57 △/D, 반응(-)AC/A비는 5.60±2.06 △ /D (p=0.017), S-1.5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 반적인 경사AC/A비는 3.02±1.86 △/D, 반응 (-)AC/A비는 5.41±1.86 △/D (p=0.024 ), S-2.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AC/A비는 2.80±1.62 △/D, 반응(-)AC/A비는 4.67±1.34 △ /D (p=0.036)로 나타나 각각의 일반적인 경사AC/A 비와 반응(-)AC/A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Table 2). 이는 Seidemann의 연구에서 외 사위의 경우는 폭주여력이 커서 (-)렌즈를 가입하면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조절반응량의 변화폭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15)

    3. 정위 그룹에서 일반적인 경사 AC/A비와 자극 (±)AC/A비 및 반응 (±)AC/A비의 비교

    Fig. 2.는 정위 그룹에서 가입 렌즈에 따른 일반적 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및 반응 (±) AC/A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비교에서는 렌즈도수를 S-0.50 D, S-1.00 D 부가하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적 인 경사AC/A비보다 크게 나타났고 S+1.50 D, S+2.00 D를 부가 하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 적인 경사AC/A비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인 경사 AC/A비와 반응(±)AC/A비 비교에서는 모든 가입도 수에서 일반적인 경사AC/A비 보다 반응(±)AC/A비 가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다(Table 3).

    4. 내사위 그룹에서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및 반응(±)AC/A비의 비교

    Fig. 3.은 내사위 그룹에서 가입 렌즈에 따른 일반 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및 반응 (±) AC/A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자극(±)AC/A비 비교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 자극(+)AC/A비가 일반적인 경사AC/A비 보다 크 게 나타났고, S-0.50 D, S+0.50 D 렌즈를 가입하였 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반응(±)AC/A비 비교에서는 S+0.5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 AC/A비 5.63±1.82 △/D, 반응(+)AC/A비는 9.80± 1.84 △/D (p=0.024), S+1.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AC/A비는 5.12±1.65 △/D, 반응 (+)AC/A비는 8.59±1.65 △/D (p=0.029), S+1.5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적인 경사AC/A비는 4.84±2.13 △/D, 반응(+)AC/A비는 7.52±2.02 △ /D (p=0.033), S+2.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반 적인 경사AC/A비는 4.44±1.74 △/D, 반응 (+)AC/A 비는 6.87±1.55 △/D (p=0.035) 로 각각의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반응(+)AC/A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이는 내 사위의 경우 개산여력이 크므로 (+)렌즈를 가입하였 을 때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조절반응량의 변 화폭 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것에 기인하며 Kim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였다.17)

    5. 사위 그룹별 가입렌즈에 따른 반응(±)AC/A 비를 반복 측정 ANOVA로 분석

    사위 그룹별 가입 렌즈에 따른 반응(±)AC/A비를 반복 측정 ANOVA로 분석한 결과는 외사위 그룹에서 S-0.50 D, S-1.00 D, S-1.50 D, S-2.00 D 를 부가 하였을 때의 반응(-)AC/A비와 S+0.50 D, S+1.00 D, S+1.50 D, S+2.00 D를 부가하였을 때의 반응 (+)AC/A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S-1.00 D를 가입한 반응 (-)AC/A비가 5.60±2.06 △/D로 가장 높았고, S+2.00 D를 가입한 반응(+)AC/A비가 2.86±1.15 △/D로 가장 낮게 나타 났다. 정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와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의 반응(-)AC/A비와 반응 (+)AC/A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p=0.082). 내사위 그룹에서 S+0.50 D, S+1.00 D, S+1.50 D를 부가하였을 때의 반응(+)AC/A비와 S-0.50 D, S-1.00 D, S-1.50 D, S-2.00 D를 부가 하였을 때의 반응(-)AC/A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S+0.50 D, S+1.50 D, S+2.00 D를 부가하였을 때도 각 반응 (+)AC/A비 사 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그리고 S+0.50 D를 가입한 (+)AC/A비가 9.80±1.84 △/D로 가장 높았고 -S-0.50 D를 가입 한 반응(-)AC/A비가 5.03±1.62 △/D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5). 이것은 외사위는 (-)렌즈를 가입 하였을 때 일어나는 양성조절성폭주가 (+)렌즈를 가 입하였을 때 일어나는 음성조절성폭주보다 더 크기 때 문에 반응(-)AC/A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내사위는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일어나는 음성조절성폭주가 더 크기 때문에 반응(+)AC/A비가 높게 나타나는 Lee 와 Kim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렌즈 가입을 통한 양안시이상 처치에서 일반적인 경사 AC/A비만을 적용하는 것보다 각 사위별 도수 가입 후 달라진 AC/A비를 고려하여 반응(+)AC/A비와 반응 (-)AC/A비로 구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 료되어진다.7,16,17)

    Ⅳ. 결 론

    각 사위 그룹별 가입 렌즈에 따른 조절반응량과 근 거리 수평사위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외사위 그룹에 서는 렌즈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의 조절반응 량 변화폭과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렌즈를 (+)방향으로 부가하였을 때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내 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 절반응량 변화폭과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이 렌 즈를 (-)방향으로 하였을 때보다 크게 나타났다. 가 입 렌즈에 따른 일반적인 경사AC/A비와 반응 (±)AC/A비의 비교에서 외사위 그룹은 일반적인 경 사AC/A비와 반응(-)AC/A비, 내사위 그룹은 일반적 인 경사AC/A비와 반응(+)AC/A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입 렌즈에 따른 반응 (±)AC/A비를 반복 측정 ANOVA로 분석한 결과, 외 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 그리고 내 사위 그룹에서는 (+)렌즈를 부가하였을 때, 반응 (-)AC/A비와 반응(+)AC/A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에 임상에서는 렌즈 가입을 통한 양안시이상 처 방에서 외사위는 (-)렌즈를 가입한 반응 (-)AC/A비 를 적용해야 하고 내사위는 (+)렌즈를 가입한 반응 (+)AC/A비를 적용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5년 경운대학교 교내 연구비의 지원 으로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JMBI-17-4-471_F1.gif

    Comparison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exophoria.

    JMBI-17-4-471_F2.gif

    Comparison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orthophoria.

    JMBI-17-4-471_F3.gif

    Comparison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esophoria.

    Tab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f accommodative responses and deviation by additions in phorias

    Differences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exophoria

    Differences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orthophoria

    Differences between general gradient AC/A ratio and stimulus (±)AC/A·response (±)AC/A ratio by addition in esophoria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 ANOVA with LSDa according to additions in the response (±)AC/A ratio

    Reference

    1. Park SJ, Kwak HB, Lee SH et al. : A study and analysis of accommodative convergence/ accommodation ratio by measuring methods. J Korean Oph Opt Soc. 18(2), 117-123, 2013.
    2. Sheedy JE : Vision problems at video display terminals: a survey of optometrists. J Am Optom Assoc. 63(10), 687-692, 1992.
    3. Kang IS, Seo YW, Choi JY : The analysis of binocular vision function by measuring accommodative convergence(AC/A). J Korean Oph Opt Soc. 10(3), 159-164, 2005.
    4. Sheedy JE, Shaw-McMinn PG : Diagnosing and treating computer-related vision problems, 1st ed., Burlington, Butterworth- Heinemann, pp. 91, 2002.
    5. Jo TS, Kim IS, Jang JU :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J Korean Oph Opt Soc. 16(4), 417-423, 2011.
    6. Kim HK, Lee GB, Kim CJ et al. :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s and response AC/A ratio in emmetropic and myopic children. Korean J Vis Sci. 14(4), 353-362, 2012.
    7. Lee SH, Yu DS, Son JS et al. : Comparison between stimulus and response AC/A ratios for each phoria with additional spherical power. J Korean Oph Opt Soc. 19(3), 345-351, 2014.
    8. Rainey BB, Schroeder TL, Goss DA et al. : Inter-examiner repeatability of heterophoria tests. Optom Vis Sci. 75(10), 719-726, 1998.
    9. Scheiman M, Wick B :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heterophoric, accommodative, and eye movement disorders,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9-12, 2008.
    10. Han GA, Sung AY : Study on proximal convergence/ accommodation(PC/A) ratio by comparison of gradient AC/A ratio and calculated AC/A ratio. J Korean Oph Opt Soc. 9(2), 223-231, 2004.
    11. Oh TS, Choi HC : Analysis methods of social science data, 1st ed., Seoul, Nanam, pp. 163-167, 2003.
    12. Momeni-Moghaddam H, Goss DA, Sobhani M : Accommodative response under monocular and binocular conditions as a function of phoria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subjects. Clin Exp Optom. 97(1), 36-42, 2014.
    13. Rouse MW, Hutter RF, Shiftlett R : A normative study of the accommodative la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m J Optom Physiol Opt. 61(11), 693-697, 1984.
    14. Rosenfield M, Ciuffreda KJ, Rosen J : Accommodative response during distance optometric test procedures. J Am Optom Assoc. 63(9), 614-618, 1992.
    15. Seidemann A, Schaeffel F : An evaluation of the lag of accommodation using photore fraction. Vision Res. 43(4), 419-430, 2003.
    16. Kim JH, Ryu KH, Kim IS : The study on relation between asthenopia of lateral phoria and fusional reserve. J Korean Oph Opt Soc. 11(4), 329-335, 2006.
    17. Kim EH, Granger-Donetti B, Vicci VR et al. : The relationsihp between phoria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peak velocity to divergence peak velocity. Invest Ophthanlmol Vis Sci. 51(8), 4017-402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