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3 pp.309-31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3.309

Evaluation of Visual Quality after Femtosecond Laser LASIK

Hui-June Kim,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031-740-7182, FAX: 031-740-7365, E-mail: kjl@eulji.ac.kr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visual quality with double-pass technique after LASIK using a Femtosecond Laser.


Methods:

We examined 43 patients of moderate and high myopia (mean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3.93 ± 1.48 D, 85 eyes, mean age: 26.35 ± 6.86 years) undergoing Feomtosecond Laser LASIK (FS-LASIK). Visual quality was assessed with a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before and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cutoff frequency, Strehl ratio, objective scattering index (OSI) and OQAS values (OVs) were measured and these variabl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MTF cutoff frequency, Strehl ratio, OSI, OV100%, OV20%, OV9% were 41.67 ± 9.99 cycles/degree, 0.24 ± 0.06, 0.45 ± 0.19, 1.41 ± 0.28, 1.06 ± 0.26, and 0.66 ± 0.18, respectively, 1 months after FS-LASIK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baseline results (MTF p=0.23 Strehl ratio p=0.19, OSI p=0.19).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Vs at contrasts of 100% (p=0.95), 20% (p=0.10), and 9% (p=0.10) 1 months after FS-LASIK compared to the baseline results.


Conclusions:

The visual quality 1 month after FS-LASI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eyes corrected with spectacle lenses before the surgery, suggesting that FS-LASIK provide a good visual quality.



펨토초레이저 라식 수술 후 시력의 질 평가

김 희준, 이 군자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성남

    Ⅰ. 서 론

    1983년 각막굴절교정수술이 시행된 이래 수술방법 이 꾸준히 발전되었고1) 레이저를 이용하여 굴절이상 을 교정하는 레이저각막절삭성형술(라식,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과 레이저각막상피절삭 성형술(라섹,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이 1990년대 중반부터 많이 시행되고 있다. 라식수술은 1991년 Pallikaris 등2)에 의해 소개되었 고, 이 방법은 미세각막절삭기(microkeratome)를 이 용하여 각막 절편을 만든 후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이용하여 각막 실질을 절삭하여 근시를 교 정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 과정이 빠르며, 각막 혼탁이 적으나 수술 과정에서 각막절편 을 만들고 이를 다시 접합하는 과정에서 중심부 이탈 (decentration), 상피 재생(epithelial ingrowth), 절 편 주름(flap folds)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3-7)

    레이저굴절수술의 정확성과 시력에 대한 예후를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려는 시도는 현재까지 지속되어 왔고,8,9) 그 중 라식 수술은 각막절편에 의한 부작용 을 줄이기 위해 미세각막절삭기 대신 펨토초레이저 (Femtosecond laser)를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 데,10-12) 이 방법은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레이저가 조사되는 범위와 깊이, 에너지 양을 컴퓨터 로 제어하고 각막절편의 모양 및 두께 예측력이 뛰어 나 각막절편의 목표치와 결과치 사이의 오차가 매우 적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3-15) 따라서 펨토초레이저 라식수술(Femtosecond LASIK, FS-LASIK) 시 발 생할 수 있는 각막절편의 편위(decentration), 일정 하지 않은 절편두께 등으로 발생하는 각막천공 (corneal perforation) 및 불규칙한 표면 등의 합병 증을 줄일 수 있어,16-19) 다른 레이저 각막굴절수술에 비해 시력이 우수하고,20,21) 효율성, 안정성 및 예측성 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22-24)

    라식 수술 후 시력의 질이 감소하는 원인 중 하나 는 눈의 산란(scattering)이 수술 전보다 증가하기 때 문으로 알려져 있는데,25) 펨토초레이저 라식수술 (Femtosecond LASIK, FS-LASIK)의 경우에도 수 술 후 각막의 뒤쪽에서 빛의 산란이 증가된다고 보고 된 바 있어,26) 시력의 질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 로 생각되나 펨토초레이저 수술 후 시력 개선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시력과 고위수차(higher-order aberration) 및 빛의 산란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 다.

    라식 수술 후 시력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Hartmann-Shack wavefront 수차계(aberrometer)27) 를 이용한 수차분석(aberration analysis)과 대비감도 (contrast sensitivity)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빛이 산란되면 망막에 맺힌 빛의 분포를 나타내는 PSF(point spread function)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수차계는 망막에 맺힌 상의 수차를 측정하는 기기로 안구 에 입사한 빛이 안구 매체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산란된 빛은 측정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안구 내로 산란되지 않은 빛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망막 상의 질을 평가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산란이 많이 된 빛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망막 상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 어렵다고 보고되었다.28) 최근에 눈의 수차와 빛의 산란을 모두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중경로시스템(double-pass system)을 이용하는 Opical Quality Analysis System(OQAS) 장비가 개발 되었고 이 기기는 산란에 의해 망막에서 반사된 모든 파장의 빛을 인식하기 때문에 안구내 산란에 의한 영향을 반영할 수 있어 망막에 맺히는 시력의 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29,30) 산란광이 많은 경우에도 시력의 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8)

    고위수차 이외에 시력의 질을 평가하는 함수로는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에 대한 응답함수 (response function)인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변조전달함수), Strehl ratio와 objective scatter index(OSI)가 사용된다. MTF는 각각의 공간주파수에 따라 망막에 맺힌 상의 PSF로 부터 각 주파수에 따라 변환(푸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을 통해 계산한 값으로, 측정기기 주변부 의 고주파수 잡음이 존재하기 때문에 OQAS에서는 MTF 값이 1% 유효값에 도달했을 때의 공간주파수를 MTF cutoff 값으로 제공하며, MTF cutoff 값이 클 수록 시력의 질이 좋다고 할 수 있다.31,32) Strehl ratio는 빛의 집중도를 나타내는데 임상에서는 측정 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지만 최근 개발된 이중경 로시스템은 고위수차, 산란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반영 하여 측정할 수 있고,33,34) 객관적 산란지수를 나타내 는 OSI는 중심부의 빛의 집중도와 주변부 빛 퍼짐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안구 내의 산란 정도를 보여 주기 때문에 시력의 질이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 되고 있다.29) 또한 OQAS에 의해 측정된 OVs(OQAS values)는 대비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MTF 값에 대응 하는 공간주파수를 표준화하여 객관적 시력을 소수시 력으로 나타낸 값으로29) 서로 다른 대비도에서 시기 능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31,35)

    라식 수술은 시력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서는 입 증되었지만, 라식 수술로 인한 고위수차의 증가는 불 빛퍼짐, 대비감도 저하, 눈부심 등의 시력저하의 요 인이 되고 있어,36,37) 시력의 질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특히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 술 후 시력의 질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기 때 문에 본 연구에서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 술 후 경과 기간에 따라 이중경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력의 질적 요소인 MTF cutoff, Strehl ratio, OSI 및 OVs 변화를 추적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2년 6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부산 소재의 S 안과병원에서 굴절이상(근시, 난시) 교정을 원하여 내원한 대상자 중에서 만 18세 이상이며, 굴 절이상도는 -1.00 D 이상의 근시와 -2.00 D 이하의 난시, 각막 굴절력은 +39.00 ~ +48.50 D, 교정시력 이 0.8 이상인 경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후향적으 로 분석하였다. 대상자 중 안 매체에 혼탁이 있거나 전신질환 또는 안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시켰고, 하드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안과검사 전 3 주 이상,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검사 전 1주 이 상 착용을 중단시켜 최종적으로 43명의 데이터를 이 용하였다.

    2. 연구 방법

    1)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

    1999년 미국 FDA에서 처음 승인한 펨토초레이저는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사용하여 해당 부분에 초점을 맞 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femtosecond : 1.0 × 10-15 second)로 빛이 3 ㎛ 직경을 연속적으로 반복 절제하면서 각막면을 절단하게 된다. 컴퓨터로 레이저 가 조사되는 방식과 범위, 두께 등이 제어되어 각막절 편을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레이저로 인한 열 손상은 실질의 1 ㎛ 범위에서 발생되며, 실질이 절단되 면서 이산화탄소(CO2)와 수증기(H2O)가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iFS Femtosecond laser(Intralase iFS 150 KHz, AMO, USA)를 사용하였다.

    2) 라식 수술

    수술 전 현성굴절검사, 조절마비굴절검사, 안압검사, 각막곡률반경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각막내피세포 검사, 시야검사, 각막지형도검사, 각막두께검사, 안저 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술은 안과의(ophthalmologist) 에 의해 0.5% proparacaine hydrochloride(Alcaine, Alcon, USA)로 점안 마취하고, 개검기를 이용하여 안검 을 열고 평형염류용액(Balanced salt solution:BSS, Alcon, USA)로 각막과 결막을 세척한 후 흡입 링 (Suction ring)을 이용하여 각막을 펨토초 레이저와 고 정한 후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 절편을 만들었 다. 각막 절편을 들어 올린 후 엑시머레이저(VISX Star S4 IR, USA)를 이용하여 굴절이상 양만큼 각막 실질을 절삭한 후 평형염류용액으로 세척하고 각막절편을 원위 치 시키고 각막절편이 실질과 유착되도록 건조시켰다.

    3) 시력 및 굴절이상도 측정

    굴절력은 숙련된 검사자 2명에 의해 현성굴절검사 와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 측정하였 고, 시력은 3 m 거리에서 대비도 100% LCD chart ETDRS(SC-2000, Nidek, Japan)를 이용하여 밝은 (photopic) 조명상태에서 한 쪽 눈을 차폐한 후 단안 씩 수술 전 교정시력과 수술 후 나안시력을 수술 1주, 1개월 후에 측정하고 LogMAR 시력으로 변환하였다.

    4) OQAS를 이용한 시력의 질 측정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OQAS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본 연구자들의 선행연구 38-40)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OQAS(OQAS, Visiometrics S.L., Tarrasa, Spain)를 이용하여 라 식 수술 전과 수술 후 1 주일, 및 1 개월 후에 안구 내 의 광학적 시력의 질과 관련이 있는 MTF cutoff, 망 막에 맺히는 빛의 집중도인 Strehl ratio 및 산란도 OSI를 측정하였고, 객관적 시력을 보여주는 OVs는 100%, 20%, 9%의 대비도에 따라 검사장비에서 동공 크기 4 mm로 정하여 측정하였다. 라식 수술 전의 굴 절이상도는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구면 굴절력 (-11.00 D ~ +5.00 D 범위)은 OQAS 내에서 보정하 고, 원주 굴절력 -0.75 D 이상은 시험렌즈를 통해 교 정한 후에 측정하였으며, 라식 수술 후에는 굴절이상 에 대한 보정 없이 나안으로 측정하였다. 눈을 충분 히 깜박이게 하여 측정하는 동안 각막 건조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면서 측정하였다.

    5)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SPSS ver.18(SPSS,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안내렌즈 삽입 전과 후의 측정값 을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다중 비교분석(Post-hoc multiple comparison) 은 본페 로니보정(Bonferroni’s correction)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에서 p 값이 0.05 미만일 경우를 유의 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 및 분석

    라식 수술을 시행한 43명(우안 42안, 좌안 43안, 총 85안)의 평균 연령은 26.35 ± 6.86세(19 ~ 42세) 이고 구면 굴절력은 -3.58 ± 1.46 D, 원주 굴절력은 -0.70 ± 0.43 D, 수술 전 교정 시력은 0.99 ± 0.03 Decimal(0.00 ± 0.02 LogMAR), 안압은 15.41 ± 2.39 ㎜Hg, 각막두께 560.8 ± 25.49 ㎛로 나타났다(Table 1).

    2. 라식 수술 전과 후의 주관적 시력과 굴절이상도 변화

    동일한 시력 검사실 조도에서 측정한 고대비시력 은 라식 수술 전 0.99 ± 0.03 Decimal(0.00±0.02 LogMAR)에서 1주 후 1.04 ± 0.14 Decimal(-0.01±0.06 LogMAR)로 유의하게 향상되 었고(p=0.007), 1개월 후에는 1.01 ± 0.07 Decimal(0.00±0.03 LogMAR)로 수술 1주 후와 유 의한 차이가 없이 유지되었다(p=0.288) (Table 2).

    본 연구의 결과는 젊은 성인 정시안의 시력 -0.20 ~ 0.00 LogMAR31)에 속하는 값으로 시력개선 효과는 정시안의 범주로 나타났으며, Kim 등41)이 보고한 펨 토초 라식 수술 1주 후에 0.76 ± 0.19 Decimal, 1개 월 후 0.97 ± 0.07 Decimal, 2개월 후 0.98 ± 0.06 Decimal로 에피라식으로 수술한 1주 후 0.51 ± 0.14, 1개월 후 0.95 ± 0.08, 2개월 후 0.97 ± 0.08 보다 시력개선 효과가 빨랐다. 또한 Choi 등42)은 펨토초 레 이저와 기존의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 후 시력을 분석한 결과 라식 수술 6개월 후 –6.00 D 이하 인 군에서는 각각 0.98 ± 0.08 Decimal, 0.97 ± 0.03 Decimal로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기존의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에 비해 시력 개선 이 더 좋았다고 보고하였고, Durrie 등24)도 펨토초 레 이저를 이용한 라식이 웨이브 프론트를 이용한 라식에 비해 수술 후에 나안시력이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현성굴절검사로 측정한 구면굴절이상도(Spherical refractive error)는 수술 전 -3.58 ± 1.46 D, 라식 수술 1주 후 0.39 ± 0.22 D, 1개월 후 0.36 ± 0.20 D로 라식수술 1주일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00), 그 후부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목표 값인 0 ~ ± 1.00 diopter 이내로 유지되었다 (p=1.000) (Table 2). 원주굴절이상도(Cyl)는 수술 전 -0.70 ± 0.43 D, 삽입 1주 후 -0.14 ± 0.15 D, 삽입 1개월 후 -0.19 ± 0.20 D로 삽입 1주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 삽입 1주에서 1개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31) (Table 2). 등가구면 굴절이상도(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 는 안내렌즈 삽입 전 -3.93 ± 1.48 D, 삽입 1주 후 0.32 ± 0.24 D, 삽입 1개월 후 0.24 ± 0.23 D로 삽 입 후 1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 삽입 후 1주일 후부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1.000) (Table 2), ±0.50 D 이내의 등가구면굴절이상도를 보여 목표 시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Table 2).

    Kim 등41)은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이상도는 -6.12 ± 2.70 D, 수술 1주 후 -0.47 ± 0.21 D, 1개월 -0.28 ± 0.15 D, 2개월 -0.25 ± 0.12 D로 보고하여 등가구면굴절이상도가 ± 0.50 D 범위에 있는 결과를 보였고, Rosman 등43) 은 수술 전 -4.91 ± 2.09 D, 수술 1개월 후 0.21 ± 0.43 D, 2개월 후 0.15 ± 0.38 D 로 본 연구와 비슷 한 결과를 보였다. Choi 등42)은 펨토초 라식 수술 후 6개월 후 등가구면굴절이상도가 ± 0.50 D 미만인 경우가 -6.00 D 이하의 군에서 96.3%, -6.00 D 이 상의 경우에 86.9%로 고도근시에서 도수의 변화가 더 많았다고 하였다. Ang 등44)은 두 종류의 펨토초 라식 수술 3개월 후 등가구면굴절이상도가 각각 0.11 ± 0.41 D, -0.018 ± 0.41 D로 안정적으로 유지되 었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라식 수술 후 3 개월 후부터 굴절력의 변화 없이 굴절이상도가 안정 적으로 유지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1개 월 후부터 안정적인 굴절이상도를 보여 시력의 질 평 가는 라식 수술 1개월 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평가 하였다.

    3. 라식 수술 전과 후 시력의 질 비교

    OQAS 장비로 측정한 MTF는 라식 수술 전 41.90 ± 8.10 cycle per degree(cpd), 수술 후 1주 39.65 ± 8.77 cpd, 1개월 41.67 ± 9.99 cpd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232) (Table 3). Ondategui 등45)은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식 수술(30.7 ± 8.9세) 후 3개월 33.43 ± 11.10 cpd로 보고하였고 Kamiya 등46)은 안내렌즈삽입안(36.4 ± 4.9세)의 MTF 값이 28.69 ± 8.59 cpd로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Martínez-Roda 등31)이 보고한 젊은 성인들(22.47 ± 3.04세)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44.54 ± 7.14 cpd로 본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 후 MTF cutoff 값은 40 cpd 정도였고 수술 전 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것은 안경으 로 교정한 상태와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굴절교정방법 중 하나인 후방안내 렌즈를 삽입한 경우에는 펨토초 레이저 라식 수술 결 과와 유사하게 MTF 값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47) 그러나 각막굴절교정렌즈로 굴절교 정을 한 경우에는 MTF 값이 굴절교정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48)

    Strehl ratio는 수술 전 0.23 ± 0.06, 수술 후 1주 0.22 ± 0.06, 1개월 0.24 ± 0.06로 라식 수술 전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19) (Table 3), 본 연구에 서 측정된 값은 0.23 정도로 Ondategui 등45)이 라식 수술안(30.7 ± 8.9세)에서 보고한 0.201 ± 0.071과 Kamiya 등46)과 Martínez‐Roda 등31)이 측정한 정시 안 평균값 0.22 ± 0.06 (36.4 ± 4.9세), 및 0.27 ± 0.06(22.47 ± 3.04세)과 유사한 범위의 값을 보였 다. 다른 굴절교정방법 중 하나인 후방안내렌즈를 삽 입한 경우에는 펨토초 레이저 라식 수술 결과와 유사 하게 Strehl ratio는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나,47)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굴절교정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8)

    객관적 산란지수 OSI는 라식 수술 전 0.53 ± 0.37, 라식 수술 후 1주 0.54 ± 0.27, 수술 후 1개월 0.45 ± 0.1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9) (Table 3). 이 값은 라식수술 후 측정한 1.07 ± 0.5844)값 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자의 측정값 0.72 ± 0.4030), 0.77 ± 0.9546)보 다 낮은 결과를 보였고 정시안의 측정값 0.38 ± 0.1931) 및 0.60 ± 0.4245) 보다 높거나 유사한 결과 를 보였다. 다른 굴절교정방법 중 하나인 후방안내렌 즈를 삽입한 경우에는 펨토초 레이저 라식 수술 결과 와 유사하게 OSI 값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나,47) 각막굴절교정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는 굴절교정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48)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수술 후에 측정된 OSI 값들은 정상 범위 내에 있어 수술 전의 시력과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 이 각막절삭으로 인한 산란 및 빛 번짐에 영향을 주 지 않는 굴절교정수술 방법이며 수술 후 수술 전 안 경렌즈로 교정한 것과 유사한 시력의 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펨토초 레이저 라식 수술 전과 후의 객관적 시력 비교

    객관적 시력 OVs는 라식 수술 전에는 현성 굴절검 사를 통해 측정된 굴절이상을 교정하여 측정하였고, 라식 수술 후에는 굴절이상에 대한 보정 없이 측정하 였다. 객관적 시력 OV100%는 라식 수술 전 1.40 ± 0.27 Decimal(-0.14 ± 0.09 LogMAR), 수술 후 1주 1.43 ± 1.06 Decimal(-0.12 ± 0.15 LogMAR), 수술 후 1개월 1.41 ± 0.28 Decimal(-0.14 ± 0.10 LogMA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48) (Table 4). OV20%은 라식 수술 전 1.04 ± 0.27 Decimal(0.00 ± 0.12 LogMAR), 수술 후 1주 0.97 ± 0.28 Decimal(0.03 ± 0.12 LogMAR), 1개월 1.06 ± 0.26 Decimal(-0.01 ± 0.11 LogMA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78) (Table 4), OV9%도 라식 수술 전 0.63 ± 0.18 Decimal(0.22 ± 0.14 LogMAR), 수술 후 1주 0.59 ± 0.18 Decimal(0.25 ± 0.14 LogMAR), 수술 후 1개월 0.66 ± 0.18 Decimal(0.20 ± 0.12 LogMA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8)(Table 4).

    이 결과는 OV100%는 정상안 범위인 1.01~1.95 Decimal31)에 속하지만 OV20%와 OV9%는 OV20%의 정 상안 범위 0.95~2.21 Decimal, OV9%의 정상안 범위 0.88~2.40 Decimal 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Kim 등 41)이 보고한 정상군의 객관적 시력 OV100% 1.44 ± 0.28 Decimal, OV20% 1.49 ± 0.37 Decimal, OV9% 1.52 ± 0.40 Decimal보다는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Kim 등41)은 –6.00 D 이하의 라식 수술군의 객관적이 OV100% 1.35 ± 0.32 Decimal, OV20% 1.35 ± 0.38 Decimal, OV9% 1.31 ± 0.38 Decimal, -6.00 D 이 상의 라식 수술 군의 객관적 시력은 OV100% 1.21 ± 0.32 Decimal, OV20% 1.15 ± 0.36 Decimal, OV9% 1.16 ± 0.35 Decimal로 보고하였는데 이 값과 본 연 구결과를 비교하면 높은 대비도 OV100%에서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OV20%, OV9% 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 였다. 그러나 대비도가 낮은 시력에 대해서는 수술 전 측정 결과에서도 낮은 수치를 보여 수술에 의해 객관적 시력의 저하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대상자 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나 추후 더 많은 시력교정술안의 결과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 고 사료된다. 후방안내렌즈를 삽입 후 객관적 시력47) 도 펨토초 레이저 라식 수술 결과와 유사하게 OVs 값 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 막굴절교정렌즈의 경우에는 렌즈 착용 후 OV100%과 OV20%은 굴절교정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지만 OV9%는 유의하게 낮아졌다.48)

    이상의 결과로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 이 각막절삭으로 인한 산란 및 빛 번짐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객관적 시력도 수술 전 안경렌즈로 교정한 것 과 유사한 시력의 질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Ⅳ. 결 론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라식 수술 후 나안 시력은 수술 전보다 향상되었고, 수술 후 안구 굴절력은 1개 월까지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라식 수술 후 MTF cutoff, Strehl ratio 및 OSI 등의 측정값은 라식 수 술 전 안경렌즈로 교정한 측정 값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객관적 시력도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시력의 질 을 저하시키지 않는 굴절교정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 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시력 및 수차, 대비감도가 아닌 이중경로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 시력의 질과 객 관적 시력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추후 다른 시력 교정술과의 질적인 비교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Table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Visual acuities and subjective refractive errors after FS-LASIK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after FS-LASIK

    Comparison of objective visual acuity after FS-LASIK

    Reference

    1. Trokel SL, Srinivasan R et al.: Excimer laser surgery of the cornea. Am J Ophthalmol. 96(6), 710-715, 1983.
    2. Pallikaris IG, Papatzanaki ME et 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ers Surg Med. 10(5), 463-468, 1990.
    3. Tham VM, Maloney RK: Microkeratome complications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phthalmology 107(5), 920-924, 2000.
    4. Walker MB, Wilson SE: Lower intraoperative flap complication rate with the Hansatome microkeratome compared to the Automated Corneal Shaper. J Refract Surg. 16(1), 79-82, 2000.
    5. Ahn JY, Kwon JW et al.: Comparison of the flap complication rate between microkeratomes for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9(9), 1425-1430, 2008.
    6. Yoon JT, Lee GJ et al.: Flap complications of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1(5), 1146-1150, 2000.
    7. Jacobs JM, Taravella MJ: Incidence of intraoperative flap complications in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8(1), 23-28, 2002.
    8. Aizawa D, Shimizu K et al.: Clinical outcomes of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6-month follow-up. J Cataract Refract Surg. 29(8), 1507-1513, 2003.
    9. Pérez-Santonja JJ, Bellot J et al.: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to correct high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23(3), 372-385, 1997.
    10. Sugar A: Ultrafast (femtosecond) laser refractive surgery. Curr Opin Ophthalmol. 13(4), 246-249, 2002.
    11. Ratkay-Traub I, Juhasz T et al.: Ultra-short pulse (femtosecond) laser surgery: initial use in LASIK flap creation. Ophthalmol Clin North Am. 14(2), 347-355, 2001.
    12. Nordan LT, Slade SG et al.: Femtosecond laser flap creation fo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Six-month follow-up of initial U.S. clinical series. J Refract Surg. 19(1), 8-14, 2003.
    13. Cummings AB, Cummings BK et al.: Predictability of corneal flap thickness in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using a 200 kHz femtosecond laser. J Cataract Refract Surg. 39(3), 378-385, 2013.
    14. Shemesh G, Dotan G et al.: Predictability of corneal flap thickness in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using three different microkeratomes. J Refract Surg. 18(3), 347-351, 2002.
    15. Flanagan GW, Binder PS: Precision of flap measurements fo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 4428 eyes. J Refract Surg. 19(2), 113-123, 2003.
    16. Kezirian GM, Stonecipher KG: Comparison of the IntraLase femtosecond laser and mechanical keratomes fo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30(4), 804-811, 2004.
    17. Binder PS: Flap dimensions created with the IntraLase FS laser. J Cataract Refract Surg. 30(1), 26-32, 2004.
    18. Binder PS: One thousand consecutive IntraLase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laps. J Cataract Refract Surg. 32(6), 962-969, 2006.
    19. Biser SA, Bloom AH et al.: Flap folds after femtosecond LASIK. Eye Contact Lens 29(4), 252-254, 2003.
    20. Chen LY, Manche EE: Comparison of femtosecond and excimer laser platforms available for corneal refractive surgery. Curr Opin Ophthalmol. 27(4), 316-322, 2016.
    21. Zhang Y, Shen Q et al.: Clinical outcomes of SMILE and FS-LASIK used to treat myopia: A Meta-analysis. J Refract Surg. 32(4), 256-265, 2016.
    22. Montés-Micó R, Rodríguez-Galietero A et al.: Femtosecond laser versus mechanical keratome LASIK for myopia. Ophthalmology 114(1), 62-68, 2007.
    23. Patel SV, Maguire LJ et al.: Femtosecond laser versus mechanical microkeratome for LASIK. Ophthalmology 114(8), 1482–1490, 2007.
    24. Durrie DS, Kezirian GM: Femtosecond laser versus mechanical keratome flaps in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prospective contralateral eye study. J Cataract Refract Surg. 31(1), 120-126, 2005.
    25. Wang J, Thomas J et al.: Corneal light backscatter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LASIK. J Refract Surg. 22(6), 604-610, 2006.
    26. Savini G, Huang J et al.: Objective monitoring of corneal backward light scattering after femtosecond laser-assisted LASIK. J Refract Surg. 32(1), 20-25, 2016.
    27. Kamiya K, Igarashi A et al.: Visual performance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nd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low to moderate myopia. Am J Ophthalmol. 153(6), 1178-1186, 2012.
    28. Díaz-Doutón F, Benito A et al.: Comparison of the retinal image quality with a Hartmann-Shack wavefront sensor and a double-pass instrument. Invest Ophthalmol Vis Sci. 47(4), 1710-1716, 2006.
    29. Vilaseca M, Arjona M et al.: Optical quality of foldable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a double-pass system. J Cataract Refract Surg. 35(8), 1415-1423, 2009.
    30. de Juan V, Aldaba M et al.: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assessed with a double-pass system in eyes with contact lens induced corneal swelling. Cont Lens Anterior Eye. 37(4), 278-284, 2014.
    31. Martínez-Roda JA, Vilaseca M et al.: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in a healthy young population. Clin Exp Optom. 94(2), 223–229, 2011.
    32. Navarro R, Artal P et al.: Modulation transfer of the human eye as a function of retinal eccentricity. J Opt Soc Am A. 10(2), 201-212, 1993.
    33. Güell JL, Pujol J et al.: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instrument for obj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ocular optical quality. J Cataract Refract Surg. 30(7), 1598-1599, 2004.
    34. Logean E, Dalimier E et al.: Measured double-pass intensity point-spread function after adaptive optics correction of ocular aberrations. Opt Express 16(22), 17348-17357, 2008.
    35. Ondategui JC, Vilaseca M et al.: Retinal image quality three month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yopia of up to -5.75 diopters. J Emmetropia 2(1), 21-30, 2011.
    36. Mrochen M, Kaemmerer M et al.: Clinical results of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3 months after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7(2), 201-207, 2001.
    37. Oshika T, Klyce SD et al.: Comparison of corneal wavefront aberration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m J Ophthalmol. 127(1), 1– 7, 1999.
    38. Kwak AY, Choi MJ et al.: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between two intraocular lenses using double-pass based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J Korean Opthalmol Soc. 54(12), 1818-1823, 2013.
    39. Kim JY, Lee KJ: Optical performance after mono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evaluated using a OQAS. Korean J Vis Sci. 15(2), 173-182, 2013.
    40. Kim JM, Lee KJ: Comparison of central and peripheral refraction in myopic ey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emmetrop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2), 157-165, 2015.
    41. Kim SI, Whang WJ et al: Comparison of short term clinical results between epi-LASIK and femtosecond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51(12), 1573-1578, 2010.
    42. Choi ES, Jung HJ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 of LASIK using between femtosecond laser and microkeratome for correction of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8(8), 1041-1047, 2007.
    43. Rosman M, Hall RC et al.: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using 2 femtosecond laser platforms in contralateral eyes. J Cataract Refract Surg. 39(7), 1066-1073, 2013.
    44. Ang M, Mehta JS et al.: Visual outcomes comparison of 2 femtosecond laser platforms fo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39(11), 1647-1652, 2013.
    45. Ondategui JC, Vilaseca M et al.: Optical quality after myopic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comparison using a double-pass system. J Cataract Refract Surg. 38(1), 16-27, 2012.
    46. Kamiya K, Shimizu K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3(6), 3161-3166, 2012.
    47. Kim HJ, Lee KJ: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posterio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Korean J Vis Sci. 18(1), 77~87, 2016.
    48. Kim HJ, Lee KJ: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ear Korean J Vis Sci. 17(2), 163-17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