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465-47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465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Actual State of Voluntary Service Activity of Visual Optics Students

Seong-Jae Lee, Seon-Ahr Cho*
Departmen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ity, Gangw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n-Ahr Cho Dep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tity, Gangwon TEL: 033-738-1494, FAX: 033-738-1499, E-mail: csa@kduniv.ac.kr
October 28, 2016 December 7, 2016 December 7, 2016

Abstract

Purpose:

We intended to suggest a few things which are necessary in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it’s activation by analysing the perception and the actual state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f visual optics students.


Methods:

We carried out a survey on the perception, the actual state, the satisfaction of visual optics student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nother survey results of architecture and 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data sorting, mean and mode calculations.


Results:

Visual optics students showed the higher perception of voluntary service compared to architecture and 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and had more idea to use their major or specialty in performing the voluntary service. However visual optics students had some difficulty to access the information for voluntary service and performed the voluntary service due to students records or job searching. Also visual optics students could respect others and expect new relationships through voluntary service but couldn’t get a leadership, the confidence and concern about local community.


Conclusions:

In university it is needed to raise the perception of voluntary service and provide the sufficient information of it through voluntary service education. Also by building up an upright character through a preliminary voluntary service education university should let the students perform the voluntary service with their own will regardless of any rewards such as students records and the benefit in job application. As a result it can raise the satisfaction and the achievement of their study and job in future.



안경광학과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연구

이 성재, 조 선아*
경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강원
    Kyungdong University

    Ⅰ. 서 론

    사회봉사활동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 며 이에 대한 요구도 점점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회봉사활동이란 어떤 조직이나 국가 또는 개인들의 강압에 의하지 않고 보상과 반대급부를 바라지 않는 자발적 행동이다. 즉 특정한 요구의 인식하에 금전적 이득에 관한 관심 없이 사회적 책임감의 인식을 갖고 자발적 행동을 기본적 의무감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선 택해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1-3)

    특히 대학생의 사회봉사는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보다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활동을 통해 사회봉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정서적으로나 시간적으 로의 여유와 함께 왕성한 육체적 건강함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생 사회봉사가 현대 사회의 사회 봉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초, 중, 고등학교로 부터 실천되기 시작하는 사회봉사 제도화의 바람직한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대 학생 사회봉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런 의미에서 보건계열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실태 및 인식에 대한 고찰 연구 는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안경광학과 학생들 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자체적으로 분석함은 물론 타과와의 비교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 였다.

    보건계열 학생은 학과의 특성상 봉사인식에 대한 기본자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공 선택이 획일화된 입시제도하에 성적순으로 이루어지므로 기 본적인 봉사에 대한 인성의 소유여부를 판단하는 것 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보건계열 학생이 일 반적으로 전공 및 직업에 만족하려면 학습의 주체자 인 학생들의 기본적 봉사정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안경광학과를 대상으로 한 다수의 논문4-12)에서도 다 루어졌던 전공 및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를 살펴보면 박 등13)의 논문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재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 었다.

    그러므로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봉사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하여 수시모집 면접 판단에 활용하거나 대 학에서 봉사에 대한 소양교육,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활성화는 물론 학생들의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궁극적 으로 전공 만족도와 봉사정신이 투철한 우수 의료보 건인 양성을 목표로 한 안경광학과 교육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Ⅱ. 연구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사회봉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K 대학교 안경 광학과 재학생 8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안경광학과 재학생들과 일반학과 재학생들과의 사회봉사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기 위해 건축공학과 48명, 컴퓨터공학과 40명 학생들의 설문조사도 함께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25 문항으로 학생들의 기본 정보에 대한 문항들, 봉사활 동 인식에 대한 문항들, 최근 1년 동안 봉사 참여도에 대한 문항들 그리고 봉사활동 만족도에 대한 문항들 로 구성하였다.

    조사된 설문문항에 대한 응답 평균값을 구하여 봉 사활동의 필요성, 봉사참여 실태, 봉사만족도의 실태 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학과별, 출신고교의 특성별, 출신고교의 지역별, 성별, 그리고 종교별로 차이를 구별하여 각각에 대한 특징을 찾아내어 중요한 문항 에 대한 응답들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용된 설문지의 문항은 ‘매우 그렇다(very agree; 5점)’, ‘그렇다 (agree; 4점)’, ‘보통이다(intermediate; 3점)’, ‘그렇 지 않다(disagree; 2점)’, ‘매우 그렇지 않다 (absolutely disagree; 1점)’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응 답하게 하였다.

    분석된 결과들을 보건계열학과 재학생으로서의 봉 사의식 수준과 인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봉사 교과의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예비보건인의 인성 및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설문문항에 대한 모든 응답데이터는 MS엑셀 2007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의미 있는 특징들을 찾기 위해 Sorting, 평균치, 표준편차(STDEV), 최빈값 계산 등 을 수행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된 대학생들의 사회봉사 필요성에 대한 인식 은 Table 1에 나타나 있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비 교적 건축공학과나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에 비하여 사 회봉사에 대한 필요성이 평균치 3.38로 건축공학과 3.29, 컴퓨터공학과 3.23보다 필요하다는 쪽으로 응 답했다. 또한 각 응답번호별 비율을 보면 안경광학과 와 건축공학과 학생들은 ‘필요하다(necessary)’는 응 답 비율이 46%와 44%로 가장 높았으나 컴퓨터공학 과 학생들은 ‘그저 그렇다(intermediate)’ 비율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매우 필요하다(very necessary)’의 비율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5%로 건 축공학과 4%, 컴퓨터공학과 0%에 비해 가장 높게 나 타났다. ‘필요 없다(not necessary)’와 ‘전혀 필요 없 다(never necessary)’의 비율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3%와 4%로 건축공학과 학생들이 6%와 8% 그리고 컴 퓨터공학과 학생들이 10%와 3%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른 일반학과 학생들에 비해 약간 높다 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필요 없 다와 전혀 필요 없다로 응답한 비율이 7%나 되는 것 은 다른 두 학과의 13~14%에 비해 낮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사회봉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학 생들이 안경광학과에도 다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Table 2는 학생들의 사회봉사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인식에 대한 응답 결과를 나타낸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능력과 특기를 살려 사회에 봉사 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평균치가 3.86로 가장 많이 동 의하고 있다.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희생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라는 생각에 평균치가 3.8로 가장 많이 동의한다. 이런 결 과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건축공학과나 컴퓨터공학 과 학생들보다 사회봉사활동을 자신의 전공과 연관하 여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안 경광학과 학생들은 사회봉사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고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한다는 생각에 평균 치가 3.68로 평균치 3.53인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 학과 학생들보다 많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사회봉사활동을 좀 더 자 신의 진로와 미래의 직업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 다는 판단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사회봉사활동을 경제적 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하는 일이나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수행하는 일이라는 생각 에도 각각 평균치 3.07과 3.09로 일정부분 동의하는 것을 나타냈다. 비록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 생들의 해당 평균치 3.11과 3.4에 비교할 때 안경광 학과 학생들이 이 부분에 덜 동의하고 있음을 보이지 만 상당부분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나 잘못된 시각이 안경광학과 학생들에게도 존재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Table 3은 대학생들의 1년간 사회봉사활동 시간의 적절성에 대한 응답을 나타낸다. 안경광학과 학생들 은 평균치 2.41로 대략 1년간 사회봉사활동이 평균적 으로 20시간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평균 치가 2.07로 대략 15시간이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 음을 보였다. 이 결과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사회봉 사활동에 대한 의지 및 열정이 건축공학과나 컴퓨터 공학과 학생들에 비하여 다소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참여 실태

    Table 4에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참여 실 태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 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최근 1년간 참여한 사회봉사활동을 수행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설문에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평균치가 1.38로 건축/컴퓨터공 학과 학생들의 평균치 1.45보다 수행한 적이 많다는 쪽으로 응답했다. 또한 Table 4는 안경광학과 학생들 과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할 때 수강한 사 회봉사사전교육시간이 각각 평균치 2.37과 2.16, 최 근 1년간 사회봉사시간이 2.14, 1.88 그리고 최근 1년 에 수행한 사회봉사가 일회에 몇 시간을 수행했는지 에 대한 응답이 2.1, 2.06으로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좀 더 많은 시간을 사회봉사활동에 할애하였음을 나 타냈다.

    Table 5에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분 야, 처음 참여시기, 사후평가 여부 등에 대한 설문응 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 하여 나타냈다. 각 설문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한 번 호를 표시한 결과 전공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최 근 1년간 사회봉사 활동분야는 일손 돕기 활동인 보 조업무가 가장 많았고 사회봉사 사후평가는 하지 않 음으로 응답했다. 또한 처음 사회봉사에 참여한 시기 는 중학교 때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1년간 참여하 고 싶었던 사회봉사영역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실제 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수행한 일손 돕기 보조업무와 일치하였으나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캠페인 활 동을 희망하여 실제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수행한 일 손 돕기 보조업무와 불일치하였다. 이와 같은 차이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사회봉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보다 사고와 행동이 일치한 결과로 판단된다.

    Table 6에 최근 1년간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 봉사참여 동기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안경광학 과 학생들과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 모두 학교에 서 성적이나 입시 등에 반영되기 때문이라는 항목에 각각 3.44, 3.57의 평균치로 다른 항목들에 비해 가 장 많이 동의하고 있음을 보였다. 나머지 항목들은 자발적 동기에 관련된 항목들로 모든 학생들의 평균 치가 3.01~3.34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이 부분 은 자발적 동기로 인해 사회봉사참여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학교교육의 제도적인 장치로 인해 사회봉사참 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졸업 후에 사회에 서의 사회봉사참여가 순전히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고려하면 이러한 타의적 사회봉사참여는 인성교 육과 연계된 사회봉사 사전교육을 통해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Table 7에 최근 1년간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 봉사활동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얻었는가에 대한 설 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친구들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취득한 것이 가장 많았는데 안경광학과 학생 들의 평균치가 3.67이고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 의 평균치는 3.57이었다. 인터넷이나 신문, TV, 학교 나 봉사기관 등을 통한 정보입수는 평균치가 모든 학 생들에 대하여 2.51~3.13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임 을 보였다.

    3.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 만족도

    Table 8에 최근 1년간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 봉사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에 대한 설 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안경광학과와 건축/컴퓨터공학 과 학생들 모두 각각 3.29와 3.23의 평균치로 봉사활 동을 할 곳을 찾기가 다소 어렵다고 하였다. 또한 봉 사활동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함에도 각각 3.28과 3.27의 평균치로 약간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그러나 봉사활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가족들의 이해를 받 기 어려운지, 봉사활동의 일 자체가 어렵지 않은지, 봉사활동이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에 맞지 않는지, 봉 사활동에서 보람을 느끼지 못하는지 등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2.24~3.08의 평균치로 동의하지 않음을 보 이고 있다. 이런 결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봉사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지니고 있어 봉사 를 수행하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반면 봉사활 동 장소와 시간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못해 대학생봉사활동 활성화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Table 9에 최근 1년간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 봉사활동에 참여하여 얻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 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안경광학과를 비롯해 건축/컴퓨 터공학과 학생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새로운 친구를 만들거나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음의 문항에 3.25~3.52의 평균치로 다소 동의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자신감이나 리 더십을 가짐, 보람을 느낌, 진로에 도움이 됨, 지역사 회에 관심을 갖게 됨의 문항에는 2.84~3.11의 평균 치로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음을 나타냈다. 이 결과 는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봉사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으 로 수행과정에서 기본적인 인성과 다양한 인관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능동적인 사고가 부족으 로 봉사를 통한 좀 더 폭넓은 자기발전의 기회를 살 리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Table 10에 최근 1년간 수행한 봉사활동이 안경광 학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봉사활동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 교하여 나타냈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물론 모든 학 생들이 봉사활동이 도움이 되었는지, 성적 또는 취업 에서 반영여부에 상관없이 계속 참여할 의사가 있는 지, 졸업 후 사회인이 되서도 계속 참여할지에 대해 평균치 3.2~3.43으로 다소 그렇다는 의사를 보였다. 그러나 문항별 가장 많이 응답한 번호를 보면 모든 학생들에게 봉사활동이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응답 이나 특히 안경광학과 학생들에게 성적이나 취업에 반영되지 않더라도 계속 봉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지에 대한 항목에서 가장 많이 답변한 번호가 3번이 라는 결과는 봉사 만족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성적이 나 취업과 민감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4.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성별, 종교별, 출신 고교 지역별, 출신 고교 특성별, 혈액형별 사회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Table 11에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성별, 종교별, 출 신고교 지역별, 출신고교 특성별, 혈액형별로 사회봉 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응답 결과를 건축공학과 와 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하여 나타냈다. 평균 치에서 종교는 기독교와 천주교가 각각 3.11, 3.27로 불교나 무교의 3.57, 3.44보다 약간 낮게 사회봉사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기타 종교가 오히려 3.67로 가장 많이 동의하고 있음을 보 였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3.59로 남학생 3.31보다 사 회봉사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 응답을 보였다. 출신 고교지역에서 서울·경기도는 3.42, 강원도는 3.22 로 강원도 학생들의 사회봉사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서울·경기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강원도 학생들의 초, 중, 고등학교교육에서 상급학교 입시준 비와 연관하여 서울·경기도 학생들에 비해 봉사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으 로 해석된다. 출신고교 특성별에서는 인문계고교가 3.38로 실업계고교나 기타고교의 3, 검정고시가 4로 나타났다. 이결과 또한 대학입시에 연관하여 봉사에 대한 초중고 교육이 영향이 있으리라고 보지만 학생 들 대부분이 인문계 출신이기 때문에 본 자료로 출신 고교 특성별 봉사의 필요성 인식에 대한 차이를 통계 적으로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혈액형별로는 모 든 혈액형에서 3.34~3.42로 거의 차이가 없어 혈액 형이 개인의 성향과 기질을 나타낼 수 있다는 가정을 받아들인다면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은 타고난 성격보 다 교육을 통해 고양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 인 식을 고양시키고 사회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설문조사하였으며 건 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 에서 봉사활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건축/컴퓨터공학 과 학생들보다 약간 높았다. 또한 사회봉사란 무엇인 지에 대한 인식에서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특기를 살려 사회에 봉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 면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은 자신의 희생을 통하 여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라는 생각이 컸다. 이것 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봉사를 보다 자신의 전공과 연관해서 인식하고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적절한 사회봉사시간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1년에 대략 ~20시간 정도로 응답해서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 의 ~15시간보다 ~5시간 많아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지와 열정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보였다.

    둘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 참여 실태에 서 최근 1년 동안 사회봉사수행 유무, 수강한 사회봉 사 사전교육시간, 총 봉사시간, 1회당 봉사시간 등은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건축/컴퓨터 공학과 학생들보다 사회봉사활동에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최근 1년간 수행한 사회봉사활동 분야와 처음 사회봉 사활동을 접한 시기는 각각 모든 학과 학생들이 일손 돕기 업무와 중학교 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희 망 봉사분야는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일손 돕기로 수 행했던 업무와 일치하지만 건축/컴퓨터공학과 학생들 은 캠페인 업무를 선호하여 안경광학과 학생들이 좀 더 봉사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는 사고와 행동을 하 고 있다. 사회봉사 참여 동기에서는 모든 학과 학생 들에 대해 성적이나 입시에 반영되기 때문이라는 응 답이 많았다. 또한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정보는 친구 나 주변사람들로부터 가장 많이 접하고 있다. 이 결 과는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자발적 동기의 부족을 의 미하며 사회봉사활동에 대해 정보가 폭넓고 쉽게 접 할 수 있도록 열려있지 못함을 나타냈다.

    셋째 사회봉사활동 만족도에서 안경광학과를 포함 하는 모든 학과 학생들이 사회봉사활동을 수행할 곳 을 찾는 것과 충분한 봉사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다소 어렵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봉사활동 수행방법, 봉사일 자체의 부담감, 봉사에서 느끼는 보람 등에서 어려움이 있는지에 대한 응답은 비교적 그렇지 않다는 응답을 보였다. 사회봉사활동참여에서 얻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에서 모든 학과 학생 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새 로운 친구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냈으 나 자신감, 리더십,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등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부분에는 미흡한 응답을 하였다. 봉 사활동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봉사활동에 참여할지에 대해서 모든 학과 학생 들이 다소 그렇다고 응답을 하였으나 안경광학과 학 생들은 성적이나 취업에 반영되지 않으면 계속 봉사 활동에 참여할지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제일 많아 안 경광학과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성적과 취업에 보다 민감하게 연결하여 생각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성별, 종교별, 출신고교 지역별, 혈액형별 사회봉사활동의 필요성 분석에 다 음 결과를 얻었다. 종교에서는 불교, 무교, 기타 종교 를 갖는 학생들이 가장 높은 사회봉사의 필요성을 보 였고 기독교와 천주교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여학생 이 남학생보다 그리고 서울·경기도고교 졸업학생이 강원도고교 졸업학생보다 봉사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혈액형별로는 모든 안경광학과 학생 들의 봉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이는 거의 없 었다. 이런 결과는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관심이 타 고난 성품이나 기질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적인 환경과 인성교육에 의해 형성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보건계열학과에 속한 안경광학과는 예비 안경사를 교육시키는 학과이다. 일반학과에 비하여 의료보건계 열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여 전공을 살려 의료보건계열의 직업을 선택하고 주어진 일을 수행할 때는 봉사의식이 보다 투철해야 직업 만족도 와 업무 성취도가 높고 나아가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얻은 분석들을 통하여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사회봉사인식의 제고와 사회봉사활성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대학 교육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사회봉사의 필요성 인식을 고양시켜야 한다. 비록 다른 학과 학생들보다는 양호하지만 보건계열 안경광학과 학생으로서 사회봉사에 대한 높은 인식이 요구되므로 대학교의 사회봉사 사전교육에서 사회봉 사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봉사활동 분야와 수행 장소 등에 대한 충 분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대학에서 사회봉사 정보 제공을 체계화시키면 좀 더 많은 학생들이 본인들이 원하는 적절한 시간에 사회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 을 것이다.

    셋째 사회봉사활동의 자발적 참여 유도가 필요하 다. 성적이나 입시 등에 필요하여 참여한 사회봉사활 동은 봉사활동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자신감이나 리 더십 또는 지역사회에 관심 등 다양한 장점이 결여되 어 있고 궁극적으로 졸업 후 사회인으로서 봉사정신 이 기반이 되는 직업에서 만족도나 성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넷째 사회봉사 활성화를 위해 인성교육이나 사회 적인 주변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성별, 종교별, 출신 고교 지역별 등으로 구별하여볼 때 타고난 성품이나 기질만이 아니라 봉사에 대한 교육적인 환경이 중요 함을 알 수 있다.

    감사의 글

    This paper was supported by Kyungdong University in 2016.

    Figure

    Table

    The survey results on the necessity of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concept of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one year service hours adequate to do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fields, the first participation and the evaluation of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how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difficult things in doing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things acquired from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a positive mind for voluntary service and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service for visual optics students and architecture/computer engineering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the necessity of voluntary service according to sex, religion, high school location, high school type and blood type of visual optics students.

    Reference

    1. Cross MC.: Self Efficacy and Cultural Awareness: A Study of Returned Peace Corps Teachers.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 CA, April 13-17, 1998.
    2. Fantini A, Tirmizi A: Explor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2006. Available at http://digitalcollections.sit.edu/worldlearning_publications/1. Accessed November 16, 2016.
    3. Mutz GE, Schwimmbeck E: Voluntary Activities and Civic Learning: Findings of a Preparatory Survey for a European Case Study. In Charting the Landscape of European Youth Voluntary Activities. Strasburg, France, Councilof Europe, pp. 57-65, 2005.
    4. Kim CS, Ryu KH: Analysis of demand for cultural and basic subject in majoring of ophthalmic optic by students and opticians. J Korean Oph Opt Soc. 14(4), 19-26, 2009.
    5. Song YJ: Optician training system at a professional school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optical science. J Korean Oph Opt Soc. 2(1), 111-126, 1997.
    6. Sung PJ, Jon KC: A study on subjects for the angyoungsa licence examination managed by guksiwon, reforming the curriculum and syllubus of the optometry and opticianary in Korea. Korean J Vis Sci. 1(1), 45-65, 1999.
    7. Ryu KH, Kim JH: The analysis of a educational objectives and a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departments of two-year colleges. J Korean Oph Opt Soc .12(3), 65-70, 2007
    8. Ryu KH: Analysis of demand for opticians about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ajor curriculum. Korean J Vis Sci. 11(3), 161-171, 2009.
    9. Ryu KH, Kim CS: Comparison of demands for major subjects of dept. of ophthalmic optics by students and opticians. Korean J Vis Sci. 12(4), 239-245, 2010.
    10. Kim SH, Lim YM: The Improvement Proposal of Control System for Supply and Demand of Korean Optometrist. J Korean Oph Opt Soc. 12(4), 9-14, 2007.
    11. Seo JK, Shim HS, Kim SH: The Status, Problems and Solutions of Korean Optometrist(Optician). Korean J Vis Sci. 16(3), 273-291, 2014.
    12. Kim SH, Lim YM: The Problem and Solution Associated with Increasing Number of Ophthalmic Optics Student. J Korean Oph Opt Soc. 15(1), 9-17, 2010.
    13. Park HK, Lee HS et al.: Study on the Satisfactions of the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Industry. Korean J Vis Sci. 15(4), 323-33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