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현재 국내에서 시력보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인구는 47.0%로 절반가까이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1) 최근 주 5일제 근무 보편화와 문화 산업 발전을 위하여 나 라에서의 대대적인 투자로 인해 문화체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선택의 폭이 넓어져 문화체육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여2) 레저 스포츠 산업이 발달하고 레저 와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3) 특 히,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증가로 인해 야외 활동 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바람, 먼지, 자외선 차단을 위한 레저스포츠와 아웃도어 관련 물품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4) 이에 따라 안경 산업에서는 넓은 시 야와 자외선, 바람, 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안면부를 가리는 스포츠 선글라스 제품이 다양한 브랜드 별로 출시가 되고 있다.5) 그러나 스포츠 선글라스는 보통 안경과 비교하여 렌즈의 곡률이 크고, 전면 후면의 곡 률 반경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큰 안면각과 경사각으 로 인해 수차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시력교정을 위해 렌즈에 굴절력을 추가하게 되면 굴절력이 높은 렌즈 를 사용할수록 여러 수차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6-7)
현재 스포츠 선글라스는 공산품 분류되어 있어 안 경원 뿐만 아니라 온라인매장이나 스포츠 선글라스 전문매장에서 안경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판매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스포츠 선글라스의 광학적 인 성능 및 피팅보다는 디자인을 중점으로 판매를 하 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스포츠 선글라스의 피 팅이 맞지 않아 눈과 귀의 압박감과 안정피로, 안경 흘림으로 인해 피팅을 원하여 안경원을 방문하는 사 람이 많은 실정이다.8)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스포츠 선글라스의 구매와 사 용실태를 조사하고, 스포츠 선글라스의 시각적 부작 용과 여러 가지 수차를 측정하여 광학적 성능을 평가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스포츠 선글라스 실태조사는 스포츠 선글라스를 착용 하는 147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2015년 9월 14일까지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통계 분석으로는 SPSS 18 Version(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 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검정(independent T-test),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 준은 p<0.05 이하로 하였다. 스포츠 선글라스 광학적 분 석을 위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을 무작위로 10 종류를 선정하여 비점수차, 굴절력 허용오차, 렌즈평행 도를 비교하였다.
비점수차는 Shamir사의 Panorameter를 사용하여 경사각을 측정하여 종 방향의 비점수차와 스포츠 선 글라스의 전면부분인 안면각을 측정하여 횡 방향의 비점수차를 마틴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굴절력 허용오차 측정은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렌즈미터(모델명, TOPCON사) CL-200을 사용 하여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0.01 D 단위로 스 포츠 선글라스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식품의 약품안전처의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시험방법 가이드 라인을 측정 기준을 사용하였다. 렌즈 평행도 허용오 차 측정은 KS G ISO 12311:2014에 의한 렌즈미터(모 델명, TOPCON사) CL-200을 사용하여 ISO 8990-1 6.2에 의한 0.01 D 단위로 스포츠 선글라스 렌즈의 기하광학 중심점에서 프리즘양을 측정하였으며 식품 의약품안전처의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시험방법 가이 드 라인을 측정 기준을 사용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스포츠 선글라스의 실태조사
스포츠 선글라스의 사용목적으로는 눈부심 방지 (73.5%)가 가장 많았으며 얼굴보호(10.2%), 시야확보 (9.5%), 미적효과(2.7%)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 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이 등의 연구에서는8) 선글라 스의 사용목적으로 눈부심 방지와 미적효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와 차이가 나타났다. 차 이가 나타난 이유로는 기존 연구에서 선글라스와 고 글을 같은 제품으로 묶어 설문조사를 하여 차이가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스포츠 선글라스 시력교정 방법으로는 시력교정하 지 않는다. (50.3%)가 가장 많았으며 일체형(16.3%), 클립형(15%), 콘택트렌즈(14.3%) 순으로 조사되었으 며, 스포츠 선글라스 구입 장소로는 온라인매장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안경원(29.3%), 스 포츠선글라스 전문매장(12.2%). 면세점(10.2%) 순으 로 나타났다. 장 등9)의 연구에 의하면 안경이 안보건 기구에 들어가야 한다는 응답이 75% 이상으로 나타 나 일반 소비자들도 안경이 단순히 미적 도구뿐만 아 니라 안보건기구로써 안경전문가들에 의해 판매가 되 어야 한다는 것으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스포츠 선글라스가 공산품으로 규정되어 면세점 및 온라인 판매가 되면서 안경원에서 구입하 는 소비자는 많지 않았다.
스포츠 선글라스 구매 시 스포츠선글라스에 대한 주의사항을 판매자에게 들었다는 소비자는 40.4%로 듣지 못했다는 사람(59.6%)보다 적게 나타났으며, 선 행연구에서 구매 장소에 따라 제품 구입 시 주의사항 을 들었다는 비율은 다르게 나타났다(Fig. 2). 안경원 과 다른 매장들과 비교한 설문조사에서는 안경원에서 제품 구입 시 판매자에게 주의사항을 들었다는 비율 (53.5%)은 판매자에게 듣지 않았다는 비율(34.9%)보 다 높게 나타났다(p=0.037).
이 등8)의 연구에서는 판매자의 안경지식이 도움이 되지않았다라는 의견이 절반이 넘었으며 소비자가 느 낀 판매자의 안경지식에 대해서도 전문적이지 않다라 는 의견이 약 30%로 나타나 현장 판매자들의 안경지 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신뢰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포츠 선글라스 착용 시 부작용을 알고 있지 못하는 사람은 53.5%로 조사되었으며 부작용에 대하여 알고 있는 사람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실제 스포츠 선글라 스 착용 시 부작용을 느끼는 사람은 44.5%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 등8)의 연구에서 고글 및 선글라스 구매 후 불편사항으로 안경원 방문 비율(42.3%)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 교정 방법에 따른 부작용 호소에 대한 응답으로는 일체형과 58.3%, 클립형 68.2%로 부작용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지만 콘택트렌 즈로 교정 했을 때는 33.3%로 부작용을 호소비율이 상 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를 착 용하는 동안 부작용을 느끼는 증상의 강도에 대하여 5 점 척도(1점-매우 그렇지 않다, 5점-매우 그렇다)로 응답 하게 한 후, 5점 만점 평점을 계산한 결과, 어지러 움(3.43±1.16), 위화감(3.33±1.19), 휘어보임(3.21 ±1.04), 흐려보임(3.02±1.15) 순으로 나타났다.
2. 스포츠 선글라스의 광학적 성능
국내외 스포츠 선글라스 10개 종류를 무작위로 선 정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굴절력 측정범위는 중 심부와 중심부 10 mm 벗어난 주변부를 수평 수직과 좌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굴절력 측정결과, 오른쪽 중심부 수평 굴절력은 -0.01~-0.17 D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왼쪽 수평 굴절 력은 -0.02~-0.09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오른쪽 주 변부 수평 굴절력은 –0.01~-0.22 D 범위로 측정되었 으며, 왼쪽 주변부 수평 굴절력은 –0.03~-0.12 D 범 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수직굴절력 측정 결과, 오른 쪽 중심부 수직 굴절력은 0.04~-0.12 D 범위로 측정 되었으며, 왼쪽 중심부 수직 굴절력은 0.01~-0.09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오른쪽 주변부 수직 굴절력은 – 0.02~-0.22 D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왼쪽 주변부 수 직 굴절력은 0.02~-0.12 D 범위로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 몇몇 제품은 식약처에서 제시한 ±0.12 D의 범위 에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즘 굴절력 측정결과, 중심부 수평 프리즘 굴절 력은 0.03~0.26 △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중심부 수 직 프리즘굴절력은 0.01~0.26 △ 범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주변부 수평 프리즘 굴절력은 0.01~0.18 △ 범 위로 측정되었으며, 주변부 수직 프리즘 굴절력은 0.01~0.31 △ 범위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으로 수평 프 리즘 굴절력 보다 수직 프리즘 굴절력이 높게 측정되 었다. 우리 눈은 수직 프리즘에 안정피로를 더 유발하 여 프리즘에 대한 시각적 부작용을 초례하기 때문에7)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스포츠 선글라스와 비슷한 커 브를 가진 선글라스에 대한 임 등10)의 연구에서도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굴절력과 프리즘 굴절력이 나타 나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중심부와 주변부 를 포함한 정점굴절력과 프리즘 굴절력 측정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안면각과 경사각을 이용하여 각각 중심부와 주변부, 수평 수직과 좌우의 비점수차를 구하였으며 안면각에 의한 중심부의 비점수차는 -0.01676~0.16987 D의 범 위로 측정되었으며 주변부의 비점수차는 -0.00838~ 0.18720 D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경사각에 의한 중심 부 비점수차는 -0.00294~0.09301 D의 범위로 측정 되었으며 주변부 비점수차는 -0.00982~0.10802 D의 범위로 측정되었다. 중심부와 주변부 비점수차 측정 결과를 Table2에 나타내었다.
스포츠 선글라스 안면각은 14~24°로 다른 안경테 에 비해 비교적 크지만 안면각과 비점수차량의 상관계 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976). 그러 나 측정 렌즈 굴절력값이 증가할수록 비점수차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1)(Fig. 3). 스포츠 선글 라스 경사각은 다른 안경테와 비슷하게 측정되었으며,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중심부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p=0.033)(Fig. 4), 굴절력이 증가할수 록 비점수차량이 증가하는 것 나타나 서 등6)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p<0.001)(Fig. 5).
Ⅳ. 결 론
스포츠 선글라스 구매자의 절반정도(43.5%)가 온 라인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선글라스 착용 시 부작용을 느끼는 소비자가 있지만 판매자에게 기본적인 스포츠 선글라스의 주의사항을 듣지 못했다는 구매자는 약 60%로 나타났다. 스포츠 선글라스의 수차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시각적 부 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비점수차가 발생하였다. 그리 고 렌즈 굴절력은 많게는 0.22 D까지 나타났으며 렌 즈 평행도는 수평은 0.26 △, 수직은 0.33 △까지 나 타나 수직프리즘이 더 많이 측정되었다. 이처럼 스포 츠 선글라스는 기존 안경보다 더 많은 수차로 인해 시각적 부작용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지만 온라인 매 장과 백화점과 같은 전문적이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 는 판매자에게 구매하고 있어 국민들의 안보건을 문 제를 야기할 수 있다. 선글라스와 더불어 스포츠 선 글라스의 시각적 부작용에 대한 홍보와 판매자들의 전문지식 습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안경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