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9 No.4 pp.361-373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4.361

A Study on Consumption Value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Spectacles Purchasing Behavior

Sun Mi Lee1), Na Young Park2)*
1Department of Optometr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Iksan
2Department of Consumer, Ewha Womans University Ph.D. candidate, Seoul
Address reprint requests to Na Young Park Dept. of Consumer, Ewha Womans University +82-10-5789-0524, parknayoung@gmail.com
20170825 20171209 20171211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Spectacles Purchasing Behavior in the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se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consumption value.

Methods:

The present study involved 302 college students who are using spectacles. To analyze, the present study used chi-square and multi-regression.

Results:

Among the total of 302 participants who are college students, 32.1% of the total students changes spectacles between 1~2 years and 39.1% of the total students the reason of changing spectacles is ‘Change in power’ and 70.2% of total students choose who influences in selecting spectacles is ‘Self’. 52.6% of total students choose the reason for selection is ‘Design’. Male students change spectacles more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who have more income change spectacles more easily. The reason for selection of male students ordered ‘Breakage of spectacles’, ‘Scratch of lens’ and ‘Change in design’ but the 51.9% of female students choose the reason for changing spectacles is ‘Change in power’. Students who have more income choose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is ‘Design’ and students who has less income choose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is ‘Price’. College student in this study focus on present value than future value and focus on usage value than joyment value. Students who have more hedonic value are more satisfaction with spectacles.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consume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d by hedonic value.


대학생의 안경구매행태에 따른 소비가치 및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 선미1), 박 나영2)*
1원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익산
2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학과 박사수료, 서울

    Ⅰ.서 론

    소비자들은 미래를 위한 소비를 할 때보다 현재를 위한 소비를 할 때 더 즐거워하고 행복해 하며, 실용 적인 가치를 지닌 소비보다 쾌락적인 가치가 강한 소 비를 할 때 더 행복해 한다.1) 이러한 소비자들의 심리 는 안경구매에도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20대 소비자 들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외모에 더 많은 신경을 쓰 는데, 20대 소비자가 안경을 고르는 가장 중요한 기 준은 패션스타일이었다.2) 대한안경사협회와 한국갤 럽이 조사한 ‘2017년 전국 안경 및 콘택트렌즈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 연령대에서 안경 구입 시 가 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안경렌즈(57.3%)로 나 타났지만 연령이 낮을수록 안경테를 중요하게 고려하 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선글라스 착용 이 유 역시 20대(22.7%), 30대(13.3%)는 패션아이템으 로 사용하기 위해서라는 대답이 상대적으로 높았으 며, 선글라스 구입 시 중요 고려요인이 디자인(20대 93.5%, 30대 88.0%)이라고 답한 비율도 압도적으로 높았다. 즉, 안경구매는 외모를 위한 소비이며 따라 서 소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안경구매로 인한 패션 변화에 대한 기대가 가져다주는 쾌락성이 중요하다.

    물론 안경구매는 시력교정을 위한 소비이다. 따라 서 얼마나 시력을 잘 교정하는지가 중요하며 안경 교 체 기간, 안경의 가격 또한 고려한다. 즉, 안경구매에 있어서 기능과 가격 같은 실용성 또한 큰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이다. 20대에는 시력교정의 필요성보다 외 모관리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30대 이상의 연 령과 달리 소득이 부족하므로 외모관리보다 시력교정 을 구매하는 데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구매자의 구매결정요소에 대한 연구에서는 20대 미만보다 30-40대가 고객서비스 혹은 디자인을 이유 로 안경을 구매한다고 나타났으며, 1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진 집단보다 그 이상의 소득을 가진 집단들 이 고객서비스, 디자인, 상품특성, 컨텐츠, 커뮤니티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와 50대 이상보다 30대와 40대가 구매만족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은 구매결정에 차이를 나 타내는 요인이며, 평균소득 수준이 낮은 20대의 구매 만족도가 다른 연령대 집단보다 높지 않다는 것을 보 여주었다.3)

    최근 안경소비자에 대한 연구들은 안경구매결정요 소,3) 안경구매성향,2) 안경구매행태와 만족도4) 등이 진행되었으나 소비자의 심리적인 측면 즉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행태와 소비 가치가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 다. 우선, 대학생들의 안경구매행태를 조사하고 20대 의 안경구매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집단 보다 낮다면4) 그 이유가 쾌락성보다 실용성 위주로 안경을 선택한 것인지, 현재보다 미래를 고려하여 선택한 것인지에 대한 소비가치를 파악하여 안경 구매 후 소비만족도 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연구대상자로서 대학생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은 소득활동을 할 수 있는 성인이 며, 부모로부터 용돈을 받을 수 있고 아르바이트도 할 수 있어 소득의 개인차이가 크기 때문에 소득의 영향력을 볼 수 있고 둘째,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고 본인 소득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안경 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생 시기의 소 비 경험이 이후 성인기 소비에 영향력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행태와 소비가치가 소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안경구매행태를 파악하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구매행태에 차이가 있 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소비가치가 대학생 소비 자의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봄 으로써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에 대한 특성을 파 악하고 안경구매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하 여 모색하고자 한다.

    Ⅱ.연구대상 및 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의 표본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5 일까지 익산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 접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누락되어 분석에서 제외한 17부를 제외하고 최종 302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2.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4)를 참고하여 조사대상자 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문항, 안경구매행태에 관한 문항, 소비가치에 대한 문항과 소비만족도에 대한 문 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은 학년, 성별, 거 주환경, 월평균소득, 현재까지의 안경착용기간으로 구성하였고, 안경구매행태에 관한 설문문항으로 평균 안경교체기간, 안경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사람과 가 장 고려하는 사항 그리고 가장 고려하는 사항의 각 항목별 이유를 포함하였다. 소비가치에 대한 설문문 항은 선행연구5)에서 사용한 3가지 소비가치 중에서 소비유형을 구분하는 차원으로 앞서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소비혜택을 언제 받는 것이 중요한가인 ‘미래적 소비가치’, 소비 시 어떤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한가 에 관한 ‘쾌락적 소비가치’의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 한편, 각 연구단위별 측정항목을 각 가 치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사용한 항목들 중에서 본 연 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문항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치 중 미래적 소비가치인 현 재성-미래성과 쾌락적 소비가치인 실용성-쾌락성 정 도는 Table 1에서 제시한 기술문에 대해 적합한 칸에 표시하는 7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었다. 한편, 소비 만족도는 선행연구4)의 문항을 안경구매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2.0)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빈도분석을 하였고, 관련 변수와 안경구매행태의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고, 소비 가치가 소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결 과

    1.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 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Table 2와 같다. 표본의 성별 구성은 남성이 37.4%, 여성이 62.6%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별로는 3학년 이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학년 37.1%, 1학년 18.5%, 4학년이상 3.0%순으로 나타났다. 거주형태별 로는 ‘부모와 동거’가 73.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 취는 24.8%, 기타 1.3%, 하숙 0.7%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30만원초과 50만원이하’ 31.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만원 초과 30만원이하’ 30.8%, ‘10만원 이하’ 17.9%, ‘50만원초과 100만원이하’ 14.2%, ‘100 만원초과’ 5.3%순으로 나타났다. 안경착용기간은 ‘10 년이상’이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년초과 10 년이하’ 24.8%, ‘1년이하’ 22.5%, ‘1년초과 3년이하’ 12.9%, ‘3년초과 5년이하’ 11.3%순으로 나타났다.

    2.안경구매행태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평균안경 교체주기는 ‘1년이상 2년미만’이 32.1%로 가장 높게 나 타났고, ‘6개월이상 1년미만’ 28.1%, ‘2년이상’ 24.5%, ‘3개월이상 6개월미만’ 9.6%, ‘3개월미만’ 5.6%순으로 나타났다. 안경교체이유는 ‘도수 변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렌즈흠집’ 17.9%, ‘안경파손’ 16.6%, 기타 13.9%, 유행 뒤처짐 12.6%순으로 나타났다. 안 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은 ‘나 자신’이 70.2%로 가장 높았고, 친구/가족이 18.5%, 안경사가 8.6%, 기 타 2.6%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10대에서 50대까지를 조사대상자로 선행연구4) 결과와 대부분 일 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행연구4)에서의 결과는 안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에서 19.9%가 안경사를 선택하였으며, 친구/가족은 10.7%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대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친구/가족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 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4와 같다.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중 57.2%는 ‘얼굴에 잘 맞추기’위해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였다. 가격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경우는 23.2% 로 나타났는데 가격이 가장 중요한 이유로 선택한 사 람들 중에서 ‘5만원초과 10만원이하’를 선택한 사람 들이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 이유가 ‘재료’라고 응답한 경우는 13.6% 로 나타났으며 재료가 중요하다로 고른 이유는 ‘편안 함’이 4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 선택이유로 브랜드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6.6%로 나 타났는데 브랜드를 가장 중요시 하는 이유로는 ‘브랜 드안경의 품질이 좋음’을 50%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연구4)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3.집단별 차이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평균안경교체주기에 차 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Table 5와 같다. 성별, 소득, 안경착용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안경교체주기에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거주형태에 따라서 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평균 안경교체주기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짧 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따른 평균안경교체주기 의 차이를 살펴보면, 소득이 많은 집단은 소득이 적 은 집단보다 평균안경교체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 다. 안경착용기간이 짧은 집단에서 평균안경교체주기 가 골고루 분포하였고 안경착용기간이 길수록 평균안 경교체주기의 분포가 ‘6개월 이상’의 집단에 더 많이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교체이유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성별, 거주형태, 안경착용기간에 따 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안경교체이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소득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안경교체이유의 차 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안경파손’, ‘렌즈흠집’, ‘유행 뒤처짐’ 순이었으나 여성은 ‘도수 변화’가 51.9%로 압 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거주형태에 따른 안경교체 이유의 차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대학생의 경우 ‘도수 변화’ 42.1%, 렌즈흠집 15.4%로 나타나 도수 변화로 인한 안경교체가 가장 높았으나, 자취하는 대학생은 ‘도수 변화’ 32.0%, ‘렌즈흠집’ 25.4%로 상대적으로 부모와 동거하는 집단보다 ‘렌즈흠집’이 안경교체이 유인 비율이 높았다. 안경착용기간이 ‘1년 이하’로 짧 은 집단의 경우 안경교체이유가 ‘기타’인 비중이 높았 고, ‘10년이상’인 집단은 ‘도수 변화’ 비율이 48.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선택에 영향을 미치 는 사람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거주형태,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안경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학년, 안 경착용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 주형태가 ‘자취’인 집단이 ‘부모 동거’보다 안경사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 이 ‘10만원초과 30만원이하’의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친구/가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선택이유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안경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에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고, 성별, 학년, 거주형태, 안경착용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디 자인을 최우선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낮 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가격을 상대적으로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인규 외(2012)의 연구 에서 100만원이하의 소득을 가진 집단보다 그 이상의 소득을 가진 집단들이 고객서비스, 디자인, 상품특 성, 컨텐츠, 커뮤니티 요인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소득은 안경선택 이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나타낸다.

    4.안경구매 시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

    대학생의 안경구매 시 소비가치에 대하여 혜택시 점과 혜택종류를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지금 필요한지 따져본다-앞으로 필요할지 따 져본다’문항에서 평균값은 3.22점으로 나타났고 ‘지 금 마음에 드는지가 중요하다-나중에 마음에 들지가 중요하다’문항의 평균값은 2.99로 나타났으며 ‘지금 이익이 되는지 생각한다-나중에 이익이 될지 생각한 다’문항의 평균값은 3.09로 나타나 4점이 중앙값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미래보다는 현재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다. ‘생활 에 유용한지 생각한다-생활에 즐거움을 주는지 생각 한다’문항의 평균값은 2.91로 나타났으며, ‘실용적 기 능이 중요하다-감성체험이 중요하다’문항의 평균값 은 2.85로 나타났으며, ‘돈과 시간을 최대한 아끼는 것이 목표다-재미와 즐거움을 최대한 경험하는 것이 목표다’문항에서 평균값은 3.42로 나타나 4점이 중앙 값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 매는 쾌락보다는 실용성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 다. 대학생의 안경구매 시 소비가치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결과는 Table 10과 같다. 고유 값 1이상을 기준으로 2요인으로 나뉘었으며, 요인적 재량이 0.4미만인 문항이 2개 있지만 최소 요인적재 량 기준을 ±0.3으로 판단하므로 설문문항의 타당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 α값이 미래적 소비가치의 경우 0.862, 쾌 락적 소비자치의 경우 0.820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설문문항은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경구매 시 소비만족도에 대하여 조사 한 결과는 Table 11과 같다. ‘안경을 구매하는 것은 내 삶을 만족스럽게 한다’는 문항에서 평균값은 3.00 점으로 나타나 3점이 중앙값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 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평균적인 만족을 제공 하는 소비로 나타났다.

    5.소비가치에 따른 소비만족도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 리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대학생의 소비가치에 따른 소비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소비가치 중 쾌락적 소비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소비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쾌락적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고찰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안경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경구매행태와 소비가치, 그리 고 소비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행태를 살펴보면, 평 균안경교체주기는 ‘1년이상 2년미만’이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6개월이상 1년미만’이 28.1%, ‘2년이 상’이 24.5%, ‘3개월이상 6개월미만’ 9.6%, ‘3개월미 만’ 5.6%순으로 나타났다. 안경교체이유는 ‘도수 변 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렌즈흠집’ 17.9%, ‘안경파손’ 16.6%, 기타 13.9%, ‘유행 뒤처짐’ 12.6% 순으로 나타났다. 안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은 ‘나 자신’이 70.2%로 가장 높았고, ‘친구/가족’이 18.5%, 안경사가 8.6%, 기타 2.6%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 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에서 19.9%가 안경사를 선 택하였다는 선행연구4)와 다른 결과이다. 이러한 차이 는 대학생들의 의사결정에 친구/가족의 영향력이 크 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한 경우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중 57.2% 는 ‘얼굴에 잘 맞추기’위해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 각하였다. 가격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한 경우는 23.2% 로 나타났는데 가격이 가장 중요한 이유로 선택한 사 람들 중에서 ‘5만원초과 10만원이하’를 선택한 사람들 이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구매 시 가장 중 요한 선택 이유가 ‘재료’라고 응답한 경우는 13.6%로 나타났으며 재료가 중요하다로 고른 이유는 ‘편안함’ 이 48.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경 선택이유로 브랜드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6.6%로 나 타났는데 브랜드를 가장 중요시 하는 이유로는 ‘브랜 드안경의 품질이 좋음’을 50%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4) 결과와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경구매행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평균안경교체주기가 여 성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많은 집단은 소득이 적은 집단보다 평균안경교체주기가 짧은 경우 가 많았다. 안경착용기간이 짧은 집단에서 평균안경 교체주기가 골고루 분포하였고 안경착용기간이 길수 록 평균안경교체주기의 분포가 ‘6개월이상’의 집단에 더 많이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보다 남성이, 소득이 많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이 더 안경교체를 쉽게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성의 안경교체이유는 ‘안경파손’, ‘렌즈흠집’, ‘유행 뒤처짐’ 순이었으나 여성은 ‘도수 변화’가 51.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거주형 태에 따른 안경교체이유의 차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대학생의 경우 ‘도수 변화’가 42.1%로 가장 높았으나 자취하는 대학생은 ‘도수 변화’ 32.0%, ‘렌즈흠집’ 25.4%로 상대적으로 부모와 동거하는 집단보다 ‘렌 즈흠집’이 이유인 비율이 높았다. 안경착용기간이 ‘1 년이하’로 짧은 집단의 경우 안경교체이유가 ‘기타’인 비중이 높았다. 안경착용기간이 ‘10년이상’인 집단은 ‘도수 변화’ 비율이 48.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 다. 따라서 정기적인 시력검사에 대한 정확한 안내는 중요한 안경구매이유가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거주형태가 ‘자취’인 집단이 ‘부모 동거’보다 안경사 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 수준이 ‘10만원초과 30만원이하’의 집단이 다른 집단 보다 친구/가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독립생활을 하는 대학생들의 결정에 전문 가인 안경사의 영향력이 더 크지만 아직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않거나 소득수준이 여유롭지 않은 경우 친 구나 가족의 구매경험이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디자인을 최우선 하는 것으 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가격을 최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득수 준이 높은 대학생들에게는 디자인을 강조하고 경제적 으로 여유가 없는 대학생들에게는 가격을 중심으로 안내하는 것이 마케팅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 경구매는 미래보다는 현재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 났으며, 쾌락보다는 실용성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 났다. 이는 20대에는 당장의 시력교정의 필요성이나 가격과 같은 현재가치보다 외모관리와 디자인, 패션 과 같은 미래가치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30대 이상의 연령과 달리 소득이 부족하므로 안경을 착용 하면서 누릴 디자인, 패션과 같은 미래가치보다 시력 교정이나 가격과 같은 현재가치가 구매하는 데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소비가치 중 쾌락적 소비가치 수준 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소비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을 구매 하는 것은 내 삶을 만족스럽게 한다’는 문항에서 평균 값은 3.00점으로 나타나 3점이 중앙값인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평균적인 만 족을 제공하는 소비로 나타나 20대의 구매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지만 대학생들은 디자인, 흥미 요소 등과 같은 쾌락적인 소비가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 생의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안경구매 시 쾌락적 소비가치를 만족시키는, 국산브 랜드와 해외명품브랜드간의 콜라보레이션과 같은 다 양한 컨텐츠 개발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Figure

    Table

    Consumer value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surveyed (N=302)

    *Number=Frequency, ( )=%

    Analysis of purchasing spectacles (N=302)

    *Number=Frequency, ( )=%

    Main priority factors considered while purchasing spectacles (N=302)

    *Number=Frequency, ( )=%

    Differences between Average period of replacing spectac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Frequency, ( )=%

    Differences between Reasons for replacing the spectac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Frequency, ( )=%

    Differences between influences in selecting spectac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Frequency, ( )=%

    Differences between reasons for selecting spectac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Frequency, ( )=%

    Consumption Value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Consumption Satisfaction

    Consumption satisfaction for Consumption values

    *p<.05,
    **p<.01,
    ***p<.001

    Reference

    1. SungY.S. YooC.J. (2013) Comparisons of Consumption Happiness by Consumption Typology. , J Consumer Studies, Vol.24 (2) ; pp.1-23
    2. LeeJ.Y. OhH.J. (2010) A Comparative on Purchasing Propensity between Eyeglass Consumer of the Twenties and Optometric Students in Daegu City. , Korean J Vis Sci., Vol.12 (4) ; pp.255-264
    3. KimI.K. LeeJ.H. (2012) Comparison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Eyeglasses Buy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J Korean Oph Opt Soc., Vol.17 (2) ; pp.107-117
    4. ParkJ.H. LeeE.H. (2010) A Plan to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Opticians by Analyzing Consumers ?(tm) SpectaclesPurchasing Behavior. , J Korean Oph Opt Soc., Vol.15 (1) ; pp.1-7
    5. SuhE.K. KooJ.S.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COMOSWB): Scale Development andValidation. , Korean J Soc Personal Psychol., Vol.25 (1) ; pp.96-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