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3 pp.259-26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3.259

Comparison between Manifest and Cycloplegic Refraction of Hyperop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Hun-Taek Na*, Maeng-Sig Joung, Hong-Seon Kim
Dept. of ocular optics, Gangneung Yeongdong College, Gangneung
August 2, 2018 September 19, 2018 September 19, 2018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s the basic data on hyperopic refractive erro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nifest refreaction (MR) and cycloplegic refraction (C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hyperopia in gangwon-do region.


Methods :

Total of 50 eyes; 30 eyes of lower grades (grade 1.2.3) 20 eyes of the upper grades (Grades 4.5.6) participated , and were divided into 2 groups such as the mild hyperopia (+0.25D ~ +2.00D), moderate hyperopia (+2.25D ~+5.00D). MR and CR were performed with auto-refractometer and retinoscope.


Results :

The mean values of spherical power of MR and CR were +1.00±0.52D and +1.59±1.23D respectively, and that of CR power was 0.59±0.59D (p<0.05). In the lower grades, there were +0.91±0.52D and +1.44±1.25D, respectively, showing that CR was also higher than manifest refraction by 0.53±0.59D. In the upper grades, as the lower grade groupthere were +1.14±0.51D and +1.80±1.18D, respectively, showing that CR was also higher than MR by 0.66±0.58D (p<0.05). The differences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the degree of hyperopia were 0.48D and 1.75D, respectively in mild and moderate hyperopic groups.


Conclusions :

It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herical power between the whole students and the lower and upper grades in the hyperop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of spherical power between mild and moderate hyperopia were also increased as the refractive powers increased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hyperopia.



초등학생 원시안의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 비교

    Ⅰ. 서 론

    원시는 소아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굴절 이상이면 서 정상적인 시력 발달을 방해하여 약시를 일으키거 나 조절 내사시, 눈 피로, 두통, 입체시 저하, 독서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1) 굴절 이상은 소아 시력저 하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주된 원인이며, 그중에서 근시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원시, 난시 순서로 굴절 이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2) 이런 굴절 이상을 확인하는 굴절검사는 안과, 특히 소아 안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검사이다.3-4)

    소아는 성인에 비해 조절력이 강하므로 정확한 굴절 검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서 흔히 조절마비 후 굴 절검사를 시행한다.5) 특히 어린 환자 및 원시 또는 사 시가 있는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굴절검사를 하기 위 해서는 조절마비검사가 꼭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6) 뿐만 아니라 검영법도 함께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보고되고 있다.7) Hiatt 등8)은 14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원시 쪽으로 갈수록 조절마비 전후에 의 한 검사결과에 큰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굴절 이상을 갖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13~25%가 원시안임에도 불구하고 조절마비제를 이용 한 원시안에 대한 연구는 근시안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많이 부족하다.9) 그리고 국내 타 지역에서의 소아 들을 대상으로 원시안의 조절마비 전후 비교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었지만,10) 강원도 지역의 소아를 대상으 로 하는 연구는 보고된 것이 없어 조절마비 전후 원시 안의 굴절이상 정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안과를 내원한 초등학생들 중 원시성 굴절이 상 외에 사시, 약시 등의 안과적 질환이 없는 남자 7 명 13안, 여자 19명 37안, 전체 50안을 대상으로 하 였으며, 정시로 측정된 2안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굴절검사는 자동굴절검사기(NIKON SPEEDY-K, JAPAN)와 검영기(WelchAllyn REF 18245 USA)를 사 용하였으며, 자동굴절검사는 3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조절마비검사는 5분 간격으로 Cyclogly(Cyclolpentolate 1.0%)과 Mydrin-P(Tropicamide 0.5%, Phenylephrine 0.5%) 점안액을 3회 이상 점안하고 40분 이상 지난 후 펜라이트로 동공반사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굴절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등학생의 대상자들을 Group1 저학년(1.2.3학년) 30안, Group2 고학년(4.5.6학년) 20안으로 나누었으 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굴절상태도 비교하였다. 그리 고 원시정도에 따른 구면굴절력의 분류는 경도원시 +0.25D ~ +2.00D로 46안, 중등도원시 +2.25D ~ +5.00D로 4안으로 나누어 분류하였으며, 고도원시 에 해당되는 대상 안은 실험범위에 존재하지 않았다. (Table 1. 2)

    통계학적 분석은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굴절검사의 차이 여부는 paired T-test 로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이하 로 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구면 굴절력의 대상자 전체의 현성굴절검사(MR) 평균값은 +1.00±0.52D, 조절마비굴절검사(CR) 평 균값은 +1.59±1.23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 가 0.59±0.59D 높게 측정되었다(t=-6.907, p<0.05). 그리고 50안 중 난시가 있었던 41안의 난시 굴절력을 기준으로 현성굴절검사 평균값은 -1.07±0.80D, 조 절마비굴절검사 평균값은 -1.07±0.80D로 조절마비 굴절검사의 난시도가 0.10±0.13D 높게 측정 되었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t=0.216, p<0.83) (Fig. 1)(Table 3).

    2. 저학년과 고학년에 따른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학년에 따른 현성굴절검사(MR)와 조절마비굴절검 사(CR)의 구면 굴절력 평균값은 Group1(저학년)에서 는 +0.91±0.52D, +1.44±1.25D로 조절마비굴절검 사의 원시도가 0.53±0.59D 높게 측정되었다(t=-4.833, p<0.05). Group2(고학년)에서는 +1.14±0.51D, +1.80± 1.18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가 0.66±0.58D 높게 측정되었다(t=-4.958, p<0.05)(Fig. 1)(Table 4).

    난시 굴절력의 MR과 CR 평균값은 Group1(저학년) 에서는 –1.08±0.64D, -1.04± 0.66D로 조절마비굴 절검사의 난시도가 0.09±0.14D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며(t=-1.409, p<0.17), Group2(고학년)에서는 –1.04±1.09D, -1.11± 1.05D 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난시도가 0.10±0.12D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349, p<0.05) (Fig. 2)(Table 5).

    3. 원시정도에 따른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원시정도에 따른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의 현 성굴절검사(MR)와 조절마비굴절 검사(CR) 비교에서 경도원시의 구면 굴절력은 각각 +0.85±0.26D, +1.33±0.48D 이었으며, 조절마비굴절검사에서의 굴 절력이 +0.48±0.46D 만큼 증가하였다(t=-7.168, p<0.05). 중등도 원시의 구면 굴절력은 각각 +2.75± 0.08D, +4.50±0.50D 이었으며, 조절마비굴절력이 +1.75±0.87D 만큼 증가하였다(t=-4.041, p<0.05) (Fig. 3)(Table 6).

    경도원시의 난시 굴절력은 –1.08±0.84D, -1.09±0.84D 이었으며(t=0.216, p<0.83), 중등도원시의 난시 굴절 력은 -0.88±0.40D, -0.88±0.40D 이었고, 모두 변 화가 거의 없었다.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 (Fig. 4)(Table 7).

    4. 성별에 따른 구면 굴절력과 난시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성별에 따른 현성굴절검사(MR)과 조절마비굴절검 사(CR)의 구면 굴절력 평균값은 남학생에서는 +1.12± 0.51D, +1.67±1.31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 가 0.56± 0.54D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 의하였다 (t=-3.588, p<0.05). 여학생에서는 +0.96± 0.53D, +1.55±1.23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원시도 가 0.59±0.61D 높게 측정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 하였다(t=-5.842, p<0.05)(Fig. 5)(Table 8).

    난시 굴절력 평균값은 남학생에서는 -1.00±0.66D, -1.02±0.61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난시도가 0.06± 0.11D 높게 측정되었다(t=0.562, p<0.58). 여학생에 서는 –1.09±0.87D, -1.09±0.88D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t=0.000, p<1.00)(Fig. 5)(Table 9).

    2015년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결 과 시력굴절이상이 초등학교 1학년 26.7%, 초등학교 4학년 48.7%으로 나타났으며,11) 2010년 국민건강영 양 조사에 대한 보고에 의하면 5세 이상에서 근시 53.3%, 원시 11.2%, 난시 55.0%로 조사되었다고 보 고하였다.12)

    원시는 영유아기의 가장 흔한 굴절이상으로 신생 아의 약 75%는 원시이며 굴절력은 평균 +2.00D 정 도로 알려져 있다. 영유아기에 관찰되는 원시는 연령 증가와 함께 정시화로 된다.13-14)

    일반적으로 조절마비제를 이용한 검사는 상대적으 로 조절력이 강하고 시력이 불안정한 소아를 대상으 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아환자와 원시, 사시가 있 는 환자에게보다 정확한 굴절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조절마비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원시의 경 우 굴절도가 증가할수록 조절마비 전 후차이가 유의 하게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6) 그러나 조절마비굴절 검사는 보다 정확한 굴절검사를 할 수 있지만 근거리 시력 및 입체시가 감소하며 눈부심 등의 단점도 일어 난다.15) 하지만 원시안의 굴절이상을 지니고 있는 초 등학생들은 꼭 조절마비굴절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원시정도에 따라 약시 발생률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고도원시 +5D 이상인 소아에서 양안 약시가 25% 발 생하였다고 보고되었고,16-17) +2 ~ +3D의 원시에서 내 사시 위험도가 정시보다 6.38배 높았으며, +5D 이상 일 때는 약 122배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18)

    노 등19)의 연구에서는 1세~8세까지의 소아를 대상 으로 원시 굴절이상의 평균값은 +3.27D 로 보고되었 고, 전 등10)의 연구에서는 원시정도의 비교에서 경도 원시, 중등도원시, 고도원시의 MR의 평균값이 각각 +0.70D, +1.44D, +3.25D 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남녀 전체의 학생들의 현 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의 평 균값이 +1.00±0.52D, +1.59±1.23D로 조절마비굴 절검사의 원시도가 0.59±0.59D 높게 측정되었다 (t=-6.907, p<0.05). 저학년에서는 +0.91±0.52D, +1.44±1.25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 원 시도가 0.53±0.59D 높게 측정되었으며(t=-4.833, p<0.05), 고학년에서는 +1.14±0.51D, +1.80±1.18D 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구면 굴절력 원시도가 0.66± 0.58D 높게 측정되었다(t=-4.958, p<0.05). 고학년 에서의 MR과 CR의 차이가 0.13D 약간 더 높게 나타 났다.

    원시정도에 따른 MR 과 CR의 차이비교에서는 경 도원시, 중등도원시의 구면 굴절력이 각각 0.48D, 1.75D 차이가 났으며, 고도원시의 차이는 진행하지 못했지만 원시가 중등도원시로 갈수록 굴절차이가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난시 굴절력의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 비교에서는 대부 분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성이 없었다. 전등10)의 연구에서는 경도원시와 중등도원시 에서 각각 1.40D, 1.27D 정도 차이난다고 보고하였 다. 경도와 중등도의 굴절범위를 본 연구와 다르게 설정해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를 대상으로 조절마비제는 Cyclogly 과 Mydrin-P 점안액을 함께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유는 서양인보다 동양인에서 조절마비제의 점안의 효과가 적게 나타나 Cyclogly 과 Mydrin-P 점안액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좋다는 보고가 있다.20)

    하지만 안경원에서는 조절마비제를 사용한 굴절검 사 뿐만 아니라 검영기를 이용한 굴절검사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21) 그래서 초등학생들의 원시안을 대 상으로 현성굴절검사를 실시할 때 운무법을 사용하지 만 조절마비제를 사용한 굴절검사보다는 잠복원시 량 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 도 안경원에서 안경처방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와 데 이터들이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Ⅳ. 결론

    초등학생 1학년~6학년의 원시성 굴절이상 50안 을 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MR)와 조절마비굴절검사 (CR)를 비교한 결과 전체 초등학생의 구면 굴절력 MR 과 CR 비교, 저학년과 고학년의 구면 굴절력 MR 과 CR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원시 정도에 따른 MR 과 CR 비교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중 도 원시의 비교였지만, 구면 굴절력이 중등도 원시로 갈수록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한 조절마비굴절검사를 실행할 때 나이에 따른 저학 년과 고학년의 기준보다는 원시정도가 심한 학생들에 게는 잠복원시 량을 줄이기 위해서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한 후 반드시 조절마비굴절검사가 필요하다고 생 각된다.

    Figure

    KJVS-20-259_f1.gif

    Compared MR and CR on Spherical and Cylinder power

    KJVS-20-259_F2.gif

    Spherical and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grade.

    KJVS-20-259_F3.gif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hyperopia degree.

    KJVS-20-259_F4.gif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hyperopia degree.

    KJVS-20-259_F5.gif

    Spherical and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sex.

    Table

    Distribution of subjects

    Distribution of the 50 eyes hyperopia

    Comparisons between MR and CR in spherical and cylinder power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year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year

    The Spherical power and Cylinder power of kinds of hyperopia

    The Spherical power and Cylinder power of kinds of hyperopia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sex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sex

    Reference

    1. Grisham JD, Simons HD: Refractive error and the reading process: a literature analysis. J Am Optom Assoc. 57(1), 44-55, 1986.
    2. Park EK: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Oph Opt Soc. 13(4), 141-143, 2008.
    3. Lu Q, Zheng Y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f visual impairment among pre-school children in Beijing: the Beijing study of visual impairment in children. Am J Ophthalmol 147(6), 1075-1081, 2009.
    4. Kim MS, Chang HR: The evaluation of noncycloplegic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J Korean Ophthalmol Soc. 39(4), 728-734, 1998.
    5. Helveston EM, Pachtman MA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Nidek AR auto-refractor.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1(6), 227-230, 1984.
    6. Moon NJ, Kim JC et al.: The study on the necessity of cycloplegic refraction in school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29(3), 377-385, 1988.
    7. Jin YH, Cha HW: Refraction and prescription, 1st ed. Seoul, UUP, pp 47-72, 1995.
    8. Hiatt RL, Braswell R et al.: Refraction using mydriatic, cycloplegic and manifest techniques. Am J Ophthalmol 76(5), 739-744, 1973.
    9. Lee JH, Lee HB et al.: Ophthalmology, 8th ed. Seoul: Ilchokak, pp. 327, 2008.
    10. Chun YY, Park SJ et al.: A study on Usefulness of Static Retinoscopy in Eyes Opened for Hyperopic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Oph Opt Soc. 17(3), 293-298, 2012.
    11. MOE(Ministry of Education, Korea). Sample Survey results announcement about physical development, health, etc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vailable at http://www.moe.go.kr/web/106888/ko/ board /view.do?bb sId=339&boardSeq=58466. Accessed 21 February 2016.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Seoul, pp. 490-503, 2010.
    13. Cook RC, Glasscock RE: Refractive and ocular findings in the newborn. Am J Ophthalmol. 34(10), 1407-1413, 1951.
    14. Hirsch MJ, Weymouth FW: Prevalence of refractive anomalies. In: Grosvenor T, Flom M, eds. Refractive anomalies.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Boston, Butterworth- Heinemann, pp. 15-38, 1991.
    15. Yang SW, Lee NY et al.: The effect of cycloplegia on vision and stereopsis: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cycloplegia. J Korean Ophthalmol Soc. 47(9), 1454-1458, 2006.
    16. Friedman Z, Neumann E et al.: Outcome of treatment of marked ametropia without strabismus following screening and diagnosis before the age of thre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2(2), 54-57, 1985.
    17. Friedman Z, Neumann E et al.: Ophthalmic screening of 38,000 children, age 1 to 2 1/2 years, in child welfare clinic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7(4), 261-267, 1980.
    18. Cotter SA, Varma R et 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strabismus: the multi-ethnic pediatric eye disease and Baltimore pediatric eye disease studies. Ophthalmology 118(11), 2251-2261, 2011.
    19. Noh JH, Kim SY: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in Hypermetropic Children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 J Korean Ophthalmol Soc. 56(9), 1416-1423, 2015.
    20. Miranda MN: Residual accommodation. Arch. Ophthalmol. 87, 515-517, 1972.
    21. Kim JD, Lee IK et al.: An Investigation of Korean opticians' thinking to Objective Refraction Need. Korean J Vis Sci. 12(4), 247-25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