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 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흐름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의 빠른 성장과 함께 다양한 영상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비주얼 디스플레이의 보급률 또한 급 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령과 지역의 제한 없이 같은 시공간 속에서 누구나 손쉽게 매 시간 쏟아 져 나오는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환경 속 에서 특히, 시발달(visual development)에 민감한 소 아부터 청소년에게 그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근거리 작업을 요구하는 환경은 근시의 유발 및 진행의 가속화를 초래할 수가 있다.1,2)
근시의 발생은 유전적인 원인보다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아,3-5) 후천적 요인이 더 영향을 준다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2,6) 근시 발생 빈도는 경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에서 더욱 광범위 하게 분포할 것이라고 하며,7) 이는 곧 학업 연령에서의 지나친 근거리 작업에 노출된 환경8)과 신체의 성장으 로 인한 원인9)이 근시의 발생과 진행을 가속화 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10)의 2015년 보 고에 따르면 2050년에는 세계의 57%의 나라의 50% 넘 는 인구가 근시를 갖게 되어 전 인구의 10%인 9억이 넘는 사람들이 고도근시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한 심각한 안질환을 경험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굴절이상들 중에 근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 고 있다는 것은 이미 선행연구를11-13) 통해 확인된 바 있으며, 근시의 환경적 변화로 인한 영향은 국내의 연구 결과14-16)에서 도시와 농촌의 비교로 농촌의 초 등학생보다 도시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근시도가 높다 는 것을 보고하였으며,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근시 도 또한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고 하였다.12,14-18) 하 지만, 성별의 의한 차이는 있다는 보고12,19,20)와 상반 된 보고6,14)등 양분된 결과들이 있어 성별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지속적인 근거리 작업 환경과 시대의 발전 으로 야기된 성장기 초등학생들의 후천적 굴절상태의 변화의 관찰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선행 연구들에서도 전라도11,13,18,21,22)와 경상도6,14,15,18) 와 같은 지역적 특성에 따른 굴절상태의 보고들이 있 었다. 최근, 전라도 지역에 대한 초등학생의 굴절상 태에 대한 연구16)는 있었지만, 경상도 지역의 농촌과 도시의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에 대한 결과14)의 최근 추적 연구가 없어 본 연구에서 경북 경산지역의 농촌 과 도시의 초등학생 굴절상태를 비교하여 시력 변화 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Ⅱ.대상 및 방법
1.참여대상
경산교육지원청 주관 ‘밝고 투명한 아이(eye) 만들 기’ 사업의 일환으로 시력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를 목적 하에 2015년 9월-10월 동안 6개 초 등학교 총 609명(경산시(1개): 333명, 경산시외(5개): 276명) 전교생 중 부모허락 하에 시력검사 가능한 529명(경산시: 280명, 경산시 외: 249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적 특 성을 분석하기 위해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6장 제23 조 1항에 의거’) 경산시 외의 보건교사 미 배치된 초 등학교 5개교를 농촌그룹, 경산시내의 배치된 1개교 를 도시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초등학교 전 학년 중 학년별 비교를 위해 1-3학년을 저학년, 4-6학년을 고학년으로 다시 구분하였다.
본 검사에 참여한 초등학생 총 참여인원 529명(1058 안) 중 남녀 비율은 남자 291명(55%), 여자 238명(45%) 이었으며, 학년과 성별에 따라 분류하였다(Table 1).
2.검사 및 방법
검사와 관련된 기본 데이터는 성별, 학년, 안경착 용 유무, 5m용 한천석 시시력표를 이용한 원거리 좌 우 단안 시력(안경착용자는 착용상태, 미착용자는 나 안상태), 굴절검사값은 자동굴절검사기기(Auto Ref- Keratometer, Hubitz-3100, Hubitz, RK)를 이용하 여 3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으로 한 타각적굴절검사 결과이며, 모든 검사는 본 연구 저자의 책임 하에 안 경광학과 학생, 대구시 소재 ‘누네안과’의 안경사, 진 행 보조학생들과 함께 진행하였다.
굴절상태의 비교에서는 난시 굴절력을 포함하기 위해 등가구면굴절력(spherical equivalent power, SE)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정상시력의 기준은 세계보 건기구(WHO)의 분류 기준에 따라 나안시력 또는 교 정시력0.8이상으로 하였으며, 최고 시력은 1.0으로 정하였다.
이 검사를 통한 모든 결과는 연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 행사의 주관인 경산교육지원청과 참여 학 생 학부모들의 동의하에 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데이터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안경착용그룹과 미 착용그룹을 각각 그룹 별로 비교하였으며, 기초통계 분석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하였으며, 두 그룹의 평균 비교는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데이터 의 결과는 p값이 0.05보다 작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단하였다.
Ⅲ.결과 및 고찰
1.지역별 초등학생들의 안경착용 유무와 굴절상태
보건교사가 배치되어 도시 그룹(도시 초등학교)으 로 분류된 1개 초등학교 총 280명의 안경 착용 유무 는 각각 89명과 191명으로 31.79%와 68.21%로 나타 났으며, 미 배치된 5개 학교 즉, 농촌 그룹(농촌 초등 학교) 249명에서는 안경착용 한 학생이 67명, 미착용 한 학생은 182명으로 각각 26.9%와 73.1%를 보여 두 그룹간의 안경착용률에서 농촌의 초등학생들이 도시 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경을 덜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정시와 비정시의 그룹 비교에서는 도시의 학교 에서 정시가 158안으로 28.21%, 비정시가 402안으로 71.79%로 나타나 10명중 7명이 비정시이었고, 특히, 비정시 중 근시가 360안인 90%로 원시보다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농촌 학교에서는 정시가 169안으로 33.94%, 비정시가 66.06%로 비정시가 많 았고 비정시에서는 근시안이 271안으로 82.4%, 원시 안은 58명 17.6%로 나타났다(Table 2). 20년 전의 초 등학생의 정시안의 비율은 77.6%의 연구 보고19)와 비 교하면 거의 두 배 이상으로 비정시의 비율이 높아졌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국내 선행연구들의 보 고6,12,13,17,19,22)와 본 연구와 같은 결과로 비정시 중 근 시안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정시보다는 비 정시의 비율이 지역과 상관없이 높다는 것을 보였다.
2.나안시력 비교
1)전체 초등학생
Figure 1에서와 같이 안경 미착용자 학생의 도시 와 농촌의 전체 나안 시력에서 도시 초등학생들의 시 력은 평균 0.79±0.23이며, 농촌은 0.78±0.23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선행 연구들12,14-16) 에서 보고한 도시 지역의 학생들이 시력이 더 좋지 않다는 내용과 상응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대중적인 보급으 로 지역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생 각되어지며, 평균 나안시력 또한 두 그룹 모두 정상 시력을 겨우 유지하고 있지만 시력의 변화는 근시나 복성 근시성 난시에서는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 므로23)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하고, 지속적인 근거리 작업에 따른 초등학생 성장기의 굴절이상의 변화는 더욱 근시화1,12,17-19)로 더욱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지역 간의 나안시력 분포에서의 비율을 보면 0.2-0.4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얻었 다(Table 3). 나안시력 0.7이하로 교정이 필요한 학생 의 비율이 도시와 농촌 모두 약 27% 나타나 지역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김17)의 연구에서는 36.7%가 안경을 미착용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의 추가 교정이 필요한 학생들은 약 10% 적게 나타났다. 이는 보건교 사의 유무가 안경을 미착용한 학생들의 안경 착용 시 기를 놓치는 원인이 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2)학년별 및 지역별 비교
지역별로 1학년-3학년을 저학년, 4학년-6학년으로 구분하여 나안시력의 정도를 비교하였다(Figure 2). 저 학년 그룹에서 도시지역 학생들의 나안시력은 0.76± 0.25이었으며, 농촌지역의 나안시력은 0.81±0.21로 농 촌지역의 초등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좋은 시력을 보였지 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고학년 그룹에서의 도시지역 학생들의 나안시력은 0.79±0.23 이었으며, 농촌지역의 나안시력은 0.76±0.25로 저학년 과 달리 도시지역의 고학년 초등학생의 나안시력이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지역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 다. 또한 이 결과에서 각 지역별 저학년과 고학년간의 나안시력의 차이를 보면 도시지역에서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농촌지역에서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나안 시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t=-2.37). 이 결과는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정상이하의 시력군의 빈도가 증가한다는 보고들6,12,16,23)과 일치하여 환경에 따른 시력 저하가 요인으로 생각된다. 도시지역의 학년별 로 통계적 차이가 없는 이유는 저학년의 나안시력 0.76으 로 농촌지역 저학년의 나안시력 0.86보다 상대적으로 낮았고 고학년에서는 두 지역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며, 이는 농촌지역의 저학년들을 제외한 다른 세 그룹들은 더 높은 학업이나 근거리 작업 환경에 노출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3)성별 비교
지역 간 각 성별 비교에서는 남자 초등학생에서 도시와 농촌의 나안시력은 각각 0.77±0.24와 0.81±0.24로 나 타났으며,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의 비교에서도 0.80±0.23과 0.77±0.23으로 도 시와 농촌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간의 비교 에서도 선행연구 결과들6,14)과 같은 결과를 보여 본 여자 가 남자보다 조기 성장과정으로 인한 차이를 보인다는 홍 등12)의 성장 요인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즉, 본 연구결 과에서 시력 저하의 원인이 성장의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이 주된 이유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3.등가구면 굴절력 비교
도시와 농촌 간의 굴절상태 비교는 타각적굴절검 사 결과값을 토대로 등가구면굴절력을 계산하여 굴절 이상도를 비교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를 통해 얻은 굴절력을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계산하여 굴절이상도 를 비교하였다. Figure 3과 같이 도시와 농촌의 굴절 이상도는 각각 –1.35±1.95 D와 –0.96±1.67 D로 모 두 근시 경향을 보였으며, 도시 초등학생의 근시가 농촌보다 많은 근시도를 보였다(p=0.01, t=-3.44).
4.안경착용자의 교정상태
전체 초등학생의 안경착용률은 25.24%이었으며, 도시와 농촌 초등학교에서는 각각 24.12%와 26.91% 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1999년 보고한12) 15.0% 보다 상당히 높은 착용률을 보여 거의 20년 동안의 국내 초등학생들의 안경을 착용한 비정시가 약 10% 이상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별 안경을 착용하는 초등학생들의 착용상태의 시력을 측정하여 미교정 정도를 파악하였다(Figure 4). 도시와 농촌지역의 평균 시력은 각각 0.88±0.20와 0.82±0.21로 도시 초등학생들의 교정 상태가 좋았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2.92).
안경착용자의 시력이 0.7이하인 경우 교정이 필요 한 미교정상태로 정하였으며, Table 4에서와 같이 도 시 초등학생의 약 30%, 농촌 초등학교에서는 약18% 가 미교정상태로 나타나 추가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약 20-30%의 학생들이 미교 정으로 시력에 불편함을 갖고 있는 상태였으며, 상대 적으로 농촌보다 도시 초등학교 학생들의 시력교정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결 론
본 연구는 빠른 시대적 변화로 지속적인 근거리 작 업에 노출된 환경에서 굴절이상의 변화와 시발달 (visual development)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초등학 생들의 시력 및 굴절이상도의 차이를 지역별로 비교함 으로서 초등학생시력 및 굴절도의 기초자료로 사용하 고자 하였다.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나안시 력은 선행 연구들과는 다르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학년별 지역 비교에서는 농촌 초등학교 학생들에서만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저학년보다 나 안시력이 더 떨어졌다(p<0.05). 이는 농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근거리 작업을 요구되는 환경이 도 시의 저학년 학생들보다 낮다는 것을 보였지만, 고학 년에서는 지역적 특성과는 관계없이 모두 0.7정도의 시력을 갖고 있어 두 지역에서의 고학년들의 근거리 작업 환경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성별 비 교에서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남녀 성장발달의 차이로 인한 것보다는 환경적 원인이 주된 요인이라는 것을 더욱 뒷받침하고 있다. 나안시력에서의 결과와는 다 르게 등가구면 굴절력 비교에서 도시 초등학생들이 더 높은 근시도를 보여(p=0.01) 윤 등14)이 보고한 결과와 같았으며, 도시 초등학생들에게 근시변화에 보다 많 은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착용시력 비교에서는 농촌 학생들에게 추가 교정이 더 필요한 것(p<0.05)으로 나타나, 안경착용 학생들의 정기적인 검사와 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홍 등12)은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시력검사를 학교에 의존하여 학교의 보건교사의 중요 도에 대해 강조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도시 초등학생들의 0.7이하의 미교정안이 더 많아 시력 관 리를 하는 학교의 보건교사 유무와는 상관없이 정기 적인 검사의 중요성을 부모와 사회적 관심이 더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근시의 발생과 진행은 10세 이전에 발생한 근시는 이후에 발생한 근시보다 진행정도가 빠르며,24) 학년이 올라갈수록 함께 증가12,14,17,18)하여 일생동안 시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25) 최근 2015년 세계보 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보 고10)한 ‘The impact of myopia and high myopia’에 서 2010년에 근시인구는 3.0%에서 2050년에는 10.0%까지 급격히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고도 근시로 인한 망막에 발생하는 질환들 중 ‘myopic macular degeneration(MMD)’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 안 할 정도로 많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어 근시 유병 률의 급격한 증가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근시의 발생빈도에 대한 영향은 경제적으로 발 달한 국가에서 광범위하게 증가하기 때문에26) 국내 초 등학교 저학년의 근시 진행을 예방과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구분한 초등학생 시 력과 굴절이상도에 대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스마트 폰 보급의 대중화로 인한 초등학생들의 근거리 작업 시간 증가로 초등학생들의 시력변화 특히, 저학년의 근시증가와 근시도의 가속화에 대한 예방과 사회적 관심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