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3 pp.287-30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3.287

The Cognition of Duty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Optometric Characteristics in Jeju

Ji-Young Choi1)*, Yun-Young Song1), Jong-Chul Byun2)
1)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Jeju tourism University, Jeju
2)Department of Chemistry & Cosmetic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i-Young Choi Dept. of Optometry, Jeju tourism University, JeJu TEL: +82-064-750-3527, E-mail: chemji@ctc.ac.kr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uty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optometric characteristics in Jeju and is to obtain the base line data for training opticians who have the ability of work to demand in industry.


Methods:

We carried out this survey targeting opticians(90 persons) to work in Jeju optometry-related industry during from April 3, 2016 to May 2, 2016.


Results:

The cognition of duty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gender, workplace, career, position and work region of objects was different.


Conclusions:

the cognition of duty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was different according to optometric characteristics. So it needs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which can to enhance the ability of work to demand in industry.



제주지역 안경사 특성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

최 지영1)*, 송 윤영1), 변 종철2)
1)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제주
2)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제주
    Jeju Tourism University

    Ⅰ. 서 론

    경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의 건강증진에 대한 욕구는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양질의 보건 서비스를 기대하게 되었다. 안경사는 시력보정용 안경의 조제 및 판매를 주된 업무로 하는 전문 직업인으로 2016년 현재 16,343명이 관련 직무를 수행하고 있고 있다. 대한안 경사협회가 한국갤럽조사 연구소와 진행한 2015년 전국 안경 및 콘택트렌즈 사용율 보도 자료1)에 의하 면, 우리나라의 안경 착용률이 처음 조사를 실시한 1987년 24.1%였던데 비해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54.6%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국 초, 중, 고생의 안경 착용률은 2002년 처 음 조사 당시 36% 수준에서 현재 46.5%로 지속적으 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인의 안경 착용률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5년 학교건강검사 결과 표본조사 결과2), 초중고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건강상의 문제 중 하나가 시 력이상이며, 전체학생 중 시력이상 학생의 비율이 54.7%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시력이상 학생의 비율 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 계: 2010~2060년’ 보도 자료3)에 의하면, 총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960년 2.9%(73만 명)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11%(545만 명)이며, 2030년 24.3%(1,269만 명), 2060년 40.1%(1,762만 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노 인 복지 서비스 영역 확대를 이끌어낸다.

    최근 제주도는 천혜의 자연경관과 바쁜 현대사회 에서 안식처가 되는 힐링의 섬으로 인식되면서 제주 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와 전입하는 인구가 급속 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제주도의 인구 성장률은 2014년 인구성장률이 2.79%로 전국 평균 (0.56%) 대비 5배에 이르며, 전출 인구는 정체되어 있으나 전입인구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4) 이와 같은 지역적 특성과 시력보정용구를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환경 내에서 사회 보 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 중 편안하고 쾌적한 시생 활 영위할 수 있도록 국민의 시각 관리를 담당하는 안경사의 직무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안경사의 직무에 대한 연구는 한국보건의 료인시험원에서 주관하여 직무 기술, 요건, 업무영역 등에 대해 분석한 연구들5-7)과 안경사 직무 만족도8), 직무 스트레스9-10), 이직률11), 감정노동이 직무특성에 미치는 영향12), 직무에 대한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안 경사의 인식도13,14),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안경사의 요구도15)에 관한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으나, 안경 산 업의 내·외부적 환경변화에 기인한 직무의 중요성과 이에 따른 직무 교육 필요도에 대한 현장의 인식, 요 구도 또한 달라지고 있기에 안경사의 직무에 대해 새 로운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안경 관련 산업체 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특성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교 육 필요도 인식에 대해 조사하여 변화하는 안경 산업 에서 산업체가 요구하는 직무 분야에 특화된 전문지 식과 숙련된 기술을 갖춘 안경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 료를 얻고자 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2016년 4월 3일부터 2016년 5월 2일까지 제주지역 안경 관련 산업체에 근무하는 성실히 설문에 응답한 남녀 안경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전체 조사 대상자를 위한 사회학적 특성(성별, 연 령)을 포함한 근무하는 산업체의 업종, 근무경력, 직 위,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별 직무 중요도 및 교육 필요도 등에 관한 항목과 산업체 대표 또는 책임자급들을 대상으로 전문인력 필요여부, 직원채용 의향, 안경사면허 취득 유무에 상관없이 취업예정자 를 대상으로 하는 인력양성 프로그램별 직무 중요도 및 교육 필요도(5점 척도) 등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3. 자료 처리 및 분석

    본 연구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다중회귀분 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에 응한 총 참여 인원수는 90명이며, 응답자 중 남성이 70명(77.8%), 여성이 20명(22.2%)이다. 응답 대상자의 연령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20대는 21명 (24.1%), 30대는 32명(36.8%), 40대는 24명(27.6%), 50대 이상 10명(11.5%)으로 나타났다(무응답자 3명 제외). 또한 직위에 따른 분포는 대표 또는 책임자급 직원이 38명(42.2%), 일반 직원은 52명(57.8%)으로 나타났다. 근무 산업체의 지역별 분포는 제주시가 77 명(85.6%), 서귀포시가 13명(14.4%)으로 제주시가 높 게 나타났다. 그리고 안경 관련 산업체 중 안경원에 근무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응답자 중 81명(90%), 안과 병·의원 근무한다고 응답한 것은 9명(10%)으로 나타났으며, 안경원 근무자 중 남성 비율이 68명 (84%)로 높은 반면, 안과 병·의원 근무는 여성이 7명 (77.8%)로 높게 나타났다. 산업체 근무경력에 대해 전 체 응답자 중 9명은 응답하지 않았으며, 이들을 제외 한 나머지 81명 중 10년 이상이 35명(43.2%)으로 가 장 많았으며, 3년 이상 10년 미만이 32명(39.5%), 3년 미만이 14명(17.3%)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응답자의 근무 경력에 따른 산업체에서의 직위를 조사한 결과, 근무 경력이 길어질수록 대표 또는 책 임자급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직원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1) 또한, 응 답자의 연령에 따른 산업체에서의 직위를 조사한 결 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표 또는 책임자급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2. 일반적 특성*과 직무 중요도 간 독립표본 T검정 평균 비교

    성별에 따른 직무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콘택트렌 즈 직무에서 남성은 평균 5.61(±1.673), 여성은 평균 6.15(±0.933)로 남성이 여성보다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남 성과 여성의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t=–1.866) 그러나 성별과 그 밖의 직무중요도 요소(안경조제가공, 마케팅중국어, 안경 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품지식, 양안 시기능검사, 안과검사 관련기술, 안경코디네이터)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현재 산업체 현장에서 남성의 경우, 안과 병·의원 보다는 안경원에 근무하는 비율이 높으며 안경원 근 무 시에도 안경조제가공, 굴절검사 등을 주로 담당하 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는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주로 콘택트렌즈 관련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위 결과는 이와 같은 실제 현장에서 업무 분담이 인식도에 영향 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Table 2)

    근무하고 있는 산업체에 따른 직무중요도를 분석 한 결과, 콘택트렌즈 직무에서 안경원 종사자 평균은 5.66(±1.591), 안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6.33(±1.000)으로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 의원 종사자의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t=–1.776)

    그리고 안경원 종사자가 인식하는 안경브랜드 직 무의 중요성 평균은 5.21(±1.498)로 안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4.11(±1.014)으로 안경원 종사자가 안 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안경브랜드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 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자의 안경브랜드 직무의 중 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995)

    또 상품지식 직무 중요도에 대한 안경원 종사자 평 균은 5.68(±1.448)로 안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4.56(±2.297)과 비교하였을 때, 안경원 종사자가 안 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상품지식 직무의 중요성 인 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자의 상품지식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70)

    그리고 양안시기능검사 직무의 중요도에 대한 안 경원 종사자 평균은 5.86(±1.579)로 안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6.56(±0.726)과 비교해 볼 때,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양안시기능검사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 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자의 양안시기능검사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t=-2.312)

    마지막으로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 중요도에 대한 안경원 종사자 평균은 5.27(±1.666)으로 안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6.33(±0.866)과 비교해 볼 때,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안과 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 자의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096) 종사 업종과 그 밖의 직무중요도 요소(안경조제가공, 마케팅중국어,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안경코디 네이터)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3)

    안경사는 안경원에서 안경조제가공, 굴절검사, 상 품지식, 안경브랜드 및 콘택트렌즈 관련 직무 등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직무들을 수행하고 있기에 안과에 비해 콘택트렌즈 관련 직무의 비중이 적다. 그리고 안 과에서는 주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교육, 다양한 안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를 활용한 안과 검사 등을 주로 수행한 다. 그러므로 안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는 콘 택트렌즈 직무, 양안시기능검사 직무 및 안과검사기 기 관련 기술 직무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반면, 안경원 현장 실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보다 많이 활용되고 직무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만 업무가 가능한 안경브랜드 직무, 상품지식 직무는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에게 그 직무 중요 성이 더 높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업체 직위에 따른 콘택트렌즈 중요도 인식은 대표 나 책임자급이 6.05(±1.469), 직원은 5.49(±1.580) 로 대표나 책임자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나 책임자급과 직원의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 1.730) 이처럼 대표나 책임 자급의 콘택트렌즈 직무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은 콘택트렌즈 판매 자체는 마진이 많이 남는 상품 은 아니나, 콘택트렌즈를 통해 고객 유치 및 확보가 보 다 용이한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직위와 그 밖의 직무중요도 요소(안경조제가공, 마케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품지식, 양 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안경 코디네이 터)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 었다.(Table 4)

    산업체 경력에 따른 직무중요도 인식을 분석한 결 과, 안경코디네이터 직무에서 10년 이하 경력자 평균 은 5.02(±1.598), 10년 초과 경력 평균 5.48(±1.603)로 10년 이하 경력자가 초과 경력자보 다 중요성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0 년 이하 경력자와 초과 경력자의 안경코디네이터 직 무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 다.(t=-1.334) 근무경력이 길수록 직위가 대표 또는 책임자급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Fig. 1에서 확인 하였으며, 이와 연관되어 근무경력이 늘어날수록 업 장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운영해야 하는 직위 를 맡게 될 확률이 증가하고 또 그럼에 따라 산업체 업무 전반의 흐름이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코디네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응답자 경력과 그 밖 의 직무중요도 요소(콘택트렌즈, 안경조제가공, 마케 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품지식,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 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5)

    3. 일반적 특성*과 교육 필요도 간 독립표본 T검정 평균 비교

    성별에 따른 직무의 교육 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콘택트렌즈 직무 교육의 필요성에서 남성평균은 5.61(±1.647), 여성 평균 6.30(±0.733)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콘택트렌즈 직무 교육의 필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성과 여성의 콘택트 렌즈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t=-2.155).

    또한, 안경코디네이터 직무 교육 필요도는 남성 평 균은 5.07(±1.662), 여성 평균은 5.60(±1.095)으 로, 남성이 여성보다 안경코디네이터 직무교육의 필 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성과 여성의 안경코디네이터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t=-1.676). 이러한 직무 교육 필 요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안경 관련 산업체에서 남 성은 주로 기술적인 직무와 안경브랜드 홍보 등 실제 업무와 연관된 직무 분야에 관심을 보이는 반면, 여 성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직무와 관련된 지식들의 통 합, 활용하여 내원 고객의 편의 도모, 적절한 서비스 제공 등에 관심이 가지기 때문에 여성이 안경코디네 이터 직무 교육 필요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성별과 그 밖의 교육필요도 요소(콘택트렌즈, 마케 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품지식,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 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6)

    산업체 직종에 따른 콘택트렌즈 직무 교육의 필요 도 인식은 안경원 종사자 평균은 5.63(±1.562), 안 과 병·의원 종사자 평균 6.33(±0.866)으로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 자의 콘택트렌즈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99)

    그리고 안경조제가공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 인 식은 안경원 직종 종사자 평균 5.83(±1.523),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 평균 6.33(±0.707)으로 안경 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인식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자의 안경조제가공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744)

    또 양안시기능검사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는 안 경원 직종 종사자 평균 5.65(±1.637), 안과 병·의 원 직종 종사자 평균 6.33±(0.866)으로 안경원 종사 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다 인식도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의원 종사자의 양안시기능검사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990)

    마지막으로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에 대한 교 육의 필요도는 안경원 종사자 평균은 5.33(±1.628),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 평균 5.89(±0.928)으로 안경원 종사자가 비 안경원 종사자보다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경원 종사자와 안과 병· 의원 종사자의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교육의 필 요성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550)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에 비해 안 경조제가공, 콘택트렌즈,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 기기 관련기술 직무 교육 필요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 중 콘택트렌즈,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직무는 교육 필요성, 직무 중요도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Table 3) 이와 같은 결과는 안경원보다는 안과 병·의원 근무시 콘택트렌즈,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과 관련된 직무 능력이 보다 더 요구되고 또 실제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 다. 그리고 안경조제가공의 경우, 안경원 근무를 수행 하기 위해 필수적인 직무 능력이기 때문에 이는 기본 능력으로 생각하고 또 안경조제가공 기술이 바탕이 되어야만 다른 업무들이 수행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교육 필요도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응답자 종사 업종과 그 밖의 교육필요도 요소(마케 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품지식, 안경 코디네이터)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 다.(Table 7)

    산업체 직위에 따른 직무의 교육 필요도 인식을 분 석한 결과, 대표나 책임자급이 인식하는 콘택트렌즈 직무교육의 필요성 평균은 5.95(±1.506)으로 직원 평균 5.51(±1.515)와 비교하였을 때, 대표나 책임자 급이 직원보다 콘택트렌즈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표나 책임자급과 직원 간의 콘택트렌즈 직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t=1.352) 콘택트렌즈 시장이 비 약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재질, 디자인, 용도 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대표나 책임자급은 직원 에 비해 상대적으로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 이 높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콘택트렌즈 직무를 원 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직무의 교육 필요성 또 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응답자 직 위와 그 밖의 교육필요도 요소(안경조제가공, 마케팅 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매너, 굴절검사, 상 품지식, 양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안 경 코디네이터)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평균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8)

    또한, 응답자 경력과 교육필요도 요소들 사이의 관 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Table 9)

    4. 일반적 특성*과 직무 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성별, 업종, 사업장주소지, 직위, 경력을 독립변수 로 설정하고 직무중요도(콘택트렌즈, 안경조제가공, 마케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 매너)를 종속 변수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0과 같 다. 대표 혹은 책임자급이 직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베타=0.251), 안경원 직종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경브랜 드 직무의 중요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베타=0.162). 이는 독립표본 T-test 검 정 비교 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0)

    성별, 업종, 사업장주소지, 직위, 경력을 독립변수 로 설정하고 직무중요도(굴절검사, 상품지식, 양안시 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안경코디네이터) 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1 과 같다. 안경원 직종의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 종의 종사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품지식 직무의 중요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베타=0.211),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직무의 대 해서는 안경원 직종의 종사자들이 안과 병·의원 직 종의 종사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을 높 게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0.211). 이는 독립표본 T-test 검정 비교 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5. 일반적 특성**과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성별, 업종, 사업장주소지, 직위, 경력을 독립변수 로 설정하고 교육필요도(콘택트렌즈, 안경조제가공, 마케팅중국어, 안경브랜드, 고객서비스 매너)를 종속 변수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2와 같 다. 안경원 직종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 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콘택트렌즈 교육의 필요성 에 대하여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 =-0.180). 이는 독립표본 T-test 검정 비교 결과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2)

    성별, 업종, 사업장주소지, 직위, 경력을 독립변수 로 설정하고 교육필요도(굴절검사, 상품지식, 양안시 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안경코디네이터) 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3 과 같다.

    경력이 10년 이하인 응답자들이 초과 경력자들에 비하여 상품지식 분야의 교육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베타=0.107), 안경원 직종 종 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의 필요성에서는 낮은 필 요성을 가지고 있으며(베타=-0.123), 제주시에 위치 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안경사일수록 서귀포시에 위치 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안경사들에 비하여 안과검사기 기 관련기술 직무의 교육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129). 또한 성별에 의한 경향성의 차이도 발견되었는데, 응답자들 중에 남성 일수록 여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경코디네이터 직 무의 교육필요성에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137).(Table 13)

    경력이 적을수록 다양한 안경관련 상품 지식 부족 으로 인해 관련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안경원 근무 시에는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의 활용이 적기 때문 에 안과 병·의원 근무자에 비해 교육필요도가 낮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제주시가 서귀포시에 비해 안경 관련 산업체 수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 중 안과 병·의원도 제주시가 18개소, 서귀포시가 5 개소로 제주시가 더 많다. 이러한 산업체 분포 특성 상 안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안경사의 경우, 안과 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 는 교육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6. 대표 또는 책임자급의 일반적 특성*, 전문인력 필요여부 및 직원채용의향과 직무 중요도 간의 다중회귀분석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 중 대표 또는 책임자급에게 추가적으로 별도로 전문 인력의 필요여부, 향후 직원 채용 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여, 이를 안경사 면허증 유무에 상관없이 취업예정자를 위한 프로그램 분야의 직무중요도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표나 책임자급의 성별, 사업장주소지, 경력, 전 문 인력 필요여부, 직원채용의향을 독립변수로 설정 하고 직무중요도(단순안경판매, 안경코디네이터, 안 경디자인, 안경마케팅, 안경브랜드홍보)를 종속변수 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제주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임 자급이 서귀포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임자급에 비하여 안경마케팅 직무중요도를 상대적 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베타 =0.245), 이 경향은 안경브랜드홍보 직무중요도에서 도 유사하게 나타났다(베타=0.211).(Table 14)

    안경 시장이 서귀포에 비해 월등히 크며, 동종업체 간에 상대적으로 경쟁관계에 있는 제주시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대표 또는 책임자급이 안경마케팅 직무 중 요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요구도가 큰 고객들을 만족시킬 수 있기 위해 안경브랜드 홍보 직무 중요도 또한 인 식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7. 대표 또는 책임자급의 일반적 특성**, 전문인력 필요여부 및 직원채용의향과 교육 필요도 간의 다중회귀분석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 중 대표 또는 책임자급에게 추가적으로 별도로 전문 인력의 필요여부, 향후 직원 채용 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여, 이를 안경사 면허증 유무에 상관없이 취업예정자를 위한 프로그램 분야의 교육 필요도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표나 책임자급의 성별, 사업장주소지, 경력, 전 문 인력 필요여부, 직원채용의향을 독립변수로 설정 하고 교육필요도(단순안경판매, 안경코디네이터, 안 경디자인, 안경마케팅, 안경브랜드홍보)를 종속변수 로 설정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Table 15와 같다.

    제주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임 자급들이 서귀포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 나 책임자급들에 비하여 안경브랜드홍보 교육필요도 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타=0.160)(Table 15).

    Ⅳ. 결 론

    1.성별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직무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콘택트렌 즈 직무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조제가공, 안경코디네이터 직무에 대한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과 직무의 교육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경코디네이 터 직무의 교육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처럼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직무의 중요도와 필 요도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제 안경 산업체 현장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안 경원에서 근무하는 비율이 높으며, 주로 맡는 업무는 안경조제가공, 굴절검사 등으로 여성에 비해 콘택트 렌즈 관련 직무를 적게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실무 에서 업무 분담이 직무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판단된다.

    2. 근무하는 산업체 업종과 직무 중요도 간 평균 비교 결과,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자보 다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직무는 안경브랜드, 상품 지식이며, 낮게 인식하는 직무 는 콘택트렌즈, 양안 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이다.

    근무하는 산업체 업종과 직무의 교육 필요도 간 평 균 비교 결과, 안경원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종사 자에 비해 안경조제가공, 콘택트렌즈, 양안시기능검 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 교육 필요성이 낮게 나타났다. 직무 중 콘택트렌즈, 양안시기능검사, 안 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은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에 게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업종과 직무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표본 T 검증 평균 비교 결과와 마찬가지로 안경 원 직종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안경브랜드, 상품지식 직무의 중요성 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베 타=0.162, 베타=0.211),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직 무의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타=-0.211).

    산업체 업종과 교육 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립표본 T 검증 평균 비교 결과와 마찬가지로 안경 원 직종 종사자가 안과 병·의원 직종 종사자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콘택트렌즈,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 직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베타=-0.180, 베타=-0.123).

    안경원보다 안과 병·의원 근무시 콘택트렌즈, 양 안시기능검사, 안과검사기기 관련 기술과 관련된 직 무 능력이 보다 더 요구된다. 이처럼 산업체 업종에 따라 근무하는 안경사 수행하는 직무 분야가 달라지 고 이에 종사자의 직무 인식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산업체 직위와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 간 평균 비교 결과, 대표나 책임자급이 직원보다 콘택트렌즈 직무중요도와 교육필요도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산업체 직위와 직무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 과 또한, 대표 혹은 책임자급의 위치에 있는 응답자 들이 직원 위치의 응답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콘 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251).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콘택트렌즈 시장을 통 해 산업체의 고객 유치 및 확보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기에 대표나 책임자급은 직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콘택트렌즈 직무의 중요성 인식이 높으며, 이러한 직 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직무의 교육 필요성 또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산업체 경력과 직무중요도 간 평균 비교 결과, 10년 이하 경력자가 초과 경력자보다 안경코디네이터 직무의 중요성 인식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경력과 교육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 과, 경력이 10년 이하인 응답자들이 초과하는 경력자 들에 비하여 상품지식 직무의 교육 필요도가 상대적 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107).

    근무경력이 길어질수록 대표 또는 책임자급이 될 확률이 높아지며, 이에 산업체 업무 전반을 도와줄 안경코디네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것 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경력이 적을수록 다양한 안경 관련 상품 지식 부족으로 인해 관련 직무에 대한 교 육 필요도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산업체 내에서 경력에 따라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 직무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5. 사업장주소지와 교육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제주시에 위치한 사업장에 근무하는 종사자일 수록 서귀포시에 위치한 사업장 근무 종사자에 비하 여 안과검사기기 관련기술 직무의 교육 필요성을 높 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129). 이 는 제주 지역 산업체 분포 특성상, 제주시가 서귀포 시에 비해 안과 병·의원 수가 많으며 안경 관련 산 업체 근무하는 안경사의 수도 제주시가 훨씬 많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6. 사업장주소지와 직무중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제주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 임자급이 서귀포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 나 책임자급에 비하여 안경마케팅, 안경브랜드홍보 직무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245, 베타=0.211) 그리고, 사업장 주소지와 교육필요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제주시 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임자급이 서 귀포시에서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나 책임자급 에 비하여 안경브랜드홍보 교육필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베타=0.160).

    안경 시장이 서귀포에 비해 월등히 크며, 동종 업 체간에 상대적으로 경쟁관계에 있는 제주시에 사업장 을 두고 있는 대표 또는 책임자급이 안경마케팅 직무 중요도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개성과 취향을 가진 고객 들을 만족시킬 수 있기 위해 안경브랜드 홍보 직무 중요도 및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안경사로서 기본적인 직무 수행능력은 대학의 교 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산업체 현장 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다 양한 능력을 특화시킬 것을 요구한다. 이에 안경 관 련 산업체 현장 실무에서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직무의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파악하여 산업체에서 요구되는 직무 분야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안경사들의 성별, 근무하는 산업체 업종, 경 력, 직위 및 사업장 주소 등에 따라 직무 중요도와 교 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직무 분야는 실제 산업체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전체 직무 중 일부만을 사용하였 기에 추후 직무를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한 연구가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6년도 제주관광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한 논문임.

    This paper was supported by Jeju Tourism University in 2016.

    Figure

    JMBI-18-3-287_F1.gif

    Distribution of service period

    Table

    Properties of objects

    Comparison of job importance according to gender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job importance according to workplace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job importance according to position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job importance according to career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education necessity according to gender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education necessity according to workplace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education necessity according to position by using independent T-test.

    Comparison of education necessity according to career by using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gender, workplace, region, position, career) and job importance(Contact lens, Ophthalmic Dispensing, Marketing Chinese, Glasses Brand, Customer Service Manner)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gender, workplace, region, position, career) and job importance(refraction, Product Knowledge, Binocular Vision, Ophthalmology examination instrument-relative technique, Glasses-Coordinator)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gender, workplace, region, position, career) and education necessity(Contact lens, Ophthalmic Dispensing, Marketing Chinese, Glasses Brand, Customer Service Manner)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Properties of objects(gender, workplace, region, position, career) and education necessity(refraction, Product Knowledge, Binocular Vision, Ophthalmology examination instrument-relative technique, Glasses-Coordinator)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job importance(simple glasses sale, glasses coordinator, glasses design, glasses marketing, glasses brand publicity) and properties of president or shop manager(gender, region and career), professional manpower’s need and future recruitment plan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between education necessity(simple glasses sale, glasses coordinator, glasses design, glasses marketing, glasses brand publicity) and properties of president or shop manager(gender, region and career), professional manpower’s need and future recruitment plan

    Reference

    1.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 Gallup Korea: Using the National Eye Survey Report, 2015. Available at http://www.optic.or.kr. Accessed May 2, 2016.
    2.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health examination survey results, 2015. Available at http://www.moe.go.kr/web/110501/ko/board/view.do?bbsId=348&boardSeq=63156. Accessed May 26, 2016.
    3. Statistics Korea: 2010~2060 The estimated future population.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52623, Accessed June 15, 2016
    4.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ial Government: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Social Survey, 2015. Available at http://www.jeju.go.kr/open/governmen/stats/society.htm?act=view&seq=959767. Accessed June 20, 2016
    5.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Optician job description, 2000. Available at http://kiss.kstudy.com/search/result_kiss.asp, Accessed May 10, 2016.
    6. Research & development office of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A General Summary of Research Report, 1st ed.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pp. 39-40, 100-102, 141-142, 153-154, 2010.
    7.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The Secondary Research Report about job analysis of Opicain, 2013. Available at https://rnd.kuksiwon.or.kr/last/selectLastD e t a i l . d o ?MENU_ I D = C -0 1 - 0 1 &r eportno=RE02-1308-17&sYear=&sJssfc_code=15&sResearchindexcd=&researcherid=&sRsrchtasknm=&PAGE_NUM=1&PER_PAGE=10&IS_PAGE_NEW_SEARCH=Y&TOTAL_PAGE=4, Accessed June 22, 2016.
    8. Chung SJ, Mah KC: A Survey on the job Satisfaction of Optician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Vis Sci. 5(2), 33-44, 2003.
    9. Hwang HY, Kim HM et al.: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Opticians. J Korean Oph Opt Soc. 18(1), 1-10, 2013.
    10. Ye KH, Kim SJ et al.: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opticians. Korean J Vis Sci. 14(3), 163-172, 2012.
    11. Ye KH, Kim SJ et al.: Study on Optician’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Korean J Vis Sci. 14(4), 323-330, 2012.
    12. Kim JS, Bae HJ et al.: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Busan and Gyeongnam Optician. Korean J Vis Sci. 17(1), 9-19, 2015.
    13. Park HK, Lee OJ et al.: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Work Capability,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Optometric Duty in Student and Optometrist. J Korean Oph Opt Soc. 19(4), 457-469, 2014.
    14. Ye KH, Kim SJ: A Study on the Awareness of Major in Students from Dept. of Optometry at a University. J Korean Oph Opt Soc. 20(1), 25-34, 2015.
    15. Ryu KH: Analysis of demand for Opticians about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ajor curiculum. Korean J Vis Sci. 11(3), 161-17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