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3 pp.357-36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3.357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Coach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e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s Science at a university

Eun-Sun Seo1), Sun-Hee Park2), Yun-Joo Kim3)*
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1)
Dept. of College of Basic and General Education, Dongshin University, Naju2)
Dept. of Children's English Education, Dongshin University, Naju3)
August 27, 2018 September 18, 2018 September 19, 2018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learning coaching o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examine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

With 86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D University who experienced group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had positive (+) correlations with learning coach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coaching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β=.503, p<.001),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became (β=.351, p<.01). It turned out that learning coach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β=.325, p<.01), and in males (β=.259, p<.01), the higher their grades (β=.222, p<.05), the highe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level became. In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t turned out that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d an impa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β=.547, p<.001),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β=.404, p<.001),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became.


Conclusions :

It was found that learning coaching had a big impact o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was an important variable.



일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Ⅰ. 서 론

    학교교육은 인간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탐구 및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학습능력을 갖춘 사 람을 양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의 전달보다는 학 습하는 능력, 배우는 능력, 특히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1)

    정해진 시간표대로 움직였던 청소년기를 지난 대 학생은 성인기로 성장하는 시기로 중․고등학교와는 달리 시간적 여유와 활동의 자유를 얻게 됨으로 스스 로 대학생활에 적응해야 한다. 이처럼 대학에서 학습 은 중․고등학교때와는 다르게 학생들에게 많은 주도 성을 요구한다. 그러나 다수의 학생들은 입시위주의 환경에서 수동적으로 학습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어 대학입학 후 본인에게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 용하거나, 교과서나 문제집 위주의 학습교재가 아닌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야하는 학습방법에 대해 알지 못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학습코칭이란 교수자가 학생에게 목표설정을 통한 동기를 부여하고 공부계획, 효율적인 시간활용 등에 대해 학생과 같이 고민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2,3) 일방적으로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방식이 아닌 학생 스스로가 방법 을 찾고 계획을 세워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성취감 을 느낄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이 학습코칭이다. 학 습코칭은 학습자의 학습력 신장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자아를 찾아주고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좀 더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심리학적 시스 템이기 때문에 오늘날 자신의 성장 발전을 하고자 하 는 학습자들에게는 탁월함을 보여준다.

    자기주도학습(SDL: self-directed learning)은 1960년대 초에 시카고대학의 Houle 교수가 ‘The Inquiring Mind’라는 성인교육을 위한 책을 출간하면 서 언급된 것이 효시이며, 주로 현장에서의 경험을 기 초로 하여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의 정의 는 학자마다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Knowles4)에 의해 기반이 다져지게 되었으며, 타인의 조력 여부와는 상관없이,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욕구를 진단하 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그 학습에 필요한 인적·물 적 자원을 확보하고, 적합한 학습 전략을 선택·실행하 여 자신이 성취한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데 개별 학습자가 주도권을 갖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학습에 대한 효과는 학생간의 개인차, 교수-학습 법, 교사, 가정환경 변인 등이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 어지기 때문에 학습부진의 원인이 다양하다. 학업성 취도가 낮은 이유는 교수-학습법, 학생, 교사의 순으 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고, 학습부진 원인으로는 학습동기와 자기통제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 다.5,6) 이는 학생들이 대부분 학교에서 시간을 보내 고, 교과에 대한 지식습득을 학교의 교사에게 의존하 는 부분이 많은 상태에서, 기존의 교수-학습법에 대 한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 학업성취와 관련된 문제는 교과학습 보충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학 습 부진의 원인 및 결과에 나타나는 특성에 따른 관 리지도가 병행되어야한다. 마찬가지로 학습자는 타인 에 의해 강요된 학습을 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즐겁 게 공부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학업성취란 학교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지식, 기능, 지적능력, 태도, 가치관등 학교 학습 결과를 총칭하 는 개념을 의미한다. 학업성취란 “학습자가 교수-학 습의 과정에 참여한 결과로 나타난 지적 행동의 변화 정도”라고 Lee7)은 정의하였고 Park과 Kim8)은 “학 습자 개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학습에 대한 도달의 정 도”를 학업성취도라고 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에 속한 교과목들의 수행정도를 나타낸다. 학습의 결과는 교 사나 시험 등 학습자 본인과는 별개의 어떤 가치기준 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교육목표의 완수 정도를 의미 하기도 한다.

    학교 학습에서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가장 큰 변인 은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다.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은 교수-학습 차원에서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 개인 능력과 특성에 적절한 교수-학습이 투입될 때 학습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 다. 또한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과정을 스스로 통 제함으로 학습에 대한 관찰, 점검이 이루어지고 자기 보상을 통한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 주도 적 학습 능력의 향상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학습에 주도권을 갖고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자신의 학습목표를 결정해야 한다.그리고, 학습에 필 요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가정 적합한 학 습전략을 선택, 실행하여 학습결과를 스스로 평가하 는 과정을 통하면 학습의 극대화를 가져오는 것이 다.9)

    자기 주도적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변 인을 통제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하므로 학습 에 대해 잘 동기화 된다. 자신의 역량에 맞게 새로운 과제해결에 대한 성취감을 갖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화가 되고 자기효능감을 갖게 되어 학습 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게 될 것이다.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코칭이 일 대학 안경광 학과 전공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에 영 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한다.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조별 학습 및 팀기반 학습을 6개월 이상 경험한 학생 들로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 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었으 며,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조사가 이루어졌다. 응답자 는 94명이었는데, 불성실한 응답자 8명을 제외하고 8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도구

    1) 학습코칭

    학습코칭을 측정하기 위해 Kilburg,11) Kiel 등12), Saporito,13) Peterson,14) Giglio 등15)이 주장한 내 용을 Park16)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 는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요소로 6개 요소로 구분되어진다. 각 문항은 과제탐색 3문항, 관 계형성 3문항, 목표설정 3문항, 피드백지원 3문항, 실행 3문항, 평가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 은 5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본 연구에서 의 신뢰도는 .924이다.

    2)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을 측정하기 위해 Knowles4)의 연구 를 바탕으로 우리말로 정리한 Kim 등17), Cho18)의 한국판 자기주도 학습준비도 검사(SDLRS-K)를 Park15)이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이 용하였다. 본 척도는 모두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학습에 대한 애착, 자기애착, 도전에 대한 개방 성, 학습에 대한 호기심 책임, 자기이해 등이 내용으 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829이다

    3) 학업성취

    학업성취도는 Shin19)이 사용한 척도로 인지적 영 역 8문항, 정의적 영역 7문항, 신체적 영역 5문항으 로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 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923이다.

    3. 자료분석

    학습코칭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SPSS 22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 을 실시하였다. 먼저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량을 실시하였고,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 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남학생이 51.2%, 여학생이 48.8%로 남학생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학년은 1학년 19.8%, 2학년 13.9%, 3학년 33.7%, 4학년 32.6% 순으로 나 타났다. 연령은 평균 22.40세이며, 평균 학점은 4.50 만점에 평균 3.32점(±0.54)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대학생활만족도는 ‘보통이다’ 48.8%, ‘만족 스러운 편이다’ 34.9%, ‘불만족스러운 편이다’ 11.6%, ‘매우 만족스럽다’ 4.7%, ‘매우 불만족스럽다’ 0%로 나타나 비교적 대학생활이 만족스럽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다’ 45.3%, ‘만족스러운 편이다’ 40.7%, ‘매우 만족 스럽다’ 9.3%, ‘불만족스러운 편이다’ 4.7%, ‘매우 불 만족스럽다’ 0% 순으로 나타나 만족스럽다고 지각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2.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1) 주요변수간의 상관관계

    주요변수들과 통제변수들 간의 상관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는 학습 코칭과 자기주도학습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년과 경제 사정을 제외한 성별, 학점,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 족도 등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2) 학습코칭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코칭 과정이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 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별과 학년, 학점, 경제사정, 대학만족도, 전공만족도의 인 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독립변수인 학습코칭 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Table 3에서와 같이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시 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코칭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03, p<.001). 즉 학습코칭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가 높았다. 또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 .351, p<.01).

    3) 학습코칭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코칭 과정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 한 후 학습코칭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β=.325, p<.01).

    이는 대학생의 학습코칭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주도학습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 남자인 경우 (β=.259, p<.01), 학점이 높을수록(β=.222, p<.05) 자기주도학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그러나 남자의 경우에서 자기주도학습이 높게 나타 난 결과는 본 연구가 일개대학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표집수가 많지 않은 것을 고려해 볼 때 확대해석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4)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보고자 자기주도학습을 독립변수로 학업성취를 종 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5에서 와 같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영향 을 미치고(β=.547,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 록(β=.404, p<.001)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고찰 및 결론

    학습 코칭이란 학습을 위한 기본적인 학습기술과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코칭 스킬 및 모형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을 강화하고 기존의 실행경험에 근거해 자기반성과 의식전환을 이루게 하는 학습의 촉진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습코칭을 통해 학습자는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기술과 학습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 자신에게 적합한 자기주도적인 학습기술과 학습전략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 는 능력을 발전시키며 코치를 통해 학습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점진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을 촉진 하여 종국적으로는 스스로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어 야 한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 요구를 진단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에 필요 한 인적과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학습 기술과 전략을 선택 실행한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과 활동을 통해 학 습의 극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코칭이 자기주 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보고,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조별 학습 및 팀기반 학습을 6개월 이상 경험한 대학생 86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는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에 양(+)의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특 성인 성별, 학년, 학점, 경제 사정, 대학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학습코칭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503, p<.001), 즉 학습코칭 점 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전공만족 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β=.351, p<.01). 학습전달 수단으로 코칭을 강조 한 Herlein은 코칭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학습의 전달 수단이라고 보았다. Cho20)의 연구에서도 학습의 어려움을 보이는 대학생 들에게 학습코칭은 자기조절과 통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학업성취수준의 향상을 가져왔다.

    학습코칭 과정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 한 후 학습코칭이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25, p<.01). 이는 대학 생의 학습코칭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수준 이 높음을 의미하며, 남자인 경우(β=.259, p<.01), 학점이 높을수록(β=.222, p<.05) 자기주도학습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rk16)의 연구에서도 학습조직화 코칭을 성공적으로 진행될수록 학습조원 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고 학습조원들의 직무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코칭프로그램은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만족감을 상승시켰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게 되었으며 자기주도학습력을 신장시 켰고, 자녀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부모들의 생각 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21) 또한, 고등학생의 학습코칭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하위 변인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 능력이 전반으 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22) Baek23)은 자기주 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의 학 생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향상되어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보고자 자기주도학습을 독립변수로 학업성취를 종 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자 기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고(β=.547, p<.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β=.404, p<.001)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Ha24)는 자기조절학습 증진프로그램이 학습자들 의 참여활동과 경험을 통해 학습동기와 학습효능감 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업성취에도 궁극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고, 자기주도적 학습코칭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집단이 학습동기, 학 습전략, 학업성취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었 고, 자기주도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를 있음을 보여주었다.10) 대학생들은 코칭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탐색과 취업준비를 위한 실행력, 자기이해 와 가능성 발견, 자신감, 심리적 평안, 코칭 체험을 통한 대인관계와 가족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5) Lee와 Kang26)의 연구에서도 학습부 진 대학생에 학습코칭 프로그램은 학업성취도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학 습코칭은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고,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만족도 중요한 변인임을 확 인하였다.

    이 연구는 특정 일개 대학 재학생에 국한되었기 때 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안경광학과 학생들에게 일반 화의 제한점이 있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에게 맞는 코 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직무수행능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해본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ions between major variables

    The Effects of learning Coach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e Effects of learning Co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Ⅰ. 다음 문항은 귀하의 학습조 조장이 학습코칭을 어떻게 진행했느냐에 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가까 운 번호에 ‘√’표시를 해 주십시오.

    Ⅱ. 다음 문항은 귀하의 학습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가까운 번호에 ‘√’표시를 해 주십시오.

    Ⅲ. 다음은 학습과정 참여 이후 학습 성과에 관한 질문입니다. 평소의 경험이나 생각을 토대로 귀하의 생각에 가까운 번호에 ‘√’표시를 해 주십시오.

    Reference

    1. Chin YE, Lee JW: Research the Trends and Tasks of Self-Directed Learning Studies in Korea. J Korean Teach Educat, 24(1), 221- 249, 2007.
    2. Hwang ID: The Effect of Study Coach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of Under achievement Elementary School Children, Kwangwoon University MS Thesis, pp. 54-57, 2011.
    3. Lee BR: A Case Study about Learning Coaching Follow the DISC Behavior Pattern of Parents: Focused o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Ajou University MS Thesis, pp. 12-17, 2011.
    4. Knowles MS: Self 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1st ed., New York, Cambridge, 1975.
    5. Park DJ: Educational reinterpretation on the researches about learning disabilitie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pp. 71-73, 2010.
    6. Hwang MH, Kim YB et al.: Exploring the Types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Secondary Educat Res. 60(1), 191-217, 2012.
    7. Lee JS: ACT Assessment: Its Components, Reports, and Data Services. CNU J Educat Stud. 17(1), 87-110, 1995.
    8. Park YS, Kim UC et al.: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Korean J Clin Psychol. 10(3), 37-59, 2004.
    9. Hwang JG, LEE DH et al.: introduction to education. 2nd ed., Seoul, educational science history, 2003.
    10. Choi CH: An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coach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tudying motives, studying strategy and studying achievement Kwangwoon University MS Thesis, pp. 54-60 2012.
    11. Kilburg RR: Executive coaching as an emerging competency in the practice of consultation. Consulting Psychol J: Practice Res. 48(2), 59-60. 1996.
    12. Kiel F, Rimmer E et al.: Coaching at the top. Counseling Psychol J: Practice Res. 48(2), 67-77, 1996.
    13. Saporito TJ: Business-linked executive development: Coaching senior executives. Consulting Psychol J: Practice Res. 48(2), 96-103, 1996.
    14. Peterson DB: Executive coaching at work: The art of one-on-one change. Consulting Psychol J: Practice Res. 48(2), 78-86, 1996.
    15. Giglio L, Thomas D et al.: Coaching a leader: leveraging change at the top, J Manage Develop. 17(2), 93-105, 1998.
    16. Park WS: The Effects of Learning Organization Coaching on Job Performa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Moderating Effect of Top Management Support, Dong-A University PhD Thesis, pp. 71-75, 100-102, 2015.
    17. Kim CJ, Kim KS et al.: A Study on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its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Adult Continuing Educ. 2(1), 1-25, 1996.
    18. Cho JJ: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Life-long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tel Employees, Kyonggi University PhD Thesis, pp. 22-26, 2011.
    19. Shin EJ: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Adult Learners’Learning Outcom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 60-64, 2012.
    20. Cho JS: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 Learning Coaching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upport Theory. Korea Res Inst Career Learning Coaching 2(1), 49-68, 2018.
    21. Choi SM: Learning Coaching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Influence, Kangnam University MS Thesis, pp. 50-60, 2013.
    22. Lee ME: The Effect of a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High School Students, Dongguk University MS Thesis, pp. 50-60, 2013.
    23. Baek YS: Development of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Kwangwoon University MS Thesis, pp. 5-84, 2011.
    24. Ha MY: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th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Yeungnam University MS Thesis, pp. 29-37, 2011.
    25. Joh SJ: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Coaching Program - focused on 4 cases in 3 universities. J Coaching Develop. 15(3), 235-246, 2013.
    26. Lee GH, Kang K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aching Programs Focu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for Academic Underachievers. J Thinking Develop. 12(2), 119-154,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