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 론
양안시(binocular)는 두 눈으로 물체를 보는 기능 으로 양안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눈의 조절기능과 융합기능이 정확해야 하며, 두 눈의 협동 안운동 기능은 조절기능과 함께 정상적인 양안시 기 능 발달의 필수요건이다.1) 특히 독서나 컴퓨터 작업 등과 같은 근거리 시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 해서는 조절과 함께 협동안구운동이 정상적으로 수행 되어야 하며, 두 눈의 협동안운동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사물이 가끔 두개로 보이거나 한 쪽 눈을 감거나 가림, 눈을 자주 비빔, 책을 읽는 시간이 짧고 독해력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양안시를 위한 조절과 폭주기능이 부족할 경우 근거리 작업 시 안정 피로를 느낀다. Borish(1970)는 조절과 폭주의 균형 이 맞지 않을 경우 안정피로와 가성근시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2) 안정피로는 눈의 자각적 증 상으로서 안통, 눈의 피로감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집중력저하, 독서속도의 저하, 글씨가 흔들려 보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3,4) 시력저하가 있는 사람뿐 아 니라 정상시력을 가진 사람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 현재 대부분 안경원에서는 검안이 선명시만을 위한 시력교정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시력시스 템의 정상적인 기능은 동일한 물체를 보기 위해 두 눈을 정렬하는 것이므로,5) 일상에서 사용하는 시력이 모든 시기능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없으며, 정시와 비 정시에 관계없이 양안시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에 게는 원활한 시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기능 보정이 필요하다. 눈 건강은 굴절이상 뿐 아니라 폭주부족이 나 조절부족과 같은 양안시 기능 이상으로 인한 근업 시 증상 유발과 학습 수행능력 저하를 가져오게 되므 로6,7) 양안시 이상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학업을 많이 하고 계속 학업을 하게 될 학생에게는 절실하게 요구되는 문제이고 중요하다고 하였다.8) 그러나 현재 시각관리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도 부족하고 더 나아 가서는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 실이다. 2012년 5-6월 K안과에서 서울 소재 10개 초 등학생 5,8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경착용율은 43.8%로 조사되었고 고학년일수록 안경착용율이 증 가하여 6학년의 경우에는 61.9%로 나타났다.9) 이와 같이 매년 안경착용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 에서 성장기 어린이들의 눈 건강을 위해서는 눈에 대 한 올바른 인식과 관심 그리고 현실적인 교육이 무엇 보다도 필요하다. 청소년들의 양안시기능 상태의 확 인과 양안시기능 이상의 교정은 학습능률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시각관리는 부모님의 관심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기능 상태를 확인하고, 학생들을 잘 관찰하고 시기능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시기능 이상과 시기 능 훈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보호자들의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 고자 실시하였다.
Ⅱ.연구대상 및 방법
1.대상 선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고 전신질환 및 안질환 관 련 진단 및 처치 경험이 없는 초・중・고등학생 근시안 72명(남 39명, 여 33명)과 보호자 7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측정 방법
1)굴절검사
자동굴절검사기기(KR-8900, Topcon, Japan)를 이용해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한 후 시험렌즈를 이 용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2)양안 감각 기능 및 시기능 검사
굴절검사 후 외안근 운동성(Extraocular Muscle Function; EOM) 검사, 근거리 입체시 검사, 주시시 차 검사, 원거리와 근거리 수평 및 수직 사위도 검사, 폭주근점 검사, 단안 조절근점 검사, 이향운동 용이 성 검사, 양안 조절 용이성 검사, 워쓰 4점(Worth 4-Dots)검사를 실시하였다. 외안근 운동성은 Brock String을 이용한 Broad H test를 하였고, 근거리 입 체시는 티트무스 시표(Original Stereo Fly Stereo test, Stereo Optical Company, Inc., U.S.A), 사위 도는 수정된 토링톤 시표(Modified Thorington Card, Bernell, U.S.A)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3)설문 조사
학생을 대상으로 굴절검사와 양안 감각기능, 시기 능 검사 후 학생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시각적 상태 및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은 3개 항목(굴절 이상 관련, 시각적 작업 관련, 시각적 불편 사항 관 련)이고, 부모에 대한 설문항목은 11개 항목(보호자 가 주관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대상의 굴절 이상 관 련, 시기능 훈련, 시각적 작업 관련 항목)으로 구성 되었다.
3.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PASW Ver.18 프로그램(IBM, U.S.A) 을 사용하였고, 검사 결과에 대해 Pearson의 상관 계 수를 산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05 이하로 하였다.
Ⅲ.연구 결과
1.대상 특성
검사대상 가운데 학생 72명의 평균 연령은 8± 2.08세(범위 8-19세)이었고, 남 39명, 여 33명이었다. 보호자의 평균 연령은 43.53±6.09세(범위 32-70세) 이었고 남자 17명, 여자 55명이었다. 보호자의 직업 은 회사원 22명, 전업주부 23명, 기타 27명이었다 (Table 1).
2.학생의 일반적 특성
등가구면굴절력으로 산출한 학생의 평균 굴절이상 도는 우안 2.82±2.67 D, 좌안 2.73±2.51 D 이었 고, 단안 평균 동공거리는 우안 30.32±1.60 좌안 30.40±1.65이었으며, 우위안은 우안 50명, 좌안 22 명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3.학생의 양안 감각기능 및 시기능 검사
1)양안 감각 기능 검사
대상학생의 외안근 운동성 검사 결과 우안에서 상 이측과 상비측 이상이 각 1안씩 발견되었고, 좌안에 서는 상이측, 상비측, 하이측 방향에서 각 1안씩 안구 운동이상이 발견되었다. 암슬러격자 검사에서는 우안 에서 상우측 주변부 미세왜곡, 상우측 주변부 미세흐 림, 하우측 주변부 미세흐림이 각 1안씩 발견되었고, 좌안에서는 상우측 주변부 미세왜곡, 상우측 주변부 미세흐림, 상좌측 주변부 미세왜곡, 하좌측 미세흐림 이 각 1안씩 조사되었다. 근거리 입체시 검사 결과 대 상의 평균 입체시는 92.22±122.22 sec/arc 이었고, 원거리 및 근거리 워쓰 4점 검사 결과는 모두 정상이 었다(Table 3).
2)양안 시기능 검사
학생의 평균 수평 사위도는 원거리 0.32±1.44 Δ 외사위. 근거리 1.56±3.00 Δ 외사위 이었고, 좌안 기준 우안 수직 사위도는 원거리 0.08±0.71 Δ 상사 위, 근거리 0.19±0.97 Δ 상사위 이었다. 평균 폭주 근점은 6.92±4.12 cm 이었고, 평균 양안 조절근점 은 우안 7.90±4.20 cm, 좌안 8.10±4.36 cm이었 다. 평균 이향운동 용이성 및 양안 조절 용이성은 각 각 15.82±5.36 cpm, 13.38±3.47 cpm으로 조사되 었다(Table 4).
4.설문 조사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항목은 부록으로 제 시하였다(Appendix 1)
1)학생과 보호자의 시력상태와 검진기관
(1)학생
QS1: 「본인의 시력이 좋지 않은 것을 어떻게 처음 알게 되었습니까?」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시각이상을 최초로 검진한 기관은 학교 36명(50%), 안과 14명 (19%), 자신 스스로 12명(17%), 안경원 5명(7%), 및 기 타 5명(7%)으로 조사되었다(Fig. 1). QS2: 「학생이 정 기적으로 시력 검사를 하는 곳은 어디입니까?」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정기적으로 시력검사를 받는 곳은 안과 37명(52%), 안경원 24명(33%), 일반병원 6 명(8%), 및 학교 5명(7%)으로 조사되었다(Fig. 2).
(2)보호자
보호자가 자녀의 시각적 이상을 알고 있는지에 대 한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QG1: 「귀하는 자녀 의 현재 시력 상태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 하십니까?」 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보호자의 46명(64%)이 자녀 의 현재 시력상태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3).
QG2: 「귀하의 소견으로 학생의 시력 이상을 다루 기에 가장 적합한 사람은 누구입니까?」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안과의사 63명(87%), 보건교사, 안경사 및 특수교사가 각각 3명(4%)으로 조사되었다(Fig. 4).
2)양안 시기능 이상
학생의 양안 시기능 이상 여부 및 보호자가 인지하 는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 결 과는 그림 5와 6과 같다.
QS3: 「안경을 착용하고 물체가 때때로 두개로 보 이거나 흐리게 보입니까?」라는 설문 결과 19명(26%)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ig. 5), QG3: 「귀하는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 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하시겠습니까?」라 는 설문 결과 60명(83%)이 권유하지 않겠다고 대답 하였다(Fig. 6).
3)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
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의 전반적 이해도에 대한 설 문 결과는 표 5와 같다. 보호자의 11명(15%)이 시기 능 훈련에 대해 알고 있었고, 62명(86%)이 시기능 훈 련이 학습장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며, 자녀 의 학교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2명(3%)이었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 46명(64%)은 긍정적으로, 20명(27%)은 보통, 6명(9%)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시기능 훈련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한 곳은 안 과 53명(73%), 텔레비전 13명(18%), 인터넷 6명(9%) 으로 조사되었으며, 시기능 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사 람은 안과의사 53명(73%), 특수교사 13명(18%), 안경 사 6명(9%)으로 조사되었다. 시기능 훈련에 대한 개 념을 묻는 설문에서 안구운동훈련 40명(55%), 안경 착용 29명(40%), 프리즘 훈련 3명(5%)으로 조사되었 다.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곳은 웹사이 트가 41명(57%)으로 가장 많았고 세미나 10명(14%), 비디오 5명(7%), 브로셔 3명(4%), 기타 13명(18%)으 로 조사되었다(Table 5).Table 6
4)자각적 양안시기능 이상 증상을 가진 학생에 대한 보호자의 시력 및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
QS3: 「안경을 착용하고도 물체가 때때로 두 개로 보이거나 흐리게 보입니까?」에서 증상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학생 19명에 대한 보호자의 시력 및 시기능 훈련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표 6과 같다.
보호자의 15명(79%)은 학생의 시력상태를 알고 있 었고, 학생의 시력을 다루기에 적합한 사람은 안과의 사 16명(84.21%), 특수교사와 보건교사, 안경사가 각 각 1명(5.26%)으로 조사되었다. 자녀가 시기능 이상 을 가지고 있고 시기능 이상으로 인한 자각증상을 가 지고 있는데도 학생에게 시기능 처치를 받거나 시기 능 훈련 프로그램은 권유한 보호자는 한명도 없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 알고 있는 보 호자는 2명(11%)이었고, 시기능 훈련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한 곳은 안과가 18명(95%), 텔레비젼이 1명 (15%)으로 조사되었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서는 긍정 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18명(95%), 보통 1명(5%)이 었고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시기능 훈련을 받기를 원하는 사람은 안과의사 18명 (95%), 특수교사 1명(5%)으로 조사되었고, 시기능 훈 련에 대한 생각은 안구운동훈련이라고 답한 사람이 15명(79%), 안경착용은 4명(21%)으로 조사되었다. 시기능 훈련이 시각관련 학습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보호자는 15명(79%)이었고, 학교에서 시기능 훈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적이 있 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한명도 없었으며, 시기능 훈련 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곳은 웹싸이트가 11명(58%)으로 가장 많았고, 세미나 3명(15%), 비디 오와 브로셔가 각각 2명(11%), 기타가 1명(5%)으로 조사되었다.
5.상관 분석
1)학생의 시기능 이상 증상과 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 간 상관성
자녀가 시기능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보호자의 시 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자녀가 시기능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QG3: 「귀하는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하시겠습니까?」와 QG6: 「귀하는 시기능 훈련이라는 단어에 대해 어떠한 생각 을 갖고 계십니까?」간 상관성은 각각 양의 상관성 (r=0.06, r=0.11)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p=0.63, p=0.36) (Table 7).
2)학생의 시기능 이상 증상과 시기능 검사결과 간 상관성
학생의 시기능 이상 증상과 시기능 검사 결과 간 상관성은 Table 8과 같다. 학생의 시기능 이상 증상 과 원거리 수평사위도와 수직사위도는 양의 상관성 (r=0.03, r=0.07)이 있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 0.57). 근거리 수평사위도와는 r=0.38로 양의 상관성 을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p=0.00), 근거리 수직사위도와는 r=-0.00으로 음 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p=0.97). 폭주근점과 시기능 이상 증상과는 r=-0.07로 음의 상관성이 있지만 유의하지 않았고(p=0.56), 단안 조 절근점과는 우안과 좌안 각각 r=-0.06, r=-0.07로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60, p=0.56). 이향운동용이성과 시기능 이상 증상과는 r=-0.34로 음의 상관성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도 유 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 양 안 조절용이성과 시기능 이상 증상과는 r=-0.12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22).
3)학생의 시기능 검사 결과와 보호자의 시기능훈련에 대한 생각 간 상관성
학생의 시기능 검사 결과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와 QG3: 「귀하는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 하시겠습니까?」 간 상관성은 Table 8과 같다. 폭주근점, 우안과 좌안 조절근점,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사위도, 양안 조절 용이성은 각각 양의 상관성(r=0.07, r=0.10, r=0.13, r=0.12, r=0.00, r=0.00)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 고(p>0.05), 원거리 및 근거리 수직사위도, 이향운 동용이성 검사에서도 각각 음의 상관성(r=-0.05, r=-0.08, r=-0.02)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하지 않았 다(p>0.05).
학생의 시기능 검사 결과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와 QG6: 「귀하는 시기능 훈련이라는 단어에 대해 어 떤 생각을 갖고 계십니까?」간 상관성에서는 폭주근 점, 우안과 좌안의 조절근점,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 사위도, 이향운동 용이성, 양안 조절용이성 검사에서 각각 양의 상관성(r=0.05, r=0.08, r=0.12, r=0.14, r=0.06, r=0.03, r=0.02)을 보였고, 원거리 및 근거 리 수직사위도에서 각각 음의 상관성(r=-0.05, r= -0.08)을 보였으나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p>0.05) (Table 8).
Ⅳ.고 찰
시력은 물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이며 물체를 정확하 게 보기 위해서는 시각이상(visual dysfunction)이 없 어야 한다. 시각이상에는 근시, 원시, 난시등과 같은 굴절이상(refractive error)뿐만 아니라 조절이상, 폭 주이상과 같은 양안시 기능 이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시각이상에 의한 증상은 안경교정과 시각치료 즉, 프 리즘 처방, 시기능 훈련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 다.10,11) 안구운동 훈련을 통해 기능이상에 대한 자각 및 타각 증상을 개선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안구운동 인 시기능 훈련(vision training)은 양안시 상태에서 발생하는 안정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시각치료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시기능 훈련은 양안시 기능을 개선 시키는데 높은 효과가 있고, 양안시 기능 이상자를 대 상으로 실시한 시기능 훈련 결과 양안시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12,13) 이와 같이 시기능 훈련 은 시기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시기능 이 상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시기능 훈련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의 양이 많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고등학생의 양안시기능 상태와 감각기능 검사, 시기능 증상 유무를 검사하고 보호자의 자녀에 대한 시기능 인식 실태를 조사하였다. 학생의 양안 시 기능 검사 결과 학생의 평균 수평 사위도는 원거리 0.32±1.44 Δ 외사위, 근거리 1.56±3.00 Δ 외사위 이었고, 좌안기준 우안 수직사위도는 원거리 0.08± 0.71 Δ 상사위, 근거리 0.19±0.97 Δ 상사위 이었 다. 양안시 감각기능 가운데 조절과 폭주 기능 검사는 폭주부족과 조절부족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폭 주근점은 6.92±4.12 cm이었고, 우안과 좌안의 평균 조절근점은 각각 7.90±4.20 cm, 8.10±4.36 cm으 로 정상이었다. 평균 이향운동용이성 및 양안 조절용 이성은 각각 15.82±5.36 cpm, 13.38±3.47 cpm으 로 조사되었다. 시기능 검사결과와 학생의 시기능 이 상 증상과 간 상관성 분석 결과 근거리 수평사위도와 는 r=0.38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 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p=0.00), 이향운동용이성과 시기능 이상 증상과는 r=-0.34로 음의 상관성이 있었 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p=0.00), 원거리 사위도(수평, 수직)와 근거 리 수직사위도, 단안 조절근점, 폭주근점, 양안 조절 용이성은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류와 성14)은 고등학교 3학년 대상 사위도 검사결과 근 시안에서는 내사위보다 외사위가 더 많았으며, 근시 안의 평균 근거리 외사위도는 8.0 △으로 조사되었는 데 본 연구 대상자도 모두 외사위를 가지고 있었으므 로 학생들의 경우 내사위보다 외사위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위는 편위가 잠복해 있는 눈으로 양 안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안구운동을 하기 때문에 교정 하지 않을 경우 안정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경도 의 수평사위는 자각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근거리 작업하는 동안 안정피로, 결막충혈, 만성결막염, 안구 통, 유루 및 복시 등이 나타나며 특히 외사위에서 심 하다.15) 그러므로 양안시 기능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사위로 인한 안정피로가 있을 경우 사위의 보정이 필 요하며 양안시 감각기능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개선을 위한 처치가 필요하다. 학업의 양이 많은 초등학교 고 학년과 중⋅고등학생이 양안시 기능 이상이 있을 경우 학업수행능력에 어려움을 준다. 청소년들의 양안시 기능 상태의 확인과 양안시 기능 이상의 교정은 학습 능률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굴 절이상뿐 아니라 폭주부족이나 조절부족과 같은 양 안시 기능 이상은 근거리 작업 할 때 안정피로 유발 과 학습능력 수행 능력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고 하였 다.7),16-18) 또한, 폭주부족이나 조절이상이 ADHD에 영향을 미치며 읽기 능력과 학업수행능력에도 관련성 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9) 학생의 자각적 양안 시기능 이상 여부 및 보호자가 인지하는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의 설문 에서는 학생 72명 가운데 19명(26%)이 안경을 착용하 고 물체가 때때로 두개로 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시 기능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 학생 보호자 가운데 학생에게 시기능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한 보호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또한, 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전반적 인 설문 결과 보호자의 60명(83%)은 자녀가 시기능 이상 증상을 호소할 경우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하지 않겠 다고 응답하였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11명(15%)이 알고 있었고, 보호자의 62명(86%)이 시 기능 훈련이 학습장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나, 자녀의 학교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 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2명(3%)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시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는 학 생 보호자 가운데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프로그램 을 권유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것은 보호자의 시기능 이상에 대한 개념 부족과 처치의 중 요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 보호자의 86%가 시기능 훈련이 학습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나 자녀의 학교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 보를 제공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3%에 지 나지 않았다. 학생과 보호자가 시각관리에 대한 정보 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곳은 안경원과 안과병원, 학교 등이다. 학교보건교육은 학생 및 그들의 가족의 건강 을 지키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에20) 학교 보건교사와 교사의 시각에 대 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초등학교 보건교사는 본인들이 학생의 시력저하 원인에 대한 판 단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85.4%가 ‘지식부족’ 이라고 대답하였고,21) 시각치료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초등학교 교사는 22%로 조사되었다.8)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시기능 이상이 있는 학생 보호자의 경우 학 생에게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프로그램을 권유하 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한명도 없었다. 이와 같이 학생 들의 시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의 시각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현저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 로 보호가 필요한 학생들의 정상적인 시각발달과 관리 를 위해서는 학교 보건교사와 담임교사 뿐 아니라 특 히 자녀들을 잘 관찰할수 있는 보호자의 시각관리에 대한 교육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Ⅴ.결 론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기능 상태를 확인하 고 보호자들의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 식을 조사하여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교 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
1. 시기능 훈련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15%가 알고 있 었고, 보호자의 86%가 시기능 훈련이 학습장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다.
-
2. 자녀의 학교에서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3%이었고, 시 기능 훈련에 대해 보호자의 64%가 긍정적으로 생 각하고 있었다.
-
3. 안경을 착용하고 물체가 때때로 두개로 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시기능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는 학생의 보호자 가운데 학생에게 시기능 처치를 받 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한 보호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이 학생이 시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프로그램을 권유한 보호자 가 한명도 없다는 것은 보호자가 시기능 이상에 대한 개념 이 부족하고 시기능 이상 처치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시기능 훈련에 대해 64%의 보호자가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호자 대상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교육 과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