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435-44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435

Comparison of Accuracy of the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Deok-Kyu Han1), Jeong-Mee Kim2), Koon-Ja Lee1),2)*
1)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Daejeon
2)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TEL: 031-740-7182, FAX: 031-740-7365, E-mail: kjl@eulji.ac.kr
October 30, 2016 December 7, 2016 December 7, 2016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autorefraction using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Methods:

Forty-two subjects (84 eyes) aged 20 to 29 (mean, 23.90±2.3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ospective data were obtained using closed-view autorefractor (KR-8100P), open-field autorefractor (Nvision K-5001) wave front aberrometer (KR-1W) and subjective refraction. The measured refractive errors were converted into power vector (M, J0, J45 components) for data analysis. The accuracy for each instrume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subjective refrac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for M, J0 and J45 were -0.34±0.42 D, 0.06±0.22 D, and -0.08±0.15 D (p<0.05).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subjective refraction and Nvision K-5001 for M, J0, J45 were 0.20±0.47 D, -0.03±0.22 D, and -0.01±0.16 D, that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 component (p<0.05).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refraction and KR-1W for M, J0, J45 were -0.14±0.39 D, -0.02±0.18 D, and -0.02±0.14 D, that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 component(p<0.05). Coefficient of accuracy for M, J0, and J45 components of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were 0.823, 0.431, 0.294 and 0.921, 0.431, 0.313 and 0.764, 0.352, 0.27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accuracy of autorefractometers based on subjective refraction, KR-1W is more accurate than KR-8100P and Nvision K-5001. Despi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pherical equivalent measured with three instruments, the differences are clinically near identical, that we suggest three autorefractors are suitable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or subjective refraction.



KR-8100P, Nvision K-5001, KR-1W의 정확도 비교분석

한 덕규1), 김 정미2), 이 군자1),2)*
1)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안경광학과
2)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Ⅰ. 서 론

    1970년대에 적외선을 이용한 자동굴절계 (autorefractometer)가 임상에 처음 적용된 후 측정 의 편리성과 신속성 때문에 이 검사기기는 안경원과 안과병원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1) 통계청에 서 제시한 의료 장비현황2)에 따르면 2016년도에 타 각식 굴절검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자동굴절계는 전 국적으로 안과병원에서 1,551대가 사용되고 있으며 9,000여개의 안경원에서 한대씩 사용된다고 가정하 면 우리나라에서 총 10,000여대가 사용되고 있는 안 광학기기라 할 수 있다.

    자동굴절계는 사용방법이 간단한 타각적 굴절검사 이기 때문에 많은 대상자의 검사에 용이하며, 자각식 굴절검사에 협조가 잘 되지 않는 어린아이들의 굴절 검사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5) 자동굴 절계는 광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눈의 굴절이상을 측 정하는 타각적 굴절검사 방법이기 때문에 그 측정값 을 안경처방을 위한 결과값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 점이 있지만,6) 자각식 굴절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예 비정보를 얻을 수 있어7) 임상에서는 자각식 굴절검사 를 실시하기 전에 타각적 검사로써 자동굴절계를 사 용하고 있다.8)

    과거의 자동굴절계는 굴절이상도를 좀 더 정확하 게 측정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최근에 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기술 이 접목되고 있으며 그 중 Scheiner9) 원리를 이용한 자동굴절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새로운 기술의 진보로 파면 측정기술이 발달되어 고 위수차와 저위수차인 굴절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파 면수차계도 보급되고 있으며, Hartmann-Shack 방 식의 원리10)를 적용한 수차분석기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시 타깃이 기기 내부에 있는 내부형 자동굴절계 인 KR-8100P(Topcon, Tokyo, Japan)는 Scheiner 방식의 원리가 적용된 자동굴절계이고, Nvision K-5001(Shin-nippon, Tokyo, Japan)은 Scheiner 의 원리가 적용된 기기이지만 주시 타깃이 기기 외부 에 있고, 굴절검사 기능 이외에 근거리 시표를 이용 해 근거리 굴절이상과 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양안 개방 검사로 외부의 원거리 주시 타깃을 사용함 으로써 기계근시와 조절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굴절계이다. 파면수차계인 KR-1W(Topcon, Tokyo, Japan)는 Hartmann-Shack의 원리가 적용된 기기 로 고위수차 뿐 만 아니라 굴절이상도, 각막 형상, 동 공 크기 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자동굴절계를 임상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정값의 정확도(accuracy)가 평가되어야 하고, 특히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한 평가가 필요하 다. 측정방식이 비슷한 다양한 자동굴절계를 비교 분 석한 선행 연구는 있지만,11-14) 측정방식이 각각 다른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검사값을 비교한 연구는 아직까 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 동굴절검사기능을 수행하는 측정방식이 다른 3 종류 의 기기를 자각식 굴절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검사기기 로 측정된 굴절이상도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각막굴절교정술과 각막굴절교정렌즈를 경험한 적이 없고 안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건강한 성인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근시성 난 시안 42명(남: 14, 여: 28, 평균 연령 23.90±2.39 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 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연구의 목적과 검 사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하였다.

    2. 연구 방법

    자동으로 굴절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내부형 자동 굴절계 KR-8100P(Topcon, Japan), 개방형 자동굴 절계 Nvision K-5001(Shin-nippon, Japan), 파면 수차계 KR-1W(Topcon, Japan)를 사용하여 굴절이 상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주시 타깃이 기기 내부에 있는 내부형 자동굴절계와 파면수차계(KR-8100P, KR-1W)는 대상자에게 기기 내부의 타깃을 보도록 지시하였고, 주시 타깃이 기기 외부에 있는 개방형 자동굴절계(Nvision K-5001)는 대상자에게 3 m 전 방의 레이저 포인터 점광원시표를 주시하도록 하였 다. 검사과정에서 기기를 정렬하는 동안 대상자는 자 연스럽게 눈을 깜빡이도록 하였으며 검사기기의 스크 린에 나타나는 마이어상의 초점이 중앙에 선명하게 정렬이 잘 이루어졌을 때 연속으로 3회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검사기기는 검사자 한 사람에 의해 내부형 자동굴절계, 개방형 자동굴절계, 파면수차계 순서로 각각 측정하였고 검사는 한 기기 의 검사가 끝난 후 5분 간격으로 측정이 이루어졌다.

    자각식 굴절검사는 포롭터(VT-SE, Topcon, Japan)와 투영식 시시력표를 이용하여 5 m 거리에서 검사하였다. 단안 교정의 최대시력은 1.0 이상으로 하 였으며, 구면굴절이상도는 최저도수를 선택하여 과교 정을 배제하였고 원주굴절이상도와 축은 포롭터의 크 로스 실린더를 이용하여 정밀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기기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자각식 굴 절검사 및 각각의 기기로 측정한 값을 구면굴절이상 도(spherical refractive error), 원주굴절이상도 (cylinder refractive error), 축(Axis)으로 측정하였 지만, 모든 굴절이상도는 서로 독립적인 성분이 아니 기 때문에 Thibos 등15)이 제시한 Power vector 성분 M, J0, J45 로 나타내어 비교 분석하였다. Power vector에 적용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M = Sph + Cyl / 2,

    • J0 = -Cyl·cos (2θ) / 2,

    • J45 = -Cyl·sin (2θ) / 2

    • M: 등가구면 굴절력, Sph: 구면굴절력

    • Cyl: 원주굴절력, θ: 원주 축,

    • J0: 수평(0°) 또는 수직(90°)축에서의 난시 성분,

    • J45: 45° 또는 135° 축에서의 난시 성분

    3. 자료 분석

    통계분석은 두 그룹의 연속변수 비교에는 대응표 본 T 검정(paired T-test)을 하였고, 자각식 굴절검 사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 석을 시행하였다. 검사기기의 정확도(accuracy)는 정 확성계수(coefficient of accuracy, COA)를 사용하 여 평가하였고, 정확성계수는 자각식 굴절검사와 검 사기기 기기 측정값의 차이값에 대한 평균값의 표준 편차에 1.96을 곱한 값으로16) 0.00에 근접할수록 높 은 정확도를 나타낸다.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각각의 자동굴절계 측정값의 차이에 대한 신뢰도는 Bland-Altman16)이 제시한 95%의 신뢰구간[차이값 평균 ± 표준편차 × 1.96]으로 나타내었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2.0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고, p 값이 0.05 미만 일 때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자각식 굴절검사와 자동굴절계에 의한 굴절이상도

    포롭터를 사용한 자각식 굴절검사의 구면굴절이상도 와 원주굴절이상도는 각각 3.41 ± 2.56 D(0.00 ~ 9.50 D)와 0.86 ± 0.81 D(0.00 ~ -3.00 D)로 나타났고, 검사값을 power vector 성분인 M, J0, J45 성분으로 분석한 결과 등가구면 굴절성분인 M의 평균값 은 3.97 ± 2.27 D, 수평 또는 수직 난시성분을 나타내 는 J0 의 평균값은 0.42 ± 0.50 D, 45° 또는 135° 축에 서의 난시성분을 나타내는 J45 의 평균값은 0.02 ± 0.19 D로 나타났다. 내부형 자동굴절계 KR-8100P로 측정 한 구면굴절이상도와 원주굴절이상도는 각각 3.74 ± 2.19 D(0.00 ~ 9.25 D)와 1.13 ± 0.91 D(0.00 ~ 4.00 D), M 성분은 4.31 ± 2.28 D, J0 성분은 0.47 ± 0.50 D, J45 성분은 0.06 ± 0.22 D로 나타났 다. 개방형 자동굴절계 Nvision K-5001로 측정한 구면 굴절이상도와 원주굴절이상도는 각각 3.27 ± 2.14 D (+0.25 ~ -9.00 D)와 1.00 ± 0.74 D(0.00 ~ -3.00 D)로 나타났고, M 성분은 3.77 ± 2.24 D, J0 성분은 0.38 ± 0.44 D, J45 성분은 0.01 ± 0.23 D로 나타났다. 파면수차계 KR-1W로 측정한 구면굴절 이상도와 원주굴절이상도는 각각 3.63 ± 2.21 D(+0.50 ~ -8.75 D)와 0.97 ± 0.79 D(0.00 ~ -3.50 D)로 나타났고, M 성분은 4.11 ± 2.27 D, J0 성분은 0.40 ± 0.45 D, J45 성분은 0.00 ± 0.19 D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2).

    2. 자각식 굴절검사와 자동굴절계 측정값의 상관성 분석

    자각식 굴절검사값의 M, J0, J45 성분과 KR-8100P 측정값의 M, J0, J45 성분의 상관계수 r 은 각각 0.983, 0.906, 0.738 (p=0.000)로 모든 성분에서 강 한 양적 상관성을 보였다(Fig. 1). Nvison K-5001 측 정값의 M, J0, J45 성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78, 0.900, 0.719 (p=0.000)(Fig. 2), KR-1W 사이의 M, J0, J45 성분에 대한 상관계수는 각각 0.985, 0.933, 0.732 (p=0.000)로 모두 강한 양적 상관성을 나타내 었다(Fig. 3), (Table 3).

    3. 자동굴절계의 정확도 분석

    자동굴절검사 기능이 있는 세 종류의 자동굴절계 측정값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자각식 굴절검사값 기준으로 차이값을 구한 결과 KR-8100P 측정값의 차이는 M, J0, J45 성분에서 각각 0.34 ± 0.42 D (p=0.000), 0.06 ± 0.22 D (p=0.022), 0.08 ± 0.15 D (p=0.000)로 모든 성분에서 자각식굴절검사 값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KR-8100P 측정값 의 M 성분과 J45 성분은 자각식 굴절검사값보다 음의 값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고, 난시성분 J0 성분은 양의 값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으다. 자각식굴절검사값과 자동굴절계 검사값의 차이값 평균의 표준편차에 1.96 을 곱하여 얻은 정확도계수는 각각 0.823, 0.431, 0.294로 나타났다(Fig. 4), (Table 4).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Nvision K-5001 측정값의 차이는 M, J0, J45 성분에서 각각 0.20 ± 0.47 D (p=0.000), -0.03 ± 0.22 D (p=0.171), -0.01 ± 0.16 D (p=0.684)로 두 그룹 사이에서 M 성분만 유 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난시성분 J0 성분과 J45 성분 은 음의 값으로 측정되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NVision K-5001으로 측정한 M 성분은 자각식 굴절 검사값보다 양의 값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고, M, J0, J45 성분의 정확도계수는 각각 0.921, 0.431, 0.313 로 나타났다(Fig. 4), (Table 4).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KR-1W 측정값의 차이는 M, J0, J45 성분에서 각각 0.14 ± 0.39 D (p=0.001), -0.02 ± 0.18 D (p=0.431), -0.02 ± 0.14 D (p=0.050)로 M 성분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난시성 분 J0 성분과 J45 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R-1W 측정값이 M 성분은 자각식 굴절검사값보다 음 의 값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고, M, J0, J45 성분의 정확 도계수는 각각 0.764, 0.352, 0.274로 나타났다(Fig. 4), (Table 4). 검사기기별로 M 성분에 대한 정확도는 KR-1W(0.764), KR-8100P(0.823), Nvision K-5001(0.921) 순서로 KR-1W가 다른 기기들보다 M 성분에 대한 정확도가 더 높았고, J0 성분에 대한 정확 도 순서는 KR-1W(0.352), KR-8100P(0.431), Nvision K-5001(0.431)로 KR-1W가 다른 기기들보 다 높았으며, J45 성분에 대한 정확도도 KR-1W (0.274), KR-8100P(0.293), Nvision K-5001(0.313) 로 M, J0, J45 성분 모두 KR-1W가 높게 나타나 모든 성분에서 이들 검사기기에 대한 정확도는 KR-1W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굴절계의 정확도를 계수로 평가하면 M, J0, J45 성분 모두 KR-1W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정확 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Fig. 5는 두 기기 사이의 측정값 차이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M 성분은 KR-8100P와 KR-1W(p=0.000), KR-8100P와 Nvision K-5001(p=0.000), KR-1W와 Nvision K-5001(p=0.000) 각각의 모든 검사기기 사 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J0 성분은 KR-8100P와 KR-1W(p=0.000) 및 KR-8100P와 Nvision K-5001(p=0.001)의 기기 사이에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난 반면, KR-1W와 Nvision K-5001(p=0.557)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J45 성분의 측정값은 KR-8100P와 KR-1W(p=0.000) 및 KR-8100P와 Nvision K-5001(p=0.001)의 기기 사 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KR-1W와 Nvision K-5001(p=0.331)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로 측정값 중 M 성분은 3가지 자동굴절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J0 와 J45 성분은 KR-1W와 Nvision K-5001에서만 차이가 없었다.

    4. 자동굴절계의 신뢰도 분석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 사이에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나 자각식 굴절검사값을 기준으로 자동 굴절계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Fig. 6, Fig. 7, Fig. 8은 M, J0, J45 성분에 대하여 Bland-Altman이 제시 한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자동굴절계 측정값의 차이에 대한 95%의 신뢰구간을 나타낸 것으로 KR-8100P의 신뢰구간은 M 값은 +0.48 D ~ -1.16 D, J0 값은 +0.49 ~ -0.37 D, J45 값은 +0.21 ~ -0.37 D로 나 타났고 모든 성분에서 굴절이상도 측정범위에 따라 자 각식 굴절검사값과 차이가 없었다(p=0.826, p=0.847, p=0.086). Nvision K-5001에서 신뢰구간 은 M 값은 +1.12 ~ -0.72 D, J0 값은 +0.40 ~ -0.46 D, J45 값은 +0.30 ~ -0.32 D로 나타났고, M 성분은 굴절이상도 측정범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p=0.632), J0 와 J45 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8, p=0.028). KR-1W의 신뢰구간은 M 값은 +0.62 ~ -0.90 D, J0 값은 +0.33 ~ -0.37 D, J45 값은 +0.25 ~ -0.29 D로 나타났고 M 과 J45 성분은 굴절이상도 측정범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p=0.835, p=0.969) J0 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6).

    이상과 같이 신뢰도 분석에서 M 값은 모든 기기에 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J0 값은 Nvision K-5001 과 KR-1W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J45 값은 Nvision K-5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면굴절이 상도보다 원주굴절이상도에서 자각식굴절검사와 측 정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Ⅳ. 고 찰

    자동굴절계는 1970년대에 상용화된 이후 안경원 및 안과병원에서 시력검사를 위해 널리 사용하고 있 고 지금까지 자동굴절계와 자각식 굴절검사를 비교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임상에 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굴절이상도 측정방식이 다른 자동굴절검사에 이용할 수 있는 세 종류의 검사기기 KR-8100P, Nvision K-5001, KR-1W를 자각식 굴 절검사와 비교분석 하였다.

    내부형 자동굴절계(KR-8100P)인 경우 김 등6)은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해 등가구면 굴절력을 나타내 는 M 성분은 음의 방향으로 더 크게 측정되고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의 난시성분인 J0 성분은 양의 방향 으로 더 크게 측정되며 45°및 135°에서 난시성분을 나타내는 J45 성분은 음의 방향으로 더 크게 측정된다 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선행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내부형 자동굴절계(KR-8100P)의 측정값이 자각식 굴절검사보다 M 과 J45 성분은 음의 값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고, J0 성분은 양의 방향으로 더 크게 측정되 었다. 개방형 자동굴절계(Nvision K-5001)인 경우, Davies 등11)은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해 M 성분은 양의 방향으로 크게 측정되었고 J0 과 J45 성분은 음 의 방향으로 크게 측정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도 각각 M 성분은 양의 방향으로 더 크게 측정되었으 나, J0 성분(p=0.171)과 J45 성분(p=0.684)은 차이가 없었다. 파면수차계(KR-1W)의 경우, 박 등17)은 자각 식 굴절검사와 비교해 M 성분은 음의 방향으로 크게 측정되었고 J0 성분은 양의 방향, J45 성분은 음의 방 향으로 크게 측정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 서는 M 성분은 음의 방향으로 크게 측정되었으나, 수 평 및 수직방향 난시성분을 나타내는 J0값(p=0.431) 과 J45값(p=0.05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가지 검사기기 모두 자각식 굴절검사와 상관분 석을 하였을 때 M 성분은 90% 이상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고 J0 와 J45 성분을 포함해도 상관계수가 70% 이상 나타나 Portney와 Watkins18)가 제시한 상관성 기준 75%에 거의 근접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평 가된다.

    M, J0, J45 각 성분의 정확도계수는 파면수차계 (KR-1W)에서 0.764, 0.352, 0.274로 나타나 다른 자동굴절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 났다. 굴절검사값 M 성분은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 에서 모든 기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굴절이상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KR-8100P에서는 J0 성분과 J45 성분 이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굴 절이상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Nvision K-5001과 KR-1W는 J0와 J45 성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굴절이상도에 따라서 J0 성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ig. 4, Fig. 6, Fig. 7, Fig. 8). 종합해보면 원주굴절이상도에서만 자각식 굴절검사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이는 측정방식이 다른 기기들 사이에 굴절이상 도 측정값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차이 값이 임상적인 관점에서 적다고 판단되며 자각식 굴절검사 와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여 측정방식이 달라도 모 두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본 연구와 같이 자동굴절계를 자각식 굴절 검사와 비교하는 것이 과연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 의 문점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19) Davies와 Mallen11) 은 성인을 대상으로 자각식 굴절검사를 할 때 조절마 비 굴절검사가 아닌 현성굴절검사를 하기 때문에 자 동굴절계와 비교하는 것이 오류를 범할 수 있어 다양 한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하였 다.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자동굴 절계의 정확도를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점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 고 자각식 굴절검사를 기준으로 한 것은 안경원 및 안과병원과 같은 임상에서 자각식 굴절검사와 자동굴 절계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비교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Ⅴ. 결 론

    측정방식이 다른 자동굴절계 중 파면수차계가 내 부형 자동굴절계와 개방형 자동굴절계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했을 때 모든 기기에서 굴절검사값의 차이가 적 었고, 정확도가 높고 상관성 분석에서도 75% 이상 높 은 상관성을 보여 측정방식이 달라도 모두 우수한 성 능을 보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 시하기 전 타각적 굴절검사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원주굴절이상도가 -0.75 D 이하로 낮은 경우 원주축의 정확도가 낮게 측정된다는 선행 연구11)가 있어 추가적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근시성 난시안 뿐 만 아니라 원시안이나 복합성 난시안을 포 함하고 사난시를 비롯한 난시 축까지 비교하는 다양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결과는 측정 방식이 다른 자동굴절계에 대한 비교는 임상에서 사 용하고 있는 기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JMBI-18-4-435_F1.gif

    Correlations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JMBI-18-4-435_F2.gif

    Correlations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Nvision K-5001.

    JMBI-18-4-435_F3.gif

    Correlations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1W.

    JMBI-18-4-435_F4.gif

    Mean difference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JMBI-18-4-435_F5.gif

    Mean difference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JMBI-18-4-435_F6.gif

    The agreement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for A: M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solid line at -0.34)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dashed lines at 0.48 and -1.16 D), and for B: J0 component (solid line at 0.06, dashed lines at 0.49 and -0.37 D), for C: J45 component (solid line at -0.08, dashed lines at 0.21 and -0.37 D).

    JMBI-18-4-435_F7.gif

    The agreement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Nvision K-5001 for A: M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solid line at 0.20)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dashed lines at 1.12 and -0.72 D), and for B: J0 component (solid line at -0.03, dashed lines at 0.40 and -0.46 D), for C: J45 component (solid line at -0.01, dashed lines at 0.30 and -0.32 D).

    JMBI-18-4-435_F8.gif

    The agreement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1W for A: M component, the lines indicate mean agreement (solid line at -0.14) and the 95% limits of agreement (dashed lines at 0.62 and -0.90 D), and for B: J0 component (solid line at -0.02, dashed lines at 0.33 and -0.37 D), for C: J45 component (solid line at -0.02, dashed lines at 0.25 and -0.29 D).

    Table

    The mean ± SD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with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The mean ± SD for each component M, J0, J45 measured with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The accuracy results of M, J0, J45 components between subjective refraction and KR-8100P, Nvision K-5001 and KR-1W

    Reference

    1. Zadnik K, Mutti DO et al.: The repeatability of measurement of the ocular components. Invest Ophthalmol Vis Sci. 33(7), 2325-2333, 1992.
    2. Available at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8_1&conn_path=I2. Accessed November 15, 2016.
    3. Barry JC, König HH: Non-cycloplegic screening for amblyopia via refractive findings with the Nikon Retinomax hand held autorefractor in 3 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Br J Ophthalmol. 85(10), 1179-1182, 2001.
    4. Cordonnier M, Dramaix M: Screening for refractive errors in children accuracy of the hand held refractor Retinomax to screen for astigmatism. Br J Ophthalmol. 83(2), 157-161, 1999.
    5. Harvey EM, Miller JM et al.: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measurements with a hand held autorefractor in children. Br J Ophthalmol. 81(11), 941-948, 1997.
    6. Kim HS, Kim HS et al.: A comparison of subjective refraction and autorefractions. Korean J Vis Sci. 12(4), 283-290, 2010.
    7. Pesudovs K, Weisinger HS: A comparison of autorefractor performance. Optom Vis Sci. 81(7), 554-558, 2004.
    8. Bullimore MA, Fusaro RE et al.: The repeatability of automated and clinician refraction. Optom Vis Sci. 75(8), 617-622, 1998.
    9. Andrew Keirl, Caroline Christie: Clinical optics and refraction: A guide for optometrists, contact lens opticians and dispensing opticians. 1st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pp. 170-171, 2007.
    10. Platt BC, Shack R: History and principles of Shack-Hartmann wavefront sensing. J Refract Surg. 17(5), S573-577, 2001.
    11. Davies LN, Mallen E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Shin-Nippon NVision-K5001/Grand Seiko WR-5100K autorefractor. Optom Vis Sci. 80(4), 320-324, 2003.
    12. Gwiazda J, Weber C: Comparison of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and astigmatism measured with three different models of autorefractors. Optom Vis Sci. 81(1), 56-61, 2004.
    13. Allen PM, Radhakrishnan H et al.: Repeat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werrefractor and the Nidek AR600-A in an adult population with healthy eyes. Optom Vis Sci. 80(3), 245-251, 2003.
    14. du Toit R, Soong K et al.: Quantification of refractive error comparison of autorefractor and focometer. Optom Vis Sci. 83(8), 582-588, 2006.
    15. Thibos LN, Wheeler W et al.: Power vectors: an application of Fourier analysis to the descrip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Optom Vis Sci. 74(6), 367-375, 1997.
    16. Bland JM, Altman DG: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een two methods of clinical measurement. Lancet. 1(8476), 307-310, 1986.
    17. Park SJ, Wee WR et al.: Comparison of waveScan aberrometer refraction to subjective manifest refraction and autorefractor. J Korean Ophthalmol Soc. 50(5), 684-690, 2009.
    18. Portney LG, Watkins MP: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1st ed, Norwalk, FA Davis, pp. 505-528, 1993.
    19. McCaghrey GE, Matthews FE: Clinical evaluation of a range of autorefractors. Ophthalmic Physiol Opt. 13(2), 129-137,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