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1 pp.9-1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1.9

A Study on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Optical Properties of Sports Sunglasses in Korea

Ji-Hwan Han1),Tae-Hun Kim1),2)
1)Dept. of Visual Optics,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Seoul
2)Dep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Cheonan
E-mail: kth@bu.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Tae-Hun Kim Dept. of Visual Optic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TEL: 041-550-2259, FAX: 041-550-2829
January 8, 2016 February 18, 2016 March 11, 2016

Abstract

Purpose:

The study surveyed current customers sports sunglasses purchasing and wearing habits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study the optical performance to the ocular side effects of wearing sports sunglasses.


Methods:

The study surveyed 147 customers who had been using sports sunglasses. We investigated the customers’ motivations for wearing sunglasses, their vision correction method, purchasing store, brand selection, the awareness of warnings about the use of sports sunglasses, and the ocular side effects. Optical performance was obtained by the lens power, lens parallelism, astigmatism by selecting a 10 products.


Results:

73.5% of the customers wore sports sunglasses for glare reduction, which was the top motivation. 10.2% of them wore them for eye protection, 9.5% for visibility, 2.7% for the aesthetic effect, and 4.1% for other purposes. 43.5% usually purchased their sports sunglasses from online stores, while 25.3% bought them from optical stores, 12.2% from specialized shops for goggles, 10.2% from duty-free shops, and 4.1% from others. 44.5% of the customers who wore sports sunglasses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while 55.5% had not experienced any side effect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sport sunglasses 0.01 D~0.37 D, prismatic power is 0.01 △~0.26 △, longitudinal astigmatism, -0.0098 D~0.1080 D, transverse astigmatism is -0.0084 D~0.1872 D.


Conclusions:

The person feels the visual side effects when wearing sports sunglasses and could feel the visual side-effects through the optical analysis requires a prescription and fitting of opticians.



국내 스포츠 선글라스의 실태조사 및 광학적 성능 연구

한지환1),김태훈1,2)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서울1)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2)

    Ⅰ. 서 론

    현재 국내에서 시력보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인구는 47.0%로 절반가까이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1) 최근 주 5일제 근무 보편화와 문화 산업 발전을 위하여 나 라에서의 대대적인 투자로 인해 문화체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선택의 폭이 넓어져 문화체육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여2) 레저 스포츠 산업이 발달하고 레저 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3) 특 히,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증가로 인해 야외 활동 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바람, 먼지, 자외선 차단을 위한 레저스포츠와 아웃도어 관련 물품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4) 이에 따라 안경 산업에서는 넓은 시 야와 자외선, 바람, 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안면부를 가리는 스포츠 선글라스 제품이 다양한 브랜드 별로 출시가 되고 있다.5) 그러나 스포츠 선글라스는 보통 안경과 비교하여 렌즈의 곡률이 크고, 전면 후면의 곡 률 반경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큰 안면각과 경사각으 로 인해 수차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시력교정을 위해 렌즈에 굴절력을 추가하게 되면 굴절력이 높은 렌즈 를 사용할수록 여러 수차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6-7)

    현재 스포츠 선글라스는 공산품 분류되어 있어 안 경원 뿐만 아니라 온라인매장이나 스포츠 선글라스 전문매장에서 안경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판매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포츠 선글라스의 광학적 인 성능 및 피팅보다는 디자인을 중점으로 판매를 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스포츠 선글라스의 피 팅이 맞지 않아 눈과 귀의 압박감과 안정피로, 안경 흘림으로 인해 피팅을 원하여 안경원을 방문하는 사 람이 많은 실정이다.8)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선글라스의 구매와 사 용실태를 조사하고, 스포츠 선글라스의 시각적 부작 용과 여러 가지 수차를 측정하여 광학적 성능을 평가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스포츠 선글라스 실태조사는 스포츠 선글라스를 착용 하는 147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2015년 9월 14일까지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통계 분석으로는 SPSS 18 Version(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 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검정(independent T-test),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 준은 p<0.05 이하로 하였다. 스포츠 선글라스 광학적 분 석을 위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을 무작위로 10 종류를 선정하여 비점수차, 굴절력 허용오차, 렌즈평행 도를 비교하였다.

    비점수차는 Shamir사의 Panorameter를 사용하여 경사각을 측정하여 종 방향의 비점수차와 스포츠 선 글라스의 전면부분인 안면각을 측정하여 횡 방향의 비점수차를 마틴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굴절력 허용오차 측정은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렌즈미터(모델명, TOPCON사) CL-200을 사용 하여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0.01 D 단위로 스 포츠 선글라스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식품의 약품안전처의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시험방법 가이드 라인을 측정 기준을 사용하였다. 렌즈 평행도 허용오 차 측정은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렌즈미터(모 델명, TOPCON사) CL-200을 사용하여 ISO 8990-1 6.2에 의한 0.01 D 단위로 스포츠 선글라스 렌즈의 기하광학 중심점에서 프리즘양을 측정하였으며 식품 의약품안전처의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시험방법 가이 드 라인을 측정 기준을 사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스포츠 선글라스의 실태조사

    스포츠 선글라스의 사용목적으로는 눈부심 방지 (73.5%)가 가장 많았으며 얼굴보호(10.2%), 시야확보 (9.5%), 미적효과(2.7%)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이 등의 연구에서는8) 선글라 스의 사용목적으로 눈부심 방지와 미적효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와 차이가 나타났다. 차 이가 나타난 이유로는 기존 연구에서 선글라스와 고 글을 같은 제품으로 묶어 설문조사를 하여 차이가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스포츠 선글라스 시력교정 방법으로는 시력교정하 지 않는다. (50.3%)가 가장 많았으며 일체형(16.3%), 클립형(15%), 콘택트렌즈(14.3%) 순으로 조사되었으 며, 스포츠 선글라스 구입 장소로는 온라인매장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안경원(29.3%), 스 포츠선글라스 전문매장(12.2%). 면세점(10.2%) 순으 로 나타났다. 장 등9)의 연구에 의하면 안경이 안보건 기구에 들어가야 한다는 응답이 75% 이상으로 나타 나 일반 소비자들도 안경이 단순히 미적 도구뿐만 아 니라 안보건기구로써 안경전문가들에 의해 판매가 되 어야 한다는 것으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스포츠 선글라스가 공산품으로 규정되어 면세점 및 온라인 판매가 되면서 안경원에서 구입하 는 소비자는 많지 않았다.

    스포츠 선글라스 구매 시 스포츠선글라스에 대한 주의사항을 판매자에게 들었다는 소비자는 40.4%로 듣지 못했다는 사람(59.6%)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선 행연구에서 구매 장소에 따라 제품 구입 시 주의사항 을 들었다는 비율은 다르게 나타났다(Fig. 2). 안경원 과 다른 매장들과 비교한 설문조사에서는 안경원에서 제품 구입 시 판매자에게 주의사항을 들었다는 비율 (53.5%)은 판매자에게 듣지 않았다는 비율(34.9%)보 다 높게 나타났다(p=0.037).

    이 등8)의 연구에서는 판매자의 안경지식이 도움이 되지않았다라는 의견이 절반이 넘었으며 소비자가 느 낀 판매자의 안경지식에 대해서도 전문적이지 않다라 는 의견이 약 30%로 나타나 현장 판매자들의 안경지 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신뢰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포츠 선글라스 착용 시 부작용을 알고 있지 못하는 사람은 53.5%로 조사되었으며 부작용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실제 스포츠 선글라 스 착용 시 부작용을 느끼는 사람은 44.5%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 등8)의 연구에서 고글 및 선글라스 구매 후 불편사항으로 안경원 방문 비율(42.3%)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 교정 방법에 따른 부작용 호소에 대한 응답으로는 일체형과 58.3%, 클립형 68.2%로 부작용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지만 콘택트렌 즈로 교정 했을 때는 33.3%로 부작용을 호소비율이 상 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를 착 용하는 동안 부작용을 느끼는 증상의 강도에 대하여 5 점 척도(1점-매우 그렇지 않다, 5점-매우 그렇다)로 응답 하게 한 후, 5점 만점 평점을 계산한 결과, 어지러 움(3.43±1.16), 위화감(3.33±1.19), 휘어보임(3.21 ±1.04), 흐려보임(3.02±1.15) 순으로 나타났다.

    2. 스포츠 선글라스의 광학적 성능

    국내외 스포츠 선글라스 10개 종류를 무작위로 선 정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굴절력 측정범위는 중 심부와 중심부 10 mm 벗어난 주변부를 수평 수직과 좌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굴절력 측정결과, 오른쪽 중심부 수평 굴절력은 -0.01~-0.17 D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왼쪽 수평 굴절 력은 -0.02~-0.09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오른쪽 주 변부 수평 굴절력은 –0.01~-0.22 D 범위로 측정되었 으며, 왼쪽 주변부 수평 굴절력은 –0.03~-0.12 D 범 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수직굴절력 측정 결과, 오른 쪽 중심부 수직 굴절력은 0.04~-0.12 D 범위로 측정 되었으며, 왼쪽 중심부 수직 굴절력은 0.01~-0.09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오른쪽 주변부 수직 굴절력은 – 0.02~-0.22 D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왼쪽 주변부 수 직 굴절력은 0.02~-0.12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 몇몇 제품은 식약처에서 제시한 ±0.12 D의 범위 에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즘 굴절력 측정결과, 중심부 수평 프리즘 굴절 력은 0.03~0.26 △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중심부 수 직 프리즘굴절력은 0.01~0.26 △ 범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주변부 수평 프리즘 굴절력은 0.01~0.18 △ 범 위로 측정되었으며, 주변부 수직 프리즘 굴절력은 0.01~0.31 △ 범위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수평 프 리즘 굴절력 보다 수직 프리즘 굴절력이 높게 측정되 었다. 우리 눈은 수직 프리즘에 안정피로를 더 유발하 여 프리즘에 대한 시각적 부작용을 초례하기 때문에7)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스포츠 선글라스와 비슷한 커 브를 가진 선글라스에 대한 임 등10)의 연구에서도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굴절력과 프리즘 굴절력이 나타 나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중심부와 주변부 를 포함한 정점굴절력과 프리즘 굴절력 측정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안면각과 경사각을 이용하여 각각 중심부와 주변부, 수평 수직과 좌우의 비점수차를 구하였으며 안면각에 의한 중심부의 비점수차는 -0.01676~0.16987 D의 범 위로 측정되었으며 주변부의 비점수차는 -0.00838~ 0.18720 D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경사각에 의한 중심 부 비점수차는 -0.00294~0.09301 D의 범위로 측정 되었으며 주변부 비점수차는 -0.00982~0.10802 D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중심부와 주변부 비점수차 측정 결과를 Table2에 나타내었다.

    스포츠 선글라스 안면각은 14~24°로 다른 안경테 에 비해 비교적 크지만 안면각과 비점수차량의 상관계 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976). 그러 나 측정 렌즈 굴절력값이 증가할수록 비점수차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1)(Fig. 3). 스포츠 선글 라스 경사각은 다른 안경테와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며,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중심부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p=0.033)(Fig. 4), 굴절력이 증가할수 록 비점수차량이 증가하는 것 나타나 서 등6)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Fig. 5).

    Ⅳ. 결 론

    스포츠 선글라스 구매자의 절반정도(43.5%)가 온 라인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선글라스 착용 시 부작용을 느끼는 소비자가 있지만 판매자에게 기본적인 스포츠 선글라스의 주의사항을 듣지 못했다는 구매자는 약 60%로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의 수차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시각적 부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비점수차가 발생하였다. 그리 고 렌즈 굴절력은 많게는 0.22 D까지 나타났으며 렌 즈 평행도는 수평은 0.26 △, 수직은 0.33 △까지 나 타나 수직프리즘이 더 많이 측정되었다. 이처럼 스포 츠 선글라스는 기존 안경보다 더 많은 수차로 인해 시각적 부작용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지만 온라인 매 장과 백화점과 같은 전문적이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 는 판매자에게 구매하고 있어 국민들의 안보건을 문 제를 야기할 수 있다. 선글라스와 더불어 스포츠 선 글라스의 시각적 부작용에 대한 홍보와 판매자들의 전문지식 습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안경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JMBI-18-1-9_F1.gif

    Motivations for wearing sports sunglasses

    JMBI-18-1-9_F2.gif

    The awareness of warnings about the use of sports sunglasses according to purchasing store

    JMBI-18-1-9_F3.gif

    Scatterplot and correlation of diopter and transverse astigmatic aberration

    JMBI-18-1-9_F4.gif

    Scatterplot and correlation of pantoscopic and longitudinal astigmatic aberration

    JMBI-18-1-9_F5.gif

    Scatterplot and correlation of diopter and longitudinal astigmatic aberration

    Table

    Vertex diopter and prism diopter of sports sunglasses

    Astigmatic aberration for FFA(Face firm angle) and pantoscopic angle

    Reference

    1.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National glasses utilization, 2011, Available at http://www.gallup.co.kr. Accessed June 5, 2015.
    2. MCST(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Available at http://www.mcst.go.kr/web/s_policy/plan/budget/budget01.jsp. Accessed June 5, 2015.
    3.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2014, Available at http://panel.gallup.co.kr/Contents/GallupReport/한국갤럽GallupReport(20150224)_한국인이좋아하는취미문화(2004-2014).pdf. Accessed September 14, 2015.
    4. GRI(경기연구원): 증가하는 레저수요, 침체된 레 저•스포츠산업, 2014, Available at http://www.gri.re.kr/?type2=&s=%EC%8A%A4%ED%8F%AC%EC%B8%A0+%EC%82%B0%EC%97%85&sc=title. Accessed June 5, 2015.
    5. Kim H, Oh HK: The design of sports goggles for glasses wearers. J Korea Design Forum 17, 115-124, 2007
    6. Seo JK, Cho YN et al.: A study on the spherical aberration and astigmatism of sports sunglass. Korean J Vis Sci. 15(2), 101-111, 2013.
    7. Sung PJ: Optometric dispensing, 3rd Ed., Seoul, Daihakseolim, pp. 310-311, 387, 2007.
    8. Lee JM, Jo RH, Jang WY. Study and Research of Seller’s Optical Knowledge About Sale of Goggle or Sun-glasses. J Korean Oph Opt Soc. 14(4), 1-10, 2009.
    9. Jang WY, Park JS, Lee JY. Status Analysis on the Optical Frame Distribution System and Study on the Reform Measures for Optical Shop. J Korea Soc Hygienic Sciences 14(1), 139-148, 2008.
    10. Lim YM, Shim MS et al.: Properties of Sunglass Lenses by Non-Destructive Test for the Sunglass Standards. J Korean Oph Opt Soc. 6(1), 125-13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