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2 pp.167-17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2.167

Visual Quality According to Refractive Correction Methods

Hui-June Kim1), Koon-Ja Lee2)*
1)GM ST.MARY’S Eye Center, Busan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Seongnam
Correspondence: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82-031-740-7182, kjl@eulji.ac.kr
May 15, 2017 June 14, 2017 June 14, 2017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visual quality according to myopic correction methods using a double-pass system.

Metho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59 subjects who underwent correction of myopia through non-surgical methods (spectacle group 44 subjects, contact lens group 42 subjects) and surgical methods (Femtosecond laser LASIK group 43 subjects, implantable contact lens (ICL) group 30 subjects).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Strehl ratio, objective scattering index (OSI), and OQAS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values (OVs) were assessed with an OQAS. In the surgical groups, all measurements were evaluated 1 month after surgery in which the visual acuity was stable.

Result:

Subjective visual acuity and Stehl ratio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pectacle, contact lens, LASIK surgery, and ICL groups(p=0.072, p=0.358, respectively). MTF (cycles/degree) were 41.99 ± 7.99, 36.49 ± 6.36, 41.67 ± 9.99, 31.23 ± 8.85 and OSI were 0.53 ± 0.39, 0.53 ± 0.20, 0.45 ± 0.19, 0.76 ± 0.37 in the spectacle, contact lens, LASIK surgery, and ICL groups, respectively,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00), (p=0.000). OV100%, OV20% and OV9%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00), (p=0.000), (p=0.000) in the spectacle, contact lens, LASIK surgery, and ICL groups and those were best in the spectacle and LASIK groups.

Conclusions:

The subjective visual acuity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refractive correction methods in myopes, however, MTF, OSI and OVs are best in spectacle and femtosecond LASIK group and worst in ICL group.


굴절교정 방법에 따른 시력의 질 평가

김 희준1), 이 군자2)*
1)굿모닝 성모안과의원, 부산
2)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성남

    Ⅰ서 론

    근시는 지역, 인종에 따라 차이가 크며, 서양인보 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더 많은 유병률을 나타내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1-5) 우리나라의 1977년 초등학생의 근시 유병율은 30.1%,6) 1988년 초중고 학생의 근시 유병률은 23.0%로7) 보고된 이래 2007년 도시 초등 학교 4학년의 근시 유병률은 50.1%,8) 2016년 5세 이 상 20세 이하 근시비율은 66.2%로9)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성인의 근시 유병율은 48.1%로 보고되었다.10) 근시 유병은 근거리 작업과 유전적 요인, 실내에서 보낸 시간, 야외활동 제한, 학업시간 증가 등과 관련이 있으며,11,12) 최근에 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증가로 유병율이 높아졌다고 보고되었다.13)

    근시 교정을 위한 비수술적 방법에는 안경과 콘택 트렌즈 및 각막굴절교정렌즈(orthokeratology)가 이 용되며, 수술적 방법에는 엑시머레이저(excimer laser) 를 이용한 각막굴절교정수술과 안내렌즈삽입술(ICL, implantable contact lens)이 이용되고 있다.

    비수술적 방법 중 안경은 굴절교정효과가 우수하 고 안전한 방법으로 눈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감염의 위험이 없으며, 다양한 렌즈의 사용으로 일상생활, 여가활동 및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 나 미용적인 측면이나 무게감에 대한 착용 부담감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는 안경에 비해 시야 가 넓고, 렌즈 도수에 따른 상의 확대 또는 축소율이 작아서 굴절이상도가 높은 경우나 부등시안(anisopia) 에 적합하고, 광학중심점을 통해 주시하게 되므로 프 리즘 효과와 수차 발생이 적으며, 미용적인 면에서도 선호도가 높으나 관리 부주의로 인한 눈의 감염, 건 조감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14)

    수술적 방법 중 레이저를 이용한 각막굴절교정수 술은 1991년 Pallikaris 등15) 에 의해 소개된 이후 발 전을 거듭하여 최근에는 눈의 저위수차(low-order aberration) 뿐 아니라 고위수차(high-order aberration)까지도 교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나,16,17) 각막절편(flap)을 만들고 이를 다시 접합하는 수술 과 정에서 중심부 이탈(decentration), 상피 내생(epithelial ingrowth), 절편 주름(flap folds) 등의 합병증이 보 고되었다.18-20)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최근 에는 미세각막절삭기(microkeratome) 대신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를 이용한 수술법21-23)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근시를 교정하는 또 다른 수술 적 방법인 안내렌즈삽입술은 각막이 얇거나 고도근시 와 같이 많은 양의 각막 절삭이 필요로 할 경우, 안내 콘택트렌즈를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여 교정하 는 방법이다.24) 이 방법은 광학부에 절삭면이 없어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에 비해 눈부심이 적고, 수 술 후 각막혼탁이나 근시퇴행이 없으며 수술 부작용 이 발생할 경우 삽입한 렌즈를 제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25-27) 안내렌즈 삽입으로 인한 백내장, 불빛 번짐 및 눈부심, 각막 내피세포 수의 감 소 등의 합병증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27)

    굴절이상을 교정할 경우에는 이상과 같이 다양한 굴절교정방법 중에서 굴절이상안의 굴절력, 교정 후 시력의 질, 선호도를 고려하여 결정하는데, 시력의 측면에서 어떤 굴절교정방법이 더 우수한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의 질을 평 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Hartmann-Shack wavefront 수차계28)는 시력의 광학적 질에 대한 평가는 가능하 지만 각막을 통해 입사한 빛이 망막까지 통과하는 동 안 생기는 산란(scattering)의 정도는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중경로시스템(double-pass system)을 이용 하여 눈의 수차뿐 만 아니라 빛의 산란도를 반영하여 분석해야 한다고 제안되었고 그 후 이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한 시력의 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 다.29-32)

    그동안 굴절교정 후 시력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 시 력을 평가하거나, 굴절교정 전과 후에 시력의 질을 비교·평가한 연구29-31)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빛이 망막까지 통과하는 동안 생기는 산란의 정도를 반영하여 망막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는 이중경로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굴절교정 방법으로 굴절이상을 교정한 근시안을 대상으로 안구 내 시력의 질과 관련이 있는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변조전달함수) cutoff, 망막에 맺히는 빛 의 집중도 Strehl ratio, 빛의 산란도 OSI(objective scatter index)와 객관적 시력 OVs(OQAS values)를 측정하여 시력의 질을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Ⅱ연구대상 및 방법

    1대상자 선정

    2012년 6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부산 소재 S안과 병원에서 굴절이상(근시, 난시) 교정을 원하는 만 18 세 이상, 교정시력이 0.8 이상으로 안경, 소프트콘택 트렌즈(콘택트렌즈교정군), 펨토초레이저라식수술(라 식수술), 안내렌즈삽입술로 굴절교정을 한 사람을 대 상으로 하였다. 안내 혼탁이 있거나, 안과질환 또는 전신질환이 있는 대상은 제외하였다. 안경교정군 44 명(84 안), 콘택트렌즈교정군 42명(69 안), 라식수술 군 43명(85 안), 안내렌즈삽입군 30명(57 안) 총 159 명의 굴절이상안이 참여하였다. 굴절교정군과 비교할 정상대조군으로는 등가구면 굴절력이 +0.50 ∼ -0.50 D이고 나안시력이 0.8 이상, 연령이 20 ∼ 45 세인 정시 32명(62 안)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2연구 방법

    1)시력 및 굴절이상도 측정

    굴절이상도는 현성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3m 거 리에서 대비도 100% ETDRS LCD chart(SC-2000, Nidek, Japan)를 이용하였다. 안경교정군과 콘택트 렌즈교정군은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교정굴절 력의 안경렌즈와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한 후 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라식수술군과 안내렌즈삽입 군에서는 나안시력과 시력의 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되 는 수술 1개월 후에 굴절이상에 대한 보정 없이 나안 시력을 측정하고 LogMAR 시력으로 변환하여 분석하 였다.

    2)굴절교정방법

    안경교정군은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굴절이 상을 시험렌즈로 교정하였고, 소프트콘택트렌즈 도수 는 현성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결정 하였으며 원주굴절력이 -0.75 D 미만인 경우에는 원 주굴절력의 구면렌즈를, -0.75D 이상인 경우에는 토 릭렌즈를 처방하였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제품은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사의 Acuvue Oasys, Acuvue Oasys Toric, Acuvue Moist 1 Day Toric 렌즈를 사 용하였다.

    라식수술과 안내렌즈삽입술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안과의(ophthalmologist)에 의해 진행되었다. 라식 수술은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 절편을 만들고 각막 절편을 들어 올린 후 엑시머레이저(VISX Star S4 IR, USA)를 이용하여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 된 굴절이상 양만큼 각막 실질을 절삭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안내렌즈삽입술은 삽입장치(STARR ICL injector system, STAAR Surgical AG, Nidau,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수정체와 홍채 사이에 안내 렌즈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라식수술군과 안내렌즈삽입군은 본 연구자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 구31,33) 결과를 활용하였다.

    3)OQAS를 이용한 시력의 질 측정

    시력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 사용된 OQAS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본 연구자들의 선행연구 30-32)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안경과 콘택트렌즈군 은 안경렌즈와 소프트콘택트렌즈로 교정하고, 라식수 술군과 안내렌즈삽입군은 수술 1개월 후에 시력이 안 정적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 OQAS(OQAS, Visiometrics S.L., Tarrasa, Spain)를 이용하여 MTF cutoff, Strehl ratio 및 OSI를 측정하였고, 객관적 시력 OVs는 100%, 20% 및 9% 대비도에 따라 동공 크기 4 mm에서 측정하였다.

    4)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교정 방법에 따른 측정값을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Bonferroni’s 다중비교로 사후분석을 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일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 단하였다.

    Ⅲ결과

    1대상자 특성

    안경을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한 44명(우안 43 안, 좌안 41안, 총 84안)의 평균연령은 26.59 ± 6.77세 (19세 ∼ 42세)이고, 교정시력은 0.99 ± 0.03 Decimal (0.00 ± 0.02 logMAR), 구면굴절력은 -3.53 ± 1.38 D, 원주굴절력은 -0.71 ± 0.45 D로 나타났다(Table 1).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한 42명(우안 29안, 좌안 40안, 총 69안)의 평균 연령은 27.66 ± 4.84세(18세 ∼ 39세), 교정시력은 0.99 ± 0.03 Decimal(0.00 ± 0.02 logMAR), 구면굴절력은 -3.54 ± 1.60 D, 원주굴절력은 -0.67 ± 0.41 D로 나타났다(Table 1).

    라식수술을 받은 43명(우안 42안, 좌안 43안, 총 85 안)의 평균 연령은 26.35 ± 6.86세(19세 ∼ 42세)이고 구면굴절력은 -3.58 ± 1.46 D, 원주굴절력은 -0.70 ± 0.43 D, 수술 전 교정시력은 0.99 ± 0.03 Decimal (0.00 ± 0.01 logMAR)로 나타났다(Table 1).

    안내렌즈삽입술을 받은 30명(우안 28안, 좌안 29안, 총 57안)의 평균 연령은 26.87 ± 7.26세(18세 ∼ 43세) 이며 수술 전 교정시력은 0.97 ± 0.07 Decimal(0.01 ± 0.04 logMAR), 구면굴절력은 -7.08 ± 2.62 D, 원 주굴절력은 -1.42 ± 0.88 D로 굴절이상도는 대상군 중에서 가장 높은 근시도를 나타내었다(Table 1). 라식 수술군과 안내렌즈삽입술군은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굴절이상을 시험렌즈로 교정한 시력을 사용하 였다.

    각 굴절이상 교정군의 등가구면굴절이상도는 안경 착용군 -3.89 ± 1.41 D, 콘택트렌즈 착용군 -3.88 ± 1.67 D, 라식수술군 -3.93 ± 1.48 D, 안내렌즈삽 입군 -7.85 ± 2.54 D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 73.684, p=0.000),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대상자의 나이는 굴절이상 교정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정시군은 굴절이상군과 차이가 있었 지만(F=6.872, p=0.000), (Table 1), 정시군의 나이 가 임상적으로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만한 연령 차 이는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2굴절교정 후 주관적 시력

    굴절이상을 교정한 방법에 따라 주관적 시력 (logMAR)은 안경교정군 0.00 ± 0.02, 콘택트렌즈 교정군 0.00 ± 0.02, 라식수술군 0.00 ± 0.00, 안 내렌즈삽입군 0.01 ± 0.02로 안내렌즈삽입군에서 조금 낮은 결과를 보였다(F=2.363, p=0.072), (Table 2). 안경교정군, 콘택트렌즈교정군과 라식수 술군의 주관적 시력은 서로 차이가 없었고 정시안의 주관적 시력(1.00 ± 0.00 decimal, 0.00 ± 0.00 logMAR)과도 차이가 없었다(p=1.000).

    3굴절교정 후 시력의 질

    MTF는 안경교정군 41.99 ± 7.99 cpd, 콘택트렌 즈교정군 36.49 ± 6.36 cpd, 라식수술군 41.67 ± 9.99 cpd, 안내렌즈삽입군은 31.23 ± 8.85 cpd로 측정되었으며(Table 3), 정시안에서는 46.74 ± 8.02 cpd로 측정되었다(Table 4). MTF 값은 굴절교정 방 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F=16.607, p=0.000), 안경교정군에서 가장 높았고 안내렌즈삽입군에서 가 장 낮았고,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Strehl ratio는 안경교정군 0.23 ± 0.06, 콘택트 렌즈교정군 0.24 ± 0.32, 라식수술군 0.24 ± 0.06, 안내렌즈삽입군은 0.18 ± 0.05로 안내렌즈삽입군에 서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58). 정시안의 Strehl ratio는 0.29 ± 0.06로 안경교정군(p=1.000), 콘택트렌즈교 정군(p=0.651), 라식수술군(p=0.739)과 유의한 차이 가 없었고, 안내렌즈삽입군은 정시안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23).

    산란도를 나타내는 OSI는 안경교정군 0.53 ± 0.39, 콘택트렌즈교정군 0.53 ± 0.20, 라식수술군 0.45 ± 0.19, 안내렌즈삽입군 0.76 ± 0.37로 라식 수술군에서 가장 낮았고 안내렌즈 삽입술군에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Table 3), 안경교정군과 콘택트 렌즈교정군(p=1.000), 라식수술군(p=0.660) 사이에 서는 차이가 없었고, 안내렌즈삽입군에서는 유의하 게 높았다.

    4객관적 시력

    객관적 시력 OV100%(logMAR)은 안경교정군에서 -0.12 ± 0.12, 콘택트렌즈교정군 -0.07 ± 0.08, 라 식수술군 -0.14 ± 0.10, 안내렌즈삽입술군 0.00 ± 0.1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0), (Table 4),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에서 시력이 가장 좋았으나 정시안(-0.18 ± 0.09 logMAR)보다는 유의하게 낮 았다.

    OV20%(logMAR)는 안경교정군 0.00 ± 0.13, 콘택 트렌즈교정군 0.08 ± 0.08, 라식수술군 -0.01 ± 0.11, 안내렌즈삽입군 0.16 ± 0.1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0), (Table 4), 안경교정군과 라식수 술군에서 시력이 가장 좋았으나 정시안(-0.07 ± 0.11 logMAR)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00).

    OV9%(logMAR)는 안경교정군 0.23 ± 0.14, 콘택 트렌즈교정군 0.29 ± 0.09, 라식수술군 0.20 ± 0.12, 안내렌즈삽입술군 0.37 ± 0.14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p=0.000), (Table 4), 안경교정군과 라식 수술군에서 시력이 가장 좋았으나, 정시안(0.12 ± 0.11 logMAR)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00).

    Ⅳ고찰

    근시 교정을 위한 방법에는 안경과 콘택트렌즈, 레 이저를 이용한 각막굴절교정수술, 안내렌즈삽입술 등 이 시행되고 있다. 안경과 소프트콘택트렌즈 교정법 은 안구 앞에 교정렌즈를 가입하여 초점을 망막에 결 상시키는 방법으로, 안경의 경우 광학중심점을 벗어 난 부위로 물체를 주시하거나 잘못 조제된 경우에는 수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 에는 난시 양이 많으면 교정효과가 떨어져 시력의 질 이 저하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굴절교정은 각 막의 곡률과 두께를 변화시켜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변형된 각막곡률과 수술된 각막 면으로 인 해 수차가 발생할 수 있고, 안내렌즈삽입술의 경우에 도 안 매체에 굴절면이 추가되기 때문에 시력에 영향 을 줄 수 있다.

    최근에 교정시력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력교정술 후 시력의 질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Kwon 등32)은 안경이 소프트콘택트 렌즈보다 대비감도가 높은 반면 소프트콘택트렌즈는 눈의 전체 수차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고, 라식수 술33,34)과 안내렌즈삽입술28,35)의 경우에는 수술 후 각 막의 형태 변화로 인해 고위수차가 유발되어 눈부심, 불빛 번짐, 야간시력의 저하, 대비감도 저하 등의 시 기능 저하를 초래한다고 보고되었다. 라식수술안의 경우에는 근시도가 높을수록 각막 절삭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각막 전면부에 많은 변화가 초래되어 구면 수차 및 코마수차가 증가되며,36-38) 전방에 삽입되는 안내렌즈의 경우에는 수술 후 각막곡률 변화가 없어 발생되는 고위수차량이 적다고 보고되었다.39-40)

    현재까지 굴절교정 후 시력의 질 평가에는 교정 전 과 후, 또는 수술 전과 후를 비교한 연구가 대부분으 로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을 상호 비교한 경우 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술적 방법으로 교정한 경 우에는 시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수술 1개월 후의 시력의 질을 비수술적 교정방법과 비교・평가하였고 그 결과 주관적 시력은 안경교정군, 콘택트렌즈교정 군, 라식수술군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젊 은 성인 정시안의 시력 -0.20 ∼ 0.00 logMAR41)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안내렌즈삽입군은 다 른 방법으로 교정한 군과 비교하여 시력이 낮았고 (p=0.001), 정시군과 비교해서도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내렌즈삽입 수술의 문제로 평가 되기 보다는 안내렌즈삽입군 대상자의 경우, 굴절이 상도가 높아 라식수술에 부적합한 사람이 안내렌즈 삽입 수술을 받은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되며, 다른 군과 유사한 굴절이상도의 대상자를 구할 수 없 다는 점은 한계점으로 생각된다.

    시력의 질을 평가하는 함수로는 공간주파수(spatial frequency)에 대한 응답함수인 MTF, Strehl ratio와 OSI가 사용된다. MTF는 매질의 성능을 반영한 값으 로 OQAS에서는 MTF 값이 1% 유효값에 도달했을 때 의 공간주파수를 MTF cutoff 값으로 제공하며, MTF cutoff 값이 클수록 시력의 질이 좋다고 할 수 있 고,41,42) 이상적인 환경에서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공 간주파수는 60 cpd(cycles per degree)로 알려져 있 다.43) 본 연구에서 MTF 값은 안경교정군에서 가장 높았고 안내렌즈삽입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가장 높 은 값을 보인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의 경우(41.99 ± 7.99cpd, 41.67 ± 9.99 cpd)에도 정시안의 46.74 ± 8.02 cpd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06), (p=0.008). 본 연구에서 측정된 펨토초레이저 라식수술군의 MTF 값 41.67 ± 9.99 cpd는 미세각막절삭기를 이용한 라 식수술안(30.7 ± 8.9세)의 33.43 ± 11.10 cpd44)보 다 높았고, 안내렌즈삽입군의 측정값 31.23 ± 8.85 cpd도 선행연구 28.69 ± 8.59 cpd45)보다 높았으며, 정시안의 MTF 값 46.74 ± 8.02 cpd도 선행연구 결과값 44.54 ± 7.14 cpd(대상자 연령: 22.47 ± 3.04세),41) 30.44 ± 9.52 cpd(대상자 30대)45) 보다 높았다.

    다른 군과 비교하여 고도 근시안으로 구성된 안내 렌즈삽입군을 제외하고 굴절이상도가 유사한 안경착 용군, 콘택트렌즈착용군 및 라식수술군 사이에서는 안경교정군에서 MTF가 가장 높았고, 콘택트렌즈교 정군에서 가장 낮아 안경 교정이 소프트콘택트렌즈 교정보다 시력의 질이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빛의 집중도인 Strehl ratio는 0 ~ 1 범위 값을 가 지고 1에 가까울수록 시기능이 좋다고 볼 수 있다.38) Kamiya 등45)과 Martínez‐Roda 등41)이 측정한 정상 안의 평균값은 0.22 ± 0.06 (36.4 ± 4.9세), 0.27 ± 0.06(평균연령 22.47 ± 3.04세)로 본 연구결과와 비 슷한 수치를 보였다. 가장 낮은 Strehl ratio 값을 보 인 안내렌즈 삽입술의 경우 수술 후 측정값이 수술 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29)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면 빛 집중도가 낮게 측정된 것은 대상안의 근 시도가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굴절이상도가 유사 한 안경착용군, 콘택트렌즈착용군 및 라식수술군 사 이에서 Strehl ratio는 차이가 없었고 정시안과 비교 해서도 차이가 없었다.

    객관적 산란지수를 나타내는 OSI는 중심부의 빛 집중도와 주변부 빛 퍼짐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OQAS에서는 0 ~ 25까지 값을 나타내고 이상이 없는 젊은 성인의 경우 1 이하의 값을 나타내며,43) 안구 내 의 산란 정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시력의 질을 평가하 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굴절교정군의 OSI 값은 안내렌즈삽입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굴절이상도가 유사한 안경교정군과 콘택트렌즈교정 군, 라식수술군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값을 정시군 0.28 ± 0.22 값과 비교하면 안경교 정군(p=0.000), 콘택트렌즈교정군(p=0.000), 라식 수술군(p=0.014), 안내렌즈삽입군(p=0.000)에서 모 두 정시안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선행연구의 정상안 0.38 ± 0.1941) 및 0.40 ± 0.2332)보다 높아 시력에 문제를 줄 정도의 산란지수는 아니지만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QAS에 의해 측정된 OVs(OQAS values)는 대비 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MTF 값에 대응하는 공간주파 수를 표준화하여 객관적 시력을 소수시력으로 나타낸 값으로 서로 다른 대비도에서 시기능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42) 본 연구에 서 객관적 시력 OV100%는 모든 굴절교정군에서, 정상 안의 범위인 1.01 ∼ 1.95 Decimal42)범위에 속했지만 정시안의 측정값 1.55 ± 0.27 Decimal 보다는 낮았 다. 굴절교정군 중에서는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에 서 가장 높게 나왔고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며, 콘 택트렌즈착용군, 안내렌즈삽입군 순으로 안내렌즈삽 입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OV20%도 모든 굴 절교정군에서 정시안의 측정값 1.20 ± 0.28 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선행연구 결과 0.95 ∼ 2.21 Decimal42)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굴절교정군 중에는 안경교정 군과 라식수술군에서 가장 높았고 콘택트렌즈교정군 과 안내렌즈삽입군에서는 낮았다. OV9%도 모든 굴절 교정군에서 정시안의 측정값 0.78 ± 0.19 보다 낮았고, 선행연구결과값 OV9% 0.88 ∼ 2.40 Decimal42) 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굴절교정군 사이에서는 안경교정군 과 라식수술군에서 가장 높았고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으며, 콘택트렌즈교정군과 안내렌즈삽입군은 모 두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객관적 시력은 높은 대비도 OV100% 뿐 만 아니라 낮은 대비도 시력 OV20%, OV9%에서도 굴절 교정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 은 양상은 각막굴절교정렌즈 교정의 경우에도30) 유사 하게 보고된 바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굴절교정방법 중 안경과 라식수술에 의한 교정을 받은 경우 시력의 질이 가장 좋았고 안내렌즈삽입술의 경우 가장 낮았다. 그러나 안내렌즈삽입술의 경우 수술 전과 비교하여 수술 후 시력의 질에서 차이가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29)를 고 려하면 본 연구결과만으로 안내렌즈삽입안의 시력의 질이 가장 낮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주관적 시력은 안내렌즈 삽입술을 제외하고 다 른 굴절교정방법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굴절교정방 법에 따라 MTF와 OSI, OV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 기 때문에 MTF, OSI와 객관적 시력과의 상관성 분석 과 굴절이상도 차이에 따른 시력의 질 평가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결 론

    1. 주관적 시력은 안경교정군, 콘택트렌즈교정군, 라 식수술군, 안내렌즈삽입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 었으며 젊은 성인 정시안의 시력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2. MTF 값과 OSI는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에서 가장 높았고, 안내렌즈삽입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가장 높은 값을 보인 안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의 측정값은 정시안보다는 낮았다.

    3. 객관적 시력은 고대비도 및 저대비도에서 모두 안 경교정군과 라식수술군에서 가장 좋았고 안내렌 즈삽입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모든 굴절교정안에 서 정시안의 측정값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주관적시력은 굴절교정방 법에 따라 차이가 없지만, 시력의 질을 반영하는 MTF, OSI 및 객관적 시력은 안경과 라식수술에 의한 굴절교정안에서 가장 우수했고 안내렌즈삽입안에서 가장 낮았다.

    Figure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b and c the same letters indicat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FS-LASIK; femtoseco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CL; implantable contact lens, B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S.E (D); spherical equivalent (D).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i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methods

    a and b the same letters indicat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BSCVA; best spectacle-corrected visual acuity, B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FS-LASIK; femtoseco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CL; implantable contact lens

    Comparison of optical quality i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methods

    a, b and c, the same letters indicat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p-value*; <0.05, FS-LASIK; femtoseco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OSI; objective scatter index, BSCVA; best spectacle-corrected visual acuity, B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CL; implantable contact lens, UCVA; uncorrected visual acuity.

    Comparison of objective visual acuity i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methods

    a, b and c the same letters indicat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p-value*; <0.001, FS-LASIK; femtoseco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VA declmal; visual acuity decimal, BSCVA; best spectacle-corrected visual acuity, BC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CL; implantable contact lens, UCVA; uncorrected visual acuity.

    Reference

    1. Lee SJ , Kim JM , Yu BC , Urm SH , Ahn KS , Lee YH (2009) Prevalence of myopia in 19-year-old men in Gyeongsangnam-do, Ulsan and Busan in 2002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0 (9) ; pp.1392-403
    2. Quek TP , Chua CG , Chong CS , Chong JH , Hey HW , Lee J (2004)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s in teenage high school students in Singapore , Ophthalmic Physiol Opt, Vol.24 (1) ; pp.47-55
    3. Seet B , Wong TY , Tan DT , Saw SM , Balakrishnan V , Lee LK (2001) Myopia in Singapore: taking a public health approach , Br J Ophthalmol, Vol.85 (5) ; pp.521-6
    4. Wong TY , Foster PJ , Hee J , Ng TP , Tielsch JM , Chew SJ (200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refractive errors in adult Chinese in Singapore ,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41 (9) ; pp.2486-94
    5. He M , Zeng J , Liu Y , Xu J , Pokharel GP , Ellwein LB (2004) Refractive error and visual impairment in urban children in southern china ,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45 (3) ; pp.793-9
    6. Kim SH , Kim SM (1977) Survey on causativ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school myopi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18 (1) ; pp.45-9
    7. Kim JC , Koo BS (1988) A study of prevailing features and causes of myopia and visual impairment in urban school children , J Korean Ophthalmol Soc, Vol.29 (1) ; pp.165-81
    8. Han ER , Kang JE , Jun RM , Choi KR (2007) Changes of refractive errors and optometric values in fourth graders at an urb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8 (8) ; pp.1119-25
    9. You SA , Lee KJ (2014) Refractive changes as a function of age in a optician’s clinical population in Seoul area , Korean J Vis Sci., Vol.16 (3) ; pp.261-71
    10. Kim EC , Morgan IG , Kakizaki H , Kang S , Jee D (2013)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refractive error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 PLoS One, Vol.8 (11) ; pp.e80361
    11. French AN , Morgan IG , Mitchell P , Rose KA (2013) Risk factors for incident myopia in Australian schoolchildren: the Sydney adolescent vascular and eye study , Ophthalmology, Vol.120 (10) ; pp.2100-8
    12. Rose KA , French AN , Morgan IG (2016) Environmental factors and myopia: paradoxes and prospects for prevention , Asia Pac J Ophthalmol (Phila), Vol.5 (6) ; pp.403-10
    13. Kim BH , Han SH (2012)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 J Korean Oph Opt Soc., Vol.17 (3) ; pp.305-9
    14. Kim JH , Song JS , Hyon JY , Chung SK , Kim TJ (2014)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5 (1) ; pp.20-31
    15. Pallikaris IG , Papatzanaki ME , Stathi EZ , Frenschock O , Georgiadis A (1990)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 Lasers Surg Med, Vol.10 (5) ; pp.463-8
    16. Perez-Straziota CE , Randleman JB , Stulting RD (2010) Visual acuity and higher-order aberrations with wavefront-guided and wavefront-optimiz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6 (3) ; pp.437-41
    17. Padmanabhan P , Mrochen M , Basuthkar S , Viswanathan D , Joseph R (2008) Wavefront-guided versus wavefront-optimiz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contralateral comparative study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4 (3) ; pp.389-97
    18. Tham VM , Maloney RK (2000) Microkeratome complications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 Ophthalmology, Vol.107 (5) ; pp.920-4
    19. Ahn JY , Kwon JW , Lee SM , Wee WR , Lee JH , Han YK (2008) Comparison of the flap complication rate between microkeratomes for LASIK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9 (9) ; pp.1425-30
    20. Yoon JT , Lee GJ (2000) Flap complications of LASIK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1 (5) ; pp.1146-50
    21. Sugar A (2002) Ultrafast (femtosecond) laser refractive surgery , Curr Opin Ophthalmol, Vol.13 (4) ; pp.246-9
    22. Nordan LT , Slade SG , Baker RN , Suarez C , Juhasz T , Kurtz R (2003) Femtosecond laser flap creation fo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six-month follow-up of initial U.S. clinical series , J Refract Surg, Vol.19 (1) ; pp.8-14
    23. Montés-Micó R , Rodríguez-Galietero A , Alió JL (2007) Femtosecond laser versus mechanical keratome LASIK for myopia , Ophthalmology, Vol.114 (1) ; pp.62-8
    24. Fyodorov SN , Zuyev VK (1991) Intraocular correction of high myopia with negative posterior chamber lens , Ophthalmosurgery, Vol.3 (1) ; pp.57-8
    25. Sanders DR , Doney K , Poco M (2004)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linical trial of the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for moderate to high myopia: three-year follow-up , Ophthalmology, Vol.111 (9) ; pp.1683-92
    26. Alfonso JF , Baamonde B , Fernández-Vega L , Fernandes P , González-Méijome JM , Montés-Micó R (2011) Posterior chamber collagen copolymer phakic intraocular lenses to correct myopia: five-year follow-up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7 (5) ; pp.873-80
    27. Han SY , Lee KH (2007) Long term effect of ICL implantation to treat high myopi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8 (4) ; pp.465-72
    28. Kamiya K , Igarashi A , Shimizu K , Matsumura K , Komatsu M (2012) Visual performance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nd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low to moderate myopia , Am J Ophthalmol, Vol.153 (6) ; pp.1178-86.e1
    29. Kim HJ , Lee KJ (2016)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posterio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 Korean J Vis Sci., Vol.18 (1) ; pp.77-87
    30. Kim HJ , Lee KJ (2015)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ear , Korean J Vis Sci, Vol.18 (3) ; pp.309-319
    31. Kim HJ , Lee KJ (2016)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fter Femtosecond Laser LASIK , Korean J Vis Sci., Vol.18 (3) ; pp.309-19
    32. Kwon KN , Kim SR , Park M (2015) The evaluation of visual quality by employing double-pass principle in circle contact lens wearers after refractive surgery , J Korean Oph Opt Soc., Vol.20 (3) ; pp.277-84
    33. Mrochen M , Kaemmerer M , Seiler T (2001) Clinical results of wavefront-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3 months after surgery , J Cataract Refract Surg, Vol.27 (2) ; pp.201-7
    34. Oshika T , Klyce SD , Applegate RA , Howland HC , El Danasoury MA (1999) Comparison of corneal wavefront aberration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 Am J Ophthalmol, Vol.127 (1) ; pp.1-7
    35. Kim SW , Yang H , Yoon G , Lee YJ , Kweon MN , Kim JK (2011) Higher-order aberration changes after Implantable Collamer Lens implantation for myopia , Am J Ophthalmol, Vol.151 (4) ; pp.653-662.e1
    36. Yoon G , Macrae S , Williams DR , Cox IG (2005) Causes of spherical aberration induced by laser refractive surgery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1 (1) ; pp.127-35
    37. Ahn SM , Seok SS , Park CY (2011) Considering spherical aberration in choosing the wavefront map for laser vision correction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2 (2) ; pp.147-56
    38. Vilaseca M , Padilla A , Pujol J , Ondategui JC , Artal P , Güell JL (2009) Optical quality one month after verisyse and Veriflex phakic IOL implantation and Zeiss MEL 80 LASIK for myopia from 5.00 to 16.50 diopters , J Refract Surg, Vol.25 (8) ; pp.689-98
    39. Tehrani M , Dick HB (2006) Changes in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implantation of a foldable iris-claw lens in myopic phakic eyes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2 (2) ; pp.250-4
    40. Tahzib NG , MacRae SM , Yoon G , Berendschot TT , Eggink FA , Hendrikse F (2008)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implantation of iris-fixated rigid or foldable phakic intraocular lenses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4 (11) ; pp.1913-20
    41. Martínez-Roda JA , Vilaseca M , Ondategui JC , Giner A , Burgos FJ , Cardona G (2011)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in a healthy young population , Clin Exp Optom, Vol.94 (2) ; pp.223-9
    42. Navarro R , Artal P , Williams DR (1993) Modulation transfer of the human eye as a function of retinal eccentricity , J Opt Soc Am A, Vol.10 (2) ; pp.201-12
    43. Saad A , Saab M , Gatinel D (2010) Repeatability of measurements with a double-pass system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6 (1) ; pp.28-33
    44. Ondategui JC , Vilaseca M , Arjona M , Montasell A , Cardona G , Güell JL (2012) Optical quality after myopic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comparison using a double-pass system , J Cataract Refract Surg, Vol.38 (1) ; pp.16-27
    45. Kamiya K , Shimizu K , Igarashi A , Kobashi H , Ishii R , Sato N (2012) Clinical evaluation of optical quality and intraocular scattering after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53 (6) ; pp.3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