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4 pp.511-52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4.511

Orienta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1-Day Toric Soft Contact Lens Designs

Chae-Youn Seo, Geun-Chang Ryu*
Dept. of Optometry, Dongshin University, Na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Geun-Chang Ryu 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f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061-330-3553, E-mail: gcryu@dsu.ac.kr
October 21, 2015 November 19, 2015 December 11, 2015

Abstract

Purpose:

To compare orientation, re-orientation an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according to the 1-day toric soft contact lens designs.


Methods: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36 eyes) with no ocular health abnormalities and previous ocular surgery. They worn 1-day toric soft contact lenses with 3 different designs (A: 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 B: Optimized Prism Ballast Design, C: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 for 5 days respectively and the orientation and orientation recovery were measured at initial and follow-up visits respectively. Lens orientation in primary posi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orientation recovery, the lens was manually rotated by 30° nasally and temporally and the amount of re-orientation after 12 blinks was measured.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of comfort, dryness, visibility and redness was carried out at initial and follow-up visits and by wearing time on a scale of 1 to 5.


Results:

The “A” lens rotated nasally and the “B” and “C” lenses rotated temporally. The “C” lens achieved better orientation at the follow-up visit and the “B” lens showed the fastest orientation recovery. Subjective satisfaction survey by wearing time had little difference among 3 different toric soft contact lenses whereas the “A” lens had better initial comfort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In order to achieve stable orientation, certain time is required. Therefore, when the toric soft contact lenses are fit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orientation should be rechecked at the follow-up visit.



직난시안에 대한 하루착용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자인에 따른 축안정성과 자각적 만족도

서 채연, 유 근창*
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Ⅰ. 서 론

    1975년 Holden1)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약 45%가 0.75 D이상의 난시를 가지고 있고 약 35%가 1.00 D이 상의 난시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Lindsay2)는 일반인의 25%가 1.00 D이상의 난시를 가지고 있고 교 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기에 난시를 교정하기 위 한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처방은 상당히 힘든 부분 으로 생각되었다3).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토릭소프 트콘택트렌즈는 렌즈의 가장자리를 하안검 또는 상안 검과 하안검의 라인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0.5-1.5 mm 정도 절삭된 형태로 설계된 ‘Truncation’ 디자인과4), 렌즈의 아랫부분에 약 0.75-2.00 정도의 Base-down prism을 넣어 렌즈의 회전을 줄이 도록 설계된 ‘Prism ballast’ 디자인을 사용하였다5). 하지만 Truncation 디자인의 토릭 소프트 콘택트렌즈 는 각막을 노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착용감을 저하시켰다6). Hanks7)는 프리즘의 영향으로 인해 렌즈의 6시 방향이 두꺼운 Prism ballast 디자인 은 상안검이 렌즈의 윗부분을 누르는 힘에 의해 렌즈 의 축회전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자인 설계와 제조법의 발달로 과거에 비해 렌즈의 비용이 감소하였고, 더 간편해진 렌즈 피팅법8)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토 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처방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켰 다. 미국이나 영국 그리고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처방이 전체 소프트렌즈 처 방의 약 35%를 차지하고 있다3). 2014년 Morgan등9) 에 의해 실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총 32개의 국가 에서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를 처방 비율이 전체 소프 트렌즈 처방의 약 20%를 나타내었다.

    축안정성, 축의 정확성과 회전회복의 속도는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처방할 때, 시각적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Young등10)에 따 르면, 이러한 렌즈의 회전과 축안정성은 렌즈의 중 력, 순목, 안검의 장력과 안검의 모양 등의 다양한 요 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또한, Edrington6)은 렌즈의 전체직경, 베이스커브, 난시의 방향, 각막지형도와 렌즈의 유연성이 렌즈회전과 축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최근 한 연구 결 과에 따르면11) 안구의 움직임과 몸의 자세가 축회전 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하였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 자인은 크게 Prism ballast design과 ASD(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으로 나누어진다.

    6시 방향에 가장 두꺼운 부분이 위치한 Prism ballast design 렌즈는 렌즈회전을 감소시켰고, 다른 토릭소프트렌즈의 디자인에 비해 회전회복의 정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12). 검열폭 안에 4개의 활성화 존이 존재하여, 안검의 움직임에 더 적은 영향을 받 도록 설계된 ASD 렌즈는 착용 직후부터 높은 축안정 성을 보였다13). Young등10)은 렌즈를 고의적으로 귀 쪽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후, 순목 운동과 함께 회 복 정도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토릭렌즈 디자인의 렌즈 회전회복 속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한쪽 방향으 로 누워있는 자세에서는 ASD 렌즈가 축회전량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결과가 2010년 Mcllraith등11)의 연구에서도 발견되었다. 한쪽 방향 으로 누워있을 때 Prism ballast design 렌즈가 회전 량이 더 크고 시력저하도 더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하루착용 토릭소프트렌즈의 시장이 점 차적으로 성장함14)에 따라 3개의 각각 다른 토릭소프 트콘택트렌즈 디자인의 축안정성, 회전회복정도와 착 용 시간대별 자각적 만족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한 자로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대학생 20명(36안)을 대상으 로 하였다. 대상자는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고 직난시를 가지고 있으며 하루 평균 9시간 이상 렌 즈 착용이 가능한 자로 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2.3±1.39세이고 남자 6명, 여자 14명이었다. 구면굴 절력의 범위는 plano에서부터 -8.00 D, 평균 구면굴 절력은 -3.31±2.15 D, 원주굴절력의 범위는 -0.75 D부터 -1.75 D, 평균 원주굴절력은 -1.02±0.38 D, 난시축은 180축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2.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 디자인

    본 연구에 사용된 3가지 렌즈의 디자인은 A렌즈의 경우 검열폭 안에 4개의 활성화존이 위치하여 순목 운동에 의해 축이 안정되는 디자인이며, B렌즈는 중 력을 이용한 디자인으로 순목 시 렌즈의 회전을 줄이 고 축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렌즈 상부의 수평 두께 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디자인이다. C렌즈 또한 중력 을 이용한 디자인으로 렌즈의 좌측과 우측의 두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축 회전을 최소화하여 축안정성을 유지하는 디자인이다. 3종의 토릭콘택트렌즈 사양은 Table 2에 자세히 나타내었다. 브랜드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기 위해 제품에 대한 정보는 실험 대상자들에 게 제공되지 않았다.

    3. 토릭소프트렌즈 처방을 위한 문진

    소프트렌즈 착용 목적과 평균 착용 시간, 과거 안 병력, 과거 안수술 유무, 건강상태, 복용중인 약, 알 러지 유무와 작업 환경(렌즈 착용 환경)등이 문진을 통해서 조사되었고, 콘택트렌즈 착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가진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실제 로 25명 중 5명의 대상자들이 거대유두결막염, 각막 상처나 신생혈관 등의 이유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4. 토릭소프트렌즈 처방을 위한 전안부 검사

    성공적인 콘택트렌즈 착용을 위해 세극등현미경 (SL-203, Shin-Nippon)을 이용하여 상/하안검, 속 눈썹, 각막, 각막윤부 충혈, 구결막 충혈, 검결막 충 혈 및 매끄러운 정도와 전안방의 상태를 검사하였다. 또한, 각막의 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플루오레 신을 이용한 각막의 염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전반적 인 눈의 건강상태가 콘택트렌즈 착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가진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5. 토릭소프트렌즈 처방을 위한 굴절검사

    전자동 포롭터(HDR 7000, Huvitz)와 빔 프로젝터 (CCP 3100, Huvitz)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한 후,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단안 최대 교정시 력이 1.0 이상이며, BTT(Becherer Twist Test)를 통 하여 토릭렌즈 회전에 대한 적응도가 10°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굴절력은 정간거리를 보정한 현성굴절력으로 처방하였다.

    6.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평가

    토릭소프트렌즈의 피팅 상태는 각 회사별 렌즈를 처음 착용했을 때(Initial fitting)와 5일 동안 렌즈를 적응 한 후(Follow-up)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콘택 트렌즈를 처음 처방 후, 20분의 안정화 시간을 가진 후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한 소프트렌즈의 피팅 평가는 선행연구15)에서 사용되었 던 방법을 이용하였다.

    1) 중심안정(Centration) 및 각막 덮힘 (Coverage)

    제 1안위에서 렌즈가 각막 전체를 골고루 덮인 상 태를 매우 좋음(excellent), 렌즈의 가장 자리가 각막 윤부를 가로지르는 경우 보통(acceptable)으로, 각막 이 노출된 경우는 불량함(poor)으로 평가하였다.

    2) 순목 시 렌즈 움직임 (Movement on blink)

    순목 시 렌즈의 움직임이 0.25-0.50 mm는 적당함 (Adequate)으로, 0.50 mm을 초과하면 지나침 (excessive), 0.25 mm 이내는 불충분함(Insufficient) 으로 평가하였다.

    3) Push-up test

    Push-up 후 렌즈가 즉시 제자리로 돌아오면 지나 침(excessive)으로, 서서히(2-4 mm/s) 돌아오면 적 당함(Adequate), 느리게 돌아오면 불충분함 (Insufficient)으로 평가하였다.

    4) Lag

    제 1안위에서 렌즈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시 선을 이동했을 때의 렌즈의 lag 정도를 비교하였다. 정 면 주시와 측면 주시의 차이가 50-100%일 때 적당함 (Adequate), 100%를 초과했을 때 지나침(excessive), 그리고 50% 이내일 때 불충분함(Insufficient)으로 구 분하였다.

    대상자들은 처방된 렌즈를 5일 동안, 매일 9시간 이상 착용하였고, 검사당일은 4시간 이상 렌즈를 착 용 후, 적응 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렌즈의 피팅 상태를 평가하였다.

    7. 토릭소프트렌즈 축안정성 평가

    본 연구에 사용된 3개의 토릭소프트렌즈는 모두 6 시 방향에 난시축마크를 가지고 있었다.

    1) 회전량(orientation)과 회전방향(direction)

    • - 세극등현미경의 중간배율(16X)과 슬릿빔을 이용 하여 제 1안위(정면주시상태)에서 난시축마크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만약 난시축마크가 6시 방 향이 아닌 코쪽이나 귀쪽으로 회전되었다면, 회 전된 방향(귀방향 또는 코방향)을 확인 후, 슬릿 빔을 회전된 난시축마크와 일치시켜서 그 회전 량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2) 회전회복(re-orientation)

    • – 렌즈가 회전했을 때 순목에 의해 되돌아오는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방법 을 이용하였다16,17). 제 1안위에서 회전된 난시축 마크를 기준으로 고의적으로 코쪽과 귀쪽으로 30°씩 회전시켰다. 순목의 횟수가 1분에 평균 12 회인 것을 고려하여 5초 간격으로 12회 순목 후 렌즈의 회복정도를 측정하였다17). 또한, 12회 순 목 후 렌즈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못한 정도 를 기록하였다.

    8. 자각증상조사

    매년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콘택 트렌즈 착용을 중지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18),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불편한 착용감, 건조감, 충혈과 흐린 시력 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렌즈를 처음 착용 후 약 20 분 정도의 안정화 시간을 가진 후 착용감, 건조감, 선 명도와 충혈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일 동안 렌즈를 적응한 후 느끼는 자각증상을 5점 척도 (5점: 매우 만족, 4점: 대체로 만족, 3점: 보통, 2점: 불만족, 1점: 매우 불만족)로 설문조사 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에게 오전 9시 이전에 렌즈를 착용하도록 하 였다. 착용 직 후, 오후 12시, 오후 6시와 렌즈 제거 직전의 착용감, 건조감, 선명도와 충혈도에 대한 시 간대별 자각적 만족도를 5점 척도로 문자메세지를 이 용하여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3개의 렌즈를 모두 착용한 후, 각 렌즈 디자인에 따른 최종 만족도를 조 사하였다.

    9. 통계

    본 연구에서 측정된 결과값은 SPSS 21.0과 M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이용하였다.

    Ⅲ. 결 과

    1.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평가

    렌즈를 처음 착용했을 때와 5일 동안의 적응 후의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 피팅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Table 3에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적응 전과 후 렌 즈의 중심안정은 모든 렌즈 디자인에서 100% 매우 좋음(Excellent)을 보였다. Push-up과 Lag는 모든 렌즈 디자인에서 적응 후 더 적합한 피팅 상태를 보 였다. 하지만, 움직임에 관해서는 다른 결과가 측정 되었다. A렌즈는 적응 후 순목 시 움직임이 감소하였 고, C렌즈는 적응 후 순목 시 움직임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B렌즈는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었다.

    2. 축회전량과 회전방향 비교

    렌즈를 처음 착용했을 때와 5일 동안의 적응 후의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축회전량과 회전방향을 비 교한 결과를 Table 4에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A 렌즈의 축회전량이 0-5°인 경우는 첫 착용시 61%에 서 적응 후 50%로 감소하였고, 10°이내인 경우는 83%에서 78%로 감소하였다. B렌즈의 축회전량이 0-5°인 경우는 50%로 적응 전과 적응 후의 변화가 없었고, 10°이내인 경우는 83%에서 78%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C렌즈의 축회전량이 0-5°인 경우는 56%에서 67%로 증가하였고, 10°이 내인 경우는 78%에서 95%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착 용시 축 안정화는 B렌즈가 가장 우수하였고 통계적으 로 유의(P = 0.054)한 결과를 나타냈다.

    3. 토릭소프트렌즈 착용 후 교정시력

    렌즈를 처음 착용했을 때와 5일 동안의 적응 후 교 정시력을 비교한 결과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A렌 즈와 B렌즈는 토릭소프트렌즈를 적응 전보다 적응 후 교정시력이 감소된 반면, C렌즈는 교정시력이 향상되 었다. 이러한 시력 향상은 5일 동안 렌즈를 적응 한 후, 95%에서 10°이내의 높은 축안정성을 보인 것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4. 회전회복정도 비교

    렌즈를 처음 착용했을 때와 5일 동안의 적응 후 토 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회전회복정도를 비교하였다. 제 1안위에서 회전된 시점을 기준으로 코쪽과 귀쪽으 로 렌즈를 고의적으로 각각 30°씩 회전시킨 후, 회복 되지 못한 량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3개의 렌즈 디자인에서 적응 후 회전회복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 을 보였다.

    5. 자각 증상 비교

    렌즈 첫 착용시, 적응 후 및 시간대별 자각적 만족 도의 결과를 Fig. 1에 착용감, Fig. 2에 건조감, Fig. 3에 선명도와 Fig. 4에 충혈도로 각각 나타내었다. 자각적 만족도 조사는 착용감, 건조감, 선명도와 충 혈도가 3개의 렌즈 디자인에서 보통(3점)이상의 점수 를 나타내었다. 오후가 되면서 착용감, 건조감과 선 명도는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충혈도는 오전과 오후 에 대체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최종 만족도 조사

    3개의 다른 디자인의 렌즈를 착용한 후 최종 만족 도 조사의 결과를 Table 11에 나타내었다. 충혈도에 서는 12명(60%), 렌즈제거에서는 10명(50%)의 대상 자가 모든 디자인의 렌즈가 비슷하다고 응답하였다. 착용감 및 handling, 중심안정, 이물감, 건조감과 선 명도에서는 모든 디자인의 렌즈가 대체로 비슷한 점 수를 보였다.

    Ⅵ. 고찰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하루착용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각각 다른 디자인에 따른 축회전량과 회전방향, 회전 회복정도와 자각적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Tan등16)은 토릭소프트렌즈의 축안정 위치가 10° 이하이면 안정화에 적합하다고 하였고, 만약 15°를 초과한다면, 안검과 렌즈의 비정상적인 관계에 의해 서 축회전이 크게 나타나므로 다른 종류의 렌즈로 처 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설명하였다. Lindsay19)는 난 시가 1.00 D이하일 때, 축안정화로 인해 야기되는 시 력저하는 크지 않지만 1.00 D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시력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Kim등20)은 평균 토릭소프트렌즈의 축회전율은 10-13°로 굴절력에 따른 축회전율의 차이는 없다고 보고하였고, Young등21)은 난시량과 난시축이 축안정 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Prism ballast design 렌즈는 대부분 10°이내의 축 안정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 응 전 축회전량이 10° 이내인 경우, A렌즈와 B렌즈 는 83%이며 C렌즈는 78%로 A렌즈와 B렌즈가 더 나 은 축안정성을 보였다. Zikos등13)은 렌즈 착용 직후 ASD 렌즈는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의 렌 즈보다 더 나은 축안정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최근에 각각 다른 디자인을 가진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피 팅 안정성을 비교한 Moghaddam등12)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렌즈 착용 20분 후, Prism ballast design의 렌즈가 가장 우수한 축안정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적응 전, ASD와 Prism ballast design 렌즈가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 렌즈보다 더 나은 축안정성을 보인 것으로 나 타났다.

    Young등21)은 근시의 정도, 안검열의 크기, 안검의 내안각과 외안각, 코쪽과 귀쪽 상안검의 높이, 순목 후, 렌즈의 피팅과 타이트함이 축안정성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라고 분석하였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ASD의 렌즈는 코쪽으로 축회전을 보인 경우가 많았 고13), Prism ballast design의 렌즈는 귀쪽과 코쪽으 로21)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의 렌즈는 귀쪽으로13,17) 축회전을 나 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도 ASD의 렌즈는 코쪽으로, Prism ballast design과 Lo-Torque prism ballast design의 렌즈는 귀쪽으로 축회전을 보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전과 적응 후의 축회전량은 A렌즈와 B렌즈는 83%에서 78%로 감소하였으나 C렌즈는 78%에서 95% 로 증가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선행연구들은 착용 후 렌즈의 축안정화를 측정하였으나 적응기간이 별도로 주어지지 않았다. Kim등20)은 토릭소프트렌즈를 1주 일 동안 착용 후 축안정화의 변화를 분석하고 축안정 화를 위해 추적검사와 재교정의 필요성을 보고하였 다. Kim과 Kim17)은 2주 동안 토릭소프트렌즈를 착 용시킨 후 축안정성, 회전회복과 자각증상이 적응 전 보다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일 동안 렌즈를 적응한 후, 적응 전과 비교하였는데 토 릭소프트렌즈의 안정화를 위해서 다소 짧은 적응기간 이었던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토릭소프트렌즈의 축안정화를 위해서는 최소 1주일 이상이 소요될 것으 로 예상되고 그에 따른 확인 및 2차 피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cIlraith등11)과 Kim등20)은 토릭소프트렌즈의 축 안정성이 시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시력을 토릭소프트렌즈를 적 응 전과 적응 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A렌 즈는 1.09±0.18에서 1.05±0.16, B렌즈는 1.04± 0.25에서 1.03±0.16으로 감소한 반면, C렌즈는 1.03±0.25에서 1.04±0.28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렌즈와 B렌즈의 축안정성이 토릭소프트렌즈 를 적응한 후 감소한 것과는 반대로, C렌즈는 축안정 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아 축안정성이 교정시력과 관 련이 있다는 이전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회복 속도는 렌즈의 타이트 한 정도와 하안검 중심부의 각도21), 렌즈의 디자인과 상안검의 장력10)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flat한 피 팅의 경우 렌즈는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만, steep한 피팅의 렌즈는 더 느린 회전회복 정도를 나타 내었다21). 많은 연구에서 Prism ballast design의 렌 즈는 우수한 회전회복력을 보였다6,10,12). 본 연구에서 도 B렌즈는 적응 전과 적응 후 빠른 회전회복정도를 나타내었지만, 비슷한 디자인으로 설계된 C렌즈는 느 린 회전회복정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 는 단일 베이스커브로 제작된 각 회사의 렌즈에서 C렌 즈는 더 작은 베이스커브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B 렌즈에 비해 더 타이트한 피팅 상태를 나타내었고, 느 린 회전회복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Tan등16)은 렌즈를 고의적으로 코쪽이나 귀쪽 방향 으로 회전시켰을 때, Prism ballast design의 렌즈는 코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회복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렌즈의 디자인에 따라 코쪽과 귀쪽 방향 의 회전회복 속도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보 고하였다. 따라서, 양쪽 방향의 회전회복정도를 관찰 하는 것이 토릭소프트렌즈를 처방할 때 중요한 요인 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각각 다른 렌즈 디자인에서 적응 전과 적응 후의 렌 즈 회전회복 속도가 코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 후 회전회복 속도는 적응 전 에 비해 상당히 빨라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Scott등22)은 하루착용 소프트렌즈는 최상의 시력, 편안함 및 우수한 피팅을 제공한다고 하였고, Pritchard등23)은 렌즈 착용으로 인한 이물감, 건조 감, 충혈 및 시력저하가 렌즈 사용을 중지시키는 가 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 러한 원인에 대하여 분석해 왔다. Nilsson과 Andersson18)은 습도가 낮은 환경(약 30% 미만)에서 렌즈를 착용했을 때, 눈물층 파괴시간이 더 빠르고 렌즈상의 침전물 부착이 더 많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이러한 침전물에 의해 렌즈 착용감이 감소된다고 하였다. Gellatly등24)은 렌즈에 부착된 침전물이 시 력을 감소시키고, Kotow등25)은 거대유두결막염과 급 성 충혈을 야기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착용감, 건조감 및 선명도가 모든 렌즈 디자인에서 3 점(보통)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고, 충혈도에 있어서 는 4점(대체로 만족)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어 렌즈 사 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시간대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오후가 되면서 착 용감, 건조감과 선명도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여전히 3점(보통)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고, 충혈도 에서는 오전과 오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다른 디자인을 가진 토릭소프 트렌즈의 적응 전과 5일 동안 적응 후의 축안정성, 회전회복정도 및 자각적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 하였다. 결과, 토릭소프트렌즈의 축안정화를 위해서 는 최소 1주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그에 따른 확인 및 2차 피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 다. 렌즈의 회전회복 정도는 3개의 디자인 모두에서 귀쪽 보다 코쪽 방향에서 더 빠른 회전회복을 보였으 며, 적응 후 더욱 빠른 회전 회복을 나타내었고, B렌 즈가 가장 빠른 회전회복을 기록하였다. 시간대별 자 각적 만족도는 3사의 렌즈가 착용감, 건조감, 선명도 및 충혈도에서 보통이상의 점수를 기록하여 착용에 큰 불편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ure

    JMBI-17-4-511_F1.gif

    Subjective responses of comfort.

    JMBI-17-4-511_F2.gif

    Subjective responses of Dryness.

    JMBI-17-4-511_F3.gif

    Subjective responses of Visibility.

    JMBI-17-4-511_F4.gif

    Subjective responses of Redness.

    Table

    Subjects’ biometric data

    Parameters of study lenses

    Evaluation of toric soft contact lens fit in percentage

    Clinical evaluation of initial and follow-up visits in percentage(%)

    Corrected best visual acuity

    Clinical evaluation of re-orientation in degree

    Final subjective evaluation of 3 different lenses in percentage(%)

    Reference

    1. Holden BA :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correcting astigmatism with soft contact lenses. Aust. J. Optom. 58, 279-99, 1975.
    2. Lindsay RG : Troubleshooting toric soft lenses. Contact Lens Spectrum. 2000.
    3. Efron N, Morgan PB, Helland M, Itoi M, Jones D, Nichols JJ, Worp EVD, Woods CA : Soft toric contact lens prescribing in different countries. Cont. Lens Anterior Eye. 34, 36-38, 2011.
    4. Phillips AJ, Speedwell L : Contact lenses, 5th ed., Edinburgh, Butterworth-Heinemann/Elsevier, 2007.
    5. Jurkus J, Tomlinson A, Gilbault DC, McSweeney KB : The effect of fit and parameter changes on soft lens rotation. Am. J. Optom. Physio.l Opt. 56(12), 734-736, 1979.
    6. Edrington TB : A Literature Review: The impact of rotational stabilization methods on toric soft contact lens performance. Cont. Lens Anterior Eye. 34, 104-110, 2011.
    7. Hanks AJ : The watermelon seed principle. Contact Lens Forum. 8(9), 31-5, 1983.
    8. Grant R : Mechanics of toric soft lens stabilization. Journal of The British Contact Lens Association. 9, 44-47, 1986.
    9. Morgan PB, Woods CA, Tranoudis IG, Helland M, Efron N, Jones L, Dávila-Garcia E, Magnelli P, Teufl IM, Grupcheva CN, Jones D, Beeler-Kaupke M, Tan KO, Pesinova A, Pult H, Ravn O, Santodomingo J, Malet F, Plakitsi A, Végh M, Erdinest N, Chande PK, Itoi M, Bendoriene J, Worp EVD, Pintor R, Moroy JL, Chia J, Awasthi S, Lam W, Romualdez-Oo J, Abesamis-Dichoso C, González-Méijome JM, Belousov V, Gierow P, Silih MS, Hsiao J, Nichols JJ :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5. Contact Lens Spectrum. 30, 28-33, 2015.
    10. Young G, McIlraith R, Hunt C : Clinical evaluation of factors affecting soft toric lens orientation. Optom. Vis. Sci. 86(11), E1259-E1266, 2009.
    11. McIlraith R, Young G, Hunt C : Toric lens orientation and visual acuity in non-standard conditions. Cont. Lens Anterior Eye. 33, 23-26, 2010.
    12. Momeni-Moghaddam H, Naroo SA, Askarizadeh F, Tahmasebi F : Comparison of fitting stability of the different soft toric contact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 37(5). 246- 350, 2014.
    13. Zikos GA, Kang SS, Ciuffreda KJ, Selenow A, Ali S, Spencer LW, Robilotto R, Lee M : Rotational stability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during natural viewing conditions. Optom. Vis. Sci. 84(11), 1039-1045, 2007.
    14. Efron N, Morgan PB, Helland M, Itoi M, Jones D, Nichols JJ, Worp EVD, Woods CA :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prescribing around the world. Cont. Lens Anterior Eye. 33, 225-227, 2010.
    15. Wolffsohn JS, Hunt OA, Basra AK. : Simplified recording of soft contact lens fit. Cont. Lens Anterior Eye. 32(1), 37-42, 2009.
    16. Tan J, Papas E, Carnt N, Jalbert I, Skotnitsky C, Shiobara M, Lum E, Holden B : Performance standards for toric soft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84(5, :422-428, 2007.
    17. Kim SY, Kim JM : Clinical evaluation of prism-stabilized toric soft contact lens fit. J. Koran Oph. Opt. Sci. 15(2), 137-144, 2010.
    18. Nilsson SE, Andersson L : Contact lens wear in dry environments. Acta Ophthalmol. 64(2):221-225, 1986.
    19. Lindsay RG, Bruce AS, Brennan NA, Pianta MJ : Determining axis misalignment and power errors of toric soft lenses. Clinical Article. 24, 101-106, 1997.
    20. Kim SY, Lee DY, Lee SW, Kim KK, Song S, Cho HG : Analysis of axis mis-alignment after wearing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J. Koran. Oph. Opt. Sci. 15(3), 213-217, 2010.
    21. Young G, Hunt C, Covey M : Clinical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oric soft contact lens Fit. Optom. Vis. Sci. 79(1), 11-19, 2002.
    22. Scott WL, Rein MJ, Pack LD : Subjective comparison of 2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es: Focus Dailies with AquaRelease and Proclear 1-Day. Optometry. 81(1), 40-46, 2010.
    23. Pritchard N, Fonn D, Brazea : Discontinuation of Contact Lens Wear: A Survey. Clinical Article. 26, 157-162, 2000.
    24. Gellatly KW, Brennan NA, Efron N : Visual decrement with deposit accumulation of HEMA contact lenses. Am J Optom Physiol Opt. 65(12):937-941, 1988
    25. Kotow M, Holden BA, Grant T : The value of regular replacement of low water content contact lenses for extended wear. J Am Optom Assoc. 58(6):461-464,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