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393-40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393

A Questionnair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Eyewear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Jae Hyun Sung,Eun Jin Cho,Dal-Young Kim*
Dep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Address reprint requests to Dal-Young Kim Dep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TEL: +82-2-970-6229
July 31, 2018 December 12, 2018 December 12, 2018

Abstract

Purpose :

This surve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hape and color preference of eyeglasses and sunglass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50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150 Korean college students. Any student who majors in optometry was excluded. Chines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that were translated into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nd it was translated by a native Chinese student studying in a master course of a Korean university, on the basis of Korean questionnaire.


Results :

The Chinese consumer group preferred the global famous brand in sunglasses rather than the glasses, and it was found that they preferred the Korean glasses products relatively. Also, they presented higher preference to half- or rimless frame, gold color, two-tone colored lens, comparing to the Korean consumer group.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Chinese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manufacturing․optical shop companies, and to sales strategy of Korean optical shops with Chinese tourists.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안경의 선호도 차이에 대한 설문 조사 연구

성재현,조은진,김달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서울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Ⅰ. 서 론

    문화적인 배경의 상이함 때문에 국가, 민족, 인종 에 따라 색상과 제품 형태에 대한 선호도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에도, 두 나라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 고, 같은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 속하며, 오랜 기간 동안 문화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받아왔음에도 불 구하고, 제품 형태와 색상에 대한 선호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일례로 2016년에 국내 모(某) 백화점에서 6개월의 기간 동안 구두 색상 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국인 고객의 60 %는 금색을 선호하는데 반하여, 한국인 고객의 50 %는 검정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던 바 있 다.1) 스마트폰 회사로 널리 알려진 애플 사(社)에서 아이폰에 새로운 색상을 도입하였을 때, 한국에서는 블랙 색상이, 중화권에서는 금색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사실도 또 하나의 예라고 할 수 있다.2) 따라 서 외국인을 상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경우에는 대상 외국인 집단의 제품 형태 및 색상 선호도를 고 려할 필요가 있다.

    비록 아직까지 사드(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ce) 사태의 후유증이 남아 있어 중국인 방한객의 숫자나 그를 통한 매출액의 회복세가 충분 하지 않은 현실이지만, 중국인 관광객은 명동, 남대 문 등의 안경 상권(商圈)에서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해당 상권의 중국인 고객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여겨지므로, 한국인과 중국인의 안경 형태와 색상 선호도에 대한 조사와 비 교는 큰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한국인과 중국인의 색상 선호도 차이 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안경테와 렌즈의 종류․형태 별 선호도에 관한 선행 연구는 미흡 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과 중국인의 안경과 선글라스 형태에 대한 선호도 차 이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안경 소비 자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트렌드에 민감하고 제품의 미적인 형태를 중요하게 여기는 20대 중국인을 대상 으로, 안경과 선글라스 제품 형태의 세부적인 요소들 을 추출하여, 항목별로 선호도를 설문조사하고 그 결 과를 한국인 대상 설문조사와 비교․분석하였다.

    한편으로, 제품 구매 시 외국인의 국적별 제품 품 질에 대한 기대수준이 다르며, 이러한 차이가 품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품질과 가격만큼 제품 형태와 생산국가도 제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3) 이러 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형태 및 색상에 더하여 어떤 국가의 생산품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조사 또한 함께 수행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립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 150명과 동(同)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일반 소비자의 입 장에서 제품 형태와 색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안경광 학 관련 전공자는 설문 대상에서 배제되었다. 중국인 학생들에게는 중국어 간체자로 번역된 설문지를 제공 하였으며, 제공된 중국어 간체자 설문지는 한국 대학 석사과정에 유학 중인 중국인 원어민 학생이 한국어 설문지를 바탕으로 번역한 것이다.

    안경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매우 많으나, 안경 전 문가가 아닌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직접 비교가 가능 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제품 형태를 비교하도록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원칙 아래 선택된 설문 문항은 테의 형태 (림(rim)의 형태를 온테, 반무테, 무테로 구분), 브릿지 개수, 테 색상, 렌즈 종류, 렌 즈 색상 등등 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예제는 부록에 주어져 있다.

    선행 연구에서 패션에 관심이 많은 20대들이 안경 이나 선글라스를 쓰는 이유들 가운데 안경의 모양, 즉 미적요소의 비중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4)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선글라스를 선택할 때 안경보다 미적 요소를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여겨지 기 때문에, 설문 조사는 안경과 선글라스를 분리하여 각각에 대하여 유사한 항목으로 질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2017년 3월부터 6월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응답자 가운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각각 중국인의 경우 68명 대 82명, 한국인의 경우 71 명 대 79명이었다..

    Ⅲ. 결과

    Fig. 12는 어느 국가의 브랜드(brand)를 선호하 는지에 대한 설문 항목으로, 한국인과 중국인 양쪽 모 두 안경에서는 자국산(한국인의 경우에는 한국산, 중 국인의 경우에는 중국산) 브랜드를 더 선호하고, 선글 라스에서는 유명 글로벌 브랜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는 기능이 중요한데 반해 선글라스는 안경보다 패션용품이라는 인식이 더 강하기 때문에, 제품의 미적 형태 부문에서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유명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반영 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 브 랜드에 신경 쓰지 않다는 응답이 37 %를 넘을 만큼 높 게 나타난데 비해서, 중국인 응답자들은 그 비율이 18 ∼20 %에 머물러, 안경과 선글라스의 브랜드가 유명 글로벌 브랜드인지 자국산인지에 관해 한국인보다 민 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품 형태의 차이, 품질, 착용감, 제품 수명, A/S 등과 같은 이유로 이러 한 반응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선행연구 보고가 있다.5)

    Fig. 3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안경과 선글 라스 양쪽에서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 자국에서 생산 된 제품에 대한 선호가 뚜렷이 드러났다. 앞서 Fig. 2 에서 상대적으로 형태를 중시하여 해외 브랜드에 대 한 선호도가 높았던 선글라스에서 조차, 제품 생산지 측면에서는 자국 제품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특기할 만한 결과는, 안경과 선글라스 양쪽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도는 매우 낮은데 반하여, 한국산 제품에 대한 중국인의 선호도는 (비 록 중국 자국산에 대한 선호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 된 원인을 생각해 보면, 첫 번째로 설문 조사 대상인 중국인 유학생 집단이 기본적으로 한국에 호의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두 번째로 아직 까지 한국의 기술력이 중국보다 우수하다는 일반적인 인식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Fig. 56은 테의 형태(온테, 반무테, 무테)에 대 한 선호도를 설문하고 그 결과를 국적에 따라 구분하 여 비교한 결과이다.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들 공통 으로 온테, 반무테, 무테의 순서로 높은 선호도를 보 였으나, 중국인 소비자 집단이 반무테 항목에서 한국 인 소비자들보다 2배 이상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 점 이 흥미롭다. 중국인 소비자의 반무테에 대한 이러한 선호는 안경과 선글라스 양쪽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온테에 대한 선호도는 한국인 소비자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 78은 안경과 선글라스에서 테의 모양(원형 테, 사각테, 육각테 등)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한 결과 이다. 이 항목 역시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 양 측에서 공히 원형테, 사각테, 육각테의 순서로 선호 도가 높게 나타나서,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의 특성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 설문 항목에서 특기할 사항은, 선글라스의 경우 중국인 소비자 집단에서 육각테에 대한 선호(17.3 %) 가 상당히 높아서 사각테에 대한 선호도(23.3 %)에 거의 근접했다는 사실이다. 반대로 한국인 소비자 집 단에서는 안경과 선글라스 모두 육각테에 대한 선호 가 미미하였다 (각각 2.0 %, 3.3 %).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인 소비자에게 육 각형 모양의 안경테가 독특하면서 새로운 안경테 형 식으로 선호되고 있으나, 한편으로 과감하고 눈에 띄 는 제품 형태라서 주저하는 면도 존재한다고 추정된 다. 그 결과 시력교정의 기능을 가지며 일상에서 주 로 착용하는 안경에서는 육각테에 대한 선호도가 그 렇게 높지 않으나 (8.7 %, 한국인 소비자 집단의 2.0 %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도이다.), 미적인 면이 중시되고 패션 상품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선글 라스에서는 육각테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쉽게 표현되어 높은 응답률로 나타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ig. 910은 안경테의 색상 선호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이다. 안경과 선글라스 양쪽 모두 한국인 소비자 집단은 검은색을 가장 선호하는데 비해, 중국 인 소비자 집단은 금색(gold colour)을 가장 선호한 다고 응답하였다. 중국인의 금색에 대한 강한 선호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 있으며, 이러한 취향이 안경과 선글라스 테의 색상에 대한 선호도에도 반영된 것으 로 해석된다. 반면에 한국인 소비자 집단은 금색에 대한 선호도가 10 % 미만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특 별히 금색을 선호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Fig. 1112는 렌즈의 색상 유무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한 결과이다. 안경의 경우 투명렌즈에 대한 선호 도가 가장 높은 것은 한국인 및 중국인 소비자 집단 양쪽에서 공통이었으나, 한국인의 경우 투명렌즈에 대한 선호가 압도적으로 높고 투톤(two-tone)렌즈나 단색(single-colored)렌즈에 대한 선호가 미미했던데 반해서, 중국인의 경우는 투톤렌즈를 선호하는 비율 (34.7 %)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선글라스의 경우 에도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 공히 미러 렌즈를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지만, 패션 소품으로서의 인식 때문에 단색렌즈나 투톤렌즈에 대한 선호가 상 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국인 소비자 집단에서는 투톤렌즈를 선호한다는 응 답이 많았다.

    Fig. 13은 선글라스에 한해서 렌즈의 색상으로 어 떤 색을 선호하는지 설문한 결과이다. 안경 렌즈의 색상에 대한 설문은 한국과 중국 양측에서 모두 무색 투명한 렌즈에 대한 선호가 매우 높아 의미 없다고 사료되어 제외하였다. 한국인 소비자 집단은 검은색 의 선글라스 렌즈를 압도적으로 선호(69.3 %)한데 비 해서,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검은색에 대한 선호도 (40.7 %)가 가장 높기는 하였으나, 한국인 소비자 집 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𡘳. 고찰

    브랜드 선호도 항목에서, 선글라스는 한국인과 중 국인 소비자 집단 공히 글로벌 유명 브랜드를 선호하 였지만, 안경은 양쪽 모두 자국산 제품을 선호하였 다. 안경은 상시 착용하고 자주 교체하기 때문에 가 격이 높은 글로벌 유명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낮다 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선글라스는 사용 빈도가 낮고 교체 주기가 길며 안경보다 패션용품이라는 인 식이 강하기 때문에 멋내기 용도로 가격이 비싸도 글 로벌 유명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인 소비자 집단을 공략할 때는 선글라스 를 중심으로 글로벌 유명 브랜드 제품을 공급하는 것 이 적절한 전략이라 사료된다.

    생산지에 관해서는 안경과 선글라스 두 가지 모두, 한국인 소비자 집단에서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 가 높지 않았던데 반해,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상대 적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해 관대한 성향을 보였다. 한국인 소비자는 made-in-China 제품 일반에 대하 여 디자인과 특허에 관하여 공정하지 않은 제품이라 는 인식이 존재한다는 선행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6) 그에 반하여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한류 등의 영향으 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7) 따라서 중국인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할 때, 한국산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공급하는 것이 유효 한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안경과 선글라스 테의 형식 항목에서, 중국인 소비 자 집단은 반무테나 무테에 대한 선호가 한국인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 과를 바탕으로 하면, 중국인 소비자 집단에게는, 한 국인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온테를 가장 높은 비율로 공급하되 그 비율을 낮추고, 무테 또는 반무테 안경 테를 더 높은 비율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추정된다.

    테의 색상 항목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소비자 집 단 사이에 가장 큰 차이가 드러났다. 안경과 선글라 스 양쪽 모두에서, 한국인은 검은색을 가장 선호하는 데 반해 중국인은 금색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성이 뚜 렷이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색상 이외에도 한국인 소비자 집단은 대체로 단정하고 무난한 색상을 선호 하고,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화려하고 눈에 띄는 색 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들이 금색을 행운과 재물을 가져다주는 부의 상징으로 여 겨 선호한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8) 이러 한 중국인 소비자 집단의 금색 선호가 안경과 선글라 스의 테에도 그대로 적용됨을 본 설문 조사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안경과 선글라스의 렌즈 종류 항목에서 중국인 소비 자 집단은 한국인 소비자 집단에 비하여 투톤렌즈에 대 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국인 소비자 들이 투톤렌즈처럼 특이하고 특색 있는 색상을 선호한 다는 점에서 앞서 테의 형태나 색상 항목에서 도출된 결 과와 일맥상통하는 경향성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𡘴. 결론

    안경과 선글라스의 제품 형태에 대한 한국인과 중 국인 소비자 집단의 선호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한국인 과 중국인 소비자 집단의 선호도가 흥미로운 대조를 보였던 항목들로 부터 다음과 같은 특성을 추출할 수 있었다.

    20대 중국인 소비자 집단은 안경보다 선글라스 부 문에서 글로벌 유명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한국산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호 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인에게는 특이 하게 여겨지는 금색 테, 육각형 렌즈, 투톤렌즈 등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 국인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판매할 때 해당 제품들을 좀 더 높은 비율로 공급하는 것이 매출 상승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국내 안경 또는 선글라스 제 조․유통 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할 때 유용한 마케팅 전 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명동․동대문․남 대문 등지에서 중국인 관광객 비율이 높은 안경원의 판 매 및 재고 관리 전략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소비자 집단을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인 대학 재학생으로 한정했다는 한계가 존 재한다. 한국 유학을 자발적으로 선택한 소비자 집단 에서는 일반 중국인 소비자 집단에 비하여 한국 문화 에 대한 선호가 높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본 연 구의 결과를 실제 마케팅에 적용할 때는 이러한 한계 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Tec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s

    Figure

    KJVS-20-393_F1.gif

    Preference of eyeglasses brand

    KJVS-20-393_F2.gif

    Preference of sunglasses brand

    KJVS-20-393_F3.gif

    Preference of manufacturing country of eyeglasses

    KJVS-20-393_F4.gif

    Preference of manufacturing country of sunglasses

    KJVS-20-393_F5.gif

    Preference of frame style of eyeglasses

    KJVS-20-393_F6.gif

    Preference of frame style of sunglasses

    KJVS-20-393_F7.gif

    Preference of frame shape of eyeglasses

    KJVS-20-393_F8.gif

    Preference of frame shape of sunglasses

    KJVS-20-393_F9.gif

    Preference of frame color of eyeglasses

    KJVS-20-393_F10.gif

    Preference of frame color of sunglasses

    KJVS-20-393_F11.gif

    Preference of lens type of eyeglasses

    KJVS-20-393_F12.gif

    Preference of lens type of sunglasses

    KJVS-20-393_F13.gif

    Preference of lens color of sunglasses

    Table

    1. 브랜드

    2. 테 모양

    3. 테 형식

    4. 브릿지의 개수

    5. 생산지

    6. 코패드 유무

    7. 코패드 재질

    8. 테의 색상

    9. 렌즈 종류

    10. 렌즈 색상

    1. 品牌

    2. 形狀

    3. 形状

    4. 橋的數量

    5. 生产国

    6. 鼻墊材料

    7. 有无鼻托

    8. 边框的颜色

    9. 镜头类型

    10. 镜片颜色

    Reference

    1. Jeong IS: Chinese love gold shoes, 2016. Available a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5&aid=0003701716&sid1=001. Accessed June 4, 2017.
    2. Lee JJ: IPhone 5S turns out to be a popular reason in China market ... 'Gold effect'?, 2013. Available a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5&aid=0002953107&sid1=001. Accessed June 4, 2017.
    3. Kim GH, An HJ et al.: A survey of foreign consumers satisfaction with eye-wear products in Korea according to nationality. J Korean Ophthalmic Oph Opt Soc. 20(4), 397-404, 2015. http://www.riss.kr/link?id=A104881079
    4. Jang JY, Kim DN et al.: Purchase behavior of eyewear and eyewear design. J Korean Oph Opt Soc. 12(4), 23-27, 2007. http://www.riss.kr/link?id=A104880947
    5. Cho HG, Moon BY et al.: Survey of the brand and design recognition between domestic goods and foreign ones in the eye glasses industry. J Korean Oph Opt Soc. 11(3), 207-215, 2006. http://www.riss.kr/link?id=A104881794
    6. Lee HH: Smartphone Golden War, 2014. Available at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1&aid=0002452897&sid1=001. Accessed June 4, 2017.
    7. Kim JH: Made in China 'Fake', 2017. Available at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8/30/2017083000578.html. Accessed September 1, 2017.
    8. Kim HK: 'Sulwhasoo' as Chinese stout items. 2017. Available at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510202119115&code=920401. Accessed September 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