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4 pp.475-48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4.475

The Effect of Elderly Adult Diseases on Ocular Condition Change after Cataract Surgery

Seon-Ahr Cho*
Departmen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ity, Gangw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n-Ahr Cho Dep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tity, Gangwon +82-33-738-1494, +82-33-738-1499, csa@kduniv.ac.kr
20171102 20171210 2017121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 of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hhypertension on ocular condition change after cataract surgery targeting 290 patients.

Method:

The visual acuity change and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esults and ocular conditions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were examin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data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in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of metropolitan general hospitals.

Result:

Overall, improvement of the patients’ visual acuity after cararact surger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mprovement of refractive power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visual acuity of patients with diabetes and hypertension are about 10% lower than without adult disease before cataract surgery, and about 16% lower than without adult diseases after cataract surger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Overall, adult disease such as diabetes and hypertension has a bad influence on visual acuity improvement after cataract surgery.


노인의 성인병이 백내장 수술 후 눈의 상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조 선아*
경동대학교 안경광학과
    Kyungdong University

    Ⅰ.서 론

    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이 같은 질환의 백내장은 실명 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실명의 51%가 백내장에 서 기인할 정도로 65세 이상의 노인 과반수이상이 백 내장 유병자일 정도로 높다.1-2)

    백내장은 수술을 통해 치료될 수 있지만 많은 환자 가 수술을 받기까지 장벽이 존재하고 수술 결과가 기 대하는 대로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 는다. 또한 적절하지 못한 수술로 실명하게 되는 경 우가 많고 비싼 수술비용 또한 큰 부담으로 작용한 다.3-4)

    특히 성인병 환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백내장 동반소견을 보일 확률이 높은데 이중 당뇨병, 고혈압 이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6)

    특히 노인의 경우 고혈압은 대부분의 성인병과 같 이 동반하며 이들 유병이 오래 지속될수록 미세혈관 및 대혈관 질환의 유병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또한 당뇨병과 고혈압이 증가하면서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노인도 증가하고 있다. 2005년 Diabetes Research Centre에서 실시한 연구를 보면 3,010명의 제 2형 당뇨병 환자와 고혈압 환자에서 관찰된 혈관 합병증 의 유병률을 살펴보면, 미세 혈관 합병증에는 망막증 23.7%, 신경병증 5.5%, 말초 신경병증 27.5%가 있 고, 대혈관 합병증에는 순환기질환 14.1%, 말초혈관 질환 4.0%, 뇌혈관질환 0.9%, 고혈압 38.0%이 포함 되었다고 하였다.7) 이렇듯 당뇨병과 관련된 여러 합 병증 중에서 눈과 관련된 당뇨 합병증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노인들의 백내장의 장기적인 방치는 급격한 시력 저하와 굴절이상으로 나타나는데 구리시 지역 거주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백내장이 없는 노인의 눈 굴절 이상을 측정한 결과 정시안 32%, 근시안 56.6%, 원 시안 11.4% 등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으며4) 교정렌 즈의 굴절력과 시력에 관한 연구에서도 박기호 등은 근시의 경우 성인병과의 연관성에 대해 시력변화를 조사한 결과 낮은 시력에서는 교정렌즈의 굴절력의 변화 폭이 많고 성인병 유소견자일수록 시력에 변화 가 생기는 확률이 높고 시력에서는 교정렌즈의 굴절 력 변화가 작아도 시력변화가 큰 것으로 보고하였 다.5) 최윤정6) 또한 백내장 수술에서의 수술에 대한 적절한 판단과 수술이 중요함을 주장하였으며, 이혜 숙7)은 당뇨병 환자에서 시력예후 인자에 대한 변화가 큼을 주장하고 시력예후인자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 조하였다. 그밖에 박현주 등6-10)은 백내장환자의 초 기수술은 굴절성 약시에서 안경교정법에 의한 시력증 진 효과를 검증하고 굴절성 약시 환자의 안경 교정만 으로도 충분히 시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입증시켜 주 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술요법에서의 백내장 환자의 수술 전후 시력과 굴절력에 대한 눈의 상태변화에 있 어 성인병 유무에 따른 백내장 수술예후의 상관관계 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11-15) 특히 최근 백내 장 수술환자가 급증하면서 변화예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수술 전후 시력과 굴절력에 대한 예 후와 변화도에 대한 뚜렷한 지표가 없는 한계로 환자 들의 불안을 고조시켜왔다.16-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내장 수술환자를 대상으 로 성인병이 백내장 수술에 따른 시력과 굴절력 변화 에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임상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대상 및 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 분석을 위한 대상으로는 2015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수도권 소재 종합 병원 안과에서 백 내장으로 인하여 수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29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2.분석자료 및 항목

    본 연구의 분석자료와 항목은 수도권 소재 종합병 원 안과에서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데이터를 이 용하였으며 분석항목은 수술 전 후 진료결과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시력향상도, 굴절력향상 도, 시력과 굴절 상관성, 성별, 연령별, 내원 기간별 차이를 분석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3.분석방법

    분석방법은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에 대한 수술 전 안과적 수술에 대한 병력을 바탕으로 수술 후 시 력 향상도, 굴절력 향상도, 시력과 굴절상관성, 성별, 연령, 내원기간별, 병력 유무에 따른 차이를 T-test 로 분석하고 시력 및 굴절력 개선 효과에 대해 ANOVA 분산 분석방법을 하였으며 집단간 비교를 위 해 Duncan test 분석방법으로 사후검정을 하였으며 성인병이 백내장 수술의 시력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 분석 하였다.

    4.분석항목에 대한 용어정의

    본 연구에서의 용어 정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정하는 항목에 의한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 이 정의하였다.

    1)인구사회경제적 특성

    인구사회경제적 특성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 설문조사 항목 중 성별, 연령, 소득 수준, 교육 수준, 거주지 및 검진조사의 안과질환가족력을 파악하였다. 성별은 남, 여로 분류하였고, 연령은 만 40 ~ 49세, 50 ~ 59세, 7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2)백내장 유병률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의 안검사 항목을 이 용하였으며, 단안 또는 양안이 백내장이거나 인공수 정체안이거나 무수정체안인 경우 백분율을 말한다. 또한, 혼탁 녹내장 또는 부위에 따른 피질백내장, 핵 백내장, 전낭하백내장, 후낭하백내장 및 혼합백내장 으로 형태학적 분류기준에 따라 적용하였다. 이 때, 만약 한쪽 눈이 백내장이 있다면 특정 백내장 형태학 적 분류로 분류하고, 양쪽 눈의 백내장 형태학적 분류 가 다른 경우는 각각의 형태학적 분류로 구분하였다.

    3)당뇨병 유병 여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 설문조사 항목 중 공복 혈당 126mg/dL 이상 또는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적이 있거나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투여 받는 사람들을 당뇨병 유병자로 분류하 였다. 한편 당뇨병 유병자가 아니면서 공복 혈당이 100 ~ 125mg/dL 이면 공복혈당장애라고 하였고, 공 복 시 혈당이 100mg/dL 미만인 경우는 정상으로 분 류하였다.

    4)고혈압 유병 여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 조사 항목 중 최종 수축 기 혈압(보정값)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최종 이완 기혈압(보정값)이 90 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경우를 고혈압으로 하였으며, 최종 수축기 혈압(보정값)이 120 mmHg 이상 140 mmHg 미만이 거나 최종 이완기혈압(보정값)이 80 mmHg 이상 90mmHg 미만인 경우에는 고혈압 전단계로, 최종 수 축기 혈압(보정값) 이 0mmH 초과 120mmHg 미만이 고 최종 이완기혈압(보정값)이 0 mmHg 초과 80 mmHg 미만인 경우는 정상으로 분류하였다.

    Ⅲ.결 과

    1.백내장 수술환자의 일반적 특성

    백내장 수술환자는 남자 104명(35.9%), 여자 186 명(64.1%)으로 나타났고, 초진 시 연령은 50대 이하 20명(6.9%), 60대 76명(26.2%), 70대 150명(51.7%), 80대 이상 44명(15.2%)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1.7세 로 나타났다. 특이병력은 ‘있다’가 61명(21.0%), ‘없 다’가 229명(79.0%)로 나타났고, 백내장 수술환자의 직업군은 무직이 269명(92.76%)로 대부분을 차지하 였으며 농업 13명(4.49%), 사무직 4명(1.38%), 수산 업 3명(1.03%), 주부 1명(0.34%) 순으로 나타났고, 내원기간은 1달 이하 117명(40.3%), 2달 이하 149명 (51.4%), 2달 이상 24명(8.3%)으로 평균 내원기간은 38일로 나타났다. 백내장 수술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2.일반적 특성에 따른 백내장 수술환자의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

    1)성별에 따른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

    성별에 따라 백내장 수술 전후 시력과 굴절력의 변화 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남자 백내장 수술환자의 경우 수술 전 평균 시력은 0.29±0.18에서 수술 후 0.59±0.28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t=-12.153, p<.05), 굴절력 또한 수술 전 평균 –1.11± 2.31에서 수술 후 –0.68±1.1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t=-2.190, p<.05).

    반면 여자 백내장 수술 환자의 경우, 평균 시력은 수 술 전 0.27±0.17에서 수술 후 0.52±0.25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t=-14.037, p<.05), 굴절력에 있어서는 수술 전 평균 -0.59±2.61에서 수 술 후 –0.67±1.2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519, p<.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백내장 수술환자의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를 Table 2. 에 나타내었다.

    2)성별에 따른 백내장 수술효과 비교

    성별에 따라 백내장 수술의 시력 및 굴절력의 개선 효과 정도에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력개선정도에 있 어서는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고(t=1.601, p>.05), 굴절력 개선정도에 있어서는 남자의 평균 굴절력 개선효과는 0.429, 여 자는 0.084로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020, p<.05). 성별에 따른 백내장 수술환자의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3)연령대에 따른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

    연령별 백내장 수술 후 시력과 굴절력의 변화를 알아보 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력은 50대 이하 환자의 수술 전 평균 시력이 0.29±0.22 에서 수술 후 0.60±0.38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타나났고(t=-4.246, p<.05), 60대 환자도 마찬가지로 수술 전 평균 0.29±0.18에서 수술 후 0.58±0.27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10.285, p<.05). 또한 70대 환자의 경우 수술 전 평균 0.28±0.17에서 수술 후 0.54±0.24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t=-12.741, p<.05), 80대 이상 환자의 경우도 수술 전 0.22±0.67에서 0.48 ±0.2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10.285), p<.05).

    반면 굴절력의 경우에는 50대 이하는 수술 전 평균 –1.68±2.12에서 수술 후 –0.53±0.67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으나(t=-2.51, p<.05), 60대부터 80세 이 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즉, 전반적으로 볼 때, 각 연령별 환자 모두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의 상승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굴절력 은 50대 이하에서만 개선효과를 보였고 60대 이상부 터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Table 4).

    4)연령별 백내장 수술효과 비교

    연령대에 따라 백내장 수술로 인한 시력과 굴절력 개선효과에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령별 시 력 및 굴절력의 개선효과에 대한 ANOVA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해 Duncan의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력개선정도에 있어 서는 연령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고(F=0.367, p>.05), 굴절력 개선정도에 있어서도 연령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F=2.359, p>.05).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시 력개선정도는 모든 집단이 하나의 집단으로 나타난 반면, 굴절력 개선정도는 50대 이하와 80세 이상이 하나의 집단, 60대와 70대가 하나의 집단으로 나타났 으며 50대 이하와 80세 이상 집단이 60, 70대 보다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내장 수술의 시력 향상효과는 연령대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 않으며 수술 전 기존의 시력에 서 약 0.26~0.3정도씩 동일하게 나타나며 굴절력 또 한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5).

    5)특이병력에 따른 변화

    본 연구에서는 각막혼탁, 간수술, 고도근시, 당뇨, 혈압, 비늘증후군, 사시, 신장, 간장, 심장, 좌안면마 비, 포도막염, 황반변성 등을 포함한 특이병력의 유 무에 따라 백내장 수술 후 시력 및 굴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별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특이병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평균 시력이 수술 전 0.26±0.15에서 수술 후 0.49 ±0.2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고(t=-7.232, p<.05), 특이병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0.28±0.56에서 수술 후 0.56±0.26으로 증가 하여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t=-17.157, p<.05).

    한편 굴절력의 경우, 특이병력이 있는 환자는 평균 굴절력이 수술 전 –0.94±02.9에서 수술 후 –0.68± 1.6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t=-0.998, p>.05), 특이병력이 없는 경우에도 수술 전 –0.73±2.41에서 –0.68±1.02로 유의하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t=-0.397, p>.05)(Table 6).

    6)특이병력 여부에 따른 수술효과 비교

    백내장 수술 환자의 특이병력 존재 여부에 따라 백 내장 수술 효과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력개선정도에 있어 특이병력에 따라 수술효 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2.048, p<.05). 반면 굴절력 개선정도는 특 이병력 여부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p<.05)(Table 7).Table 8

    3.성인병 존재 여부에 따른 시력의 변화

    본 연구에서는 당뇨, 고혈압을 중심으로 해당 성인 병의 유/무에 따라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의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하여 대응 t-test를 실시하였다. 먼저 전체 성인병의 존재 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 인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수술 전 시력검사와 수술 후 검사 평균을 비교한 결과, 수술 전 검사의 평 균값 0.26±0.15에서 수술 후 검사의 평균값 0.49± 0.26으로 다소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7.43, p<0.01), 성인병력이 없는 환자 의 경우도 수술 전 시력검사와 수술 후 검사 평균을 비교한 결과 수술 전 검사의 평균값 0.28±0.18에서 수술 후 검사의 평균값 0.56±0.26으로 다소 증가하 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17.16, p<0.01). 즉, 전반적으로 볼 때 성인병이 없는 환자의 경우 0.28의 향상이, 성인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0.23의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병이 없는 환 자가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고 성인병이 있는 환자는 수술에 따른 시력향상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 으로 나타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4.성인병이 백내장 수술의 시력개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성인병(당뇨, 고혈압)이 백내장 수 술의 시력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성인 병 여부를 가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에 독립변수에는 수술 전 시력과 영향을 미 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대, 내원기간을 포함하였으며 이들이 수술후 시력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성은 F=14.778(p<.05)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 설명력은 21.1 (19.7)%로 나타났으며 더빈-왓슨 통계량은 1.861로 자기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 수술 후 시력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 수는 수술 전 시력(β=0.393, p<.05)과 성인병 병력 여부(β=-0.111, p<.05)로 나타났고, 성별이나 연령, 내원기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성인병 병력 여부변수의 표준화 계수(β)를 살펴보 면 –0.111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병이 있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백내장 수술 의 시력개선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9Table 10

    5.당뇨, 고혈압에 따른 시력변화 비교

    성인병(당뇨, 고혈압) 병력이 있는 백내장 수술 환 자들의 수술 전・후 간의 시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t-test를 실시하였다. 먼저 당뇨병 환자의 경 우, 수술 전 평균 시력이 0.27±0.16에서 수술 후 0.51±0.27로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고(t=-5.657, p<.05), 반면 고혈압 환자의 경우 수술 전 평균 시력이 0.22±0.12에서 수 술 후 0.38±0.27로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820, p>.05).

    이를 통해 백내장 수술 환자 중 당뇨나 고혈압 병 력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에 따른 시력개선효과가 없 거나 현저히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게 된다.

    Ⅳ.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성인병 중 백내장 수술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당뇨와 고혈압을 중심으로 해당 병 력사항에 따라 백내장 수술 효과에 대한 차이를 확인 하기 위한 연구로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성인병 병력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성인병 병력이 있는 백내장 수술 환자들은 수술 전 기본 시 력이 평균 0.25로 대조군(0.28)보다 약 10.8%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술 후에도 평균 시력이 0.47로 대조군(0.56)보다 약 16%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병 중 당뇨 환자들은 성인병 병력이 없 는 환자보다 백내장 수술 전 평균 시력이 0.27로 대 조군(0.28)과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후 평균 시력 은 0.51로 대조군(0.56)보다 약 9%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병 중 고혈압 환자들은 성인병 병력이 없는 환자보다 백내장 수술 전 평균 시력이 0.22로 대조군(0.28)보다 약 21.5%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수술 후 평균 시력은 0.38로 대조군(0.56)보다 약 30%가량이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병 중 당뇨나 고혈압이 있는 환자들은 기본적으로 백내장 수술 전부터 성인병이 없는 환자 보다 시력이 약 10%정도 낮으며 수술효과 또한 상대 적으로 미비하여 결과적으로 수술 후 시력에서 약 16%정도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자 백내장 수술 환자의 경우 수술 전 평균 굴절력이 표준편차가 –1.11인 반면 여자는 이미 –0.59로 수술 전 남녀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백내장 수술을 통해 남성 –0.68인 반면 여성 또한 –0.67로 나타 났다.

    다섯째, 연령에 따른 수술 전-후 시력에 대한 효과 의 차이를 비교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50대 이하 환 자의 경우 0.307의 향상이, 60대 환자의 경우 0.289, 70대 환자의 경우 0.26, 80대 이상 환자의 경우 0.266의 시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60대 이하 환자 혹은 8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상 대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 차이통계적 유의성 또한 높은 연령일수록 차이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0대 이하 환자의 경우 망 막상태나 기타 시기능이 고령 환자에 비해 상대적으 로 좋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80세 이상 의 고령 환자에게서 60, 70대에 비해 큰 수술로 인한 시력 개선효과 및 굴절률 개선 효과가 더 크게 나타 나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바, 이에 대한 후속적 인 연구의 필요함을 시사한다.

    여섯째, 성인병 유무에 따른 수술 전-후 비교분석 결과, 성인병력이 없는 환자의 경우 0.282의 시력향 상이, 특이병력인 당뇨와 고혈압의 성인병이 있는 환 자의 경우 0.233의 시력이 향상되어 성인병력이 없는 환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백내장 수술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t=2.0480, p<.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병 환자의 당뇨, 고 혈압 등의 성인병이 백내장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성인병의 유병 정도에 따라 백내장 또한 수술 전・후 시력 및 안구 굴절력이 기존 일반 성 인 대조군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저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백내장 수술은 과거 백내장낭 내적출술이나 백내장낭외적출술과 같은 대절개 수술 에서 최근 소절개창을 통한 초음파 수정체유화술과 접힘 후방 인공수정체의 개발에 이르는 백내장 수술 법의 획기적인 개선으로 조기 시력 회복을 가능하게 하였다. 위와 같은 백내장 수술 방법의 괄목할 만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 ‘백내장의 수술 전후 시력 및 굴적력의 변화가 성인병과 연관이 있으므로 당뇨병, 고혈압 환자들은 정기적인 안저검사가 필요 하나 실제로는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간한 진료지침에서는 ‘제2형 당뇨병환자는 당뇨병 진단 즉시 안저검사를 받고, 그 이후로 매년 정기적인 안과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언 급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당뇨병 적정성 평 가에서 전체 의료기관의 입원 및 외래 진료비 청구자 료를 대상으로 안저검사의 시행 여부를 산출하여 안 저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을 살펴보면 전체 평가 대상 기관의 안저 검사 시행률은 40.1%였고 의원은 34%에 불과했다. 이렇듯 아직까지 적극적인 안저검 사가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당뇨와 고혈압 등 성인병의 유병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백내장 합병 증 또한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정책적으로도 정기적인 안저검사를 적극 추진하는 예방 대책이 요구되므로 정기 안저검사의 중요성을 학제적, 실무적 관점에서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Kyungdong University in 2017.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taract Surgery Patients

    Change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Gender

    *p<.05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urgery According to Gender

    *p<.05

    Change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Age

    *p<.05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urgery According to Age

    *p<.05

    Change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Specific Medical History

    *p<.05

    Comparison of the Effect According to Specific Medical History

    *p<.05

    Visual Acuity Change with Peculiar Medical History

    *p<.05

    The effect of adult disease on the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of cataract surgery

    *p<.05

    Comparison of visual acuity change according to diabetes, glaucoma, high blood pressure

    *p<.05

    Reference

    1. ParkS.S. LeeH.J. (2012) The prevalence of cataract and glaucoma in Korean. , Korean J Vis Sci., Vol.14 (1) ; pp.77-84
    2. KimC.S. (2014) The correlation of elderly diseases, presbyopia diseases and refractive power of reading glasses in rural areas. , Korean J Vis Sci., Vol.16 (2) ; pp.131-139
    3. LeeS.J. SungA.Y. (2003) Causes of myopic progression after cataract surgery. , Korean J Vis Sci., Vol.5 (1) ; pp.9-16
    4. YooH.M. KimH.W. (1975) Statistic Observation of Refractive Error. , J. Korean Ophthalmol. Soc., Vol.16 (4) ; pp.352-357
    5. ParkG.H. ParkC.G. (1995) The Refractive Errors of the Young Adults on the Basis of the Power of Their Glasse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36 (1) ; pp.84-90
    6. ChoiY.J. (2000) Appropriateness and Patient Outcomes Study of Cataract Surgery, Yonsei University PhD Thesis,
    7. LeeH.S. (2004) Prognostic Factors of Visual Acuity in Diabetes Mellitus, Kosin University PhD Thesis,
    8. ParkH.J. (2005) Effect of Spectacles Correction on the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in Refractive Amblyopia, Jeonnam University PhD Thesis,
    9. JungB.J. (2007)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 after Cataract Surgery, Kyungpook University MS Thesis,
    10. JoH.S. (2006) Efficacy of Lens Shielding Device to Prevent Cataract with Radiationtherapy for Malignant Lymphoma, Konkuk University MS Thesis,
    11. SmithG. (1991) Relation between Spherical Refractive Error and visual Acuity. , Optom. Vis. Sci., Vol.68 (8) ; pp.591-598
    12. WiJ.M. MoonH.S. (2015) 2012 Survey of KSCRS and KOS member: current trends in cataract surgery in Kore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6 (8) ; pp.1181-1187
    13. ShynK.H. BaekN.H. (1998) 95 Survey of Kor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member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39 (5) ; pp.892-899
    14. ShynK.H. ShinS.H. (1999) 97 Survey of Kor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member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0 (4) ; pp.950-958
    15. PaikH.J. SongH.J. (2009) 2007 survey for KSCRS members: current trends in cataract surgery in Korea. , J. Korean Ophthalmol. Soc., Vol.50 (11) ; pp.1624-1631
    16. ShynK.H. ShimJ.K. (1999) 96 Survey of Kor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member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0 (2) ; pp.403-408
    17. LeamingD.V. (1986) Practice styles and preferences of ASCRS members-1985 survey. , J. Cataract Refract. Surg., Vol.12 (4) ; pp.380-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