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525-53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525

Study on the blue light hazard protection rate of blue light coated lenses

Kyung-Sek Song, Seok-Hee Joo*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ehan University, Jeonnam, Korea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k-Hee Joo Dep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University of Sehan TEL: 061-469-1470, Fax; 061-469-1317, E-mail: opticjoo@sehan.ac.kr
October 31, 2016 December 12, 2016 December 12, 2016

Abstract

Purpose:

To know the rate of blue light coated lenses’ protection, while comparing and analyzing coming from different manufactures and the spherical diopters with standard measuring devices made by overseas and local market were used.


Methods:

The blue light coated lenses employed for the test were from 3 different manufacturers; 2 from domestic and 1 from overseas manufacturers with spherical diopter of 0.00 D, -3.00 D and -5.00 D. The measuring devices used were the spectrophotometer, U-4100 from Japan HITACHI and HLM-9000 from Korea HUVITZ company.


Results:

U-4100 was used for measuring the rate of blue coated lenses’ protection which was in wavelength 415nm. The result showed based on the manufacturers like as D company, C company and N company and following result of the rate of blue coated lenses were 19,7%, 54.9%, and 29.4% at 0.00 D. 20.9%, 55.2%, 33.2% at -3.00 D and 28.3%, 73.1% and 36.1% at -5.00 D.


Conclusions:

The rate of blue light coated lenses’ prote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s and diopters. When an optician is selling blue light coated lenses it would be better if he demonstrates the blue light coated lenses’ depending on different visual environment. And it will also help for optician to make more credibility with customers.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청광차단율에 관한 연구

송 경석, 주 석희*
세한대학교 안경광학과, 전남
    Sehan University

    Ⅰ. 서 론

    현대인에게는 컴퓨터, LCD모니터, 스마트폰, TV 등 시각관련 전자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일상생활에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로부터 나 오는 빛은 높은 선명도를 유지하기 위해 각 제조사들 이 경쟁적으로 고해상도의 밝은 LED(Light Emitting Diode)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전자기기를 이용한 근거리 작업은 조절로 인한 눈의 피로뿐만이 아니라 화면에서 나오는 유해광선으로 인해 각종 안 질환이나 눈부심을 발생시킬 수 있다.1)

    특히 유해광선 중 청광파(Blue Light Wave)는 가 시광선의 일부분인 380~500nm의 청색계열 파장 영 역으로 에너지가 높고 파장이 짧은 특성을 지니고 있 으며, 눈의 각막이나 수정체에 흡수되지 않고 망막까 지 도달하여 시세포를 손상시키거나 시력저하, 안구 건조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수면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억제되어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 다.2) 또한 외부의 태양광선과 자주 노출할 경우 청광 파는 시력감퇴나 백내장 같은 안과질환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이고 60세 이상의 실명의 원인이 되기도 한 다(Fig. 1)3-5).

    고객이 청광차단안경을 착용할 목적으로 안경원을 방문한 경우, 안경사는 사용자의 전자기기 이용 환경 을 파악하고 그 광원으로 부터 발생되어진 청광파를 가장 적절히 차단하여 줄 수 있는 렌즈를 추천해 주 어야 한다. 그러나 업계의 현실은 각종 전자기기의 청광파발생율 뿐만이 아니라 청광파차단안경렌즈의 차단율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현재 판매중인 청광차단안경렌즈는 주로 청광파장 415~420nm 영역을 주로 차단하는 렌즈이며, 점차 450nm 영역까지 차단효과를 주는 렌즈가 개발되어 지고 있다. 조광렌즈(Photochromic)에서는 자외선 (UV-A와 UV-B, 400nm 이하)과 430~470nm의 청 광색 단파장을 흡수하여 청광파를 차단하지만 렌즈안 의 할로겐족 원소를 활성화하여 착색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청광차단안경렌즈는 착색 없이 코팅만으로도 차단되어지는 렌즈가 사용되어지고 있다.6-8)

    최근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청광파차단율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국내·외 측정 장비가 개발되어져 있 다. 기준이 되는 장비와 안경원에 사용 중인 국산장비 의 측정값 비교를 통해 시중에 가장 널리 판매중인 3 군데 회사제품의 청광차단율을 측정하여 실제적인 청 광차단효과와 회사별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실험기기 및 재료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정확한 영문 명칭은 ‘Blue light filters lens’ 혹은 ‘Blue light protective lens’ 이다. 청광차단안경렌즈 중 현재 안경원에서 많이 사 용하고 있는 제품은 국내의 D사, C사, 외국계 회사인 N사 렌즈이다. 모두 KFDA(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 가를 받은 제품으로 실험에는 회사별로 0.00 D, -3.00 D, -5.00 D의 굴절력을 가진 구면 청광차단 안경렌즈가 각각 사용되었다(Table 1).

    청광차단율 측정에 기준이 되는 제품은 일본 HITACHI사에서 제작한 Spectrophotometer U-4100으로 통관, 수입되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 술표준원 시험기관에서 공인 인증을 받은 정확도/정 밀도가 원기와 동급인 제품이다. 이와는 별도로 안경 원에서 간편하게 이용 중인 청광차단율 측정 장비로 국내 H사의 HLM-9000 렌즈미터에 있는 청광차단측 정기능을 이용하였다(Fig. 2)(Fig. 3).

    국내의 HLM-9000은 Hartmann-Moiré wavefront sensor를 이용해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장비이지만 동시에 UV파장과 청광차단을 측정하는 기능이 탑재되 어 있다.

    2.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할 청광차단안경렌즈를 제조사와 굴절 력별로 각각 나눠 실험하였다. 제조사별로는 D사, C 사 그리고 N사로 나눴으며, 굴절력별로는 0.00 D, -3.00 D, -5.00 D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장 소는 실내의 상온(20℃±5℃) 조명(200 lux) 아래서 실시하였다.

    청광차단율 측정기기는 청광파 차단율 측정에 기 준이 되는 일본 HITACHI사의 U-4100을 원기로 이 용했으며 1차로 415nm 파장대를 지정하여 청광차단 율을 측정하였고, 2차로 450nm 파장에서 측정하였 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렌즈별로 각 20회씩 측정 한 결과를 평균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현재 안경렌 즈 제조업체에서 청광차단율 품질기준을 415nm에 지 정을 하여 출하 검사 및 투과율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관리를 하고 있다. 또한 향후에 출시 예정인 청 광차단렌즈의 투과율은 450nm 대역의 차단율 제품 을 만들 예정이여서 두 파장대의 투과율을 실험하였 다. 그리고 안경원에서 널리 사용 중인 국내 H사의 HLM-9000 청광파 차단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알아 보기 위해 똑같이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청광차단정도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렌즈 청광투과율 + 반사율 = 1

    3. 통계분석

    본 연구의 측정결과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은 SPSS ver. 18.0을 사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분석,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다.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Ⅲ. 결 과

    1. U-4100 장비를 이용한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차단율 측정

    1) 415nm 파장대역 측정

    U-4100을 사용하여 415nm 파장대의 청광차단안 경렌즈의 청광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0.00 D에서 국 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19.7%, C사의 제품은 54.9%로 측정되었고,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29.4%로 측정되었다. -3.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 은 청광차단율이 20.9%, C사의 제품은 55.2%, 외국 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33.2%로 측정되었다. -5.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28.3%, C사 의 제품은 73.1%,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36.1% 로 측정되었다. 각 제조회사별 같은 굴절력의 청광차 단율 측정값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과 Scheffe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 국내 C사 제품의 청 광차단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5.00 D의 차 단율이 모든 회사제품에서 다른 굴절력에 비하여 상 대적으로 높았다. 회사별 차단율의 차이는 -5.00 D 에서 국내 D사와 C사의 차이가 44.8%로 가장 높았다 (Table 2).

    2) 450nm 파장대역 측정

    U-4100을 사용하여 450nm 파장대의 청광차단안 경렌즈의 청광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0.00 D에서 국 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11.9%, C사의 제품은 7.9%로 측정되었고,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11.7%로 측정되었다. -3.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 은 청광차단율이 12.3%, C사의 제품은 11.2%, 외국 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16.9%로 측정되었다. -5.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13.9%, C사 의 제품은 11.3%,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13.9% 로 측정되었다. 각 제조회사별 같은 굴절력의 청광차 단율 측정값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과 Scheffe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0.00 D와 -3.00 D에서는 유의한 차이(p=0.00)를 나타냈 으며 -5.00 D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p=0.13). 450nm 파장대에서 청광차단율(최고값 73.1%)은 415nm 차단율(최고값 16.9%)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제조회사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3.00D에서 국내 N사 제품의 차단율이 16.9%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Table 3).

    2. HLM-9000 장비를 이용한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차단율 측정

    1) 415nm 파장대역 측정

    HLM-9000을 사용하여 415nm 파장대의 청광차단 안경렌즈의 청광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0.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27.3%, C사의 제품 은 54.2%로 측정되었고,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35.1%로 측정되었다. -3.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 은 청광차단율이 33.2%, C사의 제품은 51.4%, 외국 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34.0%로 측정되었다. -5.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33.2%, C사 의 제품은 49.0%,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40.0%로 측정되었다. 각 제조회사별 같은 굴절력의 청광차단율 측정값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 국내 C사 제품의 청광차단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굴절 력별 차단율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었었으며. 회사별 차단율의 차이는 0.00 D에서 국내 D사와 C사의 차이 가 26.9%로 가장 높았다(Table 4).

    2) 450nm 파장대역 측정

    U-4100을 사용하여 450nm 파장대의 청광차단안 경렌즈의 청광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0.00 D에서 국 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7.0%, C사의 제품은 3.2%로 측정되었고,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8.4%로 측정되었다. -3.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 은 청광차단율이 15.1%, C사의 제품은 13.3%, 외국 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20.0%로 측정되었다. -5.00 D에서 국내 D사의 제품은 청광차단율이 16.6%, C사 의 제품은 18.1%, 외국계회사인 N사의 제품은 24.1% 로 측정되었다. 각 제조회사별 같은 굴절력의 청광차 단율 측정값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과 Scheffe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p=0.00)를 나타냈으며, 450nm 파장대에서 청광차단율(최고값 54.2%)은 415nm 차단율(최고값 24.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굴절 력별 차이는 0.00 D에서 차단율이 다른 굴절력에 비 하여 낮게 측정되었다(Table 5).

    3. U-4100과 HLM-9000의 청광파 차단율 비교 분석

    1) 국내 D사 렌즈 측정(415nm 파장)

    청광파 측정 장비인 HLM-9000과 U-4100와의 차 단율을 분석한 결과 HLM-9000이 U-4100보다 0.00 D에서 7.6%. -3.00 D에서 8.2%, -5.00 D에서 4.9% 높게 측정되었다. 측정장비별 차단율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00), (Table 6).

    2) 국내 C사 렌즈 측정(415nm 파장)

    청광파 측정 장비인 HLM-9000과 U-4100와의 차 단율을 분석한 결과 U-4100 장비가 HLM-9000 보 다 0.00 D에서 0.7%. -3.00 D에서 3.8%, -5.00 D 에서 24.1% 높게 측정되었다. 측정장비별 차단율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3.00 D와 -5.00 D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 (Table 7).

    3) 해외 N사 렌즈 측정(415nm 파장)

    청광파 측정 장비인 HLM-9000과 U-4100와의 차 단율을 분석한 결과 HLM-9000 장비가 U-4100 보 다 0.00 D에서 5.7%. -3.00 D에서 0.8%, -5.00 D 에서 3.9% 높게 측정되었다. 측정장비별 차단율의 차 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0.00 D와 -5.00 D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 (Table 8).

    Ⅳ.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등으로부터 나오는 청광파를 차단할 수 있는 청광차단안경렌즈의 실제적인 차단율과 이를 측정하는 기기의 차이를 비 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현재 안경원에서 가장 널리 판매되어 지고 있는 국 내 제조업체 2곳, 외국의 제조업체 1곳의 청광차단안 경렌즈를 대상으로 청광차단율을 U-4100에 의해 측 정한 결과 415nm 파장에서 동일한 굴절력을 가진 회 사별 차단율은 C사의 차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 22%에서 최대 44.8% 높게 차단됨을 나타냈다. 450nm 파장에서 0.00 D는 D사의 렌즈가, -3.00 D 는 N사의 렌즈가 차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0 D의 렌즈를 측정 했을 때는 D사와 N사의 차 단율이 C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같은 굴절력 렌즈에 서 제조회사별 최소 0.2%에서 최대 5.7% 차이를 보 여 415nm 파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단율 차이가 작 았다. 그리고 같은 제조사라도 굴절력(D)에 따라 청 광차단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415nm 파장에서 450nm 파장 보다 더 높은 차단율을 보였다.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하는 청광파가 완전하게 차단 된다는 것은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다양한 여 건이 존재한다. 저자의 실험렌즈는 전체적으로 평균 38.9%(415nm, U-4100)의 청광차단율을 보였다. 앞 으로 청광파 차단율이 어느 정도가 되었을 때 눈에 해 로운 파장을 제거하여 시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 는가에 대한 기준값의 연구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안경원에 사용 중인 국산 청광투과율 측정기기인 HLM-9000 제품으로 청광차단율을 측정한 결과 415nm 파장에서 동일한 굴절력의 제조사별 차단율이 C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 9%에서 최대 26.9% 높게 차단됨을 나타냈다. 450nm 파장에서는 N사의 렌즈가 차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같은 굴절 력 렌즈에서 최소 1.4%에서 최대 7.5% 높게 차단됨 을 나타냈다. HLM-9000 제품으로 측정한 각 제조사 별 청광차단렌즈는 415nm 파장에서 450nm 파장보 다 더 높은 차단율을 보였다.

    위와 같이 두 측정 장비 모두 청광차단렌즈의 청광 차단율이 렌즈회사별, 굴절력별 차이를 나타냈다. 굴 절력별 청광차단율이 굴절력이 커질수록 증가한 것은 굴절력 증가에 따른 중심두께와 굴절률의 변화가 차 단율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제조회 사별 청광차단을 위한 코팅원리 등 차단방법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리라 생각되어진다. 415nm 파장에서 450nm 파장보다 더 높은 차단율을 보인 것은 청광차 단렌즈 설계가 사람의 눈에 더 크게 유해한 단파장영 역의 청광차단을 주목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 여겨 진다.

    U-4100과 HLM-9000 두 측정 장비로 동일한 회 사, 같은 굴절력의 청광차단렌즈를 측정할 때 측정값 은 굴절력에 따라 최소 0.7%에서 최대 24.1% 차이를 나타냈다. 국내 C사의 -5.00 D에서만 24.1%의 큰 차이를 보였을 뿐 나머지 모든 제품에서 평균 4.45% 정도의 비교적 작은 차이를 나타냈다.

    U-4100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측 정환경, 측정광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안 경원에서 주로사용 되는 HLM-9000 제품의 경우 측 정광원이 U-4100과는 틀린 LED light source를 사 용하며 측정 환경 역시 진공상태가 아닌 외부에 노출 된 상태로 렌즈의 차단율을 측정하기 때문에 조건에 따라 오차가 발생 할 소지가 있다. 그러나 안경원에 서 U-4100과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기 때 문에 가격이 저렴한 제품으로 대체를 하고 있는 실정 이다. 국내 HLM-9000 제품의 측정값이 국가기술표 준원 공인 장비인 U-4100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판 매목적의 차단율을 파악하는 데는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번 실험을 통해 그 동안 안경렌즈 제조사에서 제 공된 청광차단율에 대한 실제 검증과 함께 같은 제조 사 제품이라도 굴절력(D)별로 차단율이 다르다는 것 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청광차단안경렌즈는 제조회사별, 렌즈굴절 력 청광차단율이 다르게 나타남으로 렌즈를 판매 시 측정 장비와 청광차단율을 제시하며 시환경에 맞는 적합한 청광차단안경렌즈를 소개한다면 소비자의 안 경사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6년 세한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JMBI-18-4-525_F1.gif

    Blue Light wavelength.

    JMBI-18-4-525_F2.gif

    Spectrophotometer(HITACHI U-4100)

    JMBI-18-4-525_F3.gif

    Lensmeter(HUVITZ HLM-9000)

    Table

    Specification of blue light protective lenses used in this study

    Measurement of blue light protection rate by U-4100 in wavelength 415nm

    Measurement of blue light protection rate by U-4100 in wavelength 450nm

    Measurement of blue light protection rate by HLM-9000 in wavelength 415nm

    Measurement of blue light protective lens refractivity by HLM-9000 lensmeter (wavelength 450nm)

    Comparison analysis of U-4100 and HLM-9000 in wavelength 415nm (D. Company)

    Comparison analysis of U-4100 and HLM-9000 in wavelength 415nm (C. Company)

    Comparison analysis of U-4100 and HLM-9000 in wavelength 415nm (N. Company)

    Reference

    1. Yu YG, Choi EJ: Blue Light Blocking Performance and Prescription for Blue Light Blocking Lens. J. Korean Oph. Soc. Vol. 18(3), 297-304, 2013.
    2. Jung DW: [Hot Issue] Blue Light Coated Lenses.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J. Ankyunggye Vol. 8, 2013.
    3. Biteau J, Chaput F, Lahlil K et al.: Large and Stable Refractive Index Change in Photochromic Hybrid Materials. Chem Master. 10(7), 1945-1950, 1998.
    4. Johar SR, Rawal UM et al.: Sequential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histomorphology, cell density and antioxidative status of the lens eqithelium an in vivo study. Phtochem Photobiol. 78(3), 306-311, 2003.
    5. Wagener AR: In vivo studies on the effect of UV-radiation on the eye lens in animals. Doc Ophthalmol. 88(3-4), 221-232, 1994.
    6. M.Ed Ek: The Effects of Blue light on Occula Healt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NY:AFB Press, June, 2000.
    7. Khairutdinov RF, Giertz K, Hurst JK et al.: Photochromism of Spirooxazines in Homogeneous Solution and Phospholipid Liposomes. J Org Am Chem Soc. 120(49), 12707-12713, 1998.
    8. Kim EK, Choi YK, Lee MH: Photoinduced Refractive Index Change of Photochromic Diarylethene Polymer. Macromolecules 32(15), 4855-4860, 1999.
    9. Zuclich Ja: Ultraviolet-induced photochemical damage in ocular tissue. Health Phys. 56(5), 671-682,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