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3 pp.217-22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3.217

A Study on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among Opticians in Incheon

Ki-Sung Kim1), Sun-Kyung Kim2), Mi-A Son1), Hong-Gab Choi3), Seung-Un Jin3), Hyo-Jin Kim2),4)*
1)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Dept. of Visual Optics,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Baekseok University, Seoul
3)In-cheon Branch, Korean Optometric Assocation, Incheon
4)Dept. of Visual Optics,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Cheona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o-Jin Kim Dept. of Visual Optic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82-41-550-2841, hjink@bu.ac.kr
April 28, 2017 September 20, 2017 September 21, 2017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optician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Methods:

Survey of 80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by opticians in Incheon. The questionnaire for emotional labor proposed by Morris and Feldman and translated by Min-Ju Kim was modified for opticians.

Results:

The mean level of emotional labor in opticians was 3.24±0.55 points. Th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nurses(3.37±0.56) and dental hygienists(3.28±0.56) who belong to health service. However, i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life instructors(2.72±0.55) and bus drivers(3.03±0.78), and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call center employees(3.42±0.62) and hotel workers (3.60±0.99). Labor point of its sub-criteria,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ttention of emotional expression norms and disharmony of emotion was 3.64±0.63, 3.11±0.59 and 2.98±0.70,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average working time per week of the participants was 65.6±9.6 hours, and the daily working hours of less than 10 hours and more than 10 hours were 2.94±0.42 and 3.34±0.55(p=0.00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ss than 5 days(2.99±0.54) and more than 5 days(3.31±0.53) according to weekly working days(p =0.032).

Conclusion:

Opticians who works more than 10 hours per day (compared to less than 10 hour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labor. Therefore,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emotional labor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to reduce emotional labor.


인천지역 안경사의 감정노동 수준에 대한 연구

김 기성1), 김 선경2), 손 미아1), 최 홍갑3), 진 승언3), 김 효진2),4)*
1)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춘천
2)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서울
3)대한안경사협회 인천지부, 인천
4)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천안

    Ⅰ.서 론

    국내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70년 41.2%에서 2014년 59.4%로 확대되었으며,1) 안경원 수는 2011년 8,542개2)에서 2015년 8,975개3)로 증가 하여 안경원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고객지향 서비스로 인한 감정노동의 증가는 날로 늘어나는 고유 업무 부담과 함께 안경사의 근무 환경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객서비스의 질 하락을 초래하고 있다.4) 박미영5)은 근무시간이 길수록 요구되는 감정표현을 위한 노력이 많이 필요하며 고객을 대면하는 시간이 많아 감정노 동에 의한 소진이 많아진다고 하였다. 감정노동의 강 도가 높아질수록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나지만6) 안경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감정노동이란 고객이 보살핌과 우호적인 감정을 느 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근로자가 실제 느끼는 감정과 는 다른 감정을 표현하거나 실제로 느끼는 감정을 억합 하는 등 근로자의 감정을 관리하는 노동을 말한다.7)

    감정노동을 하는 직업은 고객과 직접 대면 또는 일 대일로 통화하며 고객의 감정 상태를 좋게 만들어내 는 것과 고용주가 모니터링을 통해 근로자의 감정노 동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감정노동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며 신체적・정신적으로 탈진된 느낌을 받을 뿐 만 아니라 자신의 직무에 낮은 성취감을 갖게 된다.8)

    Bulan 등9)은 이러한 감정노동의 수준이 고객과 대 면하는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 기 위해 병원 및 은행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들에게 고객 과 통화하거나 대면한 시간과 동료 또는 상사와의 상 호작용한 시간을 질문하여 감정노동의 강도를 측정하 였다. 그 결과 고객과 대면하여 노동하는 시간이 길 어질수록 근로자가 원래 갖고 있는 감정과 근로자로 서 요구받는 감정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조화 때문에 강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하였다. 국내에서 조사된 서비스업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는 간호사, 상담센터 상담사, 호텔 종사자, 치과위생사, 노인전 문요양시설의 생활지도원, 버스 운전사 등을 대상으 로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안경사의 감정노동 수준에 관한 연구는 2015년에 국내 주요 직업 730개 의 감정노동 정도를 비교한 한국고용정보원의 분석에 서 감정노동점수 10.89점으로 감정노동순위 80위를 기록한 연구가 유일하지만 감정노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가 아닌 업무환경 측정도구 가운데 감정 노동 관련 3 항목을 단순 합산하여 사용하였으므로 감정노동 수준을 측정했다고 볼 수 없다.10)

    이에 본 연구는 안경사들의 감정노동 현황을 분석 하고 안경사의 감정노동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Ⅱ.연구대상과 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15일까지 대한 안경사협회 인천지부와 공동으로 도시지역의 특성을 가지지 않은 강화군,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지역의 안 경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8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 다. 분석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는 유의수준 .05, 효 과크기 .35, 검정력 .80을 고려하여 계산된 77로 산 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에 필요한 최소표본의 크기 산출을 위해 G*power 3.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2.연구방법

    본 연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감정노동 수준 비교를 위해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검정을 실 시하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의 차이를 independent t-test와 one way ANOVA 를 실시하여 유의수준 0.05수준에서 처리하였다. 사 후분석에는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3.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감정노동 측정도구는 Morris & Feldman가 개발11)한 도구를 김민주가 번역12) 한 것 을 안경사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 다. Morris & Feldman의 측정도구는 감정표현의 빈 도에 관한 항목 3문항,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에 관 한 항목 3문항, 감정의 부조화에 관한 항목 3문항 등 3개의 하위 항목 총 9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이다. 감정표현의 빈도란 고객과의 접촉의 빈도와 부정적인 감정은 숨기고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한 빈도이며,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은 부정적 감정을 숨기기 어렵거나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 운 것에 대한 노력의 정도를 나타내고, 감정적 부조 화란 근로자가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 근로과정에서 표현해야 하는 감정의 차이의 정도를 말한다.13)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 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정노 동의 총점은 최하 9점부터 최대 45점까지로 합산한 뒤 평균평점을 구하여 사용한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김민주1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값은 0.860 이였 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값은 0.815로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Ⅲ.결과 및 고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자가 60명 (70.5%), 여자는 20명(25.0%)이었다. 연령은 20대 이하 24명(30.0%), 30대 26명(32.5%), 40대 21명 (26.3%), 50대 이상 9명(11.2%)이었으며, 직책은 원 장이 28명(35.0%), 부장은 11명(13.8%)이었고, 직원 은 41명(51.2%)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43명 (53.8%), 미혼자는 37명(46.2%)였다. 교육수준은 고 등학교 졸업자가 6명(7.5%), 전문대학 졸업자는 51명 (63.7%), 4년제 대학 졸업자 19명(23.8%), 대학원 재 학 이상이 4명(5.0%)으로 전문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높았다. 안경사 경력은 10년 미만이 34명(42.5%), 10 년 이상 20년 미만 경력자가 25명(31.3%), 20년 이상 경력자는 21명(26.2%)이었다. 주당 근무일수는 주5 일 이하 근무자가 17명(21.3%)이고 주5일 초과 근무 자는 63명(78.7%)이고, 하루 근무시간은 10시간 이 하 동안 근무하는 경우가 19명(23.8%)이나, 10시간 초과 근무하는 경우는 61명(76.2%)으로 장시간 노동 하는 경우가 많았다(Table 1). 연구대상자 가운데 근 무시간이 8시간 이하인 경우는 2명(2.5%)이었다.

    연구대상자의 감정노동 점수의 최소값은 17점, 최 대값은 43점이었으며 총점 평균은 29.20±4.91점이 었다. 감정노동을 5점 만점의 평균 평점으로 계산하 면 3.24±0.55점이었고 하위 구성요소인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은 3.64±0.63점,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은 3.11±0.59점, 감정의 부조화 항목은 2.98± 0.70점으로 측정되었다(Table 2).

    주간 근무일수가 5일 이하인 안경사와 5일을 초과 하는 안경사의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2.99±0.54점과 3.31±0.5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2) 가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에서 5일 이하 근무자는 2.82±0.52점, 5일 초과 근무자는 3.20±0.5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19)가 있었고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p=0.150) 과 감정의 부조화 항목(p=0.066)에서는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일일 근무시간이 10시간 이하인 안경사와 10시간 을 초과하는 안경사의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2.94± 0.42점과 3.34±0.5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05)를 보였다. 하위 영역에서 감정표현의 빈 도 항목에서 10시간 이하 근무자는 3.33±0.57점이 지만 10시간 초과 근무자는 3.74±0.62점으로 나타 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2)를 보였고 감정 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도 10시간 이하 근무자는 2.77±0.39점이지만 10시간 초과 근무자는 3.23± 0.6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3)가 나 타났다. 그러나 감정의 부조화 항목(p=0.06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책(p=0.371)에 따른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영역인 감정표 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에서 원장군이 3.05±0.47점, 직원군은 3.06±0.60점이지만 매니져군은 3.55± 0.7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4)를 보 여 매니져군이 타 군에 비해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면에서 높은 감정노동 수준을 보였다. 매니져군은 감 정표현에 있어 타 군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노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일반적 특성인 학력(p=0.519), 성별(p= 0.715), 연령(p=0.832), 결혼여부(p=0.374), 경력 (p=0.403)에 따른 감정노동의 평균평점 및 하위 영역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3).

    동일한 감정노동 측정도구를 이용한 선행연구 가 운데 감정노동 평균평점이 본 연구 대상자인 안경사 보다 높게 나타난 직종은 호텔 종사자, 상담센터 상 담사, 간호사였다.14-19) 감정노동 평균평점이 매우 높 은 호텔 종사자의 감정노동을 연구한 배은주14)의 연 구에서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3.60±0.99점이었다. 하위 항목인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4.08±0.81)과 감 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3.53±1.09)은 다른 직종 보다 가장 높았으며 감정의 부조화 항목(3.19±1.10) 에서만 상담센터 상담사보다 낮았다. 송순란15)의 연 구에서 상담센터 상담사는 감정노동 평균평점(3.42 ±0.62)과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3.47± 0.91), 감정의 부조화 항목(3.35±0.93)에서 높았으 나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3.44±0.90)에서는 안경사 보다 낮았다. 이는 안경사에 비하여 많은 인원이 함 께 근무하며 매뉴얼에 따른 한정된 영역을 업무를 수 행하며 상담사 본인이 처리하지 못한 상담이 있을 경 우 이를 처리하는 2선 조직이 존재하며 이렇게 이관 된 업무에 책임지지 않는 직무프로세스를 가진 상담 사 업무의 특성20)이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에서 안경 사보다 상담사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김정인16)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의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3.37 ±0.56으로 안경사들의 감정노동 평균평점 3.24± 0.55보다 상대적으로 높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감정노동의 하위영역인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 (간호사:3.31±0.57, 안경사:3.11±0.59)과 감정의 부조화 항목(간호사:3.19±0.76, 안경사:2.98±0.70) 에서 안경사의 점수가 낮았으나, 감정표현의 빈도 항 목에서는 간호사 3.63±0.61점, 안경사 3.64±0.63 점으로 유사하였다.

    감정노동 평균평점이 안경사와 비슷하게 나타난 치 과 위생사의 감정노동의 수준을 연구한 문선진17)의 연 구에서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3.28±0.56였고, 하위 영역인 감정표현의 빈도 항목(3.62±0.62)과 감정의 부조화 항목(3.01±0.76)에서 안경사와 비슷하지만,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항목(3.23±0.64)에서 안경 사보다 조금 높았다. 보건의료직종간 비교에서 안경 사는 감정표현의 빈도 측면에서 간호사나 치과 위생사 와 비슷하지만, 감정표현 규범의 주의성 요구는 안경 사에게 적으며, 감정의 부조화 항목은 간호사에게 많 이 요구되었다. 간호조직문화를 연구한 김대란21)에 따 르면 간호사들은 서열의식이 강한 조직으로 비합리적 인 지시에도 겉으로는 반발하지 않고 따르며 갈등과 대립을 피하고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것을 회피하고, 겉으로는 동료간의 사이가 원만해보이지만 인간적 유 대관계가 깊지 않은 문화적 특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실제 가지고 있는 감정과 겉으로 나타내는 감정이 다른 조직문화가 감정의 부조화 항목에서 간호 사 직종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생활지도원의 감정노동을 연 구한 이유정18)의 연구와 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의 감 정노동을 연구한 김희량19)의 연구에서 구해진 감정노 동의 평균평점은 안경사의 감정노동 평균평점보다 낮 았다(Table 4).

    안경사의 높은 이직률은 안경원의 매출향상에 도 움이 되지 않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인력선발과 훈련으로 인한 비용증가 및 구성원간의 화합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22) 간호사와 치과 위생사의 이직요인으로 감정노동이 주목받고 있으 나,23-26) 안경사의 이직요인으로는 직무만족도22)나 감정지능27)이 논의되었으나 감정노동에 대하여 연구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이듯 안경사의 높은 이직률에 감정노동이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으 로 생각된다.

    주요 직업 730개의 감정노동 강도를 비교 분석한 한국고용정보원의 보도자료10)에 의하면 안경사는 감 정노동점수는 10.89±1.59점이고 감정노동 직업순위 는 80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사와 유사한 치과위 생사의 경우 감정노동점수가 11.71±1.54점이고 감정 노동 직업순위는 14위로 나타나 안경사에 비해 치과 위생사의 감정노동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안경사의 감정노동점수는 치과위 생사의 감정노동점수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분석이 업무환경 측정도구 중 감정노동에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인 ‘대인 접촉 빈도’, ‘외부 고객 대응 중요도’, 그리고 ‘화나거 나 무례한 사람 대응 정도’의 점수를 단순 합산하여 감정노동점수로 분석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학력, 연령, 결혼여부, 주 40시간 근무여부, 주 5일 근무 여부에 따른 감정노동 점수의 차이가 유 의하지 않고 경력의 차이에 따라 감정표현의 빈도 항 목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 배선영28) 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경력, 학력, 연령, 결 혼여부로 인한 유의한 감정노동 점수의 차이는 발견 되지 않았고, 주 5일 근무 여부로 인한 감정노동 점 수가 유의한 차이(p=0.032)를 보였다. 안경사 가운 데 주 40시간 근무자는 한 명도 보고되지 않아 비교 할 수 없었으나 일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05)가 나타났다.

    이는 예기훈 등29)의 연구에서 안경사의 직무스트레 스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근무시간으로 나타난 것 과 유사하게 안경사의 감정노동에 근무시간의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부산지역 안경사 대상 근무시간 에 대한 연구30)에서 대상자의 95.0%가 하루 10시간 이하 근무를 희망하지만, 하루 10시간을 초과하여 근 무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72.8%를 차지하고 있으며 휴직이나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로 장시간 노 동이 지목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본 연구 대상자의 주당 근무시간은 평균 65.6±9.6시간으로 근무시간 이 길수록 감정노동 평균평점이 높아지는 것과 연관 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근무시간 단축으로 안경사의 삶의 질 향상된다면 직무충실도와 고객 서비스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 안 경원 운영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 이선 미31)의 연구와 같이 최근 업계에서는 주 5일제 근무 제가 전면 실시된다면 신규고용 창출로 인한 경제발 전 기여,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한 구인난 개선, 자 기계발 및 업무 효율성 증대, 향상된 서비스 제공 등 을 통해 안경 산업 전반의 발전이 예측된다32,33)는 인 식이 확산되고 있다. 다비치 안경체인에서 2016년 8 월부터 주 5일 근무제를 시범실시34)하고, 일부 안경 원에서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주 5일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의 수는 본 연구 에서 21.3%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하루 근무시간이 10시간 이하인 안경사들이 10시간 이상인 경우보다 감정노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므 로 하루 10시간 이하 근무를 포함한 근무 여건 개선 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Ⅳ.결 론

    안경사의 감정노동 점수는 평균 3.24±0.55점으로 동일 측정도구로 조사된 간호사 3.37±0.56점, 치위 생사 3.28±0.56점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감정노동 평균평점은 근무시간과 근무일 수가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향후 감정노동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장시간 근무로 인한 차이가 큰 것으로 나 타난 안경사의 감정노동수준 감소를 위해 근무시간 단축을 포함한 여건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 다. 본 연구는 안경사의 감정노동 수준의 분석에 필 요한 대상자의 수를 만족시켰다고 하나, 단지 80명을 대상으로 하고 인천지역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연구하 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추후 대상 을 확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Emotional labor levels of subjects

    Emotional labor level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b : scheffe

    Emotional labor levels comparison with prior research

    1. 다음 항목들은 감정노동을 측정하기 위한 사항들입니다. 다음의 각 질문에 대하여 해당하는 곳에 Check(V or O) 해주시면 됩니다.

    Reference

    1. (2016)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implications for G7 countries and Korea , Weekly Economic Rev, Vol.16 (21) ; pp.1
    2. (2011) In 2011, The number of optical shops nationwide was 8542, Available at Accessed April 23, 2017.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80
    3. (2015)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number of nationwide optical shops in 2015 is 8975, Available at http://www.opticnews.co.krAccessed April 23, 2017.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29
    4. Kim J.S. , Bae H.J. (2015)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Busan and Gyeongnam Optician , Korean J Vis Sci, Vol.17 (1) ; pp.9-19
    5. Park M.Y. (2008) Study on influence of emotion labor of worker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n emotion performance strategy and exhaustion, Kyonggi University PhD Thesis, ; pp.101-103
    6. Ryoo S.Y. , Park S.C.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in IT Consultant on The Project Performance , J Korea Service Management Soc, Vol.17 (2) ; pp.115-135
    7. Heo Y.J. (2016)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ve symptom in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Yonsei University MS Thesis, ; pp.1-2
    8. Sohn H.K.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Job dissatisfaction and Response Behaviors: An Application of Farrell’s EVLN model , J Tourism Sci, Vol.35 (2) ; pp.293-314
    9. Bulan H.F. , Erickson R.J. (1997) Doing for others on the job: The affective requirements of service work, gender, and emotional wellbeing , Soc. Probl, Vol.44 (2) ; pp.235-256
    10. (2015) Emotion Labor Strength The fastest job is a telemarketer, Available at http://www.keis.or.kr. Accessed April 23,2017. http://www.keis.or.kr/user/bbs/main/137/775/bbsData-View/27976.do
    11. Morris J.A. , Feldman D.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 Acad. Manage. Rev, Vol.21 (4) ; pp.986-1010
    12. Kim M.J. (1998)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 J Tourism Sci, Vol.21 (2) ; pp.129-141
    13.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in Pubic Sector: Focused on Street-Level Bureaucrats in the Civil Service System , Korean J Local Government Studies, Vol.13 (1) ; pp.51-70
    14. Bae E.J. (2012)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Hotel Employees on Job Stress, Korea University MS Thesis, ; pp.60-61
    15. Song S.R. (2013)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call center female agent, Catholic University MS Thesis, ; pp.10
    16. Kim J.I. (2013)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fatigue of nurses, MS Thesis, Kwandong University, ; pp.23
    17. Moon S.J. (2013) Effect of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MS Thesis, ; pp.12
    18. Yi Y.C.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on their burn-out in the skilled nursing home for the old, Yonsei University MS Thesis,
    19. Kim H.R. (2013)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for Job Stress in Bus Drivers, Gachon University MS Thesis,
    20. Kan HD , Lee JH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Call Center Employee's Job Satisfaction on Productivity:An Empirical Study Through Cases at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y , J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15 (2) ; pp.107-135
    21. Kim D.R. (1999)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J. Korean Acad. Nurs. Adm, Vol.5 (1) ; pp.5-21
    22. (2012) Study on Optition’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 Korean J Vis Sci, Vol.14 (4) ; pp.323-330
    23. Song MS (2014)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6) ; pp.3741-3750,
    24. PARK SM , PARK OI (2013)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General Hospital Nurses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3) ; pp.540-564
    25. (2014)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 J. Korean Acad. Nurs. Adm, Vol.20 (3) ; pp.332-341
    26. (2015)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 J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5 (4) ; pp.641-648
    27.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optician’s Emotional Intelligence on Working Mindset and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opticians working at A optical chain stores , Korean J Vis Sci, Vol.16 (4) ; pp.463-474
    28. Bae S.Y. (2014) Th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Inje University MS Thesis, ; pp.20-21
    29. Ye K.H. , Kim S.J. (2012)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Opticians , Korean J Vis Sci, Vol.14 (3) ; pp.163-172
    30. Shin H.S. , Kim J.S. (2013) Survey on the Welfare of Optometrists in Busan , Korean J Vis Sci, Vol.15 (4) ; pp.361-375
    31. Lee S.M. (2013) A Study of Ankyeongsa Satisfaction and Need according to Working Hours and Off-day: on the Position , Korean J Vis Sci, Vol.15 (4) ; pp.377-384
    32. (2016) Introduce a 5-day workweek to improve the welfare of opticians , Available at http://www.opticnews.co.kr Accessed April 23, 2017.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42
    33. (2016) Difficult of Job Offer and Job Hunting...an Optician in a Dilemma , Available at http://www.optic.or.kr, Accessed April 23, 2017. http://www.optic.or.kr/Cate_03/eOpticnews.asp?nmode=view&OnsSeq=3004
    34. (2016) Davich, Introduce a 5-day workweek to improve the welfare of opticians , Available at http://www.davich.co.kr, Accessed April 23, 2017. http://www.davich.co.kr/jboard/jboard.php?id=253&tb=News&pg=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