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1 pp.65-7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1.65

Study of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Se-Jin Kim1), Ki-Hun Ye1), Kyung-Hee Hong2)
1)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2)Korea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ung-Hee Hong Korea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TEL: +82-010-7127-2253
January 17, 2016 February 15, 2016 March 11, 2016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ademic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cademic stress on the academic emotions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academic emotions.


Method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92 copies of a survey 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motions conducted with students enrolled in a three-year course of the Dept. of Optometry. For academic stres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risk group (>130 points), a potential-risk group(80-129 points) and a health group(< 80 points)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academic stress, and statistical software, SPSS18.0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academic stress, test stress was 3.05; study stress, 2.78; class stress, 2.69; and school record stress, 2.61. Of them, test stres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negative emotions in academic emotions, boredom was 3.18; anger, 2.61; and anxiety, 3.11 while of positive emotions, pleasure was 2.87; hope, 3.22; and pride, 3.25. Boredom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negative emotions while pride showed the highest academic emotion of positive emotions.


Conclusions:

Students in the Dept. of Optometry had the highest test stress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academic emotion in boredom and pride. The high-risk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est stress in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the highest value of boredom, anger and anxiety in negative emotions while i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hope in positive emotions,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the higher their negative emotion became, so it is judged that guidance and interest in college life at their eye level would be needed.



안경광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세진1),예기훈1),홍경희2)*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1)
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2)

    Ⅰ. 서 론

    인간은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인지적 기능 의 변화와 신체적 기능변화 등의 기능이 발생되며, 특히 현대인에게서 스트레스는 두통, 위장병, 심장질 환, 고혈압, 당뇨 등의 신체적인 질환을 유발시키거 나 우울, 불안, 초조, 긴장, 분노 등의 심리적인 불안 요소를 유발시키며, 또다시 다른 여러 합병증을 일으 키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

    그 중 대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2008년에는 46.1%에서 2012년에는 69.2%로 23.0% 급증하였으 며, 19~29세 청소년들의 스트레스가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다.2) 또한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2012년에 청소년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며, 자살의 원인 중 학업에 의한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3) 이는 학업적인 스트레스가 심리적인 감정의 불안으로 이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대학생은 청소년과 성인의 과도기이며, 청소년 시 절의 학업적인 스트레스를 극복한 성인이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자율, 책임,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인간관 계 및 이성문제, 경제문제 그리고 새롭고 낯선 환경 적인 변화는 많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대학생들은 심리적으로 자유로움으로 인한 긍정적인 면과 모든 일에 대해 자기 자신이 책임져야 함에 따 른 심리적 불안과 압박으로 인한 부정적인 면을 동시 에 느끼게 된다.

    4)의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느끼는 스트레스가 학업, 진로, 인간관계, 건강, 취업, 대인 관계 등에서 느끼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박5)의 연 구에서는 장래 문제, 가치관 문제, 학업 등에 스트레 스는 느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조6)의 연구에서는 인문계열, 자연계열, 예술계열의 계열별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인문계열은 대인관계에서, 자연계열은 학업스트레스에서, 예술계열은 가족적 스트레스가 가 장 높은 스트레스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많은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대학생들의 학 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청소년 시절 못지않게 많은 압 박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학생의 학업은 취업과 진 로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이고, 앞으로의 삶과 관 계된 것으로 이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과 스트레스가 매우 크며 그 중에서도 학업스트레스는 매우 큰 영향 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학 업정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업정서와의 관계와 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

    안경광학과는 타 계열 전공과는 달리 이론뿐만 아 니라 이론을 기초로 한 실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 점관리 및 안경사 면허 국가고시의 합격에 대한 부담 으로 학업스트레스가 매우 크며, 이는 심리적으로 학 업정서에도 매우 큰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에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실 태를 파악하고, 학업정서의 심리적인 감정 분석을 통 해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민 안보건을 책임지는 미 래의 안경사가 될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좀 더 이해하 고, 대학생활 지도에 활용 및 교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Ⅱ.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3년제 대학의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 으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에 대해 2014년 12월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일부이다. 학생 스스로 기입하는 자기평가 기입법에 의해 작성하였으며, 총 195부를 배 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3부를 제외한 192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은 p < 0.05를 기 준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학년, 그리고 학 업성취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그룹의 상위권 학점은 4.0이상, 중간인 그룹의 중위권 학점은 3.9~3.0, 낮은 그룹의 하위권 학점은 2.9이하 인 학생들로 분류하였다. 학업스트레스는 이2)의 연구 에서 적용한 척도 중 학업스트레스는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그리고 공부스트레스의 4개의 척도로 나누어 사용하였으며, 학업정서는 부정 정서(지루함, 분노, 불안)와 긍정정서(즐거움, 희망, 긍지)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학업스트레스는 고 위험집단( >130점), 잠재위험집단(80~129점), 건강집 단(<80점)으로 분류하여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분 석하였다. 모든 설문의 점수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채점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각 하위요인별 문항구성과 신 뢰도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Cronbach’s α는 측정 문항 간의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도구들 에 관한 정확성이나 정밀성의 신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2)의 연구 신뢰도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Ⅲ.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 설문에 응한 대상자를 성별, 학년, 그리고 학업성취도 정도로 분류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전체 대상자는 192명 그 중 남학생 125명 65.1%, 여학생 67명 34.9%를, 1학년 67명 34.9%, 2학년 38.0%, 3학년 52명 27.1%를, 학 업성취도 상위권 21명 10.8%, 중위권 93명 48.4%, 그리고 하위권 78명 40.6%를 나타내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를 Table 3에 나타 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 등7)과 김8)의 연구에 의하면 대학 생들이 겪는 가장 큰 고민으로 학업문제와 진로문제를 지적하고 있으며, 심9)의 연구에서도 대학생들의 스트 레스 요인 중 장래문제, 학업문제, 가치관 문제, 경제 문제, 교수와의 관계 순으로 스트레스 수치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 스트레스가 3.05±0.63, 공부스트레스 2.78±0.59, 수업스트레스 2.69±0.53, 그리고 성적스트레스 2.61 ±0.70순으로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 내었다. 이는 이2)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공부스트레스 를 제외한 나머지 3영역의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은 결 과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남학생의 성적스트레 스가 2.61±0.72 여학생은 2.61±0.66이었고, 시험스 트레스는 남녀 각각 2.98±0.65와 3.18±0.56, 수업스 트레스는 2.66±0.56과 2.75±0.46, 그리고 공부스트 레스는 2.75±0.62와 2.82±0.54를 나타내었다. 성별 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스트레스에서 남학생보 다 여학생의 스트레스가 다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는 정 등10)의 연 구에서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과 같은 연구 결과 를 나타내었다.

    학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1학년의 성적스트레스 는 2.59±0.74, 2학년은 2.58±0.67을, 그리고 3학년 은 2.68±0.69를 나타내었고, 시험스트레스는 1학년 이 2.94±0.53, 2학년이 3.10±0.64, 그리고 3학년이 3.12±0.70을 나타내었다. 수업스트레스는 1학년이 2.75±0.45, 2학년이 2.64±0.52, 그리고 3학년 2.67±0.62를 나타내었으며, 공부스트레스는 1학년이 2.76±0.52, 2학년이 2.77±0.63, 그리고 3학년이 2.81±0.63을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학년이 높아 갈수록 다소 높은 학업스트 레스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는 정 등10)의 연구에서 재학생이 신입생보다 다소 높은 스트레스를 보이는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 는 것으로 안경광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년이 높아질수록 진로문제와 연관되어 점차 가중되는 것으 로 볼 수 있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중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의 성적스트레스는 2.13±0.74, 중간인 학생 은 2.50±0.72, 그리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2.87±0.56을 나타내었고, 시험스트레스는 학업성취 도가 높은 학생, 중간, 낮은 학생이 각각 2.90±0.46, 2.97±0.69, 3.18±0.56을 나타내었다. 수업스트레스 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 중간, 낮은 학생이 각각 2.54±0.53, 2.62±0.63, 2.80±0.36이었으며, 공부 스트레스는 2.60±0.56, 2.70±0.65, 2.91±0.49를 나타내었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모든 영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 p=0.05, p=0.04, 그리고 p=0.03). 정 등10)의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아 학업성 취도 정도와 상관없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 학 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학과 와 달리 안경광학과의 특성상 안경사 면허 국가고시의 합격에 따라 직업이 크게 결정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학 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에 더 많은 영 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정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정서를 Table 4에 나타내 었다. 학업정서를 부정정서와 긍정정서로 나누고, 부 정정서를 지루함, 분노, 불안 3개의 하위영역으로 긍 정정서를 즐거움, 희망, 긍지 3개의 하위영역으로 분 류하였다.11,12)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업정서를 살펴 보면 남학생은 부정정서 중 지루함이 3.21±0.59, 긍 정정서 중에서는 긍지가 3.33±0.62로 높았으며, 여 학생은 부정정서 중 불안이 3.23±0.69, 긍정정서 중 에서는 긍지가 3.38±0.62로 높았다. 남학생과 여학 생 모두 긍정정서에서 긍지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학년에 따른 학업정서는 저학년 보다는 고학년에서 부정정서와 긍정정서 대부분의 항목에서 다소 높았으 며, 학업성취도에 따른 학업정서는 학업성취도가 낮 은 학생들이 부정정서와 긍정정서 대부분에서 다소 높 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김 등13)의 연구에 따르면 학업 정서가 간접적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지도할 시 상담을 통해 학생들이 갖고 있는 부정정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줄여 나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학업정서 중 부정정서의 하위항목은 지루함이 3.18 ±0.61, 분노 2.61±0.79, 불안 3.11±0.68을, 그리고 긍정정서의 하위항목은 즐거움이 2.87±0.58, 희망 3.22±0.67, 긍지 3.25±0.64를 각각 나타내었다. 안 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업정서 중 부정정서의 지루함 (3.18±0.61)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 공 학업에 대한 흥미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경 광학 전공은 문과 보다는 이과와 관련된 물리, 화학, 생물, 수학 등의 학문이 복합된 응용 학문이며 정확한 정답을 요하는 학문으로 학생들에게는 딱딱한 학업이 되기 쉽다.14) 이러한 이유로 전공에 대한 흥미가 떨어 지고 부정정서 중 지루함과 불안이 높은 결과를 나타 내었다. 전공에 대한 부정정서를 줄이기 위해서는 학 생들의 전공인식도와 학업수준을 파악한 후, 그 눈높 이에 맞추어 전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15) 또한 긍정정서에 서는 긍지(3.25±0.64)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 었다. 이는 학생들이 스스로가 느끼기에 다소 복합적 이고 어려운 학문을 배우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극복하 고 최선을 다해 이겨내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스스로 의 잠재된 능력을 믿음으로써 갖게 되는 당당함 즉, 긍지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하위영역별 기술통계

    1) 학업스트레스 하위영역

    학업스트레스를 고위험집단( >130점), 잠재위험집 단(80~129점), 건강집단(< 80점)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의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고위험집단의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공부스 트레스는 각각 3.32±0.50, 3.64±0.42, 3.15±0.45, 3.32±0.46을 나타내었고, 잠재위험 집단의 학업스트 레스는 각각 2.56±0.44, 3.03±0.31, 2.68±0.28, 2.78±0.30으로 나타내었다. 건강집단의 학업스트레 스는 각각 1.97±0.36, 2.47±0.47, 2.24±0.39, 2.24±0.41을 나타내었다. 이2)의 연구에서 학업스트 레스의 하위영역 4개 중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 며, 본 연구에서도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업스트레스를 분류한 3개의 집단 모두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안경 광학 학생들이 학업스트레스가 적은 집단이든 많은 집 단이든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 사대상자인 학생들 대부분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학문 을 배우는 전공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로 볼 수 있는 시 험에 대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하위영역 의 차이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 수준 (고위험 집단, 잠재위험 집단, 그리고 건강 집단)에 대한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의 모 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성적스트 레스 p=0.00, 시험스트레스 p=0.00, 수업스트레스 p=0.00, 공부스트레스 p=0.00).

    2) 학업정서 하위영역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정서 하위요인(부정정 서와 긍정정서)의 기술적 통계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학업정서의 부정정서 총점은 학업스트레스의 고위험집 단, 잠재위험집단, 건강집단 순으로 각각 3.29±0.49, 2.94±0.46, 2.67±0.54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 리고 학업정서의 긍정정서 총점은 고위험집단, 건강집단, 잠재위험집단 순으로 각각 3.25±0.51, 3.17±0.54, 3.02±0.49를 나타내었다. 이는 이2)의 연구와 같은 결과 이다. 특히 학업스트레스의 고위험집단은 부정정서의 지루함, 분노, 그리고 불안 모든 영역에서 각각 3.44± 0.48, 2.99±0.79, 그리고 3.45±0.61로 가장 높은 수치 를 나타내다. 이는 윤16)의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일수록 부정정인 정서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결과 와 같으며 학업스트레스가 많을수록 부정적인 정서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업스트레스의 고위 험집단은 긍정 정서의 즐거움, 희망, 그리고 긍지 모든 영역에서 각각 2.96±0.65, 3.31±0.63, 그리고 3.47± 0.59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희망이란 앞일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가지고 바라는 것으로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크지만 앞으로의 삶에 대해서는 좋은 일, 미래, 꿈, 성공 등의 졸업 후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정서 하위영역 분산 분석결과를 Table 8에 나타내었다. 부정정서 전체와 긍정정서 전체 모두 학업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정서에 영 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부정정서 p=0.00과 긍정 정서 p=0.04). 이와 같은 결과는 이2)의 연구 결과와 같았다. 또한, 부정정서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지루함 p=0.00, 분노 p=0.00, 그리고 불안 p=0.00), 긍정정서의 하위 영역에서는 희 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4).

    3.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상관분석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의 상관분석 결과를 Table 9에 나타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부정정서의 하위영 역 중 불안을 제외하고 학업정서와 정적 상관을 나타 내어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정정서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정서 중 긍정정서에서 긍지정서에서만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 다. 이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학업스트레스가 많을 수록 부정적인 정서가 늘어나지만 결국에는 학업의 어 려움을 극복하고 최선을 다하는 스스로의 모습에 긍지 를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업스트레스와 가장 상관이 높은 변인은 부정정서 전체(r=.48, p<0.01)이었고, 학업정서의 하위영역에 서는 분노(r=.40, p<0.01)이었다. 학업스트레스의 하 위영역은 모두 부정정서와 정적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 며, 성적스트레스는 부정정서 중 분노, 시험스트레스 와 수업스트레스는 불안과 공부스트레스는 지루함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Ⅳ. 결 론

    1. 학업스트레스 중 시험 스트레스가 3.05±0.63, 공부 스트레스 2.78±0.59, 수업스트레스 2.69±0.53, 그리고 성적스트레스 2.61±0.70순으로 시험스트 레스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2. 학업정서 부정정서 중 지루함 3.18±0.61, 분노 2.61±0.79, 불안 3.11±0.68을, 그리고 긍정정 서 중 즐거움 2.87±0.58, 희망 3.22±0.67, 긍 지 3.25±0.64를 각각 나타내어 부정정서에서는 지루함이, 긍정정서에서는 긍지가 각각 가장 높은 학업정서를 나타내었다.

    3. 학업스트레스 수준(고위험 집단, 잠재위험 집단, 건강집단)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하위영역(성적스 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그리고 공 부스트레스)에서 모든 집단에서 시험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스트레스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하 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153.10 과 p<0.05, F=133.00과 p<0.05, F=91.85와 p<0.05, 그리고 F=120.57과 p<0.05).

    4. 학업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학업정서 하위요인에서 학업정서 부정정서의 지루함, 분노, 그리고 불안 모두 에서 고위험 집단이 3.44±0.48, 2.99±0.79, 그리 고 3.45±0.6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16.32와 p=0.00, F=13.61과 p=0.00, 그리고 F=16.81과 p=0.00). 그리고 긍정 정서에서 즐거움, 희망, 그리고 긍지 모두에서도 고위험 집단 2.96±0.65, 3.31±0.63, 그리고 3.47±0.59로 높 은 수치를 나타내지만 긍정정서 영역에서는 희망에 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3.22와 p=0.04).

    5.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정서에서 부정정서 중 불안 을 제외하고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그리고 학 업정서 중 긍정정서에서 긍지 정서와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Figure

    Table

    Cronbach’s α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cademic stress related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emotion related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in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academic stress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level of academic stress

    Descriptive statistics in academic emotion according to level of academic stress

    Differences in academic emotion according to level of academic stress

    Descriptive statistics in academic emotion according to level of academic stress

    Reference

    1. Choi SA: Effects of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 Counseling Program on Reducing Stress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Christian Counsel. 14, 261-288, 2007.
    2. Lee YG: The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s'  academic stress o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cademic emotion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 44-46, 2015.
    3. Lee JH: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attachment and cognitive distortions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1-5, 2008.
    4. Lee EH: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 health psychol. 9(1), 25-52, 2004.
    5. Park HJ: A study on the types of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21-28, 2002.
    6. Jo J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tress and the Way of Coping with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Mokwon University MS Thesis, pp. 24-30, 2001.
    7. Lee SJ, Yu J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 Educat Psychol. 22(3), 589-607, 2008.
    8. Kim SK: Life Stress in Freshman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J Youth Studies 10(2), 215-237, 2003.
    9. Sim HR: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ors of Students in Different Major Field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Dankook University MS Thesis, pp. 17-24, 2013.
    10. 정시영, 황창현 등: 스트레스 수준이 대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행정경찰학부 학술대 회 발표논문집 4, 177-196, 2010.
    11. Han MR: Configuration of Geometric Model of Academic Emotion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h D Thesis, pp.32-48, 2015.
    12. Han TY, Lee SL: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Emotion-related Factors and Stress at School: The Effects of Experienced Emotion, Expressed Emo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 School Psychol. 2(1) 37-58, 2005.
    13. Kim EJ, Yang MH: The Influence of Emotional Regul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mo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Korean J School Psychol. 10(1) 201-218, 2013.
    14. Eom JH: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Opticianry Education in College. Kyungnam University PhD Thesis, pp.1-7, 2003.
    15. Ye KH, Kim SJ: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ajor in Students from Dept. of Optometry at a University. J Korean Oph Opt Soc. 20(1), 25-34, 2015.
    16. Yoon S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b. Sungshin Women's University MS Thesis, pp. 33-3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