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1 pp.41-50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1.41

A study on factors which affect Dry Eye Syndrome and Eye Health in Filipino and Korean male students

Kyung-Hee Hong1), Young-Pil Kim1), Se-Jin Kim2)*
1)Korea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2)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Correspondence: Se-Jin Kim Departmen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82-041-550-2185, sjkim@bu.ac.kr
February 5, 2017 February 28, 2017 March 13, 201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 eye health in Filipino and Korean male students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6 males tudents, aged 17, from Korea and the Philippines a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y have dry eye syndrome, subjective symptoms,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or not. The McMonnies questionnaire was used for measuring dry eye syndrome. Subjective symptoms, video display time and sun exposure time were added to the questionnaire items; while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were confirmed by visual examination.

Result:

The average sunlight exposure time per day excluding school hours were 2 hours and 12 minutes for the Filipino students and 1 hour and 1 minute for the Korean students. Sunlight exposur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lipino students with dry eye syndrome, subjective symptoms,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but multimedia viewing time did not. In contrast, the sunlight exposure time and video display time didn’t effect to Korean students, excluding the scores on the McMonnies questionnaire. The Filipino students ha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occurring frequency of subjective symptoms,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in dry eye syndrome. Also they had the higher the scores on the McMonnies questionnaire and high prevalence of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Conclusions:

It was identified that the Filipino students had their sunlight exposure time affecting their eye health, whereas the Korean students didn’t have. And it related to occurring frequency of conjunctivitis and pterygium in case of dry eye syndrome patients. Another analysis needs to be made of other risk factors besides sunlight exposure time analyzed by this study , which may affect the eye health of the Filipino students.


필리핀과 한국 남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 및 안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 경희1), 김 영필1), 김 세진2)*
1)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
2)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Ⅰ서 론

    눈물막은 각막과 결막을 덮는 중요한 막으로 점액, 단백질 등의 대사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눈물막이 정상상태를 유지해야만 건강하고 정상적인 시각을 보 장할 수 있다. 이러한 눈물막이 불안정하고 표면이 손상되면 안구에 만성적인 자극을 유발하게 된다.

    건성안에 대한 정의는 해를 거듭할수록 변화하고 있다. 미국 National Eye Institude(NEI)에서는 건 성안을 “과도한 눈물 증발로 인한 눈물막의 장애”라 고 정의하였으며 건성안이 안구 내 표면을 손상시 킨다고 하였다.1) 2007년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에서는 건성안은 눈물과 안구 표면의 다원 적인 질병으로 불쾌감, 시각장애 및 눈물막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안구 표면의 염증을 동반한다고 정의 하였다.2)

    건성안은 현재 안과 외래에서 많이 진단되고 있는 질환 중 하나이며, 국내외로 건성안 유병률이 증가하 고 있으며,3-6) 건성안 증후군은 연령, 성별, 신체적인 변화 등의 생활환경에 의하거나 콘택트렌즈 착용, 영 상기기의 사용 등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7,8) 최근에 는 젊은 성인에서도 건성안 증후군을 호소하는 경향 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젊은 성인을 대 상으로 한 건성안 유병률을 조사하여 관련된 위험인 자들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7)

    익상편은 결막의 섬유성 혈관조직이 비정상적으로 각막을 향해 삼각형 모양으로 자라나서 들어가는 것 으로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거나 눈물막이 비정상적 으로 각막과 결막의 국소 부위에 건조를 일으켜서 발 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익상편은 흔한 외부 안질환으 로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며 맑은 기후와 햇 빛에 노출되는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햇빛에 노출되 는 시간은 익상편뿐만 아니라 건성안에도 영향을 미 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9,10)

    이에 본 연구는 건성안 증후군을 유발시키는 환경 중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과 외안부의 안질환 유무 및 video display 사용시간 등을 조사하여 필리핀과 한 국의 남학생의 건성안 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 요인 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한국과 필리핀 2개 국가의 17세 남학생 각 196명을 대상으로 건성안 증후군, 눈의 불편감(뻑 뻑함, 가려움, 시림 등)을 묻는 자각증상, 결막염 및 익상편 유무를 알아보았다. 건성안 증후군 측정도구 로는 맥모니(McMonnies) 설문을 이용하였고, 12문 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10점 이상을 건성안 증후군으 로 분류하였다.11,12) 설문조사는 2016년 9월부터 2016 년 11월까지 실시하였고, 설문의 취지를 설명한 후 학 생 스스로 기입하는 자기평가 기입법을 원칙으로 하 였다. 눈의 불편함을 묻는 자각증상질문과 video display(PC 또는 스마트폰) 일일 평균 사용 시간, 햇 빛 일일 평균 노출시간을 설문항목에 추가하였고, 결 막염과 익상편은 육안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수준은 p<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Ⅲ결과 및 고찰

    1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필리핀과 한국 고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필리핀 학생들의 video display 사 용시간은 평균 1.60시간, 햇빛 노출시간은 2.20시간 이었으며 맥모니 설문 점수는 7.26점이었다. 한국 학 생들의 video display 사용시간은 평균 4.38시간, 햇 빛 노출시간은 1.10시간이었으며 맥모니 설문 점수는 3.53이었다.

    건성안 증후군과 정상군의 분류는 맥모니 설문 점 수가 10점 이상인 대상자를 건성안 증후군으로 하였 을 때, 필리핀 학생들이 72(36.7%)명으로 한국 학생 들 13(6.6%)명보다 많았다.

    눈의 불편함을 묻는 자각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대 상자는 필리핀 학생들이 166(84.7%)명으로 한국 학 생 87(44.4%)명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육안검사로 확인한 결막염은 필리핀 학생들이 20 (10.2%)명으로 한국 학생 3(1.5%)명보다 다소 많았으 며, 한국 학생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익상편이 필리 핀 학생들이 46(23.5%)명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필리핀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보다 육안검사로 확 인 가능한 안질환 발생정도와 건성안 증후군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기후 및 보건상태로 분석할 수 있 다. 필리핀은 한국보다 적도에 가까운 낮은 위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보다 자외선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익상편이 한국 학생들에 비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한국보다 열악한 보건위생 환경으로 인해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을 만진 후 손을 깨끗하게 씻어서 전염시키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필 리핀 학생들의 위생상태가 좋지 않아 육안검사에서 결막염이 많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13,14) 장 등15)의 연구에서 손을 깨끗이 씻는 행동이 눈병의 감염에 영 향을 준다는 결과로 한국 학생들의 위생상태가 상대 적으로 높기 때문에 결막염이 적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7)의 연구에서 건성안이 전체 대상자의 50.6%인 반면,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 중 6.6%만이 건성 안 증후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윤7)의 연구는 설문 대상자가 대학생이었고, 설문 도구가 OSDI로 본 연 구와 다르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를 나타내 었다.

    필리핀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약 2배 이상 햇 빛 노출 시간이 길어 자외선에 노출되는 상황이 높다 고 볼 수 있으며, 열악한 위생상태로 인해 결막염과 익상편 등 안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이에 영향을 받 는 건성안 증후군도 높게 나타났다.

    2필리핀과 한국 학생들의 안건강 특성에 관한 분석

    1)필리핀 학생들의 안건강 특성

    필리핀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 자각증상, 결막 염, 익상편을 확인하고 응답한 질환 유무와 건성안 증후군에 따른 video display 사용시간, 햇빛 노출시 간, 맥모니 설문점수를 분석하여 Table 2에 나타내 었다.

    맥모니 설문점수로 분류한 건성안 증후군은 정상 군보다 video display 사용시간이 평균 1.58시간으로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햇빛 노출 시간이 평균 2.90으로 높았으며 유의하였고(p=0.00), 맥모니 설문점수는 평균 11.67로 유의하였다(p=0.00).

    눈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자각증상이 있는 학생의 햇빛 노출시간은 2.34로 자각증상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맥모니 설문점수도 8.18로 높았다. 자각증 상 유무는 video display 사용시간과는 유의하지 않 았으나 햇빛 노출시간(p=0.00)과 맥모니 설문점수 (p=0.00)와 유의하였다.

    결막염이 있는 학생의 햇빛 노출시간은 3.15로 결 막염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맥모니 설문점수도 12.95로 높았다. 결막염 유무는 video display 사용 시간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햇빛 노출시간(p=0.00) 과 맥모니 설문점수(p=0.00)와 유의하였다.

    익상편이 있는 학생의 햇빛 노출시간은 3.04로 익 상편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맥모니 설문점수도 12.13으로 높았다. 익상편 유무는 video display 사 용시간(p=0.01), 햇빛 노출시간(p=0.00)과 맥모니 설문점수(p=0.00) 모두와 유의하였다.

    건성안 증후군과 자각증상 유무, 결막염 및 익상편 유무는 햇빛 노출시간과 맥모니 설문점수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햇빛 노출시간이 길수록 건성안 증후군과 눈의 불편함을 느끼는 자각증상, 결 막염 및 익상편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필리핀 학생 들이 맑은 기후로 인해 자외선에 장시간의 노출될 때 건성안 증후군 및 안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16,17)

    2)한국 학생들의 안건강 특성

    한국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 자각증상, 결막염, 익상편을 확인하고 응답한 질환 유무와 건성안 증후 군 유무에 따른 video display 사용시간, 햇빛 노출 시간, 맥모니 설문점수를 t-test 분석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맥모니 설문점수로 판정한 건성안 증후군은 정상 군보다 video display 사용시간이 평균 5.15시간으로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햇빛 노출시 간은 평균 1.31로 높았으며 유의하였고(p=0.05), 맥 모니 설문점수는 평균 10.85로 유의하였다(p=0.00).

    눈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자각증상이 있는 학생의 햇빛 노출시간은 1.15로 자각증상이 없는 학생보다 약간 많았으며, 맥모니 설문점수는 5.83으로 높았다. 자각증상 유무는 video display 사용시간과 햇빛 노 출시간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맥모니 설문점수와는 유의하였다(p=0.00).

    결막염이 있는 학생의 햇빛 노출시간은 1.00으로 결막염이 없는 학생보다 약간 적었으며, 맥모니 설 문점수는 12.00으로 높았다. 결막염 유무는 video display 사용시간과 햇빛 노출시간과는 유의하지 않 았으나 맥모니 설문점수와는 유의하였다(p=0.00).

    한국 학생들에서는 익상편이 있는 학생이 없어서 기술통계만 나타내었다.

    한국 학생들은 필리핀 학생들과는 달리 건성안 증 후군을 제외한 자각증상과 결막염이 햇빛 노출시간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적도에 가까 운 낮은 위도에 위치한 필리핀과는 달리 자외선에 노 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위험요인으로 보기 어렵다.

    3필리핀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과 안건강 관련성 분석

    필리핀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에 따른 자각증상, 결막염과 익상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 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4에 나타 내었다. 건성안 증후군 중 눈의 불편함을 느끼는 자 각증상이 있는 학생은 71(36.2%)명이었고, 결막염이 있는 학생은 20(10.2%)명, 익상편이 있는 학생은 43 (21.9%)명으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

    본 연구의 결과 중, 건성안 증후군과 익상편이 있 는 학생이 통계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는 데, 이는 Tamer9)의 연구에서 익상편을 가진 환자들 에게서 비정상적인 눈물막 기능이 일어나서 건성안이 유발된다는 것과 그 결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4필리핀과 한국 남학생들의 설문요인별 상관성 분석

    1)필리핀 학생들의 설문요인별 상관성 분석

    필리핀 학생들의 설문요인별 상관분석을 Table 5 에 나타내었다. 필리핀 학생들의 햇빛 노출시간은 맥 모니 설문점수(r=0.87), 건성안증후군(r=0.74), 익상 편(r=0.65), 결막염(r=0.44), 자각증상(r=0.44)의 순 으로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햇빛 노출시간이 길수록 맥모니 설문점수, 건성안 증후군, 자각증상, 결막염, 익상편이 증가하는 상관성을 의미한다.

    2)한국 학생들의 설문요인별 상관성 분석

    한국 학생들의 설문요인별 상관분석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한국 학생들의 햇빛 노출시간은 건성안 증후군(r=0.14)에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필리핀 학생들의 햇빛 노출시간이 많은 설문 요인과 양의 상관을 갖는 것에 반해, 한국 학생들은 햇빛 노 출시간이 길수록 건성안 증후군이 약하게 증가하는 상관을 갖는다. Table 1에서 필리핀 학생들보다 한국 학생들의 video display 사용시간이 3배 가까이 많았 으나, 박 등18)의 연구에서 스마트폰을 오래 이용할수 록 안구건조 증상과 유의한 상관을 갖는 결과와는 다 르게 video display 사용시간과 건성안 증후군은 유 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박 등18)의 연구 에서 사용한 설문도구의 차이로 볼 수 있으며, 단순 한 사용시간이 아닌 연구에서처럼 video display 사 용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순목 횟수 및 타각적 눈물량 검사를 동반해야 하는 검증 방법의 제한점이 원인이 될 수 있다.19)

    5맥모니 설문에 대한 신뢰도 분석

    조사도구에 대한 응답의 신뢰도를 분석하여 Table 7에 나타내었다. 맥모니 설문에 해당하는 12개의 문 항에 대한 크롬바흐 계수는 필리핀 학생들에서 0.72, 한국 학생들에서 0.69로 두 설문의 계수 모두 0.60보 다 높아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을 나타내었다.

    6필리핀 학생들의 맥모니 설문점수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필리핀 학생들의 맥모니 설문점수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86.8%(R2=0.87)로 나타났고 유의한 모형을 나타내었다(P=0.00).(Table 8) Table 9

    햇빛 노출시간이 맥모니 설문점수에 미친 영향을 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정적 +)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t=10.08, P=0.00), 햇빛노출 시간이 1만 큼 오를 때마다 맥모니 설문점수는 2.5만큼 오르는 것을 알 수 있다.

    7필리핀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에 따른 타당도 분석

    필리핀 학생들의 건성안 증후군에 따른 타당도 분석을 Table 9와 Fig. 1에 나타내었다. 필리핀 학생 들의 건성안 증후군에 따른 video display 사용시간, 햇빛 노출시간, 자각증상, 결막염, 익상편을 비교분 석한 결과, 곡선아래영역은 햇빛 노출시간(0.91), 익상편(0.79), 결막염(0.64), 자각증상(0.61), video display 사용시간(0.53)순이었으며 건성안 증후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중 가장 높은 곡 선아래면적을 갖는 햇빛 노출시간이 건성안 증후군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필리핀의 낮은 위도로 인해 적도 가까이에서 자외선 노출이 많아지고 이에 따른 건성안이 증가하 는 것으로 볼 수 있다.16,17)

    Ⅳ결 론

    1. 필리핀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약 2배 이상 햇빛 노출 시간이 길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 이 더 길었으며, 결막염과 익상편 등 안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건성안 증후군도 높게 나타났다.

    2. 필리핀 학생들은 햇빛 노출시간이 길수록 건성 안 증후군과 자각증상, 결막염, 익상편이 증가 하는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한국 학생들은 햇빛 노출시간이 길수록 건성안 증후군이 증가 하는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한국과 달리 필리핀 학생들은 햇빛 노출시간이 안건강에 영향을 미 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필리핀과 한국 학생들의 안건강을 조사 하여 유병률 및 위험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필리핀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보다 건성안 증후군과 결막염 및 익상편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국가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기후 및 보건 위생상태의 차이로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좀 더 적합한 검증방법 을 개발하여 필리핀 학생들의 안건강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Figure

    KJVS-19-41_F1.gif

    ROC curves of the questionnaire factor of Filipino students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MDEQ : McMonnies Dry Eye Questionnaire

    Eye health of Filipino students

    MDEQ : McMonnies Dry Eye Questionnaire
    *p < 0.05
    **p < 0.01

    Eye health of Korean students

    MDEQ : McMonnies Dry Eye Questionnaire
    *p < 0.05
    **p < 0.01

    Chi-Square test of dry eye syndrome and eye health

    **p< 0.0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jor variable of Filipino students

    **p < 0.0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jor variable of Korean students

    *p < 0.05
    **p < 0.01

    Cronbach’s α according to McMonnies questionnaire

    Result of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f Filipino students

    *p < 0.01

    ROC curve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factor

    ROC : Receiver Operative Characteristics Curve, AUC : Area Under the Curve, SE : Standard Error

    Reference

    1. Lemp MA (1995)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 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 CLAO J, Vol.21 (4) ; pp.221-32
    2. Definition DE (2007)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 Ocul Surf, Vol.5 (2) ; pp.75-92
    3. Schein OD , Hochberg MC , Muñoz B , Tielsch JM , Bandeen-Roche K , Provost T (1999) Dry eye and dry mouth in the elderly: a population-based assessment , Arch Intern Med, Vol.159 (12) ; pp.1359-63
    4. Moss SE , Klein R , Klein BE (2000)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ry eye syndrome , Arch Ophthalmol, Vol.118 (9) ; pp.1264-8
    5. Schaumberg DA , Sullivan DA , Buring JE , Dana MR (2003) Prevalence of dry eye syndrome among US women , Am J Ophthalmol, Vol.136 (2) ; pp.318-26
    6. Chia EM , Mitchell P , Rochtchina E , Lee AJ , Maroun R , Wang JJ (2003) Prevalence and associations of dry eye syndrome in an older population: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 Clin Experiment Ophthalmol, Vol.31 (3) ; pp.229-32
    7. Yun CM , Kang SY , Kim HM , Song JS (2012)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3 (4) ; pp.505-9
    8. Definition DE (2007) The epidemiology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Epidemiology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2007) , Ocul Surf, Vol.5 (2) ; pp.93-107
    9. El-Sersy TH (2014) Role of pterygium in ocular dryness , J Egyptian Ophthalmol Soc., Vol.107 (4) ; pp.205-8
    10. Roka N , Shrestha SP , Joshi ND (2013) Assessment of tear secretion and tear film instability in cases with pterygium and normal subjects , Nepal J Ophthalmol, Vol.5 (1) ; pp.16-23
    11. Oh DK (2013) Comparison of McMonnie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Questionnaires for dry eye screening test. , Eulji University PhD Thesis, ; pp.5-66
    12. Oh DK , Oh SJ (2014) Comparison of McMonnies and OSDI Questionnaires for Screening Dry eye , Korean J Vis Sci., Vol.16 (4) ; pp.593-603
    13. (2017) Available at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59 Accessed Jan 1. 2017
    14. Jang YJ , Lee MS (2007)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was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J Korean Soc Health Edu Promotion, Vol.24 (4) ; pp.1-22
    15. Jang DF , Lee MS (2015) Relationship between handwashing practices and infectious diseases in Korean students ,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40 (4) ; pp.206-20
    16. Hill JC , Maske R (1989) Pathogenesis of pterygium , Eye (Lond), Vol.3 (Pt 2) ; pp.218-26
    17. Mackenzie FD , Hirst LW , Battistutta D , Green A (1992) Risk analysis in the development of pterygia , Ophthalmology, Vol.99 (7) ; pp.1056-61
    18. Park SY , Kim MJ (2015) Influence of Smart Phone on Dry Eye Syndrome in Adolescents , Korean J Fam Pract, Vol.5 (3) ; pp.336-40
    19. Park JS , Choi MJ , Ma JE , Moon JH , Moon HJ (2014) Influence of Cellular Phone Videos and Games on Dry Eye Syndrome in University Students ,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25 (1) ; pp.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