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1 pp.77-8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1.77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Posterio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Hui-June Kim,Koon-Ja Lee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ungnam
E-mail: kjl@eulji.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ungnam TEL: 031-740-7182, FAX: 031-740-7365
January 20, 2016 February 19, 2016 March 11, 2016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optical quality with double-pass technique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Methods:

We examined 57 eyes of 30 patients(mean age: 26.87±7.26 years) undergoing implantable contact lens (ICL) implantation of moderate and high myopia (mean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9.26±1.67 D). We assessed quantitatively the values o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utoff frequency, Strehl ratio, objective scattering index (OSI) and the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values (OVs) with OQAS before and 1 month after surgery, respectively. We compared these variables in eyes pre and post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visual outcomes in moderate and high myopic groups.


Results:

The mean MTF cutoff frequency, Strehl ratio, OSI, OV100%, OV20%, OV9% were 31.23±8.85 cycles/degree, 0.18±0.05, 0.76±0.37, 1.04±0.30, 0.73±0.24 and 0.44±0.14, respectively, 1 months after ICL implantation.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TF cutoff frequency (ANOVA test, p=0.55), Strehl ratio (p=0.60), OSI (p=0.36), and OVs at contrasts of 100% (p=0.56), 20% (p=0.67), and 9% (p=0.52), between pre and post ICL implantation. We did not fin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MTF cutoff frequency, Strehl ratio, OSI, and OVs between moderate and high myopic ICL implantation groups (p>0.05).


Conclusions:

The visual quality parameters 1 month after surger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ose in the eyes corrected with spectacle lenses before surgery. The visual quality of high myopic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of moderate myopic group, suggesting that high myopic ICLs provide good and comparable optical quality to moderate myopic ICLs.



후방안내렌즈삽입술 후 시력의 질 평가

김희준,이군자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성남

    Ⅰ. 서 론

    후방안내렌즈삽입술(implantation of posterir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PC IOL)은 1950 년 Barraquer1)가 시도한 이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현재까지 비정시를 교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2) 특히 각막굴절교정술과 비교하여 광학적 특성 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장점 때문에 중·고도 근 시안2-7) 및 원추각막환자8)의 굴절교정방법으로 사용 되어왔다. 특히 각막의 두께가 얇아 레이저굴절교정 수술 후 각막확장증9,10)이나 각막혼탁,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눈부심이나 빛 번짐의 가능성이 있는 고도근 시안의 대안적 굴절교정방법으로 알려져 있다.11-13)

    후방안내렌즈삽입술은 굴절교정효과가 우수하지만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인공수정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백내장 발생 빈도가 높고,14,15) 렌즈로 인해 동공이 막혀 안압이 상승할 수 있어(pupillary block glaucoma) 수술 전에 레이저홍채절개술을 시행해야 하는 단점과 홍채전 유착(peripheral anterior synechia)의 발생 가능성도 있지만,16,17) 수술 후 시력 예측이 쉽고, 회복이 빠르며, 굴절교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해도 굴절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4,18) 또한 전방안내렌즈와 비교하여 각막내피세포의 손상이 상대 적으로 적으며,19,20) 각막굴절교정술에서 나타나는 각막 혼탁이나 근시 퇴행이 없고,21,22) 시력 변동이 없으며,23,24),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안내렌즈의 교체 또는 제거가 가능 하기25) 때문에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라섹 수술과 더불어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후방안내렌즈삽입술 후 시력의 질은 수술 전과 비교하 여 시력이 개선되고, 대비감도가 향상되며,24,26,27) 굴절교 정 레이저각막절제술(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보다 고위수차가 적게 발생하는 장점 뿐 만 아니라 고도 근시안에서도 수술 후 시력의 질이 우수하다고 보고 되었다.28) 현재까지 후방안내렌즈 삽입 후 시력의 질은 대비감도26), Hartmann-Shack wavefront 수차계29)를 이용한 수차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는데, 수차계는 광학적 인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한 방법이지만, 각막에 입사하는 빛이 산란되면 망막에 맺힌 빛의 분포를 나타내 는 PSF(point spread function)가 달라지고 눈의 수차에 영향을 주며, 주변부 망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구 내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눈의 수차와 눈에서 일어나는 빛의 산란을 모두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하는 OQAS(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장비를 이용 하고 있는데, OQAS 장비는 망막에서 반사된 모든 파장 의 빛을 인식하기 때문에 산란과 수차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반영할 수 있어 산란을 유발할 수 있는 백내장, 인공수정체 삽입 안 등의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에 유용 하게 사용되고 있다. OQAS 장비에서 측정되는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변조전달함수)는 공간 주파수에 대한 응답함수로, 수차와 회절이 거의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우리 눈이 감지할 수 있는 최대공간 주파수 60 cpd 까지 각각의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에 따라 망막에 맺힌 상의 PSF로 부터 Fourier 변화를 통해 계산한 값이다. MTF를 측정함에 있어 기기의 카메라나 주변부의 고주파수 잡음이 존재 하므로 정확한 값을 계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OQAS에서는 MTF 값이 1% 유효치에 도달했을 때의 공 간주파수를 MTF cutoff 값으로 제공하며, MTF cutoff 값이 클수록 시력의 질이 좋다고 할 수 있다.30) 빛의 집중도인 Strehl ratio는 실제 안구와 수차가 없는 상태 에서 안구에서 측정된 MTF 그래프의 곡선 아래 영역의 넓이 비율을 나타낸 값으로 0~1 사이의 값으로 측정되 며 1에 가까울수록 시기능이 좋으며 정상성인에서는 0.3에 가까운 값으로 측정된다.30) 객관적 산란지수 OSI(objective scatter index)는 중심부의 빛 집중도와 주변부 빛 퍼짐의 비율을 나타낸 값으로 안구 내 산란 정도를 제공하는 값으로 정상안에서는 1.0 이하이고, 중등도 백내장 환자와 같이 빛의 산란이 있는 경우에는 1.5~4.0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며,31-34) 수치가 낮을수 록 안구내 산란이 적음을 나타낸다. 비슷한 시력을 가진 경우라도 안구 내 산란이 많은 경우는 실제 망막에 맺히 는 상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OQAS에 의해 측정된 OVs(OQAS values)는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비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MTF 값에 대응하는 공간주파수를 표준화하여 객관적 시력을 소수시력으로 나타낸 값으로32) OV100%(100% 대비도에서의 OV)는 MTF cutoff 주파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값이며, OV20%(20% 대비도에서의 OV)와 OV9%(9% 대비도에서의 OV)는 MTF 0.05 및 MTF 0.1 값에 대응하는 공간주파수로부터 계산된 값으로 MTF cutoff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 시력을 제공해주기 때문 에, 서로 다른 대비도에서 시기능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30,35)

    후방안내렌즈삽입술 후 나안시력은 다른 근시 교정 술보다 우수하다고 보고되었지만, 수술방법에 따라 고위수차가 유발될 수 있고 안내렌즈에 의한 마이너 스 구면수차가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29,36) 이와 같 은 선행연구 결과와 안내렌즈에 의한 빛 산란 가능성 을 고려하면 수술 후 시력의 질적인 평가가 필요하나 이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한 시력의 질을 평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후방안내렌즈의 도수가 높아 지면 구면수차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나23) 고도 근 시안 및 중등도 근시안에서의 수술 후 시력의 평가 또 한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방안내 렌즈 삽입 후 경과기간과 안내렌즈 굴절력에 따라 이 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력의 질적 요소인 MTF cutoff, Strehl ratio, OSI 및 OVs 변화를 추적하고 비교·평가하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2년 6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부산 소 재의 S 안과병원에서 굴절이상(근시, 난시) 교정을 원 하는 대상자 중에서 만 18세 이상이며, 굴절이상도는 -1.00 D 이상의 근시와 -3.00 D 이하의 난시, 각막 만 곡도는 40.00~47.00 D, 각막후면으로부터 수정체 전 면까지의 거리가 3.0 mm 이상이고, 각막내피세포 수 가 2500 cell/mm2 이상, 교정시력이 0.8 이상인 경우 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중 안 매체에 혼탁이 있거나 전신질환 또는 안과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 서 제외시켰고 최종적으로 3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 연구방법

    1) 안내렌즈

    후방안내렌즈는 ICL V4(Implantable Contact Lens, STAAR Surgical AG, Switzerland)를 사용하 였다. 안내렌즈의 재질은 콜라겐(collagen)과 헤마 (HEMA)의 중합체인 콜라머(Collamer)이며, 중앙에 광학부가 위치하고 수정체와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볼록한 직사각형(platehaptic) 디자인으로, 전체 길이 는 115 mm, 120 mm, 125 mm, 130 mm이며, -3.00~ -20.00 D의 굴절력이 제공되는 렌즈이다.

    2) 안내렌즈 삽입

    수술 전 현성굴절검사, 조절마비굴절검사, 안압검 사, 각막곡률반경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각막내피 세포검사, 시야검사, 각막지형도검사, 초음파검사, 각막두께검사, 안저검사, 전방깊이를 측정하고 제조 사에서 제공하는 공식에 따라 삽입할 렌즈의 도수를 계산하였다. 수술은 안과의가 산동제(Mydrin-P®, tropicamaide/phenylephrine HCL)를 점안하여 동 공을 8 mm 이상 산동 시킨 후 0.5% proparacaine으 로 점안마취 후 삽입장치(STARR ICL injector system)에 렌즈를 장착하고 홍채 뒤쪽에 삽입하였다.

    3) 시력 측정

    굴절력은 현성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고, 시력은 3 m 거리에서 대비도가 100% LCD chart ETDRS(SC-2000, Nidek, Japan) 를 이용하여 밝은(photopic) 조명상태에서 한 쪽 눈 을 차폐한 후 단안씩 수술 전 나안시력과 수술 후 교 정시력을 수술 1주, 1개월 후에 측정하고 LogMAR 시 력으로 변환하였다.

    4) OQAS를 이용한 시력의 질 측정

    안내렌즈 삽입 전과 삽입 1주 및 1개월 후에 OQAS (OQAS, Visiometrics S.L., Tarrasa, Spain)를 이 용하여 안구내의 광학적 질과 관련이 있는 MTF cutoff, 망막에 맺히는 빛의 집중도인 Strehl ratio 및 산란도 OSI를 측정하였고, 객관적 시력을 보여주 는 OVs는 100%, 20%, 9%의 대비도에 따라 동공 크 기 4 mm에서 측정하였다. 안내렌즈 삽입 전의 굴절 이상도는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구면 굴절력 (-11.00 D~+5.00 D 범위)은 기기 내에서 보정하고, 원주 굴절력 -0.75 D 이상은 시험렌즈를 통해 교정 한 후에 측정하였으며, 안내렌즈 삽입 후에는 굴절이 상에 대한 보정 없이 나안으로 측정하였다. 눈을 충 분히 깜박이게 하여 측정하는 동안 각막 건조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면서 측정하였다.

    5)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SPSS ver.18(SPSS,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의 측정값 을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다중 비교분석(Post-hoc multiple comparison)은 본페로 니보정(Bonferroni’s correction)을 이용하였다. 모 든 통계분석에서 p 값이 0.05 미만일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 및 분석

    후방안내렌즈삽입술을 시행한 30명(우안 28안, 좌 안 29안, 총 57안)의 평균 연령은 26.87±7.26세 (18~43세)이며 구면 굴절력은 -7.08±2.62 D, 원주 굴절력은 -1.42±0.88 D, 전방 깊이는 3.23±0.21 mm, 안압은 13.9±2.74 mmHg, 각막두께는 528.0± 41.87 ㎛로 나타났다(Table 1).

    후방안내렌즈 삽입 전 대상자의 평균 안압은 13.85± 2.74 mmHg, 삽입 1주 후 12.50±2.37 mmHg, 삽입 1 개월째 13.20±2.30 mmHg로 차이가 없었다. 일부 대 상자 중에 안내렌즈 삽입 후 안압이 상승한 경우가 있었 는데 이것은 염증 치료용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이 원 인으로 알려져 있고37) 본 연구에서 대상자를 추적관찰 한 결과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을 중지한 3개월 후에 는 안압이 상승한 대상자가 없었으며(unpublished data), Alfonso 등24)과 Chun 등38)도 안내렌즈 삽입 후 안압이 상승한 환자의 경우 수술 3개월 후부터는 안압 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2.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의 굴절력 변화

    현성굴절검사로 측정한 대상자의 평균 구면 굴절력은 수술 전 -7.08±2.62 D, 안내렌즈 삽입 1주 후 0.46 ±0.27 D, 1개월 후 0.42±0.26 D로 안내렌즈 삽입 1주 일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 그 후부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대상자의 평균 원주 굴절력은 안내렌즈 삽입 전 -1.43±0.88 D, 삽입 1주 후 -0.36±0.23 D, 삽입 1개월 후 -0.37±0.24 D로 삽 입 1주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 삽입 1주에 서 1개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대 상자의 평균 등가구면굴절력 값은 안내렌즈 삽입 전 -9.26±1.67 D, 삽입 1주 후 0.33±0.26 D, 삽입 1개월 후 0.27±0.26 D로 삽입 후 1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 고(p=0.000), 삽입 후 1주일 후부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1.000), ±0.50 D 이내의 등가구면굴절력을 보여 목표 시력에 도달하는 결과를 보였다.

    Chun 등22)은 후방안내렌즈 삽입 전 평균 구면 굴절 력은 -9.59±3.22 D, 삽입 1주 후 0.16±0.40 D, 1개월 후 0.11±0.39 D로 보고하였는데 이 결과는 본 연구결 과보다 목표 굴절력에 더 근접한 결과를 보였으나, 평균 원주굴절력은 렌즈삽입 전 -1.03±0.93 D, 삽입 1주 후 -1.02±0.75 D, 1개월 후 -1.06±0.80 D로 본 연구결 과보다 목표치에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안내 렌즈를 삽입할 때 본 연구에서는 각막의 가파른 곡률 방향에 절개를 하는 수술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난시 가 줄어든 것으로 사료된다. 안내렌즈 삽입 후 평균 등 가구면굴절력은 Chun 등22)은 1주 후 -0.34±0.35 D, 1개월 후 -0.41±0.34 D, 3개월 후 -0.36±0.36 D로 안내렌즈삽입 1주일 후부터 ±0.50 D 이내의 결과를 보 였다고 하였고, Alfonso 등24)도 렌즈 삽입 후 1주 -0.11 ±0.10 D, 1개월에 -0.09±0.15 D, 3개월에 -0.04± 0.20 D, 6개월에 -0.03±0.19 D로 안내렌즈삽입 3개 월 후부터 굴절력의 변화없이 잘 유지되고 있다고 보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1개월 후부터 안정적인 굴절 력을 보여 시력의 질 평가는 안내렌즈 삽입 1개월 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3.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의 시력 변화

    밝은 조명상태에서 평균 고대비시력은 안내렌즈 삽입 1주 후에는 -0.01±0.05 LogMAR로 렌즈 삽입 전 교정 시력 0.01±0.04 LogMAR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p=0.046), 1개월 후에는 -0.01±0.02 LogMAR로 수 술 1주 후와 유의한 차이 없이 유지되었다(p=1.000), (Table 2). 안내렌즈 삽입 1개월 후의 시력은 젊은 성인 정시안의 시력 -0.20~0.00 LogMAR30)의 범위 내로 나타났으며, Son 등39)이 보고한 안내렌즈 삽입 1주 후 0.05±0.07 LogMAR, 1개월 후 0.10±0.05 LogMAR, 3개월 후 0.06±0.09 LogMAR, Alfonso 등24)이 보고한 안내렌즈 삽입 1개월 후 0.02±0.04 LogMAR, 3개월 후 0.02±0.04 LogMAR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Lisa 등40)이 보고한 렌즈삽입 1개월 후의 시력 0.026±0.052 LogMAR보다 시력개선 효과가 더 좋았 고, Park 등41)이 보고한 렌즈삽입 후 1주 -0.09±0.03 LogMAR, 1개월 -0.01±0.03 LogMAR 시력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안내렌즈 삽입 1주일 후부 터 빠르게 회복되고 그 후에는 안정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연구자에 따라 수술 후 시력이 다른 것은 대상자 연령, 수술방법과 같이 시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4.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 시력의 질 비교

    OQAS 장비로 측정한 MTF는 안내렌즈 삽입 전 32.55±10.74 cpd, 렌즈 삽입 후 1주 30.94±8.83 cpd, 1개월 31.23±8.85 cpd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52), (Table 3). Strehl ratio는 안내렌즈 삽입 전 0.18±0.05, 렌즈 삽입 후 1주 0.18±0.05, 삽입 1개 월 0.18±0.05로 안내렌즈 삽입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 었고(p=0.597), (Table 3), 객관적 산란지수 OSI는 안 내렌즈 삽입 전 0.99±0.72, 렌즈 삽입 후 1주 0.91± 0.72, 삽입 후 1개월 0.76±0.37로 감소하였지만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p=0.364),(Table 3).

    본 연구에서 안내렌즈 삽입 후 MTF cutoff 값은 안 내렌즈 삽입 전과 차이가 없어 안내렌즈 삽입이 시력 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경렌즈로 교정한 시력의 질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OQAS로 측정한 MTF 측정값은 안내렌즈 삽입안(평균 연령 36.4±4.9세)은 28.69±8.59 cpd42), 인공수정 체 삽입안(평균 연령 61.27±7.90세)은 32.31±8.07 cpd34)로 보고되었고 30대 정상안의 MTF 값은 30.44 ±9.52 cpd42)로 보고되었다.

    안내렌즈 삽입 후 망막의 빛 집중도 Strehl ratio는 삽입 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어 안내렌즈가 눈 속에서 빛 번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Strehl ratio값은 0.18로 Kamiya 등42)이 안내렌즈 삽입안(36.3±5.7세)을 대상으로 측정한 값(0.17±0.04) 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OQAS로 측정한 Strehl ratio 는 정상안의 경우 평균 0.22±0.06(36.4±4.9세)42) 및 0.27±0.06(22.47±3.04세)30)로 보고되었고, 각막굴절 교정렌즈를 착용 후 측정값은 0.21±0.06,43) 0.21±0.0744) 및 라식 수술 후 측정값은 0.20±0.0745)로 보고되었다. 안내렌즈 삽입 후 망막의 빛 집중도는 정상적인 범위에 있는 값이나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각막굴절교정렌즈 및 라식수술 후 망막의 빛 집중도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안내렌즈 삽입 후 객관적 산란지수는 삽입 전과 비 교하여 평균값은 감소하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안내렌즈가 눈 속에서 빛의 산란에 영 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안내렌즈 삽입 1개월 후 OSI 값 0.76은 각막굴절교정 렌즈 착용자의 측정값 0.72±0.4030), 0.77±0.9543) 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OQAS로 측정한 OSI값은 정상안의 경우 0.60±0.4246) 및 0.38±0.1930), 라식 수술 후 측정값은 1.07±0.5844), 인공수정체 삽입 후 측정값은 1.07±0.4534)로 보고되었다. 안내렌즈, 각 막굴절교정렌즈 및 라식수술 후에 측정된 OSI 값들 은 정상값 1.0 이하의 범주 내에 있는 값으로 시력에 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나 정상안의 측정값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시력의 질은 연령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에47) 향후 연령대가 유사한 다른 굴절교정방법과 의 비교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의 객관적 시력 비교

    객관적 시력 OVs는 안내렌즈 삽입 전에는 현성 굴절검 사를 통해 측정된 굴절이상을 교정하여 측정하였고, 안내 렌즈 삽입 후에는 굴절이상에 대한 보정 없이 측정하였다. 객관적 시력 OV100%는 안내렌즈 삽입 전 1.08±0.36 Decimal(-0.01±0.17 LogMAR), 삽입 후 1주 1.03± 0.29 Decimal(0.01±0.14 LogMAR), 1개월 1.04±0.30 Decimal(0.00±0.14 LogMA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0.561), (Table 4). OV20%은 안내렌즈 삽입 전 0.76±0.28 Decimal(0.16±0.19 LogMAR), 삽입 후 1주 0.72±0.22 Decimal(0.16±0.15 LogMAR), 1개월 0.73±0.24 Decimal(0.16±0.15 LogMA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671), (Table 4), OV9%는 안내렌즈 삽입 전 0.47±0.16 Decimal(0.36±0.16 LogMAR), 삽입 후 1주 0.44±0.14 Decimal(0.38±0.17 LogMAR), 1개월 0.44±0.14 Decimal(0.37±0.14 LogMAR)로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p=0.522), (Table 4). 이상의 연구결 과는 Kamiya 등42)의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안내렌즈 삽입안의 객관적 시력은 높은 대비 도 OV100%는 정상안의 범위인 1.01~1.95 Decimal30) 범 위에 속하지만, OV20%는 정상안의 범위 0.95~2.21 Decimal 보다 낮게, 가장 낮은 대비도의 OV9%는 정상안 의 범위 가장 0.88~2.40 Decimal 보다 매우 낮았다. 라식수술 후 객관적 시력 OV20% 및 OV9%는 1.25±0.39 Decimal, 1.26±0.38 Decimal48)로 안내렌즈 삽입안보 다 높다고 보고되었고 수술 후 광학적 시력의 질은 수술 전 광학적 질에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어49) 시력 교정술의 결과를 상호비교하기에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근시도에 따른 시력의 질 비교

    안내렌즈삽입술을 시행한 대상안 중 등가구면굴절 력이 –6.00 D 이하인 대상안과 –6.00 D를 초과하는 대상안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 수술 후 나안시력, 안 압, MTF cutoff, Strehl ratio, OSI, 객관적 시력 OV100%,, OV20%, OV9% 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Table 5).

    수술에 의해 발생한 안구의 고위수차는 대비감도 에 영향을 주며 고위수차의 증가는 시력의 질은 저하 될 수 있다.50) 안내렌즈를 삽입하면 눈의 고위수차가 유발될 수 있고, 안내렌즈에 의해 마이너스 구면수차 가 발생하며29,36), 안내렌즈의 도수가 높아지면 구면 수차가 증가한다는23) 선행연구를 고려하면 안내렌즈 의 굴절력에 따라 시력의 질에 차이가 날 수 있을 것 으로 추측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안내렌즈의 굴절 력에 따라 시력의 질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등 도의 근시를 교정하는 방법으로 안내렌즈, 라식, 안 경교정에 의한 망막상의 크기는 이론적으로 1.00, 0.98, 0.92로51) 이것을 시력으로 환산하면 안내렌즈 로 교정할 경우 약 0.34 logMAR(1.7 letters)의 시력 개선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안내렌즈 삽입술은 망막 상의 크기를 증가시면서 시력의 질을 떨어뜨리 지 않기 때문에 고도 근시안에 교정방법으로 우수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Ⅳ. 결 론

    안내렌즈 삽입 후 나안 시력은 향상되었고, 시력의 질을 평가한 MTF cutoff, Strehl ratio 및 OSI 값은 정상적인 범위의 값으로 안내렌즈 삽입 전 안경렌즈로 교정한 값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안내렌즈의 굴절력에 따라서도 시력의 질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의 시력 및 수차, 대비감도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시력 의 질과 객관적 시력을 측정하고 비교했다는 점에 의 의를 둘 수 있으며, 추후 연령변수를 통제하고 안내 렌즈와 다른 굴절교정에 의한 시력의 질적 비교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omparison of visual acuity aft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aft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Comparison of objective visual acuity aft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Visual acuity, visual quality and objective visual acuity in the under and over -6.00 D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groups.

    Reference

    1. Barraquer J: Anterior chamber plastic lenses. Results of and conclusions from five years experience. Trans Ophthalmol Soc UK 79, 393-424, 1959.
    2. Sanders DR, Vukich JA et al.: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linical trial of the implantable contact lens for moderate to high myopia. Ophthalmology 110(2), 255–266, 2003.
    3. Sanders DR, Brown DC et al.: Implantable contact lens for moderate to high myopia: phase 1 FDA clinical study with 6-month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24(5), 607– 611, 1998.
    4. Sanders DR, Doney K, Poco M: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linical trial of the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for moderate to high myopia: three-year follow-up. Ophthalmology. 111(9), 1683–1692, 2004.
    5. Lackner B, Pieh S et al.: Long-term results of implantation of phakic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es. J Cataract Refract Surg. 30(11), 2269–2276, 2004.
    6. Huang D, Schallhorn SC et al.: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for the correction of myopia: a report by th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Ophthalmology 116(11), 2244-2258, 2009.
    7. Alfonso JF, Baamonde B et al.: Posterior chamber collagen copolymer phakic intraocularlenses to correct myopia: five-year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37(5), 873-880, 2011.
    8. Alfonso JF, Palacios A, Montés-Micó R: Myopic phakic STAAR collamer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es for keratoconus. J Refract Surg. 24(9), 867–874, 2008.
    9. Amoils SP, Deist MB et al.: Iatrogenic keratectasia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less than -4.0 to -7.0 diopters of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26(7), 967-977, 2000.
    10. Geggel HS, Talley AR: Delayed onset keratectasia follow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J Cataract Refract Surg. 25(4), 582-586, 1999.
    11. Bailey MD, Mitchell GL et al.: Patient satisfaction and visual symptom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phthalmology. 110(7), 1371-1378, 2003.
    12. Buzzonetti L, Petrocelli G et al.: Comparison of corneal aberration change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performed with mechanical microkeratome and IntraLase femtosecond laser: 1-year follow-up. Cornea 27(2), 174-179, 2008.
    13. Sharma M, Wachler BS, Chan CC: Higher order aberrations and relative risk of symptoms after LASIK. J Refract Surg. 23(3), 252-256, 2007.
    14. Sanders DR: Anterior subcapsular opacities and cataracts 5 years after surgery in the visian implantable collamer lens FDA trial. J Refract Surg. 24(6), 566-570, 2008.
    15. Lee DH, Seok JY et al.: Risk factors for cataract formation after implantable Collamer lens implantation: Over a mean 7.5-year follow-up period. J Korean Opthalmol Soc. 56(6), 835-846, 2015.
    16. Sánchez-Galeana CA, Zadok D et al.: Refractory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 after phakic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m J Ophthalmol. 134(1), 121-312, 2002.
    17. Smallman DS, Probst L, Rafuse PE: Pupillary block glaucoma secondary to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for high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30(4), 905-907, 2004.
    18. Pesando PM, Ghiringhello MP et al.: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CL) for hyperopia: 10-year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33(9), 1579–1584, 2007.
    19. Dejaco-Ruhswurm I, Scholz U et al.: Longterm endothelial changes in phakic eyes with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es. JCataract Refract Surg. 28(9), 1589-93, 2002.
    20. Edelhauser HF, Sanders DR et al.: Corneal endothelial assessment after ICL implant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30(3), 576-83, 2004.
    21. Han SY, Lee KH: Long term effect of ICL implantation to treat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8(4), 465-472, 2007.
    22. Chun YS, Lee JH et al.: Outcomes after implantable contact lens for moderate to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5(3), 480-489, 2004.
    23. Pérez-Vives C, Domínguez-Vicent A et al.: Optical quality of the visian implantable collamer lens for different refractive power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51(5), 1423-1429, 2013.
    24. Alfonso JF, Lisa C et al.: Clinical outcomes after implantation of a posterior chamber collagen copolymer phakic intraocular lens with a central hole for myopic corre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39(6), 915-921, 2013.
    25. Lee SY, Cheon HJ et al.: Implantable contact lens to correct high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1(7), 1515-1522, 2000.
    26. Ju Y, Gao XW, Ren B: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t J Ophthalmol. 18(6), 831-835, 2013.
    27. Shimizu K, Kamiya K et al.: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visual performance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with and without a central hole implantation for moderate to high myopia. Am J Ophthalmol. 154(3), 486-494, 2012.
    28. Miraftab M, Hashemi H, Asgari S: Matched optical quality comparison of 3-year results of PRK–MMC and phakic IOL implantation in the correction of high myopia. Eye(Lond) 29(7), 926–931, 2015.
    29. Kamiya K, Igarashi A et al.: Visual performance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nd wavefront 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low to moderate myopia. Am J Ophthalmol. 153(6), 1178-1186, 2012.
    30. Martínez-Roda JA, Vilaseca M et al.: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in ahealthy young population. Clin Exp Optom. 94(2), 223–229, 2011.
    31. Vilaseca M, Arjona M et al.: Non-cycloplegic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in adults: comparison of the double-pass system, retinoscopy, subjective refraction and a table-mounted autorefractor. Int J Ophthalmol. 6(5), 618-625, 2013.
    32. Vilaseca M, Arjona M et al.: Optical quality of foldable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a double-pass system. J Cataract Refract Surg. 35(8), 1415-1423, 2009.
    33. Kwak AY, Choi MJ et al.: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between two intraocular lenses using double-pass based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J Korean Opthalmol Soc. 54(12), 1818-1823, 2013.
    34. Kim JY, Lee KJ: Optical performance after mono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evaluated using a OQAS. Korean J Vis Sci. 15(2), 173-182, 2013.
    35. Ondategui JC, Vilaseca M et al.: Retinal image quality three month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yopia of up to −5.75 diopters. J Emmetropia 2(1), 21-30, 2011.
    36. Kim SW, Yang H et al.: Higher order aberration changes after implantable collamer lens implantation for myopia. Am J Ophthalmol. 151(4), 653 662, 2011.
    37. Kim SM, Bae HW et al.: Incidence of steroid-induced ocular hypertension following myopic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Soc. 56(7), 1081-1088, 2015.
    38. Chun YS, Lee JH et al.: IOP and gonioscopic changes after implantable contact lens implantation in myopic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46(2), 336-344, 2005.
    39. Son GS, Kim JW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in implantable Collamer lens implantation between AQUA ICL® and conventional ICL. J Korean Ophthalmol Soc. 56(9), 1316-1323, 2015.
    40. Lisa C, Naveiras M et al.: Posterior chamber collagen copolymer phakic intraocular lens with a central hole to correct myopia: One-year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41(6), 1153-9, 2015.
    41. Park SH, Yum JH et al.: Changes in Higher Order Aberration After Implantable Contact Lens Implantation. J Korean Ophthalmol Soc.51(9), 1210-1216, 2010.
    42. Kamiya K, Shimizu K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3(6), 3161-3166, 2012.
    43. Kim HJ, Lee KJ: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ear.Korean J Vis Sci. 17(2) 163-171, 2015.
    44. Jeon HM, Ahn DS et al.: The effects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lens wear on ocular scatter. J Korean Ophthalmol Soc. 55(11), 1595-1599, 2014.
    45. Ondategui JC, Vilaseca M et al.: Optical quality after myopic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comparison using a double-pass system. J Cataract Refract Surg. 38(1), 16-27, 2012.
    46. Xu CC, Xue T et al.: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a double-pass optical qualityanalysis device. PLos One 10(2), e0117587, 2015.
    47. Guirao A, González C et al.: Average optical performance of the human eye as a function ofage in a normal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40(1), 203-213, 1999.
    48. Kim JM, Lee KJ: Evaluation of objective visual acuity measured by the double-pass techniquein corneal refractive surgery patients. Korean J Vis Sci. 17(2), 141-150, 2015.
    49. Vilaseca M, Padilla A et al.: Effect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n vision analyzed using preoperative optical quality. J Cataract Refract Surg. 36(11), 1945-1953, 2010.
    50. Yamane N, Miyata K et al.: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after convention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5(11), 3986-3990, 2004.
    51. Kamiya K, Shimizu K et al.: Effects of myopic correction by replacement of spectacles,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nd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on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and retinal magnification. NipponGanka Gakkai Zasshi. 112(6), 519–52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