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1 pp.49-5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1.49

The Effect of Accommodation Stimulus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on Response in Young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

Dong-Kyu Lim,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Daej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ungnam +82-31-740-7182, +82-31-740-7365, kjl@eulji.ac.kr
January 31, 2018 March 16, 2018 March 19, 2018

Abstract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upil size with accommodation stimuli and accommodation response after refractive correction by using soft contact lenses in myopes.


Methods:

Participants were young myopes (N=50, 100 eyes; 23.15 ±1.70 years; age range, 20~28 years) and refractive errors were corrected by using soft contact lenses. Pupil sizes were measured with a pupillometer at the modes of scotopic, low and high mesopic condition (light off, 0.3 and 3 lx) at 3.5 m and 25 cm in the 100 lx illuminance condition. Accommodation amplitude was measured with the push-up test, and the accommodation response was measured by using an open field autorefractometer. The changes of pupil size with the accommodation stimulu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changes in pupil size with the accommodation stimulus and accommodation amplitude and accommodation response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05.


Results:

Pupil siz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ccommodation stimulus in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myopia (p<0.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refractive correction with soft contact lenses (p<0.05). After refractive correction, the larger the miosis caused by accommodation stimulus, the smaller the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on responses (p<0.05). However,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shown no difference in pupil size in the lighting condition were 35~37%, and shown mydriasis was 7~11% and the accommodation response of the group not shown miosi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miosis group (p<0.05).


Conclusions:

The pupil size in myopes corrected with contact lenses decreased by accommodation stimulus, and the accommodation response was decreased. However, in the participants not shown miosis, accommodation response was more than that of miosis group. This study will be cornerstones to understanding of the asthenopia during near works in the contact lens wearers and the visual function of the multifocal contact lens wearers.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교정한 젊은 성인 근시안에서 조절자극이 동공크기와 조절반응에 미치는 영향

임 동규, 이 군자*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Ⅰ. 서 론

    동공은 주시거리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최대한 의 시야와 시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공크기의 변화는 눈의 수차에 영향을 주고 이것은 시력의 질(quality)에도 영향을 준다.1-3) 동공은 가까 운 물체를 바라볼 때 부교감신경의 지배하에 있는 동 공조임근의 작용으로 축동 되고, 반대로 멀리 있는 물체를 바라보게 되면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는 동공확대근의 작용으로 산동 된다.4-6) 동공이 산동 되면 초점심도는 얕아지며, 축동 되면 초점심도가 깊 어지게 되어 적은 조절반응으로도 선명한 시력을 유 지할 수 있게 된다.7-10) 동공크기는 조도와 주시하는 물체의 거리에 따라서 변할 수 있는데,4,11) 조도가 높 을수록, 조절자극이 커질수록 동공크기는 감소한다. 이렇게 동공크기가 변하면 초점심도가 변하게 되고 필요한 조절량과 조절래그량 또한 변하게 되어8) 시력 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커질 수 있다.

    조도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는 축동제 또는 산동제 등의 약물에 의한 효과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며,11-13) 조절반응에 의한 동공크기 변화와도 다른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조도 변화에 따라 동공크기가 변할 경우에는 신경학적으로 덮개앞구역(pretectal nucleus)이 관여 하고,14)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괄약근을 자극할 경우에 는 시피질의 제 19 영역이 관여하며 부가적으로 수정체 가 두꺼워지면서 전방 쪽으로 이동하여 홍채와 접하기 때문에 홍채에 영향을 주어 동공중심의 위치가 비하측 (코 방향,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절에 의한 동공 변화는 복잡한 메커니즘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지만, 동공중심점의 이동이 눈의 수차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누진안경렌즈를 설계할 경우 에는 이 점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게 된다.

    동공크기의 변화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의 질 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특히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굴절력의 분포가 다른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 동공크기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설계할 때에도 이를 반영하며,15) 임상 적으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처방 할 경우에도 중 요한 기준이 된다.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의 구조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마이너스 굴 절력이 증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근거리를 주시할 때 동공이 근용부 영역보다 작게 축동이 되어야 근거 리 주시를 할 경우 선명한 시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중심부 원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구조는 중심부에 서 주변부로 갈수록 플러스 굴절력이 증가하는 구조 이기 때문에 원거리를 주시할 때 동공이 원용부 영역 보다 작아야 원거리 주시를 할 경우 선명한 시력을 유지할 수 있다.15) 또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가입 도는 착용자의 근거리 주시거리에 따른 조절반응에 따라 결정되는데, 조절반응이 초점심도에 의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동공크기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8)

    근시는 빛이 광투과 매체를 통과해 평행으로 들어 갈 때 망막 면보다 앞에서 초점이 맺는 굴절이상을 말한다. 근시도가 높은 근시안의 경우에는 나안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는 물체를 주시하면 조절 부 담이 적어 축동되는 정도가 적지만, 콘택트렌즈로 굴 절교정을 하게 되면 정시안과 같아지므로 가까운 물 체를 주시할 때 조절 부담이 커져 나안인 상태보다 축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8,16,17) 하지만, 굴절교정 상 태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 정이다. Allen과 O'Leary18)은 근시안에서 핀홀효과 에 따른 초점심도의 증가에 의해 조절기능이 변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지만, 초점심도는 동공크기에 따라서 도 변할 수 있어8)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 변화는 조절 기능과 시력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 교정한 근시안을 대상으로 조도에 따라 조절자극에 의한 동공크기 변화를 관찰하고, 동공크기 변화가 조 절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대상자는 저자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구17) 대 상자 중 본 연구 취지에 동의한 건강한 성인 50명(남 자: 31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23.15±1.70 세, 평 균 등가구면굴절력: -2.90±1.75 D) 근시 총 100안 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집된 대 상자 중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과질환 및 굴 절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과 단안의 교정 시력이 0.8 미만, 양안의 교정시력이 1.0 미만인 경 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자는 조절자극에 의 해 동공이 축동 된 대상자와 변화가 없는 대상자 및 산동 된 대상자로 세분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검사과 정과 규약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EU17-32)의 승인을 받아 실 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한 설명 후 참여 동의를 얻고 검사를 실시하였다.

    2. 연구 방법

    1) 검사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각식굴절검사 후 SDD(Softlens Daily Disposable; Biotrue, Bausch+Lomb, USA) 로 굴절교정을 하였고, 검사실 조도는 100 lx로 설정 하였다.

    굴절이상도는 자동굴절검사기(KR-8100P,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포롭터 (VT-SE,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근시도를 정밀 측정하였다.

    동공크기 측정은 본 연구자들의 선행연구17)를 참고하 였다. 검사실의 조명을 명소시 상태(photopic condition, 100 lx)로 조정한 후 Digital Variable Pupillometer(VIP ™-200 Pupillometer, Neur Optics, USA)를 이용하여 3.5 m와 25 cm 거리에 있는 물체를 주시하도록 하고 측정하였다. 동공크기는 기기에서 조정되는 조명을 이용 하여 암소시(scotopic condition, light off), 어두운 박명시(low mesopic condition, 0.3 lx), 밝은 박명시 (high mesopic condition, 3 lx) 상태에서 0.1 mm를 최소 측정단위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굴절교정 전과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한 후 모두 같은 장소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으며 평균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조절력은 최종 교정굴절력의 값을 이용하여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푸쉬업 검사(push-up test)를 단안 과 양안에 걸쳐 실시하였다. PD자를 눈앞에 위치시 키고, 25 cm 거리에 주시 막대를 주시하게 한 후, 눈 앞으로 주시 막대를 이동시켜 흐린 점을 기준으로 조 절력을 측정하였다.

    조절반응 검사는 개방형자동굴절검사기(Nvision K-5001, Shin-nippon, Japan)를 사용하여 완전 교정된 상태에 서 원거리(3.5 m)와 근거리(25 cm)에서 굴절이상도를 각각 측정하여, 구면렌즈 대응치로 측정하였다.

    2) 자료분석

    측정값에 대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굴절교정에 따라 조절자극이 없을 때와 4 D일 때 동 공크기의 비교는 대응표본검사(Paired t-test)로, 조 절자극에 따라 동공이 축동된 그룹, 변화가 없는 그 룹, 산동 그룹의 조절반응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법(Oneway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 변화량과 조절력, 조절반응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 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증분 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Ⅲ. 결 과

    1. 굴절교정 후 조절력과 조절반응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측정한 단안과 양 안 조절력은 각각 10.21±0.67 D, 10.64±0.85 D로 양안 조절력이 약 0.43 D 만큼 유의하게 컸고(p< 0.001), (Table 1), 측정된 조절력은 Morgan 표준값 19)에 제시되어 있는 정상 범위에 속하였다. 대상자의 조절반응은 단안 3.02±0.43 D, 양안 3.19± 0.45 D 로 양안 조절반응이 약 0.17 D만큼 더 크게 측정되었 다(p<0.001), (Table 1).

    2. 굴절교정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 변화

    굴절교정 전의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조절자극이 없을 때에는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각각 5.50±0.91 ㎜, 5.24±0.97 ㎜, 4.95±0.97 ㎜, 조절 자극이 4 D일 때에는 5.69±0.78 ㎜, 5.45±0.81 ㎜, 5.16±0.87 ㎜로 4 D의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평균 0.19±0.77 ㎜, 0.21±0.79 ㎜, 0.21±0.85 ㎜ 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5, p=0.009, p=0.013), (Table 2).

    굴절교정 후의 근시안의 동공크기는 조절자극이 없 을 때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각각 5.41±0.87 ㎜, 5.14±0.90 ㎜, 4.85±0.96 ㎜, 조 절자극이 4 D일 때에는 5.13±0.79 ㎜, 4.80±0.82 ㎜, 4.46±0.87 ㎜로 4 D의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0.28±0.82 ㎜, 0.34±0.83 ㎜, 0.39±0.92 ㎜ 만큼 유 의하게 작아졌다(p=0.001, p<0.001, p<0.001), (Table 2). 그러나 굴절교정 후에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대 상자는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각각 53안(53%), 51안(51%), 56안(56%)인 반면 동공 이 변하지 않은 대상자는 36안(36%), 35안(35%), 37안 (37%), 산동된 대상자는 11안(11%), 14안(14%), 7안 (7%)으로,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축동되지 않는 대상자가 암소시 상태에서 47안(47%), 어두운 박명시 상태에서 49안(49%),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44안 (44%)으로 나타났다(Table 3).

    3.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와 조절력 및 조절반응의 상관성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굴절교 정 후에 조절자극이 증가하여 동공이 축동되는 정도와 양안 조절력은 상관성이 없었고(p>0.05), 단안 조절력 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0.392, r=-0.357, r=-0.328), (Fig. 1). 또한 모든 조도에서 굴절교정 후에 양안과 단안의 조절반응은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이 작아 지면 조절반응이 작아지고 동공이 커지면 조절반응이 커지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양안: r=0.917, 0.920, 0.904, 단안: r=0.912, 0.914, 0.896), (Fig. 2).

    그러나 굴절교정 후 조절자극에 의해 나타난 조절반응 은 암소시, 어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에 따라 각각 동공 이 변하지 않은 그룹은 3.45±1.04 D, 3.40±1.00 D, 3.37±0.98 D, 축동된 그룹은 3.02±1.01 D, 3.00±1.03 D, 2.95±1.00 D, 산동된 그룹은 3.50±1.00 D, 3.46±1.03 D, 3.41±1.05 D로, 축동된 그룹의 조절반응은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으며(p<0.001, p<0.001, p<0.001), 동공크기에 변화가 없는 그룹과 산동된 그룹의 조절 반응은 차이가 없었다(p=0.081, p=0.079, p=0.097), (Table 4).

    Ⅳ. 고 찰

    조절자극에 따라 동공크기는 변하고, 동공크기 변 화는 조절력, 조절반응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근시안을 대상으로 조절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동공크기 변화와 조절력, 조절반응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양안 조절력과 단안 조절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Hofstetter 등20)은 젊은 연령층에서 양안 조절력이 단안 조절력 보다 더 크게 측정되었다 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젊은 성인의 양안 조 절력이 단안 조절력 보다 약 0.43 D만큼 유의하게 크 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푸쉬업 검사를 이용하여 양안 조절력을 측정할 경우 눈앞으로 주시물체를 점점 이 동시키면서 발생하는 조절자극에 의한 폭주에 의해 폭주성 조절이 발생하여21) 양안 조절력이 단안 조절 력 보다 더 크게 측정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조절자극에 따른 조절반응은 여러 방법으로 측정되 는데,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자동굴절력계인 Nvision K-5001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Nvision K-5001 은 Win-Hall 등22)의 연구에서 사용한 개방형자동굴절 계인 WR-5100K과 유사하여 최근에 조절반응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양안 조절반응 은 단안 조절반응보다 유의하게 크게 측정되었으며, 이 결과는 Wick 등21)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 러나 Rosenfield 등23)의 연구에서는 단안 조절반응이 양안 조절반응 보다 더 크게 측정되어 본 연구 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표를 눈 앞 25 cm 거리에 두고 4 D 만큼의 조절자극을 유발하여 조절반응 을 측정한 반면, Rosenfield 등23)의 연구에서는 시표를 40 cm 거리에 두고 2.5 D 만큼의 조절자극을 유발하여 조절반응을 측정한 값으로 차이가 있었다. 폭주성 조절 은 근거리 조절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 21), 본 연구에서 유발한 조절자극이 Rosenfield 등23)의 연구보다 더 컸기 때문에 더 많은 폭주가 유도되어 폭주 성 조절이 개입됨에 따라 양안 조절반응이 단안 조절반 응 보다 더 크게 측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동공크기는 조절자극에 의해 변할 수 있다.4,24) Charman 등25)은 정시안의 경우 조절자극이 커질수록 동공크기가 감소한다고 하였고, Buehren 등26)도 조절자극이 커질수 록 동공크기는 감소한다고 하여 정시안의 경우에는 조절 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축동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근시안의 경우 굴절교정 전에는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조절을 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절자극이 유발되지 않아 축동되지 않으며, 굴절교정을 한 후에는 정시안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조절자극이 커지면 동공크 기가 감소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근시안을 대상으로 진행한 본 연구 결과에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는 작아져 이와 같은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하 며, 굴절교정 후 근시안의 동공크기에 대한 결과는 선행 연구 결과25,26)와 동일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근시안의 경우 굴절교정 후에 동공이 축동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연구 대상자의 35-37% 정도는 굴절교정 후에 조절자극이 커져도 축동 되지 않았 으며, 산동 된 대상자도 약 7-14%로 나타났다. 만약, 동공이 큰 대상자가 굴절교정 후에도 축동이 되지 않거나 산동 된다면, 단초점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시력 적인 문제가 발생진 않지만 안경을 착용했을 때 보다 근거리 작업이 불편해 지거나 안정피로를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중심부 근용 디자인의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는 근거리 물체를 볼 때 콘택트렌즈의 중간거리 및 원거리 도수부를 통해서도 빛이 들어오기 때문에 망막에 흐린 상이 맺히게 되고, 이 흐린 상은 중심부 근거리 도수부를 통해 들어온 선명한 상과 겹쳐 유령상이 발생하여 근거리를 주시할 경우 흐림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40% 이상의 근시안이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되지 않았다는 이 결과는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안정피로를 이해하고 멀티 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력 흐림 현상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동공은 초점심도를 변화 시키게 된다. 눈의 각막을 통과한 빛은 원추형의 경 로를 지나 착락원상을 만들게 되고, 망막에 가장 작 은 이상적인 점상으로 결상된다. 망막에 결상된 점상 은 전 후 일정한 거리 내에 똑같은 정도의 선명도를 보이는 착란원상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허용착란원 이라고 하며,8) 가장 작게 결상된 점상과 똑같은 선명 도를 보이는 전후 두 개의 허용착란원 사이의 거리를 초점심도라고 한다.

    동공크기의 변화는 초점심도와 관계하여 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축동을 많이 할수록 초점심도는 깊어 지는데 동공크기와 초점심도의 관계는 다음의 공식으 로 설명할 수 있다(Fig. 3), (Fig. 4).8,27)

    Q점의 동결상식: S = 1 κ 2 ( κ D + S )

    Q'점의 동결상식: S = 1 κ 2 ( κ D + S 1 )

    k(동경배율): p p

    이를 아래의 식 (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ρ o p = ( s 1 s ) s 1 = ( 1 s s 1 ) = ( 1 S 1 S )
    (1)

    S 1 = S - ρ o κ p ( κ D + S )

    Q점의 동결상식: S = 1 κ 2 ( κ D + S )

    Q2'점의 동결상식: S 2 = 1 κ 2 ( κ D + S 2 )

    k(동경배율): p p

    이를 아래의 식 (2)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ρ o p = ( s s 2 ) s 2 = ( s s 2 1 ) = ( S 2 S 1 ) S 2 = S + ρ o κ p ( κ D + S )
    (2)

    초점심도의 깊이는 Fig. 3의 버전스 S1의 물점 Q1 에서 Fig. 4의 버전스 S2의 물점 Q2까지의 거리가 되 며, 버전스 크기로 나타내면 다음 식과 같다.

    S 2 = S 1 + 2 ρ o κ p ( κ D + S )

    위와 같은 식을 통해 S2-S1은 초점심도의 깊이, 𝑝 는 입사동 즉, 동공크기로 생각하면, 𝑝가 작을수록 S2-S1의 값이 커지기 때문에, 동공크기(𝑝)가 작을수 록 초점심도(S2-S1)가 깊어진다고 할 수 있어 동공크 기가 작아질수록 망막에 결상되는 점상 전 후의 허용 착란원의 거리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초점심도가 깊 어져 조절반응이 작게 측정되어 조절래그가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점심도는 동공크기와 조절반응 량과 상관성이 있다.8,28) Seong8)은 동공크기가 작을 수록 초점심도가 깊어지고, 초점심도가 깊어짐에 따 라 조절래그량이 커져 보다 적은 조절반응으로도 선 명하게 볼 수 있다고 하였고,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 구결과8)와 동일하게 굴절교정 후에 조절자극이 증가 하여 축동이 많이 될수록 양안과 단안의 조절반응이 작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콘택트렌즈로 굴절이상을 교정한 후 에는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대상자가 모든 조도에 서 약 50%로 나타났으며,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되지 않은 대상자의 조절반응값은 축동된 대상자보다 조도 에 따라 약 0.41 D 만큼 크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동 공의 크기가 조절반응값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뒷 받침해 준 결과라고 생각한다.

    콘택트렌즈로 굴절이상을 교정한 근시안의 경우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이 축동된 경우에는 조절반응이 줄어 근거리 시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동공크기 가 변하지 않거나 산동된 경우에는 근거리 작업이 불 편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는 더욱 더 근 거리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어 동공크기에 따른 조절 반응 값을 고려하여 도수 또는 가입도를 조정할 필요 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동공크기에 따라 조절반 응이 변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를 착용 후의 근거리 시력은 동공크기 변화에 따라 다른 임상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어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Ⅴ. 결 론

    근시안을 대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 을 한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 변화, 동공크기와 조절력, 조절반응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근시안의 경 우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에는 동공크 기가 평균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조도에 따라 동공크기가 변하지 않은 경우가 35~37%, 산동된 경 우는 7~14%로 나타났다. 양안과 단안의 조절반응은 동공이 축동되면 작아지고, 산동되면 커지는 상관성 을 보였고, 동공이 축동되는 그룹이 축동되지 않은 그 룹보다 조절반응이 0.43 D 더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시안에서 조절자극에 의한 동공크기 변화는 콘택트 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작업 시 나타나는 안정피로를 이 해하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기 능을 이해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0-49_F1.gif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difference of pupil size between 0 D accommodation stimulus and 4 D accommodation stimulus in corrected refractive errors and changes in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on amplitude in the lighting conditions, AS (D); Accommodation stimulus.

    KJVS-20-49_F2.gif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difference of pupil size between 0 D accommodation stimulus and 4 D accommodation stimulus in corrected refractive errors and changes in binocular and monocular accommodation response in the lighting conditions, AS (D); Accommodation stimulus.

    KJVS-20-49_F3.gif

    Forward focus depth.

    KJVS-20-49_F4.gif

    Backward focus depth.

    Table

    Descriptive statistics of subjects in accommodation amplitude and accommodation response

    AA (D); Accommodation Amplitude, AR (D); Accommodation Response.

    The pupil size of myopes according to 0 and 4 D accommodation stimulus in uncorrected and corrected condition

    The percentage of myopes corrected with contact lens shown difference in the pupil size according to 4 D accommodation stimulus in the lighting conditions

    Accommodation response of myopes corrected with contact lenses shown no difference group, miosis group and mydriasis group in the pupil size according to 4 D accommodation stimulus in the lighting conditions

    The <sup>a</sup> and <sup>b</sup>, the same letters indicate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AR; Accommodation response, ND; No difference in pupil size.

    Reference

    1. Kim EA, Kim YH et al.: Change on lens accommodation and pupil light reflex in VDT works. Korean J Prev Med. 30(3), 599-608, 1997.
    2. Winn B, Whitaker D et al.: Factors affecting light-adapted pupil size in normal human subjects. Invest Ophthalmol Vis Sci. 35(3), 1132-1137, 1994.
    3. Kasthurirangan S, Glasser A: Characteristics of pupil responses during far-to-near and nearto- far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25(4), 328-339, 2005.
    4. Mathur A, Gehrmann J et al.: Influences of luminance and accommodation stimuli on pupil size and pupil center loc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5(4), 2166-2172, 2014.
    5. Ko BU, Ryu WY et al.: Pupil siz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illuminance. J Korean Ophthalmol Soc. 52(4), 401-406, 2011.
    6. Han SH, Kim BH et al.: Change in the eyes' refractive power and pupil's size following intensity of illumination using auto ref-keratometer. Korean J Vis Sci. 15(1), 1-7, 2013.
    7. John F, Andrew D.: The eye, 4th ed., Philadelphia, Saunders Ltd, pp.196-201, 2015.
    8. Seo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ealim, pp.45-70, 2013.
    9. Taneri S, Oehler S et al.: Influence of mydriatic eye drops on wavefront sensing with the Zywave aberrometer. J Refract Surg. 27(9), 678-685, 2011.
    10. Liang J, Williams DR: Aberrations and retinal image quality of the normal human eye.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14(11), 2873-2883, 1997.
    11. Yang Y, Thompson K et al.: Pupil location under mesopic, photopic, and pharmacologically dilated condit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43(7), 2508-2512, 2002.
    12. Walsh G: The effect of mydriasis on the pupillary centration of the human eye. Ophthalmic Physiol Opt. 8(2), 178-182, 1988.
    13. Donnenfeld E: The pupil is a moving target: centration, repeatability, and registration. J Refract Surg. 20(5), S593-596, 2004.
    14. Noback CR, Ruggiero DA el al.: The visual system. Chapter 19. In: The Human Nervous System: Structure and Function. 6th ed. Philadelphia, PA, Springer, pp.342-344, 2007.
    15. Bennett EB, Henry VA: Clinical manual of contact lenses, 4th ed., Philadelphia, LWW, pp.401-408, 2013.
    16. Lee JH, Lee HB: Ophthalmology, 8th ed., Seoul, Ilchokak, pp.328-329, 2008.
    17. Lim DK, Lee KJ: Changes in pupil size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in myopes. Korean J Vis Sci. 19(4), 433-441, 2017.
    18. Allen PM, O'Leary DJ: Accommodation function: Co-dependency and relationship to refractive error. Vision Res. 46(4), 491-505, 2006.
    19. Morgan Jr MW: Analysis of clinical data. Optom Vis Sci. 21(12), 477-491, 1944.
    20. Hofstetter HW: A comparison of duane's and donders' tables of the amplitede of accommodation. Optom Vis Sci. 21(9), 345-363, 1944.
    21. Wick B, Currie D: Convergence accommodation: laboratory and clinical evaluation. Optom Vis Sci. 68(3), 226-231, 1991.
    22. Win-Hall DM, Ostrin LA et al.: Objective accommodation measurement with the Grand Seiko and Hartinger coincidence refractometer. Optom Vis Sci. 84(9), 879-887, 2007.
    23. Rosenfield M, Portello JK et al.: Comparison of clinical techniques to assess the near accommodative response. Optom Vis Sci. 73(6), 382-388, 1996.
    24. Kohnen T, Terzi E et al.: Comparison of a digital and a handheld infrared pupillometer for determining scotopic pupil diameter. J Cataract Refract Surg. 29(1), 112-117, 2003.
    25. Charman WN, Radhakrishnan H: Accommodation, pupil diameter and myopia. Ophthalmic Physiol Opt. 29(1), 72-79, 2009.
    26. Buehren T, Collins MJ: Accommodation stimulus response function and retinal image quality. Vision Res. 46(10), 1633-1645, 2006.
    27. Seo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ealim, pp.471-475, 2013.
    28. Yoo HY: The effect of miotic on pupillary diameter, amplitude of accmmodation and anterior chamber depth. J Korean Ophtalmol Soc. 21(4), 389-397,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