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4 pp.621-62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4.621

A Study on Changes of Straylight in Relation to Soft Contact Lenses

Kyoung-Hee Park1),2), Geun-Chang Ryu2)*
1)Dept. of Optometry, Kookje College, Pyeongtaek
2)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Geun-Chang Ryu 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f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061-330-3553, E-mail: gcryu@dsu.ac.kr
November 21, 2016 December 7, 2016 December 8, 2016

Abstract

Purpose:

The change of straylight with clear versus cosmetic soft contact lens according to time and the effect on visual acuity were analyzed.


Methods:

Healthy twenty five young subjects( age 19-23 years ) were fitted with clear and cosmetic SCL( etafilcon A ). After wearing contact lenses after ten minutes and eight hours, using straylight measure instrument, the values were measured. Subjects were repeated three times and were analyzed the mean log MAR.


Results:

The straylight valu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clear and cosmetic contact lens after wearing ten minutes ( p=0.03, p<0.05 ) and eight hours ( p=0.00, p<0.05 ). Subjects on clear SCL were no difference on the changes of straylight in relation to time. The straylight values of cosmetic SCL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 according to time.


Conclusions:

The straylight values of SCL were increased owing to color and were influenced for the color. The measure of straylight as well as contrast sensitivity visual acuity was suggested for examining the quality of visual acuity.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의한 straylight변화에 관한 연구

박 경희1),2), 유 근창2)*
1)국제대학교 안경광학과, 평택
2)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Ⅰ. 서 론

    Straylight는 광학기기에 있어 정상적인 굴절 또는 반사 이외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빛 을 말하며 이상적인 안구에서는 빛의 분산이 발생하 지 않으나 실제 안구에서는 빛의 분산이 나타나 망막 에 투영된 상의 감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빛의 분산 을 straylight라고 하며 이 수치가 증가할수록 시력 의 질은 떨어지게 된다.1)

    Straylight는 야간운전 또는 백내장 환자, 굴절수 술 등을 받은 환자의 시각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 다. 그러나 기존의 검사는 외부에서 글레어 원(glare source)을 주고 환자의 시력이나 대비감도를 측정하 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검사의 반복성이 떨어지는 단점 이 있어 표준검사로 널리 이용되지 못하였다.2)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Van den Berg는 C-quant(Oculus GmbH, Wetzlar, Germany) Straylight기기를 개발 하였다.3) 선행된 연구에 의하면 straylight가 5배 증 가했을 때 대비감도 검사는 20%가 감소한다고 보고하 였다.1) 백내장이 없는 정상안 3182안과 백내장안 134 안을 대상으로 straylight를 측정한 결과 정상안에서 40세까지는 큰 변화가 없으나, 65세 때 2배, 77세 때 3배로 증가하는 등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백내장안은 정상안에 비해 straylight가 높았다고 발 표하였다.4) Straylight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전달되 는 빛의 분산인 반면, 세극등 현미경 검사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분산된 빛을 통해 관찰하므로 straylight의 변화가 모두 세극등 변화에 반영되지 않으며1) 적은 양 의 변화는 대비감도 측정값에 반영되지 않아 대비감도 검사로 정확한 straylight양을 측정할 수 없다.1) 또한 정상안의 straylight는 연령증가 혹은 각막교정수술 후 발생되기도 하며 홍채와 공막이 완벽하게 투명하지 않은 경우와 백내장과 같은 수정체혼탁이 원인으로 알 려져 있으며5) 망막에 straylight를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 중 콘택트렌즈착용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렌즈침 착물이나 흠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6) 따 라서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straylight변 화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인의 straylight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련된 straylight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 이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Quant사 Straylight기기 를 이용하여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동일한 재질의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straylight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박의 연구에 따르면 재질 etafilcon A 렌즈를 인공누액에 8시간 침착시킨 경우 1시간 노출 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단백질 침착량이 약 2배 정 도 증가하였다.7) 렌즈의 단백질 침착량이 증가함에 따라 straylight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투명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직후와 착용 8시간이 경과한 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Ⅱ. 연구대상과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사시, 안질환 및 안과수술 경험이 없는 구면굴절력 –6.00D미만, 원주굴절력 –0.75D미만으 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한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성인 남·여 25명(평균연령 20.72세)을 대상으로 하 였으며, 원주굴절력이 –0.75D미만인 경우 등가구면 처방을 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평균굴절력은 –2.63D 이었으며 평균 원주굴절력값은 –0.50D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C-quant사 Straylight기기를 이용하여 산 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검사를 시행하였으며8), 검사하지 않은 눈은 안대로 가리고 검사를 시행하였다(Fig. 1). Straylight는 보상비교(compensation comparison)방 법을 이용한 3세대 straylight측정기를 이용하였다.9),10) 보상비교(compensation comparison)방법은 바깥쪽에 straylight source가 있어 검사자가 straylight에 노출 되고 가운데 원(test field)을 좌, 우로 나누어 한쪽에서 는 straylight에 대해 보상하는 빛을 주고 다른 한 쪽에 서는 보상하는 빛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가 좀 더 확실하게 깜박이는 것처럼 보이는 쪽의 버튼을 눌러 검 사를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파라미터를 가진 etafilcon A 투명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PVP함 유)를 각각 착용 후 10분과 착용 후 8시간 후 상방 푸시 업 테스트와 렌즈의 움직임, 중심안정 등을 확인한 후 측정하였다.

    C-quant사 Straylight기기는 일정 수의 자극을 주고 환자의 반응분석을 통해 straylight값과 신뢰도 를 평가한다. 신뢰도를 나타내는 Esd값( 예상 표준 편차 )이 0.08이상이거나 Q값이 1미만인 경우 신뢰도 가 낮은 것으로 보고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Esd값 이 0.08미만이고 Q값이 1이상인 경우는 값을 3번 측 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Fig. 2).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version18.0)를 사용 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투명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 straylight 비교

    투명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 10분 후 straylight 값은 투명 콘택트렌즈가 0.954±0.301이 었으며, 칼라 콘택트렌즈는 1.029±0.247이었다. 칼 라 콘택트렌즈 착용 시 투명 콘택트렌즈에 비해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 p<0.05)(Table 2)(Fig. 3). 렌즈 착용 8시간 후 straylight값은 투명 콘택트렌즈는 0.587±0.490 이 었으며, 칼라 콘택트렌즈는 1.057±0.168로 칼라 콘 택트렌즈의 straylight값이 투명 콘택트렌즈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Fig. 4)(Fig. 5). 이는 콘택트 렌즈 제작 시 색상유무가 straylight발생에 영향을 주 는 것으로 생각된다. Straylight값의 증가는 보통 자 각적으로 눈부심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또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권11) 등은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부심 감도를 평가한 결과 중간공간주파수 에 해당하는 1.6°와 고영역주파수인 1.0°, 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눈부심 환경에서의 대 비감도가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부심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straylight를 측정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 로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눈부심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투명 콘택트렌즈 straylight변화

    착용 10분 후 투명 콘택트렌즈의 straylight값은 0.954±0.301이었으며 8시간 착용 후 0.587±0.490 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Table 2)(Fig. 3)(Fig. 4). 이는 착용시간 증가가 straylight 증가로 나타나 지 않으며,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 다. 각막은 straylight증가에 예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lliott et al.12)은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각막 부종을 유발하며 평균적으로 각막부종 10%는 straylight가 50%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콘택트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높아 8시간 착용 시간으로 인해 각막부종을 일으키지 않아 straylight 값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Elliotte et al.은 렌 즈착용자의 straylight값은 같은 나이의 렌즈 미착용 자와 비교하면 더 높고 렌즈침착물과 연관성은 없다 고 하였으며 8시간 착용한 경우 렌즈침착물로 인해 straylight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본 연 구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Table 1).

    3) 칼라 콘택트렌즈 straylight변화

    렌즈 착용 10분 후 칼라 콘택트렌즈의 straylight 값은 1.029±0.247이었으며, 8시간 착용 후 1.057± 0.16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374, p<0.05)(Table 2)(Fig. 3)(Fig. 4).

    또한 실험결과 칼라 콘택트렌즈 시 straylight값은 개인차가 많았다(Fig. 4).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 초기 에 대상자들은 순목 시 동공과 광학부직경의 불일치 로 인한 시력감소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8시간 착용 후 straylight값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는 렌즈착 용 안정화로 인한 시력이 안정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straylight를 측정하는 동안 렌즈안정화가 잘 이 루어진 경우 동공과 광학부직경이 잘 일치되어 증가 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동공과 광 학부직경이 순간적으로 불일치되는 경우 자각적 불편 함을 느끼게 되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칼라 콘택트렌 즈 착용자 중 다수는 투명 콘택트렌즈에 비해 시야가 좁아지고 답답하다는 자각적 불편감을 호소하였다.(Table 2).

    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상안이 투명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의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straylight 가 색상유무와 착용시간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눈부심을 유발하는 원인은 각막교정수술, 백 내장, 유리체출혈, 인공수정체 삽입수술 등으로 알려 져 있으며 안과적 수술 후 시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straylight를 측정한다.13) Straylight증가는 망막의 이미지 상을 감소시키고 눈부심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선행된 연구에 의하면 콘택트렌즈착용으 로 인해 straylight값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14),15),16),17). 본 연구를 통해 straylight는 투명 콘택트 렌즈에 비해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 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발생하였으며 착용시간이 증가와의 상관관 계는 없었다. 예상과 달리 투명 콘택트렌즈착용 시 straylight값이 착용 직후가 착용 후 8시간이 지난 시점보다 높은 원인은 렌즈 착용으로 인한 눈물층의 변화 등으로 인해 망막이미지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 각되며 한정된 대상자로 실험한 한계점이 있으며 추 후 대상자를 추가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안경원에서 판매율이 높은 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은 투명 콘택트렌즈에 비해 시력의 질을 저하시키는 straylight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렌즈착용 시 색 상유무가 시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시력의 질적 측정을 위해 대비감 도검사 뿐 아니라 straylight측정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gure

    JMBI-18-4-621_F1.gif

    C-quant straylight meter(Oculus GmbH, Wetzlar, Germany). The subject must position the eye close to the eyepiece with occluding the opposite eye, and see the test fields. The task for the subject is to decide which test field flickers stronger and press the button.

    JMBI-18-4-621_F2.gif

    The result of C-quant straylight meter. The value of log(s) shows the straylight value. If the value of Esd is larger than 0.08 or, the value of Q is smaller than 1.0, the measure is unreliable and the subject must repeat the test.

    JMBI-18-4-621_F3.gif

    The straylight value on wearing clear versus cosmetic SCL. Error bars are signified as standard errors.

    JMBI-18-4-621_F4.gif

    The respective straylight value on wearing clear versus cosmetic SCL. Error bars are signified as standard errors. Some subjects doesn’t need any prescription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cosmetic lens. Therefore, the number of subjects(clear versus cosmetic SCL) is different.

    JMBI-18-4-621_F5.gif

    The change of straylight value on wearing clear versus cosmetic SCL according to time. Error bars are signified as standard errors. Some subjects doesn’t need any prescription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cosmetic lens. Therefore, the number of subjects(clear versus cosmetic SCL) is different.

    Table

    Parameter of clear lenses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

    Statistical analysis of straylight values( log Mar )

    Reference

    1. Van den Berg TJ: Introduction to retinal straylight. Netherlands Institute for Neuroscience, 1-11, 1-18, 2004.
    2. Van den Berg TJ: On the relation between glare and straylight. Doc Ophthalmol. 78(3-4), 177-181, 1991.
    3. Aslam Tm, Haider D et al.: Principles of disability glare measurement: an opthalmological perspective. Acta Ophthalmol Scand. 85(4), 354-360, 2007.
    4. Van den Berg TJ, Van Rijn LJ et al.: Straylight effects with aging and lens extraction. Am J Ophthalmol. 144(3), 358-363, 2007.
    5. Lee SY, Oh JH: Straylight in Normal and Cataractous Eyes of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52(2), 182-189, 2011.
    6. Michael R, van Rijn LJ et al.: Association of lens opacities, intraocular light, contrast sensitivity and visual acuity in European drivers. Acta Ophthalmol, 87(6), 666-671, 2009.
    7. Park KH: The relation between the protein amount deposited circle contact lens and it's oxygen transmissibil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S Thesis, pp. 14-19, 2013.
    8. García-Lázaro S, Ferrer-Blasco T et al.: Relevance of pupil size in the clinical determination of retinal straylight on young healthy human eye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8(3), 395-399, 2010.
    9. Franssen L, Coppens JE et al.: Compensation comparison method for assessment of retinal straylight. Invest Ophthalmol Vis Sci. 47(2), 768-776, 2006.
    10. Tan JC1, Spalton DJ et al.: Arden GB.Comparison of methods to assess visual impairment from glare and light scattering with 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4(12), 1626-1631, 1998.
    11. Kwon KN, Park SH et al.: The changes in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when Wearing Circle Contact lenses after the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 Opt Soc. 21(1), 23-34, 2016.
    12. Elliott DB, Fonn D et al.: Relative sensitivity of clinical tests to hydrophilic lens-induced corneal thickness changes. Optom Vis Sci. 70(12), 1044-1048, 1993.
    13. Mainster MA, Turner PL: Glare's Causes, Consequences, and Clinical challenges After a Century of Ophthalmic Study. Am J Ophthalmol. 153(4), 587-593, 2012.
    14. Applegate RA, Wolf M: Disability glare increased by hydrogel lens wear. Am J Optom Physiol Opt. 64(5), 309-312, 1987.
    15. Applegate RA, Jones DH: Disability glare and hydrogel lens wear revisited. Optom Vis Sci. 66(11), 756-759, 1989.
    16. Choi HS, Park SJ et al.: The Change of Phoria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d Concentration of Color Lens. J Korean Oph Opt Soc. 16(3), 339-343, 2011.
    17. Nio YK, Jansonius NM: Effect of methods of myopia correction on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and depth of focus. J Cataract Refract Surg. 29(11), 2082-2095, 2003.
    18. van der Meulen IJ, Engelbrecht LA: Straylight measurements in contact lens wear. Cornea 29(5), 516-52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