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2 pp.149-15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2.149

A Study of Medical Cos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yopic Patients in Korea

Kyung-Hee Hong1), Se-Jin Kim2)*
1)Korea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2)Dep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Correspondence: Se-Jin Kim Department of Optometry, Baekseok University, Cheonan +82-041-550-2185, sjkim@bu.ac.kr
May 8, 2017 June 12, 2017 June 12, 201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valence of myopia and a cost per person by analyzing the number of patients enrolled for myopia and the medical fee.

Method:

The outpatients and the in patients who visited a hospital for myopi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atient sample data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from January 1, 2014 to December 31, 2016.

Result:

The number of patients who came to a hospital was the highest in 2015 over the last three years and most of them were outpatients. It was shown that female patients visited more than male those in 2016, and the highest number of the females was in 2015. According to the medic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patients was the highest in clinics, but and the least in the health institutions. The number of patients by region was the highest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nd the lowest in Sejong city.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25.15 males and 30.17 females per 1,000 population. The prevalence in clinics was 25.90 which is the highest. The prevalence in Gwangju area was the highest accounting for 39.15 people. The average cost for medical care was the highest in Seoul and the cost for medical care has increased in the most regions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medial cost per person for three years between 2014 and 2016 was shown an increasing trend in all regions.

Conclusions:

The number of myopic patients which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of refractive errors and its medical cost are gradually increasing. Analysis results about prevalence rate and medical cost per person of myopic patients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predict and prepare myopic patients to visit clinics.


한국 근시 환자수에 따른 의료비용 연구

홍 경희1), 김 세진2)*
1)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
2)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Ⅰ서 론

    근시는 굴절장애 중 가장 많고, 시력저하의 원인이 된다. 안경 및 굴절교정수술로 정상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지만, 병적근시로 진행되거나 다른 안질환과 합병의 위험이 있다.[1,2] 아시아권 나라의 근시 유병 률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 청소년기 아이들 10명 중 8명이 안경을 쓰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 아지고 있는 추세이다.[3,4] 고도근시에 의해 합병되는 안질환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기추적연구나 대규모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5][5]의 연구에서 고도근시가 나타 나는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비율이 증가하는 결과로 향후 근시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측 하였다.

    의료기술이 발전하고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보건 의료의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비용에 대한 관심 도 증가하고 있다.[6] 의료비용 연구는 특정 질환에 대 해 경제적 부담을 확인하여 예방 또는 치료 프로그램 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7]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서 청구 자료를 제공함에 따라 접근성이 높아졌고,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연구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아져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8] 질병으로 인해 사회에 발생된 의료비용을 계산하여 질병 예방이나 개선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쓰이게 된다.[9]

    현재 의료비용 연구는 녹내장 및 당뇨병성 망막병 증 등 실명에 큰 원인이 되는 중증 질병에 한정되어 있으며, 굴절장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한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로 인 해 병원을 찾은 환자수를 분석하여 성별과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 근시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또한, 근시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과 의료비용을 분석하고, 개인에게 발생하는 의료 부담을 예측하여 안경원에 내원할 근시 환자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 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2014 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환자표본자 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굴절장애 중 근시 질환으로 의료기간을 내원한 외래 및 입원 환자를 대 상으로 하였다. 의료비용은 진료 형태별로 외래 및 입원으로 나누어 산출되며, 의료기관 종별 상급종합 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보건기관 등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지역은 의료기관 소재지 기준이며, 의약 처방전에 의한 약국 조제 실적은 포함되지 않는다. 환자표본자료는 의료기관에서 청구한 요양급여비용 명세서에 대해 심사 결정한 내용으로 작성되어 있다. 국민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환자의 1년 동안 진료 내역을 추출한 명세서를 환자표본자료라 한다. 청구 자료는 환자의 진료 내역, 진단명, 보험자 지급 비용 등 많은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의료비용 연구 에 유용하게 쓰인다. 환자 표본자료는 1년 동안의 데 이터를 취합하여 개발하므로 1년 주기로 업데이트 되 고 있다.[10]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 안 근시 환자 1인에 대한 입원진료비와 외래진료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용을 산출하여 1인당 평 균 의료비용을 살펴보았다.

    Ⅲ결과 및 고찰

    1근시 환자수와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1)진료형태별 근시 환자 수와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로 병원을 내원한 남녀 환자수를 진료형태로 분류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진료형태별 환자의 특성을 분 석한 결과,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환자 수는 입원보다 외래 진료가 많았으며, 입원 환자 수는 남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남성보 다 여성이 병원을 많이 내원하였으며, 남성은 환자수 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 2016년도에 606,235명으 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2015년도에 740,259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5년 인구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을 분석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2015년의 총 인구수는 48,339,559명이었고, 환자 수는 1,339,045 명으로 근시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은 인구 천 명당 27.70명이며, 성별로는 남성이 인구 천 명당 25.15명, 여성이 인구 천 명당 30.17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5 명 더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2)근시 환자의 의료기관 종별 이용률과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수와 2015년 인구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을 의료기관 종별로 분 류하여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의료기관 종별 환자수 를 보면 의원급 의료기관이 가장 많았으며,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에 있어서 의원급 의료기관이 인구 천명당 25.90명으로 가장 높았다. 상급종합병원으로 내원하 는 근시 환자수는 감소하는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의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병원 이상급 의료기관보다 개설이 많이 되 어 있어 근시 환자의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10]

    3)근시 환자의 지역별 특성과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수와 2015년 인구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을 지역별로 분류하여 Table 3과 Fig 1(b)에 나타내었다. 2014년도에는 서 울 지역의 환자수가 319,62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지역은 2015년도에 7.58%, 2016년도에 2.30%의 증가율을 보이며 환자수가 가장 많았다. 이 는 서울 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인구수가 다른 지역보 다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근시 환자수도 다른 지역 에 비해 많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역별 개원한 안과 의원 수를 보면 서울, 경기, 부산, 대구, 경남 순으로 많았다.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수 자료에 의하면 서 울, 부산, 인천 지역 등의 인구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는 반면, 경기지역의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증 가하기 때문에 환자수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종시는 근시 환자수가 가장 적었으나 매년 100% 이상의 증가율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를 나타내었는 데, 이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인구수가 해를 거듭할수 록 많아지기 때문에 환자수가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11]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에 있어서 지역별로는 광주 광역시가 인구 천 명당 39.15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도가 인구 천 명당 16.10명으로 가장 낮았다. 이 는 통계청의 건강검진결과 검사대상자의 수검비율이 광주광역시가 높은 걸로 보아 유추할 수 있다.[11] 근 시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은 광역시와 같은 대도시에 서 약간 더 높았다. 이는 강[12]의 연구에서 도시지역 거주자가 비도시지역 거주자에 비해 근시의 유병률이 높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강[12]의 연구는 성인 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기 때문에 모든 연령의 근시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을 분석한 본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근시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 즉, 교육수준이나 도시화가 원인이라고 하는 주 장과 그렇지 않다는 상반된 보고들이 많다.[13,14]

    4)근시 환자의 연령별 특성과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2015년 인구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근시 환자수 에 따른 유병률을 연령별로 분석하여 Fig 1(c)에 나타 내었다.

    2015년 15세 미만의 청소년은 6,888,615명이었고 환자 수는 604,948명으로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은 인구 천 명당 87.82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청년기인 25세가 넘어가면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2008 년 ~ 2012년까지 5년간의 시력자료를 분석한 이[15] 등의 연구 결과에서도 12~18세의 근시 유병률이 가 장 높았던 것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이 [15] 등의 연구에서 40세 이상에서 근시 비중이 50% 이하로 하락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24세 이 상이 되면 급격하게 근시 유병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이[15] 등의 연구는 단순 시력 자료를 분석한 반면, 본 결과는 근시로 인해 안과에 방문한 환자수로 기초자 료의 차이가 있으며,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 분석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 천 명당 근시 환자가 몇 명인지의 비율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이[15] 등의 백분 율로 단순 표시한 것과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에서 근시 질병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수가 15세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8세 ~ 13세까지 의 근시 환자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는 결과를 나타 낸 정[16] 등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4

    2근시 환자의 의료비용 분석

    1)근시 환자의 성별에 따른 의료비용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 환 자의 성별에 따른 의료비용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근시의 진료비는 2016년 54,930,51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남녀 진료 비가 매년 증가하고 있었으며 2016년도의 진료비가 가장 많았다. 김[9]의 연구에서 녹내장 환자군의 의료 비용이 매년 증가하듯이 근시 환자의 의료비용도 증 가하였다. 이는 2015년도 우리나라 총 인구수에서 근 시 환자 중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11]

    2)근시환자의 의료기관 종별 의료비용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 환자의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료비용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근시 전체 진료비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다른 의료기관보다 가장 많았으며, 2016년에는 50,569,392천원으로 나타났다. 상급 종합병원과 의 원급 의료기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진료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부터 2016년 까지 의료기관의 전체 진료비가 증가하는 것과 같은 향상을 나타내었다.[10] 종합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 의 근시 환자 진료비는 2015년이 2014년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가 2016년도에 약간 감소하였다. 근시 환자수가 또한 2015년도에 증가하였다가 2016 년도에 약간 감소하였다.

    3)근시 환자의 지역별 의료비용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근시 환자 의 지역에 따른 연평균 의료비용을 Table 7에 나타내었 다. 서울지역의 3년간 연평균 진료비는 13,748,697천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205,536 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서울, 광주광역시와 경상북도를 제외한 나머지 도(제주시와 세종특별자치시 포함)에서 는 근시 환자의 진료비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어 2016년도의 진료비가 가장 많이 지출되고 있었다. 특히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3년간 매년 전년대비 15% 이상 씩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근시 환자수가 매년 두 배 이상 증가되고 있으며 의료비용도 매년 큰 폭으로 증가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17]

    4)근시 환자의 1인당 평균 의료비용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3년 동안 근시 환자의 지역에 따른 의료비용을 Table 8에 나타내었다. 총 진료비는 요양급여비용총액과 보험자 부담으로 산출한다. 1인당 평균 의료비용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진료비를 총 환자수로 나누어서 계산하였 다.[18]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3 년 동안 근시 질병으로 지출한 1인당 평균 의료비용 은 인천광역시가 47,233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 특별자치시와 서울 지역이 4만 원 이상으로 나타났 다. 2014년도에 근시 질병으로 지출한 1인당 평균 의 료비용은 37,454원이었으며, 2015년도에는 39,294 원, 2016년도에는 41,573원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의 3년 동안 1인당 평균 의료비용은 39,440원이 지출 되었다.

    Ⅳ결론

    3년간 근시 환자수는 입원보다 외래진료가 많았으 며, 입원 환자수는 남녀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 었다. 전체 환자수에 따른 유병률은 인구 천 명당 27.70명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인구 천 명당 5명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여 성이 남성보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종별 환자수를 보면 의원급 의료기관의 환 자수가 가장 많았다. 상급종합병원으로 내원하는 근 시 환자수는 감소하는 반면, 의원급 의료기관의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이 병원 이상급 의료기관보다 개설이 많이 되어있어 근시환자 의 접근성이 좋기 때문이다. 2014년에는 서울지역의 환자수가 가장 많았고 2015~2016년 경기도 지역의 환자수가 많았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인구수가 다른 지역보다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근시 환자수도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또한 경기지역의 인구수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근시의 환자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15세미만의 청소년의 환자수가 가장 많았 으며, 25세가 넘어가면 감소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8~13세까지의 근시환자의 비율이 높아지며, 12세 이 후 고도근시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진료비는 2016년 54,930,516천원으로 가장 많았 고,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었다. 3년간 총 1인당 진료 비는 39,440원이었고, 남성과 여성의 1인당 진료비 는 39,270원, 39,582원이었다. 의료기관 종별에 따 른 진료비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다른 의료기관보다 가장 많았으며, 2016년 50,569,392천원이었다. 지역 에 따른 1인당 진료비는 인천이 가장 많았으며, 47,233원이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근시환자수 가 매년 두 배 이상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년간 근시로 병원을 내원하는 전체 환자수와 의료비용을 분석하였다. 3년간 근시 환자수 와 의료비용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었고, 근시 환자 수에 따른 유병률은 인구 천 명당 27.70명이었으며, 3년간 평균 1인당진료비는 39,440원이었다. 전체 환 자수는 남성보단 여성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근시 환 자들은 외래진료를 받았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질병 코드를 기초로 하여 근시로 인해 병원을 내원하는 환 자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실제 안경원에 내원하는 근시 환자수와는 차이가 있으며, 본 결과의 근시 환자수에 따른 근시 유병률을 국내 전체 근시의 유병률로 해석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이에, 안 경원에 내원하는 환자수와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수를 비교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결과는 근시 환자의 안경원을 포함한 의료 서비스 이용 양상에 관 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Figure

    KJVS-19-149_F1.gif

    Prevalence of myopia patients

    Table

    Number of myopia patients and prevalence by type of care

    (unit : person)

    Number of myopia patients and prevalence by medical institution

    Number of myopia patients and prevalence by region

    (unit : person)

    Number of myopia patients and prevalence by age

    (unit : person)

    Medical costs of myopia patients by sex

    (unit : KRW 1,000)

    Medical costs of myopia patients by medical institution

    (unit : KRW 1,000)

    Medical costs of myopia patients by region

    (unit : KRW 1,000)

    Average medical costs per person by region

    (unit : KRW 1,000)

    Reference

    1. Kusakari T (1998) Scleral changes and melatonin in form-deprivation myopia in Myopia Updates. ,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yopia, Springer, ; pp.304-312
    2. Heidary F , Gharebaghi R , Wan Hitam WH , Naing NN , Wan-Arfah N , Shatriah I (2011)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intraocular pressure in Malay children , PLoS One, Vol.6 (10) ; pp.e25208
    3.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pp.287-97
    4. Ji NC , Yoon WJ (1997) A survey of the refractive stat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rural are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38 ; pp.458-65
    5. Kim JH (2013)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over the fifteen years in Korean population ,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 pp.1-33
    6. Shin SJ , Park JY (2013) Review for cost estimation for cost of illness and economic evaluation in Korea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9 (1) ; pp.77-92
    7. Kim YH , Shin SJ (2013) Costing methods in healthcar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 pp.2-66
    8. Lee TJ , Km YH (2012) Costing methods in healthcar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care Collaborating Agency, ; pp.2-34
    9. Kim MW (2016) Direct medical costs for patients with glaucoma disease: based on national patients sampl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 Sungkyunkwan University Master Thesis, ; pp.1-69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Available at http://www.hira.or.kr,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Available at http://kosis.kr/,
    12. Kang SH (2004) Prevalence of myopia in Korean male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and education or environment , Hallym University PhD Thesis, ; pp.8-14
    13. Saw SM , Nieto FJ , Katz J , Schein OD , Levy B , Chew SJ (2000)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 Optom Vis Sci, Vol.77 (10) ; pp.549-54
    14. Wu MM , Edwards MH (1999) The effect of having myopic parents: an analysis of myopia in three generations , Optom Vis Sci, Vol.76 (6) ; pp.387-92
    15. Lee WS , Ye KH , Shin BJ (2014)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08 to 2012 , J Korean Oph Opt Soc., Vol.19 (1) ; pp.121-33
    16. Jung SI , Han JS , Kwon JW , Kim DG , Kim DH , Lim HT (2016) Analysis of myopia progression in childhoo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J Korean Opj Soc., Vol.57 (9) ; pp.1430-4
    17. Sejong city , Available at http://www.sejong.go.kr/stat.do,
    18. Hong KH (2015) Comparison analysis of dry eye screening test of workers in low humidity environment , Eulji University PhD Thesis, ; pp.8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