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2007년 Dry Eye Workshop(DEWS)에서는 건성안 을 눈물과 안구표면에 관련된 다인성 질환으로 눈의 불편감과 시력장애를 수반하며 안구표면의 염증을 동 반하는 질환으로 정의하였다.1)
인구 기반 연구에서 건성안 유병률은 인구 고령화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미국 인구 통계국에 따르면 2000-2050년 사이 건성안 유병률은 65-84세 연령층 에서는 100%, 8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333%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고, 이는 세계의 많은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낼 것이라 하였다.2) 국내 안과 전문 의 1,97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3)에서 37.8%의 안 과전문의들은 외래 환자들 중 건성안 환자가 20-30% 를 차지한다고 하였으며, 20% 이상이라고 답변한 경우 가 전체 안과전문의 중 63.5%로 해마다 건성안 환자의 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건성안 환자의 비율과 유병률 증가를 고려하면 건성안 여부를 판별하 는 검사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성안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1)설문조사법, 2)형 광용액과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하는 눈물막파괴시간 검사법(TBUT, Tear break-up time), 3)케라토미터 (Keratometer)를 이용하는 비침입성눈물막파괴시간 검사법(NIBUT, 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 4)와트만지(whatman paper)를 활용하는 쉬 르머검사법(Schirmer test) 등이 사용되고 있다.
설문조사법으로는 McMonnies Dry eye Index,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 등이 주로 사 용되고 있고 특별한 기기나 도구 없이 설문지를 통해 자각증상으로 건성안을 조사할 수 있어 임상에서 많 이 활용되고 있다.
TBUT법은 형광염료(fluorescein dye)를 눈물에 염색시킨 후 눈물막이 깨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으로 검사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 어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형 광염료를 눈에 넣는 침습적(invasive) 방법으로 염료 에 의해 눈물막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4), 형광염료에 각막궤양 및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녹농 균이 오염될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형광염료 strip을 사용하여 검사할 경우 건성안의 경 우에는 검사가 한 번에 성공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나 타난다. 이러한 문제점 이외에도 검사자에 따라 측정 오차가 크고 재현성이 낮으며 건성안 감별에 대한 민 감도가 46.55%로 높지 않으며, 특이도는 61.49%로 보고되었다.5) 따라서 최근에는 NIBUT 검사가 건성 안 검사에 대체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NIBUT 검사방법 중에서 케라토미터를 이용하는 검사법은 기기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눈물막이 깨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눈물층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어 최 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케라토미터를 이용한 NIBUT 검사법의 건성안 감별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연 구자에 따라 98%, 80%6), 84%, 74%7)로 높게 보고되 어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각막곡률계 기능 이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는 측면과 검사자에 의한 측 정 오차가 발생하는 제한점이 보고되었다.8,9)
쉬르머검사(Schirmer’s test)는 눈물의 양을 측정 하여 건성안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로 지난 100여 년 간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10) 쉬르머검사는 길이 35 mm, 폭 5 mm의 와트만지(Whatman paper)의 한쪽 끝을 구부려 하안검의 귀 쪽 ⅓ 지점에 삽입하여 하 안검낭에 존재하는 눈물을 흡수시켜 눈물의 양을 측 정하는 방법이다. 검사과정 중 검사 용지를 눈 속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통증과 더불어 반사 눈물(reflex tear)이 유발되기 때문에 검사 용지가 하안검 낭에 삽입될 때 자극이 최소가 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정 확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 값이 달라지는 제한점이 있다. 쉬르머검사의 건성안 감별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연구자에 따라 각각 10%, 100%,5) 25%, 90%,11)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 57%, 72%12)로 건성안에 대한 민감도가 낮지만 수 십 년간 눈물검사에 기본적으로 사용된 방법으로 현재까 지 꾸준히 눈물검사에 사용되고 있다.
임상에서 쉬르머검사를 할 경우 반사눈물 때문에 검사에 어려움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자극감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은데 이는 한국인의 검열형태가 서양인과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서양인의 검열 형태는 상안검연은 내측 ⅓ 부위가 가장 높고 하안검 연은 외측 ⅓ 부위가 가장 낮으나, 한국인의 경우에 는 상안검연에서는 내측 ½ 부위가 가장 높고, 하안검 연에서는 내측 ½ 부위가 가장 낮아 상안검의 높은 부 위와 하안검의 낮은 부위가 안검의 가운데에 위치하 기 때문에 하안검의 경사도가 매우 가파른 형태를 이 루게 된다.13,14) 또한 검열이 상외측으로 편위되어 있 고, 내측눈구석과 외측눈구석이 이루는 검열선의 경 사도가 서양인의 안검형태와 달리 가파르며, 상안검 에 의한 각막덮힘 비율이 다른 아시안보다도 크기 때 문에15) 쉬르머용지를 하안검 낭에 삽입한 상태에서 눈을 깜박이게 되면 용지가 이동하여 각결막을 자극 하여 반사눈물 분비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이물감 과 불편감을 가중시켜 검사의 재현성이 떨어지는 것 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쉬르머검사 시 발생하는 자 극감을 줄이기 위해서 하안검에 삽입되는 부위를 5 mm보다 작게 만든 변형된 쉬르머용지(K-쉬르머 용지)를 제작하고, K-쉬르머용지의 재현성과 정확도 및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기존의 쉬르머용지와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Ⅱ. 연구재료(대상) 및 방법
1. K-쉬르머용지의 개발 및 정확도 분석
1) 연구재료
(1) K-쉬르머용지 제작
K-쉬르머용지는 Whatman사의 와트만지 #41을 이용하여 길이 41 mm, 너비 5 mm로 길이와 너비는 기존 쉬르머 용지와 동일하게 제작하고, 삽입되는 부 분의 폭은 기존 쉬르머용지의 5 mm를 3 mm로 줄여 스트립을 제작하였다. 하안검에 삽입되는 부분의 폭 이 5 mm인 경우 하안검의 귀쪽 부분과 용지가 접촉 되어 이물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끝 부분이 너무 좁으면 흡수 면적이 적어 검사시간이 길어지는 예비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3 mm 폭으로 결정하였다. 스 트립의 눈금은 1 mm 단위로 최대 35 mm까지, 숫자 는 5부터 5단위로 30까지 인쇄하였고, 5 mm 눈금 부 분에 청색 염료를 인쇄하여 눈물이 흡수됨에 따라 용 지가 파란색으로 변하게 제작하였다. 우안과 좌안에 사용 시 혼란을 막기 위해 스트립의 바깥쪽 하단에 R, L을 각각 표시하였다(Fig. 1). 완성된 K-쉬르머 용지는 감마선을 조사하여 멸균 처리하였다. 제작한 K-쉬르머용지와 기존의 쉬르머용지를 비교하기 위해 서 시판되고 있는 Schirmer tear ®(EagleVision Inc., Menphis, TN, US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정확도 분석을 위한 용액
K-쉬르머용지의 흡수도를 분석하기 위해 눈물과 pH, 표면장력, 점도 등 물리적 특성이 비슷한 Opti-free Express(Alcon, USA) 용액를 연구에 사용하였다.16-19) 용액의 양은 눈물의 양이 약 7.0±2.0 ㎕라는 점에 기초하 여, 마이크로피펫(micro pipette)을 이용하여 용액을 2, 4, 6, 8, 10 ㎕씩 취하여 특수 제작한 아크릴판 위에 옮긴 후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를 각각 닿게 하여 1분간 흡수시킨 후 흡수된 길이를 기록하였다. 각 실험은 10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2. K-쉬르머용지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1) 연구대상
K-쉬르머용지를 이용하여 눈물의 양을 측정하고 임상적인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대 성인을 기 준으로 연구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서면 동의서를 작성한 50명(남자 18명(36%), 여자 32명(64%), 평균나 이 23.19±2.10세)을 대상자로 눈물검사를 시행하였다. 굴절이상도는 제한을 두지 않았고 굴절교정술 이력과 안과질환이 없는 경우에만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대상 자 중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사 전 1주일동안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도록 지도하였 다. 본 연구과정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승 인번호 EU17-04).
2) 연구방법
점안마취는 하지 않은 상태에서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 검사용지의 한쪽 끝을 접어 아래 눈꺼풀을 당 긴 후 아래 눈꺼풀 귀 쪽 ⅓ 지점에 걸어서 접힌 부분 을 결막낭 내에 삽입하여 5분 동안 흡수되도록 하였 다. 검사시간 동안 눈을 감게 하였고, 5분이 지난 후 쉬르머용지를 제거하여 젖은 부분의 길이를 mm 단위 로 측정하였다. 두 검사는 무작위 순서로 진행하였 고, 눈물의 재생시간과 안구피로도를 고려하여 검사 는 20분 간격을 두고 단일 검사자가 시행하였다. 쉬 르머검사와 K-쉬르머검사 측정값의 신뢰도를 분석하 기 위해서 대상자를 하루 간격으로 3회 방문하도록 하여 총 3회 동일 검사자가 검사하였다.
피검자의 건성안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TBUT 검사는 fluorescein 염료 4.5 ㎕가 포함된 용지(Haag- Streit Strips, Haag-Streit, USA)를 식염수에 적신 후 피검자의 시선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구결막 상외측에 염료를 묻히고 눈을 깜빡이게 하여 눈물막에 충분히 염색 되게 한 후 fluorescein 염료가 최초로 깨지는 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정확도를 위해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5초 미만인 경우 건성안으로 간주 하였다.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 삽입 시 피검자가 느 끼는 자극감을 비교하기 위해 통증 자각 정도를 5점 척도(1점 : 약간의 이물감 ~ 5점 : 매우 심한 통증)로 설문 평가하였다.
3. 통계분석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신뢰도 평가는 각각의 쉬르머용지를 2-10 ㎕의 용액에 각각 10회씩 반복 측정 하여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 alpha coefficient) 값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용액의 양에 따라 각각의 쉬르머용지에 용액이 흡수된 길이는 독립표본 t 검정 (Independent sample t-test)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용액의 양과 흡수 길이의 상관성은 Pearson Correlation 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성에 대한 예측은 상관계수(coefficient of correlation) r 값 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 측정값 비교는 대응표본 t 검정 (Paired t-test)을 사용하 였고,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로 평가하였으며, K-쉬르머검사 측 정값과 쉬르머검사 측정값 사이의 상관성은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법의 민감도와 특이도 및 정확도 분석은 TBUT 측정값을 기준으로 건성안을 분류하고 ROC(Receiver Operative Characteristics) Curv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cut-off point를 확인 및 제시하고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정확도의 지표로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과 Medcalc version 17.5.5(Medcalc Software, Mariakerke, Belgium)를 사용하였고,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정확도 분석(in vitro test)
1) 검사용지의 신뢰도 분석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용지를 용액 2, 4, 6, 8, 10 ㎕에서 일 정 시간 방치한 후 흡수된 길이를 측정하였고,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10회씩 반복 측정한 후 측정한 값 을 크론바흐 알파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K-쉬 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신뢰도는 각각 0.999, 0.999로 나타나 두 용지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2) 용액의 양에 따른 검사용지의 흡수 길이 비교
용액의 양에 따라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평균 흡수 길이는 각각 2 ㎕에서 4.55 mm, 4.84 mm, 4 ㎕에서 7.14 mm, 7.64 mm로 두 검사 간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9), (p=0.007), 6 ㎕에서 10.31 mm, 10.75 mm, 8 ㎕에서 12.90 mm, 12.63 mm, 10 ㎕에서 15.31 mm, 15.18 mm로 6-10 ㎕에 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72), (p=0.219), (p=0.620), (Table 1).
3) 검사용지의 용액의 양에 대한 흡수 길이 상관성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흡수된 길이는 용 액의 양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상관성 계수는 각 각 0.982, 0.981로 나타났으며(p=0.000), (Fig. 2), 두 검사법의 상관계수는 차이가 없었다.
2. K-쉬르머용지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in vivo test)
1) K-쉬르머 및 쉬르머검사 측정값 비교
K-쉬르머검사에 의한 측정값은 10.24±5.02 mm, 쉬르머검사에 의한 측정값은 11.29±5.33 mm로 K-쉬르머검사값이 쉬르머검사값보다 더 작게 측정 되었다(p=0.03), (Table 2).
2) K-쉬르머검사값과 쉬르머검사값의 상관성 분석
K-쉬르머검사의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K-쉬 르머검사 측정값과 쉬르머검사 측정값 사이의 상관성 을 Spearma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두 측정값 사이에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보였다(r=0.59, p<0.00), (Fig. 3).
3) K-쉬르머 및 쉬르머검사값의 신뢰도 분석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의 급내상관계수는 각 각 0.66, 0.58로 두 검사 모두 좋음의 신뢰도를 보였 고 K-쉬르머검사의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Table 3).
4) K-쉬르머 및 쉬르머검사의 자극감 비교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 중 검사용지 삽입 시 통증 자각 정도를 5점 척도(1점 : 약간의 이물감 ~ 5 점 : 매우 심한 통증)로 설문 평가하여 비교해 본 결 과 K-쉬르머검사가 쉬르머검사보다 통증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2), (Fig. 4).
5) 민감도, 특이도 분석
K-쉬르머검사법의 건성안 감별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정확도는 TBUT 측정값 5초를 기준으로 건성 안을 분류하고(양성:5초 미만, 음성:5초 이상), ROC (Receiver Operative Characteristics) Curve를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TBUT 측정값 5초를 기준으로 건 성안과 정상안을 분류한 결과 각각의 K-쉬르머검사 와 쉬르머검사의 평균값은 모두 정상안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Table 4), 총 대상자의 평균 TBUT 측정값 은 4.94±2.03초로 나타났다. 건성안 감별에 대한 민 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K-쉬르머검사에서는 40.35%, 79.07% 쉬르머검사에서는 50.88%, 62.79%로 나타 나 민감도는 쉬르머검사가 더 높았고, 특이도는 K- 쉬르머검사가 더 높았으며(Table 5), (Fig. 5), K-쉬 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법의 건성안에 대한 cut-off 값은 각각 6.5 mm, 9 mm로 확인되었다.
6)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Curve, AUC) 분석
ROC curve를 이용한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 의 곡선아래면적(AUC)은 각각 0.58, 0.55로 두 검사 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Fig. 5).
Ⅳ. 고 찰
최근 건성안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건성안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눈 물 양을 평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쉬르머용지는 오랜 기간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삽입 시 자극감 과 반사눈물이 유발되고 그로 인해 재현성이 낮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눈꼬리가 올라간 한국인13)의 경우 에는 서양인보다 자극감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쉬르머용지 삽입 시 유발되는 자극 감을 줄이기 위해서 삽입되는 부분의 폭을 3 mm로 줄인 K-쉬르머용지를 제작하였으며, 제작한 K-쉬 르머용지가 눈물 양 측정 도구로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정확도를 분석하고,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임 상 시험을 통해 시판되고 있는 쉬르머용지와 비교하 였다. in vitro 실험에서 사용한 용액의 양은 사람의 눈물의 양이 약 5-9 ㎕라는 점을 기초로 하였고,20) 검사시간은 1분으로 하였다. 임상에서 검사시간은 Otto Schirmer 에 의해 제시된 5분을 활용하여 측정 하지만,21)in vitro 실험의 환경은 실제 in vivo 환경 과 달라 용액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스트립이 1분에 15 mm 정도 흡수되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1분으로 결 정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의 경우에는 눈물검사 시 눈을 자유롭게 깜빡이는 상태에서 측정하면 검사 지가 이탈되어 각결막에 자극을 주어 그로 인한 반사 눈물이 유발될 수 있어 검사 중에는 눈을 감게 하였 다.
검사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K-쉬르머용지 와 쉬르머용지를 2-10 ㎕의 용액에서 1분간 흡수하 게 한 후 비교한 결과 용액의 양이 2, 4 ㎕인 경우에 는 K-쉬르머용지에 흡수된 길이가 유의하게 작았지 만(p=0.009, p=0.007) 그 차이는 미미했고, 6, 8, 10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72, p=0.219, p=0.620). 이는 K-쉬르머용지의 삽입되는 부분의 폭이 좁아 흡수면적이 작기 때문에 적은 양의 용액에서는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며, 많은 양의 용액에서는 흡수되는 면적보다는 모세관현상이 흡수 력에 더 큰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눈 금을 읽기 쉽도록 첨가한 염료의 확산도 영향을 미쳤 을 것이라 점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용액 2-10 ㎕의 범위 내에서 K-쉬르머 용지와 쉬르머용지에 흡수된 길이는 모두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여 두 검사 모두 정상안의 평균 눈물양보 다 적거나 많은 경우에도 유용한 검사가 가능할 것으 로 판단되었다. 또한 K-쉬르머용지와 쉬르머용지의 재현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쉬르머검사의 재현성과 신뢰도가 낮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두 검사법 모 두 99.9%의 높은 신뢰도를 보여 좋은 검사방법으로 생각된다.
쉬르머검사는 건성안 검사 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 는 검사지만, 그 기준 값은 다양하게 제시되어있다. Otto Schirmer를 포함한 일부 저자들은 쉬르머검사의 정상 기준값을 15 mm 이상, 건성안의 경우 6 mm 이하로 제시하고 있고,21) Lee 등22)은 5분간 측정 시 젖은 부분의 길이가 10 mm 이하면 건성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서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의 평균 측정값은 10.24±5.02 mm/5 min 및 11.29±5.33 mm/5 min로 두 검사 간 중등도의 상관성을 보였고(r=0.59), 쉬르머검 사값이 더 큰 값으로 측정되었다(p=0.03).
in vitro 실험과 달리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경우 쉬르머용지를 삽입할 때 자극감이 유발될 수 있고 그 에 따라 반사눈물이 분비되어 기초 눈물(basic tear) 의 양만을 측정할 수 없고 측정오차가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결과 쉬르머용지를 이용한 눈물검사값이 K- 쉬르머용지를 사용했을 때보다 조금 큰 값으로 측정 되었고 오차범위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삽 입되는 부분의 폭이 좁은 K-쉬르머용지에 의해 반사 적인 눈물분비가 적게 유발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설문조사에 의한 자각적인 자극감은 K- 쉬르머용지가 유의하게 적었다(p=0.02).
K-쉬르머검사와 쉬르머검사의 임상적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대상자를 하루 간격으로 3회 방문하게 하여 측정값의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신뢰 도는 각각 66%, 58%로 K-쉬르머검사가 쉬르머검사 에 비해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두 검사법 모두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보였다. 이 등23)은 마취를 하지 않 은 상태에서 정상안과 건성안 두 군으로 나누어서 쉬 르머검사의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안에서는 55%, 건성안에서는 42%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결 과 쉬르머검사 신뢰도는 58%로 선행 연구결과와 비 슷한 정도의 신뢰도를 보였다.
민감도는 양성인 환자를 양성으로 진단할 확률, 특 이도는 음성인 환자를 음성으로 진단할 확률로 민감도 와 특이도가 높을수록 정확도가 높은 검사법이라 할 수 있다.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확진 기준 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TBUT 측정값(5초 미만은 양성, 5초 이상은 음성)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24) TBUT 측정값을 기준으로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한 결과 K-쉬르머검사는 40.35%, 79.07%, 쉬르머검사 는 50.88%, 62.79%로 민감도는 쉬르머검사가 더 높게 나타났고, 특이도는 K-쉬르머검사가 더 높게 나타났 다. Najafi 등25)은 건성안에 대한 쉬르머검사의 민감도 와 특이도를 각각 34.48%, 67.57%, Lucca 등11)은 25%, 90%, Farris 등5)은 10% 100%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K-쉬르머검사의 민감도는 본 연 구의 쉬르머 검사보다는 낮지만 Najafi25) 등의 결과와 유사하고 다른 연구자의 결과 보다는 높게 나타나 건성 안 감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대상자를 선정하여 K-쉬르머검사의 임 상적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건성안 진단의 기준이 되는 cut-off 값은 본 연구 에서는 K-쉬르머검사의 경우 6.5 mm, 쉬르머검사에 서는 9 mm로 나타나 K-쉬르머검사의 cut-off 값이 쉬르머보다 작았다. 선행연구에서 쉬르머검사의 건성 안에 대한 cut-off 값은 Lucca 등11)은 5mm/5min, Farris 등5)은 3 mm/5min, van Bijsterfeld26)은 5.5 mm/5min, Vitali 등27)은 10 mm/5min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고, 2007년도 Dry Eye Workshop (DEWS)에서는 쉬르머검사 측정값에 따라 10 mm 초과는 정상, 10 mm 이하는 경도 건성안, 5 mm 이하는 중등도 건성안, 2 mm 이하는 중증으로 분류하여 건성안을 4단계로 나누어 제시한 바 있다.1)
본 연구는 건성안 진단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쉬 르머용지를 변형하여 삽입 시 발생하는 자극감을 완 화시키고자 K-쉬르머용지를 개발했다는 점에 의미 를 둘 수 있으며, 쉬르머용지의 삽입하는 부분의 폭 을 3 mm로 변형시킨 경우 삽입 시 발생하는 자극감 이 완화됨을 확인하였지만 향후 다양한 폭으로 변형 한 쉬르머용지의 흡수도와 불편감을 비교 평가할 필 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임상적 평가를 통해 K- 쉬르머용지가 한국인의 눈물검사 시 자극을 줄일 수 있으면서 신뢰도가 높은 눈물검사 방법임을 확인하였 고, 향후 국내 보급용으로 양산된다면 쉬르머용지와 마찬가지로 건성안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
개발한 K-쉬르머용지는 반복측정에 대한 신뢰도, 용액의 양과 흡수되는 길이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 났고 쉬르머용지와 유사한 신뢰도를 보였다.
-
임상적으로 K-쉬르머검사값은 쉬르머검사값보다 조금 낮은 값으로 측정되었지만 두 검사는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반복측정에 의한 신뢰도는 K-쉬르머검사 66%, 쉬르머검사 58%로 K-쉬르 머검사가 높았고 자극감은 K-쉬르머검사가 쉬르 머검사에 비해 적었다.
-
건성안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및 AUC 값에서 K-쉬르머검사는 특이도가 높고, 쉬르머검사는 민 감도가 높았으며 AUC는 두 검사법에서 유사한 것 으로 나타났다. K-쉬르머검사의 cut-off value 는 6.5 mm, 쉬르머검사는 9 mm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K-쉬르머용지는 한국인의 눈물검 사 시 자극감을 줄일 수 있으면서 눈물검사를 할 수 있는 쉬르머용지의 대안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