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545-55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545

Study on the Feasibility to Establish Institution of Certification & Evaluation for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in Korea

Jang-Cheol Shin1), Sung-Soo Kang2), Seong-Jong Park3), Seok-Ju Lee3)*
1)Dept. of Ophthalmic Optometry,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usan
2)Dept. of Ophthalmic Optics, Suseong College, Daegu
3)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Sunch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k-Ju Lee 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Suncheon TEL: 061-740-7443, E-mail: sjlee8282@nate.com
November 2, 2016 December 2, 2016 December 6, 2016

Abstract

Purpose:

We study the Feasibility to Establish Institution of Korea Certification & Evaluation for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ethods:

We conducted survey of professor who works at the University of nationwide 15 days from December 5 Year 2015, 91 professors(31 men(34.1%), 60 female(65.9%)) and us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he frequency analysis, average(Mean) using the SPSS 15.0 social science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We can find that 72(80.5%) professors agreed on the establishment of KICEDOO(Korea Institution of Certification & Evaluation for Dept. of Ophthalmic Optics), 16(17.8%) professors did not agreed. The reason for introduction of KICEDOO that 35(47.9%) professors agreed because of preparation for Dept. of spectacle optics identity threatened the other organizations operate, 20(27.4%) professors agreed because of need to discuss the scope of work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work and health occupations, and 13(17.8%) professors agreed that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Conclusions:

As Higher Education is being revised, it assumed that college which operated medical training courses shall be subject to essential accredit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s own accreditation agency KICEDOO for the accreditation of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The agency KICEDOO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continuous quality and guarantee the education of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ost answers hope to be composed independent organization and staff for objectively service performance.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 타당성에 대한 연구

신 장철1), 강 성수2), 박 성종3), 이 석주3)*
1)부산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부산
2)수성대학교 안경광학과, 대구
3)청암대학교 안경광학과, 순천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Ⅰ. 서 론

    최근 노년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의료서비스에 대 한 소비자의 기대요구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정부에서는 2015년 12월 고등교육법개정으 로 국민의 건강과 생명 및 국가 보건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학, 치의학, 한의학, 간호학 등의 의료인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에 대해 평가인증을 의무화 하였다1).

    이러한 의료인을 양성하는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 한 평가인증을 의무화한 고등교육법 개정은 소비자의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을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의료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의료법과 고등교육법 개정 을 통해 미인증 받은 의료인 양성 학과에 대해서는 국가시험 제한과 입학정원 감축 및 폐지 등이 2016년 부터 적용됨에 따라 국민의 안보건을 책임지고 있는 안경사를 배출하는 대학의 안경광학과와 산업체를 대 표하는 대한안경사협회에서는 선제적으로 법률적 시 행 이전에 관계 부처와 자율적 협력에 의한 평가인증 체제가 안경광학과에 정착되기 위한 평가인증기관 설 립이 필요한 시점이다2). 이러한 안경광학과에 대한 평가인증을 시행할 평가인증기관에서는 대학들이 정 부, 사회, 교육수요자의 기대와 만족을 충족시키고, 대학의 안경광학과의 개설목적과 그 목적 성취를 위 한 운영에 책무성을 갖도록 인증을 위한 평가를 시행 하게 된다.

    특히 개설 안경원의 수(2013년 현재, 8,813개소)의 비약적인 증가와 안경사 면허 취득자의 증가 등으로 지난 30여 년간 외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안경사 제 도는 국제적인 교육의 질 등가성 및 통용성 확보도 또한 안경 산업체를 비롯한 교육현장에서 요구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평가인증기관 설립이 필 요한 상황이다3-5).

    국내의 평가인증제도는 1982년 한국대학교육협의 회(이하, 대교협)의 발족과 함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설립에 관한 법률 제18조 대학평가 규정에 의해 대학평 가 실시가 시초이며, 이후 대학 전반을 진단하는 5년 주기의 대학기관평가(1991년부터 기관평가는 종합평 가로 명칭이 바뀌었음)를 1차(1982년~1986년)와 2차 (1988년~1992년)에 걸쳐 실시함에서 유래되고 있다5).

    이러한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 유형은 교육기 관 전반의 물적, 인적자원 인프라와 이를 운영하고 활용하는 프로그램의 요건 구비를 평가하는 기관평가 인증을 위한 인정기관과 학과 및 계열 중심의 교육과 정을 평가하는 프로그램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으 로 분류된다.

    현재 기관평가인증 인정기관은 Table 1과 같이 한 국대학교육협의회(대학평가원)와 한국전문대학교육 협의회(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2개 기관이 2015년 12월에 교육부로부터 기관평가인증 인정기관으로 재 지정되어 평가인증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관평 가인증 인정기관들은 대학을 포함한 고등직업교육기 관의 평가인증을 시행을 통해 직업교육의 질 보장, 기관의 책무성 증진, 직업교육의 질 개선 지원, 직업 교육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국제적인 교육의 질 등가성 및 통용성 확보, 직업교육의 성공사례 발굴과 확산을 수행하고 있다5-8).

    또한 프로그램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으로 교 육부로부터 선정되기 위한 심사·지정 기준을 통과하 여 운영되고 있거나 준비 중인 국내 프로그램 평가인 증 인정기관 현황은 Table 2와 같으며, 평가인증의 대상은 고등교육기관들 중에서 고등단계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고등교육법제2조제4호의 전문대 학과 동법 제2조제5호의 원격대학, 제6호의 기술 대학, 제7조의 각종학교 중 전문학사학위를 수여하거 나 국가로부터 전문대학과 동등학력을 인정받는 교육 기관이다9-12).

    본 연구에서는 학과 및 계열 중심의 교육과정을 평 가하는 프로그램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인 안경광 학과 평가인증원 설립 타당성을 국내 소재 대학의 안 경광학과 교수 대상의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의 조사는 2015년도 12월 5일부터 15일간 국내 대학의 안경광학과에 근무하고 있는 교수 대상 으로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대상 중 응답자는 91명이며, 그 설문의 세부내용은 Table 3과 같다.

    2. 조사설계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검사지(Structured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의 신뢰도와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조사 대상자에게 본 조사의 목적을 충실히 설명하고 응답하도록 하였다.

    3. 조사처리 및 방법

    Fig. 1과 같은 검사절차에 의해 확인 및 검증 (Validation) 작업을 시행하여 조사지를 분류하였으 며, 분류된 설문지는 SPSS 15.0 사회과학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평 균(Mean)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 중 응답자는 91명이며, Table 4와 같이 응답자의 성별은 남자가 60명(65.9%) 으로 여자 31명(34.1%)보다 다소 많았다. 조사 대상자 의 지역별 현황은 대구/경북이 25명(27.5%), 광주/호 남/제주 22명(24.2%), 부산/경남/울산 17명(18.7%), 대전/강원/충청 17명(18.7%), 서울/경기 10명(11%)으 로 지방 대학의 관심도가 서울/경기 지역보다 높게 나 타났다. 또한 전문대학 3년제가 60명(65.9%)으로 가 장 많았으며, 대학교 25명(27.5%), 전문대학 2년제 6 명(6.6%) 순으로 나타났다.

    2. 평가인증의 필요성 관련 설문결과

    1) 인력양성목표의 명확성

    국내 대학 안경광학과의 인력양성 목표의 명확성 에 대한 설문에서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응답이 61명(68.5%)로 그렇지 않다 26명(29.2%)보다 Table 5와 같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자 중 30%가 안 경광학과의 인력양성 목표가 명확하지 못하다고 응답 한 점은 안경광학과의 인력양성 목표에 대한 정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안경광학과 교과목 명칭의 적절성

    국내 대학 안경광학과의 교과목 명칭의 적절성에 대한 설문에서 적절하다는 응답이 59명(65.6%), 적 절하지 못하다가 27명(30%)보다 Table 6에 높게 나 타났다. 그러나 응답자 중 30%가 안경광학과의 인력 양성 목표와 마찬가지로 교과목의 명칭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응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교과목별 학습목표의 적절성

    국내 대학 안경광학과의 교과목별 학습목표의 적절 한 설정 여부에 대한 설문에서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설 정되어 있다는 응답이 55명(60.4%)로 적절하게 설정되 지 못하다의 29명(31.9%)보다 Table 7에서 높게 나타 났다. 한국안경광학과 교수협의회에서는 2009년에 학 습목표집을 발행하여 안경광학과의 교과목별 학습목표 를 제시하였으며11), 2105년에는 안경광학과 교육과정 을 발행하여 개정된 교과목별 학습목표를 제시하였음 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중 31.9%가 안경광학과의 교과 목별 학습목표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4).

    4) 대학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도

    대학구조개혁평가 이전에 2011년부터 대학의 기관 평가인증이 시행되고 있으며, 2016년 현재 2주기 대 학의 기관평가인증을 비롯한 각종 프로그램 평가인증 이 시행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학 평가인 증에 대한 인식 여부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Table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학 평가인증에 대해서는 대략 알고 있음 60명 (65.9%), 잘 알고 있음 27명(29.7%), 모름 4명(4.4%)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문 조사 대상자가 대학에 소속 된 교수들이기 때문에 평가인증에 대해 구체적이지는 않지만 인지는 대부분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 설립의 필요성 및 이유

    최근 대학구조개혁평가와 더불어 평가인증의 중요 성이 대두됨에 따라 의료인 양성학과뿐만 아니라 공 학, 인문 등의 학과에서도 평가인증을 대비한 프로그 램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 관 설립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필요하다 는(매우 필요함과 필요함) 응답이 68명(75.6%)으로 필요 없다(필요 없음과 전혀 필요 없음) 12명(13.3%)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고 있음을 Table 9에서 알 수 있으며, 이는 응답자 대부분이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 는 평가인증제도에 대비한 인정기관의 설립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의 설립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타 기관 에서 설립되어 운영되는 경우 안경광학과의 정체성 위협에 대비하여 필요가 35명(47.9%), 의료 직종과 의 업무범위 논의 및 업무범위 확대를 위해 필요가 20명(27.4%), 교육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가 13명 (17.8%) 순으로 나타났다. 안평원 설립에 반대하는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는 Table 10에 정리하였다.

    3.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에 관한 설문조사

    1)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 형태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형태에 대한 설 문에 대해서는 독립법인체가 37명(41.6%), 한국안경 광학과 교수협의회 산하가 32명(36%), 학회(대한시 과학회와 한국안광학회) 산하 10명(11.2%)으로 Table 11과 같이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산업체나 다른 기관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 행할 수 있는 독립법인체 및 한국안경광학과 교수협 의회산하에 설립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에 대한 이사회 구성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에 따른 운영(이 사회 등)의 구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여러 기관 혼합형 태로 운영에 60명(75%)로 대부분 응답하고 있음을 Table 12로부터 알 수 있으며, 이는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운영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다양한 관련 단체들의 참여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Table 13에서는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의 이사회 참여 구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안경사협회 소속 안경사+외부인사 41명 (56.2%),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안경사협회 소속 안 경사 27명(37%)으로 응답됨에 따라 Table 12의 결과 와 동일한 형태로 응답자의 대부분이 객관성을 담보 할 수 있는 이사회 참여 구성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대학과 안경원에 미칠 영향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대학에 미칠 영향 에 대한 설문에서는 정부에서 평가인증 제도를 도입 한 취지와 부합되게 응답자의 78.5%가 장기적으로 대학 교육의 질에 대한 보증이 될 것이라고 답하고 있음을 Table 14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안경광학 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안경원에 미칠 영향에 대한 설 문에서는 고객에 대한 응대 및 검사 시스템의 표준화 가 될 것임 28명(32.2%), 필수 기자재의 항목이 뚜렷 해 질 것임과 안경원의 보장구에 대한 검사료 등이 제도권 안으로 진입될 가능성이 있음 16명(18.4%)으 로 순으로 나타났지만,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16.5%에 이르고 있어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의 평가인증 범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Table 15로부터 알 수 있다.

    4) 평가인증 내용의 주안점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에서 대학을 대상으로 수행 할 평가인증 내용의 주안점에 대한 설문에서는 교육 영역 52명(59.8%), 교육시설영역 16명(18.4%), 학과 의 발전계획영역 14명(16.1%)으로 나타나, 교육과정 에 평가인증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Table 16으 로부터 알 수 있으며, 교육시설영역이 18.4%로 낮은 점은 현재의 대학의 재정적 어려움이 반영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에 관 한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 안경광학과 교수들 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향후 평가인증원의 설립과 운영정책 및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11,12). 이에 따라 국내 대학에 근 무하고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 며, 91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5년 고등교육법 개정의 내용으로 의료인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의무적으로 평가인증에 받아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65.2%의 교수가 인지하고 있 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32.6%로 나타나 고등교육 법 개정 등 안경광학과 교육과 관련된 법적사항에 대 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해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을 위한 독자적인 인정 기관의 설립이 필요한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필요 하다는 응답자가 80.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 평가인증 제도의 의무화가 향후에는 의료인 양성학과에서 의료기사 등을 양성하는 보건계열 학과 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안경광학 과 평가인증원 설립의 필요성이 높게 인식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안경광학과 평가인증 원의 설립이 필요한 이유는 타 인정기관에서 안경광 학과를 평가인증하게 되었을 때 안경광학과의 정체성 위협에 대비하여 필요하다는 의견이 47.9%로, 평가 인증의 주된 목적인 교육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는 의견 17.8%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정부에서 추 진하고 있는 교육품질의 지속적인 개선보다는 안경광 학과의 미래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과 운영정책 방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 립 형태, 이사회 구성방안, 설립이 대학과 안경원에 미칠 영향, 평가인증의 주안점 등을 설문조사하였으 며, 그 중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설립형태는 독립 법인체 41.6%, 한국 안경광학과 교수협의회 산하 36.0%로 나타났으며, 운영(이사회 등)의 구성은 여러 기관 혼합된 형태가 75.0%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산업체나 다른 기관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며, 객관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법인체 및 한국안경광학과 교수협의회산하 에 설립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 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대학에 미칠 영향에 대 해서는 정부에서 평가인증 제도를 도입한 취지와 부 합되게 응답자의 78.5%가 장기적으로 대학 교육의 질에 대한 보증이 될 것이라고 답하고 있지만, 안경 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안경원에 미칠 영향에 대 해서는 16.5%가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 하고 있어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의 평가인증 범위가 대학에 국한할 것인지, 대학과 안경원을 포함할 것인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미래의 안경 산업의 발전과 이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및 보증을 위해 한국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필요 하며, 특히 고등교육법이 개정됨으로써 의료인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은 의무적으로 평가인증에 받아야 함에 따라 타 직종과 차별화된 선제적인 대응 을 위해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 설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안경광학과 평가인증원은 산업 체나 다른 기관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이며, 객 관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법인체로 설립 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KOA) in 2015.

    Figure

    JMBI-18-4-545_F1.gif

    Inspection process

    Table

    Domestic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tatus

    National program accreditation status

    Contents of survey inform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Result of questionnaire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goals

    Result of questionnaire for Adequacy of course name

    Result of questionnaire for Learning Objectives

    Result of questionnaire for Recognition of accreditation

    Result of questionnaire for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ult of questionnaire for Reason for introduction of Korean Institution of Certification & Evaluation for Dept. of Ophthalmic Optics(KICEDOO tentatively)

    Result of questionnaire for type of KICEDOO foundation

    Result of questionnaire for Foundation type of committee configurations of KICEDOO

    Result of questionnaire for Foundation type of KICEDOO’s board

    Result of questionnaire for Impacts on colleges

    Result of questionnaire of Impacts on glasses shop

    Result of questionnaire of the focus of assessment

    Reference

    1. http://www.moe.go.kr,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2015.11.30.), 2016.
    2.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Optician job analysis, Learning Objectives, National test linkage analysis study, 2014.
    3. Professor Council of Korea Optics Department, Objectives of learning by Dept. of Ophthalmic Optics, Optical Optics Subject, Daihak Publishing Company, 2014.
    4. http://www.moe.go.kr,2016 Ministry of Work Plan, 2016.
    5.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Accreditation, Korean University Accreditation Institute, General University Manuals related to University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Public Hearing Materials Book, 2010.
    6.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Accreditation, 2010 ASEM International Seminar Collection for University evaluation & certification ,ISP 2010-2-36, 2010.
    7. Member database, www.inqaahe.org, Status of Overseas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Agency.
    8. Korean University Accreditation Institute i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Accreditation, General University Institu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Manual, ISBN 978-89-93935-21-2.
    9. 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Higher Education, 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Higher Education of the Regulation book, 2015.
    10. Korea Accreditation Board For Vocational Higher Education, Manual of Accreditation Institute i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Accreditation in 2016, 2016.
    11. Kim KS, Hwang MG et al.: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government's recognition regarding the program accrediting organizations in Higher Education.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87-98, 2012.
    12. Lee BK, Kim KO: A Comparative Analysis on University Accreditation Standards of Korea and USA in the View Point of Information Literacy. J Korean Biblia Soc Library Inform Sci. 24(3), 135-15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