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1 pp.1-1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1.1

Influence of Static Visual Acuity, Tachistoscopic Vision and Eye Movements on Dynamic Visual Acuity

Hyee-Rin Moon, Ki-Choong Mah*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Daej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Choong Mah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82-31-740-7262, 031-740-7365, kcmah@eulji.ac.kr
December 21, 2017 March 14, 2018 March 19, 201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visual acuity and static visual acuity, tachistoscopic vision, or eye movement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visual acuity.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40 subjects. Dynamic visual acuity was measured for subjects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target which was oriented in four directions(top, bottom, right, left) and moved horizontally. Dynamic visual acuity was specified as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that subjects can resolve an orientation of a snellen E target projected onto the screen. Static visual acuity was assessed using the logMAR chart at 4 m; high-contrast(100%) and low-contrast(10%) static visual acuit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ntrast between optotypes and a background of the chart respectively. Tachistoscopic vision was evaluated by a five-number-digit target which was presented for 14 and 7 msec. A remote eye-tracking device recorded fixation and saccadic eye movements while subjects were reading the NYSOA King-Devick test.


Results:

High-contrast and low-contrast static visual acu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ynamic visual acuity(high-contrast visual acuity: r=-0.43, p=0.01, low-contrast visual acuity: r=-0.40, p=0.01). Dynamic visual acuity showed no correlation both with tachistoscopic vision (r=-0.29, p=0.07) and tachistoscopic vision when reduced influence of the visual memory during the tachistoscopic vision test (r=-0.10, p=0.57). Fixation and saccadic eye movements were not correlated with dynamic visual acuity (fixation counts: r=0.07, p=0.65, fixation duration: r=0.27, p=0.10, saccade counts: r=0.02, p=0.93, saccade duration: r=0.01, p=0.98, saccade amplitude: r=0.22. p=0.18, saccadic velocity: r=0.23, p=0.15).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dynamic visual acuity was high-contrast visual acuity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β=-0.43, 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ynamic visual acuity is related with vision and visual quality based on static visual acuity. High-contrast visual acuit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dynamic visual acuity among static visual acuity, tachistoscopic vision and eye movement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investigations ne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ynamic visual acuity and tachistoscopic vision or eye movements.



정지시력, 순간시력 및 안구움직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

문 혜린, 마 기중*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대전

    Ⅰ. 서 론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 다.1,2)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인원이 늘어남에 따라 스포츠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졌고, 이로 인하여 효율적인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능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3-6)

    스포츠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동 작을 하는 환경을 인지하고 시‧공간적 정보를 수집해 야 한다.7) 스포츠 활동과 지각능력의 관계에 대한 여 러 논의가 있으나, 스포츠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감 각은 시각이다. 시각에서 비롯한 정보는 스포츠 활동 중 수집된 정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른 감각기관 에서 인지된 정보보다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 이다.6-9)

    일반적으로 시각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은 정지한 물체를 식별하는 정지시력(Static visual acuity)이 다. 그러나 스포츠 활동에서는 정지시력뿐만 아니라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색각시(Color vision), 안구움직임(Eye movement), 입체시(Stereopsis) 등 여러 가지 시각 능력이 요구된다.11) 특히 스포츠 활동 과정에서 요구 되는 시각적 정보는 움직이는 물체의 식별이기 때문 에, 이러한 시각능력 가운데 움직이는 물체를 정확하 게 인지하고 추적하는 동체시력이 스포츠 경기력에 영 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11,12)

    Ludvigh와 Miller는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DVA)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고 관찰 자와 시표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존재할 때 시표를 식별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11-13) 그러나 동체시력 은 단순히 정지시력에서 파생한 성분이라기보다는, 다 양한 환경에서 선명함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시기능이 혼합된 능력으로 볼 수 있다. 동체시력은 홱보기 안구움 직임(Saccadic eye movement), 따라보기 안구움직임 (Pursuit eye movement), 주시 유지(Maintenance of fixation), 주변 인지(Peripheral awareness), 피사체 -배경 구별(Figure-ground discrimination), 형태 식 별(Form discrimination) 등 많은 시각기능과 관련이 있다.8,11,14)

    동체시력은 스포츠 경기 수행 능력과 시기능을 비 교한 연구에서 성공적인 스포츠 경기 수행과 관련이 있는 시기능으로 다루어졌다.15-18) 스포츠 경기 수행 과 동체시력이 연관성을 가지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 하여 동체시력의 특성이 세부적으로 논의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체시력의 근본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 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체시력의 특성을 논의하 기 위해 정지시력, 안구움직임 및 순간시력이 동체시 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안과 및 전신질환이 없는 20-30대 일반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 나안시력 혹은 교정시력이 양안 1.0 미만인 자, 구면굴절력 –6.00 D 이상, 원주 굴절력 –2.00 D 이상 혹은 양안의 등가구면 굴절력 차이가 2.00 D 이상인 자, 시력교정술을 받은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을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하였다(EU16-26).

    연구 대상자의 정지시력을 측정한 후 남은 검사 항 목의 순서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검사를 진행하였고, 휴식 시간에는 과도한 근거리 작업을 자제하도록 하 였다. 모든 검사는 나안 혹은 연구 대상자의 굴절 이 상을 교정한 상태에서 진행하였으며, 검사실의 조도 는 200 lx이었다.

    3. 검사 항목

    3.1.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동체시력은 국내에서 이 등10)이 시행한 방법에 따 라 제작한 동체시력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다(Fig. 1). 동체시력 측정 장치는 차트프로젝터, 회 전 거울, 스크린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스크린으로 백색 포맥스판(2400 mm × 300 mm)을 이용하여 검 사 시 반사광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고, 회전거울은 1 rpm 단위로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회전모터에 거울 을 장착하여 제작하였다. 차트프로젝터에서 추출된 Snellen E 시표는 회전거울에서 입사하여 스크린에 1 cm 크기로 투영되었다. 검사는 연구 대상자의 이마 와 턱을 고정한 상태에서 진행하였고, 대상자와 스크 린 사이의 거리는 2 m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스크 린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Snellen E 시표 를 보고 시표의 방향을 식별하였다. Snellen E 시표 는 상하좌우로 반전되어 각 방향 당 4회씩 총 16회 출현하였으며, 시표 방향을 10회 이상 정확하게 응답 하였을 때 각속도를 상향 조정하였고 8회 이상, 10회 미만으로 시표 방향을 식별하였을 때에는 같은 속도 에서 시표를 반복 출현시켰다. 시표를 반복 출현시켰 을 때 10회 이상 시표 방향을 정확하게 식별하였다면 각속도를 상향 조정하였고, 반복적으로 출현시켜도 10회 미만으로 식별하였다면 측정을 종료하였다. 시 표 속도는 60-140˚/sec 범위에서 10˚/sec 단위로 조정하였으며 동체시력은 시표 방향을 10회 이상 식 별한 가장 빠른 각속도로 정하였다.

    3.2. 정지시력(Static visual acuity)

    4 m 거리에서 logMAR 차트(PVVAT ver. 4.7, Precision Vision, USA)를 이용하여 단안 및 양안의 원거리 나안시 력이나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교정시력은 연구 대상자 가 평소에 착용하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 에서 측정하였다. 정지시력은 logMAR 차트의 배경과 글자간 대비에 따라 고대비시력(100%)과 저대비시력 (10%)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3.3. 순간시력(Tachistoscopic vision)

    순간시력은 짧은 순간 출현하였다 사라지는 숫자 를 보고 정확하게 식별한 숫자의 개수를 점수화하여 측정하였다. 선행연구19,20)를 참고하여 3.5 mm 크기 의 다섯 자리 숫자가 화면 중앙에 출현하도록 시표를 제작하였고, 시표 노출 시간은 14 msec(72 Hz)와 7 msec(144 Hz)로 나누었다. 시표는 노출 시간 당 10 회씩 출현시켰다(Fig. 2).

    검사 화면은 주사율이 144 Hz인 모니터(QNIX QX2414LED144, KyoungSeong Global Korea Co., Korea)를 사용하였고, 대상자에서 화면까지의 거리 는 70 cm를 유지했다.

    3.4. 안구움직임(Eye movement)

    연구 대상자의 검사 수행 시간, 주시 및 홱보기 안구 움직임을 고정형 안구추적장치(Remote Eye Tracking System, SensoMotonic Instruments Co., Germany)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구추적장치의 표본 주파수 는 500 Hz로 설정하였고, 안구움직임을 측정하기 전에 눈금보정(calibration) 과정을 거쳤다.

    안구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 NYSOA King-Devick 검사 시표를 사용하였고, King-Devick 검사의 세 가지 하위 검사를 각각 3회씩 시행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 다. 시표 크기는 검사에 사용되는 모니터(XPEER ST32EH3500, Speed Technology Co., Korea)의 해 상도에 맞추어 수정하였으며 원본과 동일한 비율로 출 현되도록 하였다(Fig. 3). 연구 대상자의 턱과 이마를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모니터와 대상 자 사이 거리는 70 cm이었다.

    4. 데이터 처리

    4.1. 순간시력 데이터

    순간시력은 다섯 자리 숫자 시표 중 식별한 숫자의 개수마다 점수를 부과하여 하나의 시표를 전부 인지 하였을 때 1점이 되도록 하였다. 시표 노출 시간이 14 msec와 7 msec로 두 배 차이가 나므로 14 msec일 때는 숫자 당 0.2점, 7 msec일 때는 0.4점으로 계산 하였다. 또한 다섯 자리 숫자 중 가장 첫 번째 숫자의 인지 여부만을 분석하여, 시각적 기억능력(visual memory)의 영향을 축소시킨 순간시력 점수를 추가 로 산출하였다.

    4.2. 안구움직임 데이터

    안구추적장치에서 수집한 안구움직임 데이터의 신뢰 도를 높이기 위해 대상자의 전체 안구움직임 데이터 중 가장 앞쪽과 뒤쪽의 10%를 제외한 후 분석하였다.

    4.3. 통계 분석

    SPSS Statics ver. 21, Origins ver. 8.5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을 수행하였다. 통계 검정의 신뢰수준은 95%로 지정 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전체 대상자 40명의 평균 나이는 23.58±2.43세, 평균 등가구면굴절이상도는 –1.28±1.33 D였다. 양 안의 나안시력이나 교정시력은 평균 고대비 정지시력 이 –0.20±0.06(logMAR), 저대비 정지시력이 –0.09 ±0.07(logMAR)이었다. 동체시력의 평균은 97.00± 21.86˚/sec이었고, 평균 순간시력 점수는 27.10± 5.18점이었다(Table 1).

    2. 정지시력 측정 결과

    전체 대상자의 고대비 logMAR 시력은 –0.20±0.06, 저대비 logMAR 시력은 –0.09±0.07이었다(Table 2).

    동체시력과 정지시력의 상관분석 결과, 동체시력 과 고대비 정지시력은 r=-0.43(p=0.01), 동체시력과 저대비 정지시력은 r=-0.40(p=0.01)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3, Fig. 4).

    3. 순간시력 측정 결과

    순간시력 점수는 노출 시간이 14 msec일 때 6.86 ±1.37점, 7 msec일 때 11.68±3.45점이었다. 총 순 간시력 점수는 18.54±4.64점이었다. 순간시력과 동 체시력의 상관관계는 r=-0.29, p=0.07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4).

    5개의 숫자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여 순간시력을 측정할 때 개입될 수 있는 시기억능력(visual memory)의 영향을 축소시킨 경우, 순간시력 점수는 시표 노출 시간이 14 msec일 때 1.66±0.34점, 7 msec일 때 2.83±0.84점 으로 총점은 4.49±1.07점이었다. 시기억능력의 개입을 축소시킨 순간시력과 동체시력의 상관분석 결과, 순간시 력과 동체시력은 상관성이 없었다(r=-0.10, p=0.57) (Table 5).

    4. 안구움직임 측정 결과

    NYSOA King-Devick 검사 시표를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을 측정한 결과, 세 가지 하위 검사의 주시 횟수 평균은 42.46±4.30회(Test 1: 40.91±4.78회, Test 2: 41.61±4.83회, Test 3: 44.88±4.69회), 주시 지속 시간의 평균은 0.17±0.02초였다(Test 1: 0.17±0.02 초, Test 2: 0.17±0.02초, Test 3: 0.17±0.02초).

    홱보기 횟수의 평균은 51.66±7.82회(Test 1: 51.27 ±8.70회, Test 2: 52.29±8.72회, Test 3: 51.43± 8.24회), 홱보기 지속시간의 평균은 0.06±0.00초였 다(Test 1: 0.06±0.01초, Test 2: 0.06±0.01초, Test 3: 0.06±0.01초).

    홱보기 진폭의 평균은 9.97±1.64゚(Test 1: 10.16 ±1.74゚, Test 2: 9.92±1.63゚, Test 3: 9.83±2.25゚), 홱보기 속도의 평균은 154.72±30.99゚/sec이었다 (Test 1: 157.09±34.27゚/sec, Test 2: 154.35±27.67 ゚/sec, Test 3: 152.70±41.54゚/sec).

    시표를 읽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균 14.35±1.98초 였다(Test 1: 14.11±1.91초, Test 2: 14.22±2.04초, Test 3: 14.73±2.19초)(Table 6).

    동체시력과 안구움직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동 체시력과 주시 횟수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r=0.07, p=0.65), 주시 지속시간은 약한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r=0.27, p=0.10). 동체 시력과 홱보기 횟수 및 지속시간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saccadic counts: r=0.02, p=0.93, saccadic duration: r=0.01, p=0.98). 홱보기 진폭과 속도는 동 체시력과 약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saccadic amplitude: r=0.22, p=0.18, saccadic velocity: r=0.23, p=0.15).

    동체시력과 검사 수행 시간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18, p=0.26)(Table 7).

    5. 다중회귀분석 결과

    동체시력과 고대비 및 저대비 정지시력, 시기억능 력의 영향을 축소시킨 순간시력, 주시 지속시간의 단 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대비 정지시력이 동체시 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성분으로 나타났으며(β =-0.43, p=0.01), 저대비 정지시력, 순간시력, 주시 지속시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low-contrast static visual acuity: β=-0.18, p=0.40, tachistoscopic vision: β=-0.11, p=0.48, fixation duration: β=0.21, p=0.16). 회귀 식은 “Dynamic visual acuity = 68.03 - 147.05 × High-contrast visual acuity(R2adj=0.16, p=0.01)”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8).

    Ⅳ. 고 찰

    동체시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되어왔다. 본 연 구와 같이 시표 크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표를 식별 할 수 있는 최고 각속도로 동체시력을 측정하는 방법 이 있는 한편,10,16,24,25) 각속도 별 logMAR 시력으로 동체시력을 측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었다.26-28) 동 체시력과 정지시력은 상관관계가 없다는 선행 연구가 있으나,16,18) 백내장 환자의 수술 전후 정지시력과 동 체시력을 연구한 Ao 등28)은 동체시력과 정지시력이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비 및 저대비 정지시력이 좋을 수록 동체시력이 높았다. 시표가 빠르게 움직이면 망 막상의 움직임(retinal motion)과 망막 흐려짐(retinal smear)이 발생하여 형태가 뭉그러진 것처럼 보이므 로 작은 시표를 식별하는 것이 힘들다.26,28) 따라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시표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시 표의 좁은 틈을 구분할 수 있도록 낮은 최소분리역 (Minimum separability)이 요구되므로 정지시력이 좋을수록 동체시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양안 시력이 1.0 이상인 자만을 대상 으로 하였으므로, 양안 시력이 1.0 미만인 경우에도 정지시력과 동체시력이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정지시력은 고대비 정지시력을 의미하 기 때문에, 동체시력과 정지시력의 상관성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대부분 동체시력과 고대비 정지시력을 분 석하였다. 그러나 물체가 작고 빠르게 움직이면 대비 가 떨어지게 되므로27) 움직이는 물체를 볼 때 선명한 이미지가 아닌 대비가 낮아진 상태로 보일 것이다. 저대비 정지시력은 배경과 대비가 낮은 시표의 식별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체의 미세한 부분 까지 판단할 수 있는 더 민감한 시력 즉, 시력의 질을 측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저대비 정지시 력이 좋을수록 동체시력이 좋다는 결과는 일반적으로 물체를 구분하는 능력이 좋아야 할 뿐만 아니라, 시 각 능력의 질 또한 동체시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 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순간시력을 측정하여 동체시력과 인지 속도(speed of recognition)의 상관성을 분석하 고자 하였다. 많은 스포츠비전 연구에서 짧은 노출 시간 동안 시표를 인지하는 능력을 평가하였으나 인 지 속도보다는 반응시간(reaction time)을 측정하여 운동선수의 스포츠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29,30) 그 러나 본 연구에서는 순간시력과 스포츠 활동의 관계 분석이 아닌 동체시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기 때문에, 시자극을 이용한 인지 능력만을 순간 시력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순간시력은 동체시력과 낮은 상관성 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순간시력은 하나의 숫 자나 문자로 측정한 정지시력 및 동체시력 시표와 달 리 5개의 숫자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시각적 기억능력(visual memory)이 개입되었 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 여 다섯 자리 숫자 중 대상자들이 처음으로 읽게 되 는 시표의 가장 왼쪽 숫자의 인지 여부만을 순간시력 으로 재평가하였으나, 이와 같이 시각적 기억능력이 배제된 상태에서 산출된 순간시력 또한 동체시력과 상관성이 없었다.

    운동선수의 동체시력은 눈을 자유롭게 움직일 때 일반인보다 높았으나 눈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밝힌 Uchida 등의 연구와25) 동체시력 을 주요하게 사용하는 스포츠 선수는 홱보기 진폭이 크고 속도가 빠르다는 연구들은31,32) 동체시력과 안구 움직임의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동체시력과 안구움직임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선 행 연구와 차이가 있었고, 안구움직임 중 동체시력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던 주시 지속시간 또한 동체 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β=0.21, p=0.16).

    선행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시표를 사용하여 안구 움직임을 측정하거나, 시표의 노출 시간을 제한시키 고 시표를 식별하도록 했다.31)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 용한 King-Devick 시표는 스포츠 활동 전후의 검사 수행 시간을 비교하여 스포츠 활동 중 타격 등으로 인한 안구운동 이상 여부를 가려내기 위한 선별 검사 시표이다.33) 이러한 시표 특성의 차이로 인해 동체시 력과 안구움직임의 상관성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 연구 결과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다르게 동체시력과 안 구움직임의 상관성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안구운동능력이 동체시력에 영향을 미치 는 정도와, King-Devick 시표로 측정한 안구움직임 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안구운동능력을 정확하게 평가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20-30대 일반인의 정지시력, 순간시력, 안구움직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동 체시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동체시력은 고 대비, 저대비 정지시력에 따른 시각 능력 및 시각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순간시력과 동체시력은 상관관 계가 없었다. King-Devick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한 주시 및 홱보기 안구움직임은 동체시력과 상관성이 없었다. 정지시력, 순간시력, 안구움직임 중 동체시 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정지시력이었고, 순간시 력이나 안구움직임이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은 추가 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igure

    KJVS-20-1_F1.gif

    Schematic diagrams of dynamic visual acuity measuring apparatus; shown (A) from above, (B) from the side.

    KJVS-20-1_F2.gif

    Illustration of a sequence of frames in the tachistoscopic vision test; First, subjects gazed on frame 1. After 10 seconds, a target was flashed on the center of a screen for 14 or 7 msec according to the test order, then frame 3 was displayed for 10 seconds.

    KJVS-20-1_F3.gif

    NYSOA King-Devick test adjusted to the monitor screen size; (A) test 1, (B) test 2, (C) test 3.

    KJVS-20-1_F4.gif

    Simple linear regression between (right) high-contrast static visual acuity and dynamic visual acuity, (left) low-contrast static visual acuity and dynamic visual acuity.

    Tab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High contrast;
    ***Low contrast

    Results of the static visual acuity test

    Correlation between dynamic visual acuity and static visual acuity

    Results of the tachistoscopic vision test and correlation between tachistoscopic vision scores and dynamic visual acuity

    *Sum of each tachistoscopic vision score.

    Tachistoscopic vision scores with reduced influence of visual memory and correlation between dynamic visual acuity and tachistoscopic vision scores

    *Sum of each tachistoscopic vision score.

    Results of the eye movement test

    Correlation between eye movements and dynamic visual acuity

    Results of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ariance sele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y=68.03-147.05*High-contrast visual acuity
    SE: Standard error, <i>β</i>: Standardized coefficient, <i>R</i><sup>2</sup><sub>adj</sub>: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p</i><0.05

    Reference

    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Available at http://www.mcst.go.kr, Accessed January 15, 2017.
    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6 National survey of participation on sports of all. Available at http://www.mcst.go.kr, Accessed January 15, 2017.
    3. Kim, C. B., and B. J.Lee. The effect of visual skills by characteristics training on batting performance.J Sport Leisure Stud., Vol. 14, 2000, pp. 489–498.
    4. WilkinsL: Vision testing and visual training in sport. University of Birmingham PhD Thesis, pp.165-171, 2015.
    5. Schwab, S., and D.Memmert. The impact of a sports vision training program in youth field hockey players.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Vol. 11, No. 4, Dec.1, 2012, pp. 624–631.
    6. ParkSH: Study on the differences of accuracy anticipation and visual search strategies according to table tennis expertise and presentation level of visual-auditory inform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82-86, 2012.
    7. Williams, A. M., and K.Davids, et al.Visual perception and action in sport. Taylor & Francis, New York, 1999, pp. 85–89.
    8. Sinnett, S., C.Spence, and S.Soto-Faraco. Visual dominance and attention: The Colavita effect revisited.Perception & Psychophysics, Vol. 69, No. 5, Jul.2007, pp. 673–686.
    9. Colavita, F. B.Human sensory dominance.Atten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Vol. 16, No. 2, 1974, pp. 409–412.
    10. Lee, M. H., and K. C.Ma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Vol. 16, No. 1, 1996, pp. 155–161.
    11. Erickson, G. B.Sports vision: Vision care for the enhancement of sports, 1st ed.Butterworth-Heinemann, Oxford, 2007, pp. 19–68.
    12. Won, C. H., and K. C.Mah. Sports vision, 1st ed.Daehakseorim, Seoul, 1993, pp. 59–65.
    13. Ludvigh, E.The visibility of moving objects.Science, Vol. 108, No. 2794, Jul.16, 1948, pp. 63–64.
    14. Hoffman, L. G., M.Rouse, and J. B.Ryan. Dynamic visual acuity: A review.Journal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Vol. 52, No. 11, Nov.1981, pp. 883–887.
    15. Lee, M. H., and K. C.Mah, et al.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for athletes and nonathletes.Korean J Vis Sci., Vol. 2, No. 1, 2000, pp. 1–6.
    16. Ahn, B. C.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6, No. 2, 1998, pp. 238–244.
    17. Yoon, K. J., and J. H.Y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skill, static visual acuity, and dynamic visual acuity.Korean J Physical Educat., Vol. 39, No. 1, 2000, pp. 417–425.
    18. Lee, M. A., and J. M.Oh, et al.Dynamic visual acuity and dynamic stereo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J Korean Oph Opt Soc., Vol. 14, No. 3, 2009, pp. 43–49.
    19. Renshaw, S.The visual perception and reproduction of forms by tachistoscopic methods.Journal of Psychology, Vol. 20, No. 2, 1945, pp. 217–232.
    20. Godnig, E. C.The tachistoscope its history & uses.Journal of Behavioral Optometry, Vol. 14, No. 2, 2003, pp. 39–42.
    21. Koo, B. Y., and S. J.Oh, et al.Analysis of eye movement characteristics in the NYSOA K-D and the DEM test with eye tracking device.Korean J Vis Sci., Vol. 16, No. 4, 2014, pp. 527–535.
    22. Lee, S. R., and H.Suh.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research on reading process using eye-tracker.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46, 2013, pp. 479–503.
    23. Yoon, N. Y., and S. R.Koh. Eye-movements in reading easy and difficult texts.Korean J Cognit Sci., Vol. 20, No. 3, 2009, pp. 291–307.
    24. Kohmura, Y., and K.Aoki, et al.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visual acuity and saccadic eye movement.Hum Perform Measure., Vol. 5, 2008, pp. 23–30.
    25. Uchida, Y., D.Kudoh, A.Murakami, M.Honda, and S.Kitazawa. Origins of superior dynamic visual acuity in baseball players: Superior eye movements or superior image processing.PLoS One, Vol. 7, No. 2, 2012, p. e31530.
    26. Geer, I., and K. M.Robertson. Measurement of central and peripheral dynamic visual acuity thresholds during ocular pursuit of a moving target.Optometry and Vision Science, Vol. 70, No. 7, Jul.1993, pp. 552–560.
    27. Brown, B.The effect of target contrast variation on dynamic visual acuity and eye movements.Vision Research, Vol. 12, No. 7, Jul.1972, pp. 1213–1224.
    28. Ao, M., X.Li, C.Huang, Z.Hou, W.Qiu, and W.Wang. Significant improvement in dynamic visual acuity after cataract surgery: A promising potential parameter for functional vision.PLoS One, Vol. 9, No. 12, Dec.26, 2014, p. e115812.
    29. PatersonG: Visual-motor response times in athletes and non-athletes. Stellenbosch university PhD Thesis, pp.79-94, 2010.
    30. Mori, S., Y.Ohtani, and K.Imanaka. Reaction times and anticipatory skills of karate athletes.Human Movement Science, Vol. 21, No. 2, Jul.2002, pp. 213–230.
    31. Morgan, S., and J.Patterson. Differences in oculomotor behaviour between elite athletes from visually and non-visually oriented sports.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40, No. 4, 2009, pp. 489–505.
    32. RudinAMA, SharipanMN: Improvement of the saccadic eye movements with the sport training activity. I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lloquium on Sports Science, Exercise,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15 (ICoSSEET 2015). Singapore, Springer, pp.261-268, 2016.
    33. Sussman, E. S., A. L.Ho, A. V.Pendharkar, and J.Ghajar. Clinical evaluation of concussion: The evolving role of oculomotor assessments.Neurosurgical Focus, Vol. 40, No. 4, Apr.2016, p. E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