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4 pp.503-50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4.503

Study on the Calculated and Actual Magnification of Optical Aids for Low Vision Rehabilitation

Jae-Myoung Seo1)*, Daniela Quedenfeld2)
1Departmen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2EuroEyes® AugenLaserZentrum Dresden, Dresde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ae-Myoung Seo 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Cheonan +82-41-550-2938, +82-41-550-2093, jaemyoung.seo@bscu.ac.kr
20171103 20171210 20171211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oretically calculated magnification to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and investigate if the magnification is affected by the max. accommodation.

Methods:

The calculated magnification estimated by visual acuity for distance and the required visual acuity was compared to the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for use for 16 normal and 27 low vision subjects. Max. accommodation was measured by push-up test with Landolt ring.

Results:

The practically prescribing magnification was 1.17 times higher than calculated magnification but they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0.67). Both were good correlated (r=0.92). It showed that the magnification was not affected by max. accommodation.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best way to adjust the magnification with guide to the one recommended by the optical manufacture when to determine the magnification for patient with low vision.


저시력 환자용 광학적 시보조기구의 계산배율과 처방배율에 관한 연구

서 재명1)*, Daniela Quedenfeld2)
1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천안
2EuroEyes® AugenLaserZentrum Dresden, Dresden

    Ⅰ.서 론

    저시력 환자의 시재활치료에는 모니터 및 광학적 보조 기구1), 중심외주시 훈련2)과 명암대비 적응 훈련 3) 등 시기능 소실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 들이 있다. 특히 광학적 보조기구는 저시력 환자에게 가장 널리 처방되며 환자가 독립적인 시생활을 유지 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광학적 시보조기구 중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확대경의 사용거리는 25 cm를 사용하며 이 거리는 배율을 계산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된다.4-6) 시보조기 기의 매뉴얼에서 권장하는 배율은 기준 거리 25 cm 와 루페의 굴절력(D)을 활용하여 계산된 배율(Γ' calcul)을 말한다. 처방된 렌즈와 눈의 간격이 0에 가까 워지면 루페는 눈의 조절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배율 이 증가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율을 판매용 배율 (trade magnification) 혹은 조절강화 배율(isoccommodative magnification)이라 한다.

    Magnification Γ = F/D = F/4

    Trade magnification(iso-accommodative magnification)

    • Γ' = 1+(F/4)F : power of magnifying device

    • D: the object vergence (25 cm; 4 D in general)6,7)

    필요 배율을 구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인 Kestenbaum의 법칙7)을 사용하면 특정 작업에 필요 한 시력(독일 Eschenbach의 노모그램8), Table 1의 역수를 4로 나누어 쉽게 배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저 시력 환자용 시보조기구 업체에서는 광학렌즈의 소재 나 디자인을 고려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시력뿐만 아 니라 원거리 시력으로 계산된 배율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계산 배율을 참고로 환자로 하여금 직접 착용하게 하여 가장 이상적인 배 율을 찾는다.9,10)

    그동안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11,12)이나 저시력 환 자의 역학조사12) 등에 의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계 산 배율과 환자 스스로가 선호하는 실제 배율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Müller13)는 원거리 시력을 토대로 계산되는 배율이 근거리 배율보다 크 게는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고 했으며 Markowitz14) 역시 대부분의 경우 계산 배율이 실제 사용해야 할 배율 보다 낮게 계산된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거리 시력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계산배율과 임상에서 실제 빈번히 처방되는 배율을 비교하고 환자의 최대조절력(ΔAmax)이 낮은 경우 고 배율을 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는지 파악하여 임상에 서 이루어지는 저시력 환자용 배율 처방에 필요한 기 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방 법

    본 연구는 독일의 안과병원을 내원한 환자들 중에 서 다인성 저시력 환자 27명과 정상시력을 가진 16명 이 참가하여 총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대조 군의 경우 양안 시력이 0.8이상, 구면 굴절이상도는 ±5 D이하, 원주굴절력은 -2 D이하, 안압은 21 mmHg 이하, 안질환이 없는 경우로 제한했으며 저시 력 실험군은 WHO15)의 규정을 따랐다. 선행연구13,16) 를 참고하여 원용시표의 조도는 340 cd/m2, 근용시 표는 140 cd/m2가 유지되도록 했다. 원거리 굴절검 사는 Zeiss Polatest E를 사용하였으며 저시력 환자 의 경우에는 2 m에서, 정상인의 경우에는 5 m를 검 사거리로 택했다. 저시력 환자의 근거리 검사 거리는 25 cm였으며 이 검사 거리에 필요한 란돌트링은 국 제 규격에 따라 자체 제작하였다. 임상에서 측정한 배율에는 Eschenbach사의 루페를 사용하였으며 이 론적인 계산 배율은 Müller13)가 제안한 방법을 사용 했다 (Table 2).

    • Γ'pract : practically used magnification by Zeiss Test

    • Γ'calcul : Calculated magnification by visual acuity for distance

    • Γ'actual : Actual magnification

    저시력 환자의 최대조절력과 처방배율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체 제작한 란돌트링을 사용했다. 두 변수 간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정된 최대조 절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했다(Table 3).

    Ⅲ.결과 및 고찰

    본 연구에 참가한 정상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53 ± 11.82세, 저시력 실험군은 57.81 ± 21.67세였다. 저 시력 환자군의 대부분은 백내장을 동반한 안질환이 있었으며 망막색소상피변성증을 앓고 있으며 원거리 시력이 1.0 이상을 보인 환자 2명을 제외한 경우 25 명의 평균 LogMAR 시력은 0.7 ± 0.3으로 나타났 다. 황반변성을 가진 환자들은 대부분 고배율을 원하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Table 4) 이것은 시각장애가 중심 망막에 기인한 경우 권장배율보다 더 높게 처방 하는 것이 환자의 자각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임상에서 처방되는 배율이 이론 배 율보다 더 낮게 처방되는 경우는 특정 병인과의 인과 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한편, 정상대조군의 경우 대 부분 실제 배율이 정상(normal)으로 나타나 이론배 율과 처방배율은 근본적으로 일치할 수 있음을 나타 냈다 (small:2, normal:13, large:1).

    정상 대조군에서 계산배율과 처방배율이 동일한 경 우(normal)를 선호한 반면 저시력 환자군에서 선호하 는 처방배율의 양상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Fig. 1). 이것은 처방 배율보다 계산배율이 전반적으로 작게 나타났기 때문인데 아마도 배율을 계산하기 위한 기본 조건인 시작업 거리 25 cm를 환자 스스로 지속적 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데에 있다고 생각된다. 더구나 저시력 환자의 경우 고령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팔 근육 의 퇴화, 수전증 등의 신체적 쇠약 현상이 시작업 거리 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준 거리가 달라지 면 배율 공식에서의 분모인 거리 버전스가 바뀌어 배율 의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편, Müller13)는 실제 임상에서 처방하는 배율이 이론상 계산된 배율보다 크다고 했는데 본 연구 결과 에서도 저시력 환자의 임상에서 처방하는 배율이 계 산 배율보다 평균 약 1.17배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 적 의미는 없었다(Fig. 2, p=0.88). 처방배율과 계산 배율은 상호 높은 상관도(r=0.924)를 보였으며 대조 군에서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919).

    Elam은 25명을 대상으로 Kestenbaum 공식을 포 함한 5가지 배율 식을 사용하여 계산배율과 최종 처 방값 간 차이를 구한 결과 21~25%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했다.17) 아마도 계산배율은 환자의 시력 만을 고려했을 뿐 환자가 무엇을 보고자 하는 지, 실 제 배율 측정시의 조도의 변화 등에 관한 변수는 고 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저시력 환자용 광학적 시보조기구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배율 은 환자에게 최적의 배율을 제공하기 위한 시력의 또 다른 형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환자 의 생활 환경에 적합한 배율로 조정할 수 있다.18) 한 편, 근거리 시작업 능력과 시력은 서로 무관하다고 한 Whittaker와 Lovie-Kitchin19)은 역치 자극에 가 까운 글자 크기와 실제 보려는 글자 크기간의 비율인 시여력(acuity reserve)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심지 어 글자 크기가 역치보다 2배 이상 클 경우에는 저시 력 환자가 정상인만큼 원활한 독서력을 유지할 수 있 다고 보고했다.

    최대조절력이 낮은 저시력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 자보다 높은 배율을 요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백 내장 환자 13명을 제외한 14명을 대상으로 비교했다. 최대조절력이 3 D 미만인 경우 전체의 50%였으며 7 D 이상인 경우도 28%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조절력과 배율간의 관계에서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비 율을 보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백내장 환자를 제 외한 14명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적절한 통계적 분 석이 불가능했으며 추후 더 많은 샘플수를 확보하여 조절력과 배율에 관한 진전된 분석을 하고자 한다.Table 5

    Ⅳ.결 론

    저시력 환자의 최종 목표는 독립적인 시생활에 있 다. 저시력 환자의 독립적인 시생활에 가장 많이 활 용되는 광학적 시보조기구는 환자의 시작업에 따라 특정 배율을 처방하게 된다. 임상에서 광학적 보조기 구를 사용하는 저시력 환자가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 는 처방된 배율이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 고 볼 수 있다. 저시력 환자용 시보조기구 제조사에 서 제시하는 배율을 참고하여 시작업을 하고자 하는 환경에 적합하게 재조정하여 최종 처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고 사료된다.

    Figure

    JMBI-19-503_F1.gif

    Comparison of actual magnification between LV and control subjects.

    JMBI-19-503_F2.gif

    Correlation between calculated and measured magnification for LV subjects.

    Table

    The near everyday tasks matching specific visual acuity8)

    The criteria of actual magnification (Γ'actual) based on M ller's proposition11)

    Categories of maximal amplitude of accommodation ⊿Amax

    The etiology and frequency of actual magnification in low vision subjects

    Relationship between ⊿Amax and Γ'actual

    Reference

    1. Lovie-KitchinJ.E. WhittakerS.G. (1999) Prescribing near magnification for low vision patients. , Clin. Exp. Optom., Vol.82 (6) ; pp.214-224
    2. GaffneyAJ MargrainTH (2014) How effective is eccentric vewing training?.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Vol.34 (4) ; pp.427-437
    3. LeatS.J. (1999) What is low vision? A re-evaluation of definitions. , Optom. Vis. Sci., Vol.76 (4) ; pp.198-211
    4. DiepesH. KrauseK. (2007) Sehbehinderung Ursachen Auswirkungen Versorgung., DOZ Verlag, ; pp.58-62
    5. JonathanA.J. WolffsohnJ.S. (2007) Low vision manual., Elsvier, ; pp.185
    6. EndersR. (1995) Die Optik des Auges und der Sehhilfen., DOZ Verlag, ; pp.195-201
    7. KestenbaumA. SturmanR.M. (1956) Reading glasses for patients with very poor vision. , AMA Arch. Opthalmol., Vol.56 (3) ; pp.451-470
    8. JähnA. (2006) Die systematische erfolgsorientierte Anpassung von vergrößernden Sehhilfen., Eschenbach Optik GmbH, ; pp.18-19
    9. GebhardtM. (1999) Das Handbuch vergroesernder Sehhilfen., Eschenbach Optik GmbH, ; pp.1-3
    10. ScheimanM. ScheimanM. (2007) Low vision rehabilitation: a practical guid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Slack Inc., ; pp.207-215
    11. KimJ.T. MoonN.J. (2007)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of Low Vision Patients. , J. Korean Ophthalmol. Soc., Vol.48 (9) ; pp.1269-1275
    12. SeoJ.M. (2009)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etiological factor influenced on daily life in low vision patient. , J Academia-industrial Tech., Vol.10 (11) ; pp.3412-3417
    13. MüllerA. (2001) Untersuchung zum Kontrastsehvermoegen bei Sehbehinderten mit dem Polatest E, Ernst-Abbe-Hochschule Jena MSthesis,
    14. MarkowitzS.N. (2006) Principles of modern low vision rehabilitation. , Can. J. Ophthalmol., Vol.41 (3) ; pp.289-312
    15. FosterA. ResnikoffS. (2005) The impact of vision 2020 on global blindness. , Eye (Lond.), Vol.19 (10) ; pp.1133-1135
    16. CheongA.C. Lovie-KitchinJ.E. (2002) Determining magnification for reading with low vision. , Clin. Exp. Optom., Vol.85 (4) ; pp.229-237
    17. ElamJ.H. (1997) Analysis of methods for predicting near-magnification power. , J. Am. Optom. Assoc., Vol.68 (1) ; pp.31-36
    18. WolffsohnJ.S. EperjesiF. (2004) Predicting prescribed magnification. , Ophthalmic Physiol. Opt., Vol.24 (4) ; pp.334-338
    19. WhittakerS.G. Lovie-KitchinJ. (1993) Visual requirements for reading. , Optom. Vis. Sci., Vol.70 (1) ; pp.5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