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587-59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587

Study on Eye Movement and Reading Ability for Normal Subjects Wearing the Preferred Color Filter Lenses

Cheol-Guen Shin
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Sunch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Cheol-Guen Shin Dept. of Ophthalmic Optics, Cheongam College, Suncheon TEL: 061-740-7442, E-mail: shin150@naver.com
November 6, 2016 December 8, 2016 December 8, 2016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ferred color filter lens on the tracking ability and reading ability in normal subjects.


Methods:

Twenty-three young adults with no color abnormality and weak myop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choosing the preferred color and the non - preferred color from the 8 colors(Aqua, Blue, Violet, Magenta, Purple, Orange, Green, and Yellow) of the ChromaGenTM lens, they were tested for fixation per 100 words, regression per 100 words and sentence comprehension using eye movement checker(ReadalyzerTM, Sweden).


Results:

The preferred color was blue, accounting for 26.1% and the average frequency fixation with the preferred color increased by 23.7±23.65 times(p<0.01, t=-4.69), regression of eye movement per 100 words increased by 23.7±23.65(p<0.01, t=-4.69) times, sentence comprehension increased by 7.9±6.1(p<0.01, t=-6.17)tim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uncorrected state and the preferred color filter len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ixation frequency(r=0.87, p<0.01) and the number of regressions(r=0.96, p=0.00) but sentence comprehension(r=0.20, p=0.01) was not high.


Conclusions:

When the normal person read book with their preferred color filter lense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by repetition of fixation and the backward movement of eye movements.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한 정상인의 안구 운동 및 읽기 능력에 대한 연구

신 철근
청암대학교 안경광학과, 순천
    Cheongam College

    Ⅰ. 서 론

    다양한 정보를 쉼 없이 받아들이는 눈은 환경적 요 인이나 광학적 요인으로 인하여 안정피로를 호소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칼라필터렌 즈를 사용하게 된다. 일찍이 칼라필터렌즈는 수많은 시각적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 한 시각적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방면 으로 연구되어 왔다1).

    색상렌즈가 독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1960년대 에 우연히 발견되어 관심을 가져왔었고, 그 후 1983 년 Helem Irlen이 시각적 왜곡현상으로 읽기에 어려 움을 겪는 학생들이 색을 가진 오버레이를 사용함으 로써 시각적 왜곡현상이 감소하였고 읽기능력향상을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상업화 시켰다2).

    특히, 난독증의 칼라필터렌즈를 통한 읽기 능력의 향상정도는 윌킨스 독서력 검사법(Wi lkins Rate of Reading Test)으로 측정하여 읽기능력올 5% 이상까지 개선할 수 있고, 난독증에 대하여 칼라필터렌즈를 사 용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보고하였다3,4).

    칼라필터렌즈의 사용은 시각적으로 정상적인 사람 에게도 눈을 보호하거나 시각적 기능을 더 향상시키 는 방향으로 이뤄져 왔다. 더욱이 스마트 폰, 컴퓨터 모니터, TV 모니터 등은 자극이 강한 색상을 방출함 으로써 눈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정상적 시 생활을 방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눈을 보호하기 위하 여 독서용, 스키용, 낚시용과 골프용 칼라필터렌즈들 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크로마젠렌즈를 사용한 연구 중 이 등5)과 Robinson 등6)의 연구에서 보여지 듯 색 상 선택 분포에 경향성을 띄고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 정상인을 대상으로 선명도가 높고. 선택되어지는 색 상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칼라필터렌즈는 난독증(dyslexia)을 겪는 사람에게 도 처방되고 있다. 읽기 장애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알렌 처방법, 크로마젠TM, 색상 오버레이 등이 있으 며 이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색파장을 찾아주는 방법 이라 할 수 있다7).

    1960년대 초 McDonald와 1980년대 Olive Mearese 는 칼라필터 렌즈가 독서에 도움이 된다고 발표하였고2), 1983년 Helem Irlen이 시각적 왜곡현상으로 읽기에 어 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색을 가진 오버레이를 사용함으로 써 시각적 왜곡현상이 감소하였고 읽기능력향상을 보였 다고 보고하였다3). 그러나, 읽기능력 향상을 위한 색상 렌즈가 안구운동의 장애7)와 조도에 따른 시력감소8,9)를 우려한 연구도 발표되었다.

    읽기능력의 향상 정도의 측정에 있어서 이 등5)의 연구에서는 의미없는 단어를 정해진 시간내에 몇 단 어를 읽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읽기 속도의 향상도를 기록하였으나 독서이해력을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국내에서는 이 등5)의 연구를 토대로 김 등1)의 연구 에서는 근거리 읽기 능력의 향상은 크로마젠 렌즈 중 에서 시감투과율이 높은 렌즈인 노란색(30%)과 파란 색(30%)에서 시력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최근에는 안구운동의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다양 한 프로그램과 SMI사 iView XTM RED 장비, Visagraph, Readalyzer 등의 기기들이 개발되어 있 다. 최근에 영어 및 국어 읽기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 는 안구운동추적기법(Eye movement tracking)은 주어진 자극을 응시하는 동안의 안구움직임과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피험자의 시각적 주의 배분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10).

    본 연구에서는 피검사자가 선호하는 칼라를 크로 마젠 렌즈 중에서 선택하게 하여 안경으로 착용했을 때 읽기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안구운동 검사기 (ReadalyzerTM)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방 법

    1. 대상

    2016년 9월 약 4주간 정상적 교정시력과 색각이상 이 없는 성인 남녀 23명(남자 8명, 여자 15명)을 대상 으로 안구운동의 특성 및 독서능력을 측정하였다. 평 균 연령은 23.05±4.2세 였으며, 굴절이상은 평균 등 가구면 도수인 -0.75±0.50D 였으며 평균 교정시력 은 0.8±0.1 이었다(Table 1).

    2. 방법

    1) 굴절검사 및 색각검사

    자동굴절검사기(RK-5, Canon, Japan)를 이용하 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고 한천석 시시력표(3m)를 이용하여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였으며 교정 시력 0.9이상을 정상시력으로 간주하였다(Table 1).

    색각이상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천석식 색 각이상표와 Fansworth D-15 검사를 실시하였다. 한 천석식 색각검사표의 부록을 참고하여 색각이상을 결 정하였으며, Fansworth D-15 검사에서는 검사 챠트 에 기록하여 색각이상을 판별하였다.

    2) 색필터렌즈 선호도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된 크로마젠 칼라필터(ChromaGenTM, Cantor & Nessel, UK)는 CR-39재질의 렌즈로 색상별 시감투과율1)은 Yellow 69.9%, Blue 69.1%, Violet 68.4%, Pink63.5%, Aqua Blue63.2%, Orange 61.5%, Magenta 52.2%, Green 46.2% 이며 난독 증(dyslexia) 및 색각이상 자의 보정렌즈로 미국의 FDA의 승인을 받은 기능성렌즈로 안경렌즈와 콘택트렌즈로 국내에 출시되어 있다.

    크로마젠 칼라필터(ChromaGenTM, Cantor & Nessel, UK)의 8가지 색상을 Blue, Aqua, Green, Magenta, Yellow 그리고 Orange color를 자연광 상 태에서 차례로 칼라를 착용시켜 책을 보게 한 후 가 장 선호하는 칼라와 가장 싫어하는 칼라를 선정하였 으며 특히, 선호하는 칼라는 2개월의 시간 차이를 두 고 2회 측정하여 선정하였으며(Table 2). 2회 측정결 과가 다른 6명의 경우 1주일 후 재 측정하여 1명을 제 외한 5명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3) 안구운동 검사 및 독서이해력

    안구운동 검사기(ReadalyzerTM, Compevo AB, Swede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검사에 따른 학습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3일 시간차이를 두고 각각 나안 상태,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한 상태, 비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검사기기 앞에 착용한 상 태로 측정하였다.

    안구운동 검사기의 주요 측정 지표는 주시횟수 (Fixaion/100 words), 역행(Regressions/100 words), 주시시간(Fixation Duration(sec)), 가독비율(Reading Rate(words/min)) 그리고 평균수준(Grade Level Equivalent) 등 4 종류가 있고 총 12종류의 데이터값을 취할 수 있다. 검사결과의 수준은 1레벨부터 12레벨로 분류되며 12레벨 이상은 성인수준으로 분류된다.

    근거리 주시시표는 총 97단어 9줄로 구성되어 있 는 줄거리가 있는 성인수준의 단문 문장(Copyright (c) 2008 Dyslexia Clinic Headquarter, Hyungbae Park, South Korea & Compevo AB, Sweden)이며 검사이후에는 ‘예’, ‘아니오’ 로 대답할 수 있는 10문 제를 제시하여 읽기속도와 이해력을 측정하였다(Fig. 1, Fig. 2).

    피검사자에게는 선호하는 칼라와 비선호하는 칼라 를 알리지 않고 짝수번 째 검사자는 선호칼라를, 홀 수번 째 검사자는 비선호칼라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검사 이후에는 내용을 묻는 질문을 10가지 할 것이라고 미리 언급하였다.

    4) 통계자료 분석

    측정데이터에 대한 통계처리는 Origin 8.0을 사용 하여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와, 선호하는 칼라에 대하여 paired-t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 였으며, p<0.05를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다고 정의하 였다. 또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를 이용하여 나안과 선호칼라에 대한 주시횟수, 안구역행 및 독서이해력과의 상관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또한 나안과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 사이의 변수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식을 도출 하였다. Fig. 3, Fig. 4

    Ⅲ. 결과 및 고찰

    1) 주시횟수(Fixation per 100 words)

    피검사자에게 100단어가 제시될 때, 나안인 상태 에서는 135.7±63.06회, 선호하는 칼라를 착용했을 때 156.1±70.74회, 비선호 칼라를 착용했을 때 117.4±46.42회를 주시하였다. 나안인 상태를 기준 으로 선호하는 칼라를 착용했을 때는 평균 23.7±23.65회를 더 주시하였으며(p<0.01), 비선호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했을 때에는 나안에 비하여 평균 13.6±22.04회를 덜 주시하였다(p=0.01). 주시횟수 는 개인차이가 있었으며 나안에서는 최저 79회, 최고 248회를 주시하였으며, 선호하는 칼라를 착용한 상 태에서는 최고 267회, 비선호 칼라필터렌즈 착용 시 에는 최고 186회 주시하였다(Table 3).

    고 등11)은 어린이의 글 읽기과정에서 동화를 읽을 때 대학생보다 더 오래 주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했을 때 주 시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시횟수는 나이가 어릴수록, 독서훈련이 덜 될수 록,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할 때 일수록 증가하 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의 경우 집중력을 더 필 요로 할 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2) 안구운동 역행(Regression per 100 words)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100 단어 에 대한 안구역행 움직임은 평균 31.0±30.4회, 선호 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할 때 38.4±36.3회, 비선 호하는 칼라필터렌즈 착용시 평균 17.5±12.5회 역행 하였으며(p<0.01, t=-6.17),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 는 나안에 비하여 평균 7.9±6.1회 더 움직였으며 비 선호 칼라필터렌즈는 2.6±9.8회 덜 움직였음을 보여 주고 있다(p=0.21, t=1.27),(Table 4).

    정상 성인의 안구운동 역행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 미하지만 최 등12)이 안구운동추적기법을 활용하여 난 독증 독자들의 안구운동 양상을 분석하였을 때, 정상 인에 비해 주시 시간이 길고 안구운동의 역행 횟수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선호하는 칼 라필터렌즈를 착용했을 때 증가하였다. 이는 독서 시 집중력을 발휘하고자 할 때, 선호하는 칼라에서는 문 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안구 운동의 역행 횟수가 증가 한다고 여겨진다.

    3) 독서 이해력

    9줄 97단어로 되어 있는 문장을 읽고 난 후 ‘예’ 또 는 ‘아니오’ 로 응답할 수 있는 10문제에 대하여 나안인 상태에서는 정답률이 평균 78.7±13.9% 이었으며, 선 호하는 칼라를 착용했을 때 평균 87.0±7.1 % 로 나안 에 비하여 8.2±14.3% 증가하였으며(p=0.01, t= -2.77), 비선호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했을 때 평균 82.8±11.6%로 나안에 비하여 4.1±14.8%로 증가하 였지만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Table 5).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를 안구 추적 기법으로 분 석한 최13)는 신속 정확한 읽기집단이 부정확한 읽기 집단보다 평균 주시 횟수가 많다고 하였고 본 연구에 서는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했을 때 주시횟수 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평균주시횟수의 증가가 독서이해력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4) 상관관계

    나안을 기준(base line)하여 선호하는 칼라와의 상 관관계를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시횟수, 안구역행, 독서이해력의 피어슨 상관계수 는 각각 r=0.87(p<0.01), r=0.96(p=0.00), r=0.20 (p=0.01)이었다(Table 6). 주시횟수에 대한 나안과 선호하는 칼라필터 렌즈를 착용한 눈과는 Y=1.04X + 18.27(R2=0.927)의 선형식(Fig. 5)을 얻었으며, 안구 역행에 대한 선형식은 Y=1.11X + 5.667(R2=0.759)를 나타내었다(Fig. 6). Fig. 7은 나안과 선호하는 칼라 필터렌즈 사이의 독서이해력에 대한 상관성을 나타내 고 있으며 Y=0.10X + 78.48(R2=0.00)의 선형식을 얻었다.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함으로써 주시횟수 가 증가하고 있으며 피어슨 상관계수(r=0.87, p<0.01)는 강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Table 6, Fig. 5). 또한, 선호하는 칼라 필터렌즈를 착용함으로 써 안구 역행 정도도 피어슨 상관계수에 의하면 강한 양의 상관성(r=0.96, p=0.00)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 다(Table 6). 그러나,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 함으로써 이해력은 증가하고 있으나 통계학적으로 약 한 양의 상관성(r=0.20,p=0.01)을 나타내었다(Table 6)(Fig. 6).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이 선호하는 칼라필터를 착용 했을 때, 안구운동과 독서이해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를 실험하여 보았다. 독서 이해력은 개인적 편차 가 심하여 객관적 측정이 어려움을 고려하여 안구운 동 검사기(ReadalyzerTM)를 이용하였으며 안구운동 검사기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를 착용하면 나안에 비하여 주시횟수가 증가하는데 이는 집중력과 기억력 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선호하는 칼라는 안구역행(Regression)을 증대시켜 독서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문장을 파악하고 자 하는 안구운동이 일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것은 독서이해력의 향상으로 이어지고 학습향상효과 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검사인원수가 많지 않고 폭넓은 연령대로 분석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반복적인 측정으로 문장에 대한 학습효과를 완 전히 제어하지 못한 점도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또 한 성인수준이상의 독서이해력 측정할 수 있는 검사 지도 부족한 점이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선호하는 칼라필터렌즈의 착 용은 독서이해력에 도움이 되며 향후, 안경사가 근거 리 안경처방을 할 때 칼라필터렌즈 처방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고객이 선호하는 칼라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적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academic research funds of Cheongam College.

    Figure

    JMBI-18-4-587_F1.gif

    Reading text for sentence comprehension

    JMBI-18-4-587_F2.gif

    Question and answer from the reading text

    JMBI-18-4-587_F3.gif

    Ey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in the Readalyzer

    JMBI-18-4-587_F4.gif

    Summary screen of Readalyzer

    JMBI-18-4-587_F5.gif

    Correlation and linear fits of fixations between non-color filter lens and preferred color filter lens

    JMBI-18-4-587_F6.gif

    Correlation and linear fits of regressions between non-color filter lens and preferred color filter lens

    JMBI-18-4-587_F7.gif

    Correlation and linear fits of sentence comprehensions between non-color filter lens and preferred color filter lens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referred and None preferred CromaGenTM Color filter lenses

    Differences of fixation/100 words between preferred color and non-preferred color from the non-color

    Differences of regression/100 words between preferred color and non-preferred color from the non-color

    Differences of sentence comprehension(%) between preferred color and non-preferred color from the non-color

    Comparison of fixation, regress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from between non-color lenses and preferred color filter lenses

    Reference

    1. Kim MK, Jeong JH et al.: Study on Near Visual Acuity and Visibility Luminance Transmittance by Difference of Color of ChromaGen Lens, Korean J Vis Sci. 15(3), 235-241, 2013.
    2. Evans BJW, Drasdo N: Tinted lenses and related therapies for learning disabilities-a review, Ophthalmic Physiol Opt. 11(3), 206-217, 1991.
    3. Wilkîns A, Lewis E et al.: Coloured Overlays and their benefits for reading,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4(1):4, 1-64, 2001.
    4. Park SH, Jang YG: The Assessment using Colored Overlay for Dyslexic Learning Disorder having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eficit,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8(4), 313-336, 2007.
    5. Lee SJ, Park JH et al.: The Study on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for Dyslexia Wearing Color filter lens(ChromaGenTM Lens). J. Korean Oph. Opt. Soc. 16(1), 65-74, 2011.
    6. Robinson GL, Foreman PJ: Scotopic sensitivity/ Irlen syndrome and the use of coloured filters: a long-term placebo controlled and masked study of reading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ability. Percept. Mot. Skills 89(1), 83-113, 1999.
    7. Blaskey P, Sheiman M, Parisi M, et al.: The effectiveness of Irlen filters for improving reading performance: a pilot study. J. Learn. Disabil. 23(10), 604-612, 1990.
    8. Tagami Y, Ohnuma T, Isayame Y: Visual fatigue phenomenon and prescribing tinted lenses in patients with optic neuritis. Br. J. Opthalmol. 68(3), 208-211, 1984.
    9. Robinson GL, Conway RN: The effects of Irlen colored lenses on students' specific reading skills and their perception of ability: a 12-month validity study. J. Learn. Disabil. 23(10), 589-596, 1990.
    10. Park HJ, Shin DH: Analysis of Processes in Reading about 'Science Stories' in 6th Grade Science Textbook Using Eye-trac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383-393, 2015.
    11. Koh SR, Yoon SJ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eye-movement during children read Korean texts.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1(4), 481-503, 2010.
    12. Choi SY: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Dyslexia Research Using Eye Movement Tracking Techniques in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9(1), 121-136, 2012.
    13. Choi K: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Cognitive Task Performances & Eye-Movement Patter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