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7 No.1 pp.49-56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5.17.1.49

A Study on Astigmatism Correction of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Hark-Jun Lee1), Su-A Jung1), Man-Sung Kwen2), Sang-Youl Park3)
1)Department of Optometry, W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Iksan
2)Verona Optical Inc, Manila, Philippines
3)Dueba Contact Lens co. Ltd, Bangkok, Thailand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ark-Jun Lee Dept. of Optometry, Woonkwang Health Science University, Iksan Tel: 063-840-1344, Fax: 063-840-1349, E-mail: hjlee@wu.ac.kr
January 12, 2015 February 9, 2015 March 13, 2015

Abstract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n astigmatism correction of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Methods:

Make a comparison between measuring visual acuity induced myopic astigmatism by wearing +0.50 D, +1.00 D, +2.00 D cylinder lens in Ax 180°, 90°, 45° each and measuring same way by wearing 1mm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to fully corrected eye.


Results:

Astigmatism induced to +0.50 D occurs a 7.57% vision improvement by the vision in 0.84±0.15 is improved by 0.90±0.14, wearing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Also a 16.19% vision improvement in +1.00 D, 0.66±0.18 is improved by 0.77±0.17, and a 55.13% vision improvement in +2.00 D, 0.28±0.16 is improved by 0.43±0.20.


Conclusions:

Due to prescribing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to astigmatism occurs vision improvement, there needs to be corrected by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 when the axis rotation in contact lens is unstable at prescriptions of under correction of astigmatism or prescriptions of equivalent spherical power.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난시교정효과에 관한 연구

이 학준1), 정 수아1), 권 만성2), 박 상열3)
1)원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익산
2)베로나옵티칼, 필리핀 마닐라
3)듀바콘택트렌즈, 태국 방콕

    Ⅰ. 서 론

    난시안은 멀리 있는 물체가 눈으로 입사할 때의 상 이 점 상태가 아닌 비점 결상을 하게 되고, 비점 결상 으로 인하여 전초선과 후초선이 생기게 되어 이 사이 에 최소착란원이 결상하게 된다. 망막에 맺힌 착란원 의 크기와 망막을 기준으로 한 최소착란원의 위치가 시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난시 교정 정도가 부정확하여 잔여난시가 많을수록 최소착란원의 크기 는 커지게 되어 교정시력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난시안의 교정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1) 하지 만 20~30대 여성들은 대부분 미용상과 경제적인 이 유로 난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처방이 가능 한 토릭 콘택트렌즈나 RGP 처방이 아닌 일반 소프트 렌즈를 처방받기도 한다.2) 또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로 처음 난시를 교정할 경우 위화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난시량의 교정 정도를 낮추어 처방하기도 하 는데,1) 이와 같이 난시를 교정하지 않거나 저교정하 게 될 경우 최소착란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시력 저하를 호소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하여 굴절이상에 효과가 있는 핀홀이 난시안을 교정 하지 않은 경우나 저교정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효과 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난시안의 핀홀 착용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핀홀 효과란 핀홀을 착용하게 되면 안광학계의 초 점심도가 깊어져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피사체의 전· 후 거리 범위가 넓어져 선명하게 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핀홀 효과를 이용하여 핀홀 착용으로 시력저하의 원인이 안경이나 콘택트렌 즈 착용으로 교정할 수 있는 단순 굴절이상인지, 혹 은 병리적인 원인인지 알아보는데 사용되고 있다.3) 핀홀 효과를 응용하여 제작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는 하나의 핀홀로 이루어진 안경과 콘택트렌즈 착용 시 시야가 좁아지고, 어둡게 보이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택트렌즈에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된 콘택트렌즈이다. 선행연구에 의 하면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는 일반 핀홀 안경보다는 시력교정 효과는 낮았지만 나안보다는 우수한 시력을 보여 시력교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이러 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교정하지 않거나 저교정한 난시안에 착용할 경우 교정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되어 그 효과를 확인해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안질환과 전신질환이 없고 단안 교정시력이 0.9 이 상이며, 양안시기능이 정상인 28명 총 56안을 대상으 로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1) 난시안의 유발과 시력측정

    난시안의 유발은 피검사자의 눈을 포롭터(RX Master, Reichert, USA)를 이용하여 자각식 굴절검 사를 실시해 측정한 완전 교정 굴절력을 시험테에 장 용한 상태에서 조절개입을 막기 위하여 추가로 (+) 원 주렌즈를 가입해 근시성 단성난시를 유발하였다. 난 시안의 유발은 예비검사를 통하여 +0.50 D, +1.00 D, +2.00 D의 원주렌즈를 각각 Ax 180°, 90°, 45°로 착 용시켜 직난시, 도난시, 사난시를 유발하고 차트프로 젝터(DCP-900, Dong Yang, Korea)의 숫자시표를 이용해 시력을 측정하였으며, 각 시표의 3/5 이상을 인식한 경우 해당 시력으로 인정하였다.

    2) 다중핀홀 콘택트렌즈

    HEMA 소재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각막과 접촉 하지 않는 외면에 특수잉크로 눈금 두께가 0.1 mm, 직경이 1.0 mm인 정육각형 모양의 핀홀을 인쇄한 후 그 위에 HEMA 소재를 다시 입혀 인쇄된 내용이 훼 손되지 않도록 제작된 렌즈로(Fig. 1)4) 본 연구에서 는 난시안을 유발한 상태와 가급적 동일한 조건을 유 지하기 위하여 굴절력이 없는 평면의 다중핀홀 콘택 트렌즈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난시안에 대한 시력교정 효과를 알아보았다.

    3.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test를 시행하였으며, 95%의 신뢰도를 기준으로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3.14±3.15세로 남자 16명, 여자는 12명이었으며, 평균 교정시력 1.01± 0.13, 평균 등가구면 교정 굴절력은 –2.80±2.07 D였다.

    2. 난시 유발에 따른 시력

    1) 유발된 난시도에 따른 시력

    난시를 유발하기 전 완전 교정되었을 경우의 평균 시력은 1.01±0.12로 측정되었고, +0.50 D의 원주렌 즈 착용으로 난시를 유발하였을 때는 평균 0.84± 0.15, C +1.00 D의 렌즈 착용 시 0.66±0.18, C +2.00 D의 렌즈 착용으로 난시가 유발된 경우 0.28±0.16으 로 측정되어 유발된 난시량이 증가할수록 시력은 감소 하였다. 특히 +0.50 D와 +1.00 D의 원주렌즈를 이용 하여 난시를 유발한 경우의 시력은 난시를 유발하기 전 인 완전 교정상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p=0.000)(Table 1).

    2) 유발된 난시종류에 따른 시력

    렌즈 착용으로 난시를 유발할 경우, 착용한 원주렌 즈의 축을 Ax 180°로 착용하여 직난시가 유발된 경 우의 평균 시력은 0.60±0.28로 측정되었고, Ax 90°의 렌즈 착용으로 도난시를 유발한 경우 0.59± 0.28, Ax 45°착용으로 인한 사난시가 유발된 경우 는 0.58±0.30으로 시력이 측정되어 직난시가 유발 된 경우의 시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도난시, 사난 시가 유발된 순으로 시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난시, 도난시, 사난시를 유발한 모든 경우의 시력이 난시를 유발하기 전인 완전 교정상태에서의 시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0)(Table 2).

    3. 다중핀홀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시력변화

    1) +0.50의 원주렌즈로 난시를 유발한 경우

    +0.50의 원주렌즈를 Ax 180°, 90°, 45°로 축 방향 을 위치시켜 난시안을 유발한 경우의 시력은 착용렌즈 축이 Ax 180°일 경우 0.83±0.17, Ax 90°는 0.85±0.12, Ax 45°는 0.83±0.16으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난시를 유발한 후 다중핀홀 콘택트렌 즈를 착용하고 시력을 측정한 결과, Ax 180°는 0.89± 0.17(p=0.000), Ax 90°는 0.91±0.12 (p=0.000), Ax 45°는 0.89±0.15(p=0.000)로 측정되어 모든 경우 다 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시력이 우수하였 으며,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Table 3).

    2) +1.00의 원주렌즈로 난시를 유발한 경우

    +1.00의 원주렌즈의 축 방향을 각각 Ax 180°, 90°, 45°로 착용시켜 난시를 유발한 경우, 원주렌즈 만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이 Ax 180°에서 0.65± 0.21, Ax 90°는 0.66±0.17, Ax 45°는 0.67±0.17로 측정되었다.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다중핀홀 콘 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시력을 측정한 결과, Ax 180°는 0.77±0.20(p=0.000), Ax 90°는 0.78±0.16(p= 0.000), Ax 45°는 0.75±0.15(p=0.001)로 측정되어 모든 경우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시력 이 우수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Table 3).

    3) +2.00의 원주렌즈로 난시를 유발한 경우

    +2.00의 원주렌즈를 이용하여 직난시(Ax 180°), 도난시(Ax 90°), 사난시(Ax 45°)를 유발하였다. C +2.00 D Ax 180°를 착용하여 난시가 유발된 경우의 시력이 0.32±0.17, C +2.00 D Ax 90°의 경우 0.27±0.14, C +2.00 D Ax 45°를 착용하였을 때 0.24±0.15로 측정되었고, 같은 방법으로 난시를 유 발한 후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시력을 측정 한 결과 Ax 180°의 경우는 0.47±0.21(p=0.000), Ax 90°는 0.41±0.19(p=0.000), Ax 45°는 0.40±0.21 (p=0.000)로 측정되어 C +0.50 D, C +1.00 D의 렌즈 를 이용하여 난시를 유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경우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시력이 우 수한 것으로 측정되었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Table 3).

    4.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시력상승효과

    1) 유발된 난시도에 따른 시력상승효과

    다중핀홀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시력상승효과 는 0.50 D의 난시가 유발된 경우 평균적으로 7.57% 가 상승하였고, 1.00 D의 난시가 유발된 경우 16.19%, 2.00 D의 난시를 유발한 경우는 55.13%의 시력상승효과를 보여 유발된 난시도가 높을수록 다중 핀홀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시력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1) (Table 3).

    2) 유발된 난시종류에 따른 시력상승효과

    다중핀홀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시력상승효과 는 Ax 180°의 렌즈를 착용하여 유발된 난시가 직난 시인 경우 평균 24.19%의 시력상승효과를 보였고, Ax 90°의 렌즈 착용으로 도난시를 유발한 경우 평균 25.70%의 시력상승이 나타났다. Ax 45° 착용으로 인한 사난시는 29.01%의 시력상승효과를 보여 시력 저하가 크게 나타난 사난시, 도난시, 직난시 순으로 시력상승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Ⅳ. 고 찰

    Kim 등5)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0.50 D의 난시가 있는 경우 평균 시력이 0.9, 1.00 D는 0.7, 2.00 D는 0.3으로 보고되어있다. 본 연구결과 0.50 D의 난시가 유발된 경우 평균 시력 0.84±0.17, 1.00 D는 0.66± 0.18, 2.00 D에서 0.28±0.16으로 시력이 측정되어 Kim 등의 연구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차이는 선행연구에서는 등 가구면렌즈를 착용한 상태와 마찬가지인 완전 교정상 태에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착용하고 시력을 측정하였 지만, 본 연구에서는 완전 교정상태에 (+) 원주렌즈 를 착용시켜 근시성 단성 난시가 유발되었기 때문에 등가구면렌즈를 착용한 주경선 균형상태의 혼합 난시 안보다 시력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Lew 등은 실제 난시환자에서 난시교정렌즈도수를 가감하였을 때 시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 였는데, 직난시를 0.50 D를 저교정한 경우의 시력이 0.815로 측정되었고, 도난시를 0.50 D 저교정한 경우 에는 0.766, 직난시를 1.00 D 저교정한 경우 0.608, 도난시의 경우 0.479로 측정되었고, 2.00 D 저교정 의 경우 직난시는 0.433, 도난시는 0.370으로 보고 하였다.6) 본 연구에서는 0.50 D의 직난시를 유발한 경우 0.83±0.17, 도난시 0.85±0.12로 측정되었고, 1.00 D의 직난시가 유발된 경우 0.65±0.21, 도난시 의 경우 0.66±0.17, 2.00 D의 원주렌즈 착용으로 직 난시가 유발된 경우 0.32±0.17, 도난시를 유발하였 을 경우 0.27±0.14로 측정되어 선행연구와는 약간 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는 실제 난시안 을 저교정한 경우를 측정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난 시안을 유발한 상태에서 시력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같은 난시도를 저교정한 상태이지만,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차이로 생각된다.

    Kim 등의 연구에서 20~30대 여성들은 미용상과 경제적인 이유로 난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토릭 콘택트렌즈나 RGP 처방이 아닌 일반 소프트렌 즈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고 특히 난시도가 1.25 D 이 상이면서 경제적인 이유와 미용상의 이유로 토릭 콘 택트렌즈나 RGP를 착용한 경우보다 난시를 교정하지 않은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대상자가 더 욱 많은 것으로 보고했다.2) 이렇게 난시를 교정해야 할 정도의 난시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적 인 이유로 서클렌즈나 컬러렌즈를 착용을 위하여 일 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시력저하가 나 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자에게 서클렌즈나 컬러 렌즈로의 제작이 가능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처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로 난시를 교정할 경우 위화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난시량의 교정 정도를 낮추어 처방하기도 하 는데,1) 이러한 이유로 난시량의 교정 정도를 낮추어 처방할 경우에도 난시안의 시력개선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해 교정을 할 경우에는 난시를 저교정하게 되는 경우에도 시력 감소의 정도가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Lee 등7)의 연구에서 최근 콘택트렌즈 렌즈 사용자 중 최근 4년간 평균 17%가 토릭 콘택트렌즈를 사용 하고 있으며, 토릭 콘택트렌즈 처방이 증가하고 있다 고 보고하였다. 최근 처방률이 높아지는 토릭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여 난시안을 교정할 경우 순목 시 안검 등에 의해 콘택트렌즈가 회전할 경우, 회전량이 적은 경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회전량이 클 경우에 는 완전 교정상태가 아닌 잔여난시가 발생한 상태로 시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축회전량을 고려한 피팅이 필요하다.8,9) 하지만 축회전량이 많거나 축회전이 안 정적이지 않고, 일정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처방시 축회전량을 고려하여 처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토릭 콘택트렌즈의 처방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시력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가 유용한 처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난시를 가지고 있는 사람 의 모집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로 일반 비정시안 을 완전 교정상태에서 (+) 원주렌즈 착용으로 근시성 단난시를 유발하였기 때문에 실제 난시안이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우의 시력교정효과와는 차이 를 보일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 후에는 실제 다양한 난시를 갖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교정효과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 유발된 근시성 난시안에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는 시력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시력개선 효과는 난시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난시의 저교정 혹은 등가구면 굴절 력을 처방할 경우나 여러 가지 이유로 토릭 콘택트렌 즈 혹은 RGP 렌즈의 처방이 필요한 난시안이지만 처 방이 어려워 일반 콘택트렌즈의 처방이 필요한 경우 나 환자가 토릭 콘택트렌즈, RGP 렌즈의 처방을 희 망하지 않는 경우,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처방을 고 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다중핀홀 콘택트렌즈가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Ⅴ. 결 론

    본 연구는 나안보다 시력과 입체시 개선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보고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가 난시안에서 의 시력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완전 교정된 눈에 난 시를 유발하고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착용 전·후의 시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완전 교정된 눈에 (+) 원 주렌즈를 이용하여 난시안을 유발할 경우 유발된 난 시도가 증가할수록 시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유발된 모든 난시안에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시력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유로 토릭 콘택트렌즈 착용이나 난시를 완전 교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다중핀홀 콘 택트렌즈를 착용한다면 시력교정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4년도 원광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JMBI-17-1-49_F1.gif

    Contact lens designed multiple pinhole.4)

    Table

    Visual acuity with the degree of induced astigmatism

    Visual acuity with the axis of induced astigmatism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rates of visual acuity improvement with the degree of astigmatism by wearing M.P.C.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rates of visual acuity improvement with the type of induced astigmatism by wearing M.P.C.

    Reference

    1. Kim JH, Kim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 of least confusion and corrected vision of astigmatism. J Korean Oph Opt Soc. 13(2), 51-57, 2007.
    2. Kim MY, Kim YM, Kim TH, et al.: Contact lens prescription and satisfaction with astigmatism eye. J Korean Oph Opt Soc. 11(4), 317-322, 2006.
    3. Sung PJ: Optometry, 8rd ed., Seoul, Daihakseorim, pp. 45, 2013.
    4. Lee HJ, Kwen MS, Park SY: A study on visual acuity change of multiple pinhole contact lenses. J. Korean Vis. Sci. 16(1), 79-87, 2014.
    5. Kim SY, Moon BY, Cho HG: Expectation of astigmatism by spherical equivalent visual acuity. J Korean Oph Opt Soc. 16(2), 167-170, 2011.
    6. Lew HM, Choi O: In correction of astigmatism, the effect on visual acuity according to changing lens power. J Korean Ophthalmol Opt Soc. 23(2), 387-394, 1982.
    7. Lee JH, Lee KS, Chu BS: Contact lens prescribing pattern in Korea during 2010 to 2013. J Korean Oph Opt Soc. 19(3), 323-329, 2014.
    8. Lee DH, Kim JH, Cha JW: A study on detection of axis-rotation in contact lenses. J Korean Oph Opt Soc. 10(4), 255-259, 2005.
    9. Fannin TE, Grosvenor TP: Clinical optics, 2nd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pp. 389-395,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