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3 pp.379-39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3.379

The effects of camp-type Intensive Learning Program to prepare for the state examination

Mi-Ok Yun
Dept. of Optometry,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Yangsa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i-OK Yun Dept. of Optometry,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Yangsan. TEL: 055-370-8214, FAX: 055-370-8230, E-mail: withmiok@dist.ac.kr

Abstract

Purpose:

The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make the education method difficult. This study aim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with intensive learning program.


Methods:

An intensive learning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graduates-to-be through a training camp during summer vacation from 2012 through 2015,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score in a mock test and the result of the state examination taken in December each year were analyzed. A survey on their satisfaction was conducted on-line.


Results:

Results of the developing and operating an intensive learning program, The state examination acceptance ratio of the 3rd grade junior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department of optometry in korea. Also department satisfaction was high.


Conclus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 with intensive learning program. But this research program has been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student characteristics for the optician’s license. So it is necessary to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국가면허시험 대비 합숙형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 운영 효과

윤 미옥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양산
    Department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Ⅰ. 서 론

    우리나라 전문대학은 전문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1979년 127개교, 78,455명의 학생으로 출발하여 설 립 25년이 지난 2013년 현재에는 158개교, 925,963 명의 학생으로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1) 전문 대학은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고등교육 대중화와 산 업인력 육성에 기여해 왔다는 평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4년제 대학 졸업 후 전문대학에로 의 재입학 비율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전문대학 의 취업률은 1995년 74.2%, 2004년 77.2%, 2008년 85.6%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 68.9%와 비교하여도 최소 10% 이상의 우위를 보이고 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자연인구 감 소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는 전문대학의 입학자원 감 소 및 입학정원 미달을 조장하여 전문대학의 학습능 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고,3) 이로 인한 전문대 학의 학습부진 학생은 학습의 무력감, 학업수행능력 부족, 성취동기 저하, 낮은 자존감 등의 경험으로 인 해 학업성취 저하 경향을 보인다.4) 전문대학의 이런 학업성취 저하는 학과 부적응으로 인한 중도탈락자를 발생시켜 전문대학의 정체성마저 위협하는 정도에 이 르고 있다. 이런 전문대학의 정체성 위협에서 벗어날 대학생의 성공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 대학생들이 전공학과에 잘 적응하느냐 하는 것 과 졸업 후 전공학과와 관련하여 얼마나 취업을 잘 하느냐 하는 것이다.5) 대학생의 학과 적응과 취업 문 제는 개인에게도 중요한 일이지만 대학 발전에도 상 당히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만약 학생들이 학과 에 잘 적응하지 못할 경우 낮은 학업적 성취, 진로목 표 부재, 계속된 갈등으로 전과 등의 문제를 경험하 게 되고, 이는 곧 학업을 중도에 포기하는 자퇴 및 휴 학으로 연결된다.6) 학교생활 부적응은 개인의 잠재된 가능성 개발 기회 박탈로 인해 자이존중감은 낮아지 고 재학 중 또는 졸업 후에라도 전공을 포기하는 것 으로 이어질 수 있다.7) 특히 교과과정 및 교육내용, 교육지원 등이 학습자들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소 획일적인 학습내용과 강의식 수업 위주로 이 루어졌다는 데에서 전문대학 학생은 낮은 만족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이에 본 연구자는 지 난 3년간 실시하였던 합숙형 집중몰입 학습법을 이번 기회에 보다 체계적으로 적용·운영 후, 이를 바탕으 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대학 학습자들의 전공학 습 능력을 강화하여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극대 화하고 전공학과와 관련된 분야에 취업을 성사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학습자의 학업 만족도를 향 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운영과 학습자 특성을 반영 한 수업 설계 전략은 전통적 강의법, 집중몰입학습 법, 튜터링 및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Peer Tutoring), 팀기반 문제중심학습, 자기주도학습, 협 동학습 등의 다양한 교수법 중 집중몰입과 협동학습 을 접목한 합숙형 집중몰입식 교육으로 실시하였다. Table 1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은 일반고 졸업생을 비롯하여 특성화고 졸업생, 만학도 등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여러 전공 수업과 교양 수업이 진행 되는 정규 학기만으로는 면허 취득률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비교적 저학년일 때는 전공에 대한 학업적인 필요성과 집중도가 낮아 전공기초교육을 제대로 수행 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3학년 진학 후 안경사 국가고 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전공 학습능력의 저하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는 현 실에서 합숙형 집중몰입 학습프로그램은 전공능력향 상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집중학 습프로그램(ILP : Intensive Learning Program)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비정규과정이기는 하나 개 발한 집중몰입교육 프로그램의 매뉴얼로 학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Table 2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예정자 전원 을 대상으로 매년 졸업 예정자의 수는 일정하지 않아 변수로 작용한다. 2012년 실시(제 25회 안경사 국가 고시)한 1회 졸업 예정자는 8명, 2013년 실시(제 26 회 안경사 국가고시)한 2회 졸업 예정자는 17명, 2014년 실시(제 27회 안경사 국가고시)한 3회 졸업 예정자는 13명, 2015년 실시(제 28회 안경사 국가고 시)한 4회 졸업 예정자는 23명이었으며 이번 연구대 상자는 23명이었다. Table 3

    2. 연구 방법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 사례연구,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 활동 등을 통해 전공직무 몰입향상교육프로그램을 개 발하기 핵심 구성요소 도출과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여름방학을 활용한 집중몰입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하여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내용의 단계별 평가 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지난 3년간 적용했던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 적으로 설계된 학습 프로그램에 도입 후 수정 보완ㆍ 완성한다.

    1) 교육환경

    교육기간은 학습자의 집중몰입학습의 효과를 높이 기 위해 방학 중 6주 이상의 일정으로 1차 프로그램 을 운영하고, 학기 중 야간 시간을 활용한 2차 프로 그램을 연속 운영한다. 모든 학습자는 교내 기숙사에 합숙(단 양산 거주자와 기혼자는 제외)한다. 학습 장 소는 팀 별 및 개인별 학습 가능한 강의실과 확보와 11월 이후에는 야간시간 난방시설 가동이 필수적이 다. 기숙사 합숙을 원칙으로 하는 것은 재학생 대부 분의 거주지가 부산 및 울산 등 장거리 지역으로서 등하교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며 학기 중에는 정 규교육과정 시간 외에 최대한 프로그램 운영할 시간 확보를 위한 것이다. Table 4

    이미 정규과정에서 이수한 전공기초과목에 대한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학습프로그램 교육과정 의 대상자는 학습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학 습의욕이 충만하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졸업 예 정자가 가장 적합하다.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 과 학습자는 국가고시를 치러야 전공분야에 취업을 할 수 있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어 집중몰입교육 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이 되어 있는 상태 이며, 프로그램 운영 결과 연속 국가고시 100% 합격 이라는 최고의 실적으로 학습자 모집은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이다.

    2) 집중몰입학습 운영 방법

    집중몰입학습 과정별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은 다음과 같다.

    (1)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Peer Tutoring) 및 튜터/튜티 구성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5학기 동안의 학교 성적과 1차 향상몰입 프로그램 교육 운영 전에 실시한 첫 모 의고사 점수를 참고하여 각 팀의 학습리더를 선출하 고, 문제기반학습 대상자는 사전에 충분한 면담을 통 하여 스스로 학습 튜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최 종 결정은 튜터와 튜티, 교수가 함께 한다. 경우에 따 라서는 학습리더의 의사와 팀원의 여론을 반영하여 적합한 학습자로 튜터를 교체하기도 한다. 튜터는 튜 티의 눈높이에 맞추어 부진한 학습지원을 적극적으로 하며 배정된 튜티를 대상으로 교수가 강의한 학습내 용을 재교육한다. 튜터는 교수자 역할을 통한 자존감 향상과 학습자 스스로 복습이 이루어지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튜티는 눈높이에 맞는 학습 도움을 그때그때 받음으로 인해 소극적이던 학 습 태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변하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Table 5

    첫 모의고사는 1학기 기말고사 마지막 날로 2012 년부터 정해 놓고 실시하고 있으며 기말고사 준비로 인해 첫 모의고사 성적이 나쁘지는 않다. 이는 이수 학점이 130점으로서 졸업 학점보다 10학점이나 여유 있게 편성되어 3학년 1학기면 대부분의 교육과정이 마무리되는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8월 말 집중 몰입교육프로그램 실시 마지막 날 2회 모의고사를 실 시하여 1회 모의고사와 비교하며 심층상담을 한다. 11 월 이후에는 모의고사를 토요일 실시하여 주말시간을 잘 활용하며 첨삭을 일요일까지 끝낼 수 있도록 유도 한다.

    (2) 집중몰입학습 참여 학습자 관리

    학습자 개별 면담

    교수자는 학습자의 지속적인 관찰과 튜터의 조언 을 바탕으로 장시간의 학습 부담을 이기지 못하는 학 습자나 실력향상이 더딘 학습자에 대한 상시적인 면 담을 통하여 학습의욕과 목표의식을 고취시킨다. 학 습방법과 시간활용 등에 관한 습관 등을 조언한다.

    우수 학습자 장학금 제공

    집중몰입교육 프로그램 운영 후, 점수를 산정하여 우수 학습자를 포상한다. 우수자로 선정된 학습자 3 명은 전체 재학생과 함께 한 자리에서 시상식을 진행 한다. 1, 2학년 학생에게도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 의 효과를 알리고 3학년 때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상장과 장학금 수여 (1등-300,000원, 2등 -200,000원)는 학과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향상 기 여에 팀리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졸업식 때 공로상 을 수여한다.

    간담회 개최

    2주 간격의 모의고사 실시 후, 저녁식사 시간을 함 께하며 편안한 분위기에서 서로의 의견과 개선점 등 을 토론한다.

    SNS 활용

    프로그램 참여 학습자와 교수자가 함께하는 SNS (카카오톡 그룹채팅)을 이용하여 상시적인 의견 교환 과 학습자들의 컨디션 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숙사 생활 관리

    학교의 배려로 국가고시를 치르는 3학년 학생끼리 2인 1실을 사용하면서 기숙사에서의 생활 패턴도 서 로 의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실 관리

    3학년 전용 강의실의 쾌적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 해 하루 일과의 마무리는 반드시 강의실 청소로 한다.

    3) 집중몰입학습 운영 내용

    집중몰입학습 프로그램 운영 학습 지도안의 구체 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단원 구성과 내용

    학습단원 구성은 본 프로그램이 장기 집중 학습 방 식인 점과 재교육을 하는 점, 국가고시 출제 경향 등 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여름방학 동안 실시하는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Peer Tutoring)를 위한 학습단위 를 기본으로 한다. 하나의 학습 단원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다음 학습 단원의 학습으로 이행한다. 각각 의 학습 단원은 그 범위와 난이도가 서로 달라 학습 을 완결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2) 교수 강의와 수업 지도안

    교수 강의는 2시간을 기본으로 하였다. 한 단원에 대하여 한 번의 강의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 결 과정을 서로 확인하여 모든 학습자가 기준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학습 진도를 조절한다.

    (3) 단원 단계별 문제 개발

    단원별 단계적 문제로 기초, 심화문제를 1차 형성 평가로, 종합문제를 2차 형성평가로 문제를 개발 및 출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단, 단원 특성에 따 라 문항 수는 차이가 있으며 중요도에 따라 1차 형성 평가와 동일한 문제를 출제하기도 한다.

    (4) 학습자 개별 문제 출제

    학습자의 지루함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단원 마다 색다른 부제목을 붙여 학습자가 직접 출제한다.

    《나만 만들 수 있는 문제》, 《나만 풀 수 있는 문제》, 《나만 만들 수 있고 풀 수 있는 문제》, 《교수님은 풀 수 있을까?》, 《너만 풀 수 있는 문제》, 《너만 풀 수 없는 문제》, 《글쎄? 너는...》, 《우리도 만들 수 있는 문제》, 《우리 모두 만들어 풀 수 있는 문제》 등의 부제목을 붙여 흥미를 유도하도록 한다.

    (5) 국가고시 대비 모의고사 실시

    매년 12월 국가고시를 치르기 전에 총 10회 ~ 12 회의 모의고사를 실시한다. 여름방학을 활용한 집중 몰입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단기간은 아니라도 서서히 모의고사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점수 관리표 1부는 학습자가 관리하고, 다른 1부 는 본 연구자가 관리하며 모의고사 때마다 점수를 확 인하여 과목별 상담을 하고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법 을 설명하며 주변 환경에 대해서도 의논한다. Table 6

    Ⅲ. 결 과

    본 프로그램 참여자는 2015년 안경사 국가고시를 치르는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3학년 23명 으로 여름방학 동안 향상몰입교육 프로그램에 기숙사 입소(단, 양산 거주자와 기혼자 제외)로 전원 참여하 였으며 설문 조사도 전원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총 10문항으로 5점 척도로 “매우 불만족-1점, 매우 만족-5점”으로 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답 변임을 의미한다. 본교 평생직업교육처에서 제공한 설문지 10 문항 중 향상몰입교육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6 문항만 추출하여 SPSS 18program을 이용하 여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Table 7

    ① 전공분야 지식습득에 미치는 효과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전공분야 지식습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1명(91.3%), 보통 2명(8.7%)으로 나타났다. ‘만족’ 이상의 대답이 91.3%로 ‘전공분야 지식습득에 미치는 효과’는 효과 적임을 알 수 있다.

    ② 학교와 학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학교 만족도와 학과 만 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0명 (87%), 만족 1명 (4.3%), 보통 2명(8.7%)으로 나타났 다. ‘만족’ 이상의 대답이 91.3%로 ‘학교 만족도와 학 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③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0명 (87%), 만족 1명(4.3%), 보통 2명(8.7%)으로 나타났 다. ‘만족’ 이상의 대답이 91.3%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④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0명(87%), 만족 1명 (4.3%), 보통 2명(8.7%)으로 나타났다. ‘만족’이상의 대답이 91.3%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는 효과 적임을 알 수 있다.

    ⑤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0명(87%), 만족 1명 (4.3%), 보통 2명(8.7%)으로 나타났다. ‘만족’ 이상의 대답이 91.3%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효과 적임을 알 수 있다.

    ⑥ 학습 일정에 대한 만족도

    집중몰입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후 평가를 실시 한 결과 ‘학습 일정에 대한 만족 도’에 대한 응답은 매우 만족 21명(91.3%), 보통 2명 (8.7%)으로 나타났다. ‘만족’ 이상의 대답이 91.3%로 ‘학습 일정에 대한 만족도’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 집중몰입학습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2010년 1회 입학생 26명 중 가사휴학 및 군휴학, 자퇴 등으로 졸업 예정자 8명 전원이 2012년 국가고 시 100%의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국 평균 6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단, 1학년과 2학년 시기에 가사휴학 및 군휴학 등 으로 재학생 수가 아주 적은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

    2012년 3회 입학생 31명 중 가사휴학 및 군휴학, 자퇴 등으로 졸업 예정자 13명 전원이 2014년 국가고 시 100%의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국 평균 76.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2013년 4회 입학생 31명 중 가사휴학 및 군휴학, 자퇴 등으로 졸업 예정자 23명 전원이 2015년 국가고 시 100%의 합격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국 평균 73.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Ⅳ. 고찰 및 결론

    몰입이란 자신의 과제나 직무에 완전히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로서 어떤 일을 할 때 그 일에 완전히 빠져있는 느낌을 의미한다. 즉, 인간 이 특정한 일에 완전히 빠져들어 시간과 주변 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그 일에 완전히 흡수되는 상태 를 나타낸다.

    학습몰입(learning flow)은 학습이 물 흐르듯 자연 스럽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말하며,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일에 완전히 푹 빠져 시간의 감각조차 느낄 수 없이 학습에 완전히 집중하는 상태를 말한다. 몰입이 일어나면 집중, 흥미, 즐거움이 동시에 발생되고, 이 는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게 되어 창조적인 즐거움 과 학습경험, 능력개발, 자기존중감 등을 느끼게 해 준다.

    몰입은 이루어진 환경에 따라 직무몰입, 학습몰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직무몰입은 기업환경에서 근로 자 자신의 직무에 몰두하는 상태를 말하며 기업교육 분야에서 교육성과 측정에 널리 활용되고 그 중요성 이 입증되었다.9) 학습몰입은 학습자가 정확한 학습목 표를 인식하였을 때 일어나는 경향이 강하며 도전과 제와 학습자의 능력과 스킬이 모두 높을 때 학습몰입 이 일어나게 된다.10) 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도 선행연구에서 일관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Mathieu 등은 직장인 5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에서 만족도와 직무몰입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 음을 밝혀내었다.11) Galup 등도 업무나 조직의 질적 인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 강조하였다.12) 그들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 몰입, 직무자율성, 직업의 특성 등이 만족도를 예측 하는 가설적 모델을 설정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직무에 대한 몰입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주 등은 기업 사이버교육환경에서 과 업에의 집중, 방해물 차단 등으로 구성된 몰입이 교 육전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몰입 은 과정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Mudrack(2004)은 직무몰입은 동기변인 중 하나로써 직무몰입이 높은 사람은 자신에게 부여 된 과업에 대해 몰두하고, 자신과 조직을 일치시키게 됨으로써 자신의 역량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 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다고 했다.14) 따라서 해당 교육 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몰두하여 이를 현업에 적 용시켜 자신과 조직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 또한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직무몰입은 전이동기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직무몰입이 전 이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연구대상자들 은 자신이 맡은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중할 수록 배운 것을 현업에 적용해보고자 하는 의지가 높 아짐이 밝혀졌다. 따라서 학습자가 직무몰입을 할 수 있도록 관리자는 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에게 시간제공 이나 학습환경을 구성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배 등은 직무환경이 특히 조직원들의 감성적인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나아가 조직원 들의 이직 의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다.15) Rusbult 등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투입 모 델의 변인들의 구조를 검증한 결과, 만족도, 지원크 기, 대안책의 질 등이 학교몰입을 예측하고, 학교몰 입이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16)

    지금까지 몰입과 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대 체로 두 변인 간을 긍정적 관계로 보고하고 있다. 이 는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예정자를 대 상으로 집중몰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on-line 으로 한 설문 결과도 긍정적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영작문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45명을 대상으로 6 주 동안 영어 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면서 영어쓰 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 결과 몰입은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함이 밝혀졌다.17) 또한, 기 업 내의 웹기반 교육훈련 참가자 121명을 대상으로 측 정한 연구에서 학습몰입이 과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18) 두 초등학교 272명을 대상 으로 학습몰입과 만족도의 결과를 알아 본 연구에서 학습몰입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 명하였다. 또한 52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이 과목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알아 본 결과, 학습몰입이 과목 만족도를 예측하였다.19)

    위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몰입은 만족도와 관련 하여 전통적인 학습환경, 사이버학습환경, 그리고 직 무환경에서 널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학습 자의 연령이나 학습내용의 차이에 관계없이 초등학 생, 대학생, 성인학습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몰입을 Csikszentmihalyi (1997)와 Mowday(1979)의 정의를 통합하여 ‘학습자 들이 자신이 속한 학교의 가치관과 목표를 자신의 것 과 동일하게 여기고 이를 신뢰하여 따르고 애착을 갖 는 정서적인 반응’으로 정의하였다.20)

    학습몰입은 주로 학습자 개인의 활동에 초점을 두 어 성과 향상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학습 자가 자신이 속한 학교에 대한 애교심 및 소속감을 연구하는 학교몰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수행능력 부 족, 성취동기 저하, 낮은 자존감 등으로 인한 학업성 취 저하를 방지하고 전공학과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고취시키고자 학습에 적용하였다. 동원과학기술대학 교 안경광학과의 전공교육을 위한 기숙사 합숙형 집 중몰입학습 프로그램의 적용과 분석 결과 전공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 장 기적인 학습과 자기성장 과정에서 필요불가결한 심리 적 요소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안경사 면허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 특성 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기에 타 전공의 경 우 전공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는 제한점을 가진다.

    감사의 글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support of the Department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in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5.

    Figure

    Table

    Major effects on knowledge.

    Effect on school and department satisfaction.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ffect on self-esteem.

    Effect of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schedule.

    The Effects of intensive learning program proven commitment of four years.

    Reference

    1. Bak GY: Professional phase of the revised Private School Law of the University of necessity. Korean Association of Tax & Accounting 15(0), 163-171, 2004.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Kit. 2008. 9.25.
    3. Shin BS: The Programs of Teaching-Learning Center in University.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5(1), 2004.
    4. Hyung JE, Cheong MH: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on Junior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J Thinking Development 6(2), 25-49, 2010.
    5. Chen CP: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major aspects and counseling guidelines. Guidance and Counseling 14(3), 31-36, 1999.
    6. Iverson RD, Olekalns M et al.: Affectivity, Organizational Stressors and Absenteeism. A Causal Model of Burnout and Its Consequences. J Vocational Behavior 52(1), 1-23, 1998.
    7. Seo ES, Park JM et al.: Effects of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n major satisfaction. Korean J Vis Sci. 18(2), 253~264, 2016.
    8. Joo YJ, Chung AK et 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 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College Lecture. Thea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5(3), 217-238, 2010.
    9. Bateman TS, Strasser S: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 Manage J. 27(1), 95-112, 1984.
    10. Kim AY: Educational Application of Motivation Theories and Issues for Future Research. Focused on Self-efficacy Theory. J Educational Psychol. 12(1), 105-128, 1998.
    11. Mathieu JE, Farr JL: Further Evidence for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Measur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J Appl Psychol. 76(1), 127-133, 1991.
    12. Galup SD, Klein G et al.: A comparison between permanent and temporary employees. J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8(4), 58-68, 2008.
    13. Joo YJ, Kim EK et 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Presence, Flow and Learning Outcome in Corporate Cyber Education. J Educational Information Media 15(3), 21-38, 2009.
    14. Mudrack PE: Job involvement, 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traits and workaholic behavioral tendencies. J Organizational Change Manage. 17(5), 490-508, 2004.
    15. Bae KC, Kim HC et al.: Antecedent and Consequent Factors of Travel Agency Employee’s Stress. J Tourism Sci. 27(1), 221-243, 2003.
    16. Rusbult CE, Martz JM et al.: The Investment Model Scale Measuring commitment level satisfaction level,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vestment size. Personal Relationships 5(4), 357–387, 1998.
    17. OK JH: A Study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fluenced by Job Stress Factors. J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175-200, 2009.
    18. Son KY, Kim SK: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inee engagement on a web-based training in corporate settings.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35, 61-87, 2006.
    19. Shin N: Online learner’s ‘flow’ experience: an empirical study. British J Education Technol. 37(5), 705-720, 2006.
    20. Mowday RT, Steers RM et al.: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