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421-42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421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Retina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Axial Length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in Children

Hyung-Seok Choi,Hyun-Sung Leem*
Departmen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Daejeon
E-mail: hsl@eulji.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yun Sung Leem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Daejeon Tel: +82-31-740-7155, Fax: +82-31-740-7365
October 30, 2018 December 22, 2018 December 23, 2018

Abstract

Purpose :

We identified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and RNFL (retina nerve fiber layer) measured by OCT and axial length in Korean children divided as three groups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Methods :

In total, 134 eyes of 67 Korean children who experienced no eye disease and ophthalmology surger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nd then divided as three groups such as hyperopic, emmetropic and myopic groups. Macular thickness and RNFL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Cirrus HD-OCT, and axial length was done with IOL Master.Macular thickness and RNFL thickness were measured by Cirrus HD-OCT, and axial length using IOL Master.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retinal thickness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was investigated.


Results :

The type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axial length was myopic, emmetropic and hyperopic groups in orde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center thickness of macular was myopic, emmetropic and hyperopic groups in order,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e thicknesses of superior, nasal and inferior regions in peripheral macula were the thinnest in myopic group (p<0.05). It was shown tha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enter thickness of macula and axial length (r=0.283, p<0.05),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RNFL and axial length. The temporal thickness of RNFL represented the thickest in myopic group,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r=0.39, p<0.05). The superior, nasal and inferior thickness of RNFL represent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asal thickness of RNFL(r=-0.23, p<0.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correl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the thickness of RNFL and axial length using OCT in Korean children, and also found the differences in three refractive error groups.



아동들의 굴절이상에 따른 안축장과 황반두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상관성연구

최형석,임현성*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대전

    Ⅰ. 서 론

    근시(Myopia)는 조절휴지 상태에서 물체의 상(Image) 이 눈의 망막 앞에 초점이 맺히는 눈의 굴절상태로써 각막의 굴절력과 수정체의굴절력이 더해진 굴절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굴절성근시가 있고, 성장기의 어린 이들에게 신체성장의 발달과 더불어 눈의 앞 뒤 길이 (Axial length)가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축성근시가 있다.1-3)

    최근 근시는 명백한 질병으로 분류되어 세계보건 기구(WHO)에서는 눈의 굴절이상도가등가구면구절력 (SE; Spherical Equivalent)이 -0.75D(Diopter)이 상 일 경우 근시로 정의하였다.4)

    우리나라의 경우에 2008년부터2012년 기준으로 소아들의 근시유병률은 초등학생시기에 가장 높게 나 타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아 이미 우리나라는 초등학생부터 근시의 발생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 고유병률이 높게 나타나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4)보이고 있고 안축장의 증가가 근시진행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아동의 근시진행은 성장기를 통하여 성장이 멈추는 성인까지 지속되며, 고도근시는단순히 굴절이상이 아 닌백내장, 녹내장, 망막박리 등의 합병증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근시로 인하여 유발되는 합병 증은 질환의 유무와 진행 정도를판단하는데 있어서 망막에서 중심부분의 황반(Macular)두께와 모양, 시 신경유두, 시신경주변부의 두께 등을 정밀하게 측정 하고 선명한 HD화질로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광학간 섭단층촬영기(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가 등장하게 되었다.7)

    OCT를 이용하여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두께와 황 반의 단층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그 결과 망막질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또한 OCT를 이용하여 시신경주변부의 망막신경섬유층(RNFL; Retina Nerve Fiber Layer)의 두께를 측정하여 신경섬유층의 손상 여부를 판단 할 수가 있으며 시신경의 모양과 함께 분석하여 망막신경섬유층과 연관된 안과질환진단에 도움을 주고있다.

    이러한 OCT장비로 인하여 망막질환을 가지고 있 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다.8) 주로 성인들에서 망막 및 녹내장과 관련된 질 환으로 당뇨관련 당뇨성망막병증, 건성과 습성황반변 성, 황반부종 등의 질병을 가진 망막의 황반부 단층 모양과 두께를 측정하여 OCT기계내에 저장된 정상성 인의 평균수치 값인 망막황반부의 단층모양과 두께를 비교, 분석하여 측정된 환자의 망막이 정상군에 속하 는지의 여부와 질병이 호전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 고, 녹내장환자의 경우에 시신경과 신경섬유층의 단 층모양과 두께를 안과적 질환이 없는 정상성인의 평 균수치 결과에 비교하여 질환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9)

    특히 근시의 유병률과 진행이 급속도로 나타나는 성장기의 아동들은 안구의 크기의 확장과 함께 안축 장이 길어지며 근시안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근시로 인한 망막의 구조변화와 시신경모양의 변할 수 있는 위험성이 증가한다.10) 아동들의 굴절이상도에 따른 망막의 황반두께, 시신경섬유층두께를 참고하여 근시 성 눈으로 진행되는 망막과 시신경의 변화로 생길 수 있는 근시의 합병증으로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아동들 의OCT측정으로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예상을 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11)

    본 연구에서는 5세~13세 아동들의 안축장과 광학 간섭단층촬영기(OCT)를 이용하여 측정한 눈의 망막 의 황반두께와 시신경섬유층두께의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우리나라 아동들의 안축장과 황반두께 그 리고 시신경섬유층두께의 정도를 알아보고 아동들의 굴절이상(근시, 정시, 원시)에 따른 안축의 길이, 황 반부 두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상관성을 분석하 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안과의원을 방문한 아동67명(134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약시, 사시 또는 각막질환, 포도막염, 망막질환등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적 수술경력이 없는 아동을 대상자로 실시하였다. 이들을 굴절이상별로 근 시(SE≤-0.75D), 정시(-0.75<SE≤+0.75D), 원시(SE>+0.75D)의 그룹으로분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굴절이상도는 자동굴절력검사기기(Nidek ARK-1, AICHI 443-0038 JAPAN)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피 검자의 타각적 굴절이상도를 3번씩 측정한 값의 평균 값으로 결정하였다.2차적으로 검영기(WelchAllyn, NY 13153-0220 U.S.A)를 이용하여 타각적으로 피검자 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다.원시그룹(SE>+0.75D) 의 경우 조절마비제(싸이크로질1%)을 최초 1방울 점 안 후에 10분 간격을 두고 2회 더 점안을 한 후 최초 점안 후에 최소 30분이 지난 다음 자동굴절력검사기 기와 검영기로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다. 빛간섭광학 단층촬영기(Cirrus HD-OCT500;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94568 USA)를 이용하여 접안렌즈 중심 의 녹색 별모양의 타깃을 주시하도록 한 후 황반두께 (Macular thickness 512 X 200 cube)모드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결과 이미지의 신호강도(Signal strength)는 10점 만점에 7점 이상인 자료를 이용하 였다.결과값의 두께분석은 중심부 황반지름1mm 원 부분, 중심부 황반을 제외한 주변부황반지름3mm의 원부분을 4등분한 코쪽, 귀쪽, 위쪽, 아래쪽 황반을 나누고, 3mm주변부 황반부를 제외환 더 넓은 주변부 지름6mm 원부분을 3mm주변부와 같이 4등분한 부 분으로 총 9구간으로 나누어서 두께를 측정하였다. 빛간섭광학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에게 기 계 접안렌즈에서 보이는 코쪽의 녹색 타깃을 주시하 도록 한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Optic Disc Cube 200x200)모드로 촬영하였다.

    검사결과 이미지는 신호강도(Signal strength)가 10점 만점에 7점 이상인 자료를 이용하였다. 망막신 경섬유층의 두께분석은 시신경유두(Optic Disc)을 중 심으로 3.4mm 지름의 원 부분을 코쪽, 귀쪽, 위쪽, 아래쪽의 4등분한 총 부채꼴모양의 4구간으로 나누어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분석은 중심부황반1mm를 중 심으로 주변황반부의 신경절세포층을 6등분한 부분 의 신경절세포층을 측정하였다.

    안축장 측정기기(IOL master; Carl Zeiss Meditec AG 07740 Jena, GERMANY)를 이용하여 피검자에 게 정면의 붉은색 타깃불빛을 주시하게 한 후 5번 이 상 안축장을 반복측정하였다. 5회이상 측정한 안축장 평균과 0.2mm이내의 값을 구하였다. 모든 검사는우 안과 좌안 순서로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21을 이용하였다. 세그룹 이상의 평균 비교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유의수준은 5%(p<0.05) 미만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Ⅲ. 결 과

    안축장의 길이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길게 측정되었다(p<0.05),(Table 1). 중심부황반의 두께는 근시, 정시, 원시그룹 순서로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Table 2). 주변부 황반부에서 바깥쪽 황반부는 위쪽, 코쪽, 아래쪽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얇았다(p<0.05), (Table 2).황반의 중심부 두께는 안축장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r=0.283, p<0.05),(Table 3),(Fig. 1). 주변부 황반의 두께는 모두 안축장과 음의 상관관계 가 나타났다(Table 3).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귀쪽 부분에서 근시그룹이 가장 두껍게 나왔고(p<0.05), (Table 4),귀쪽 부분이 안축장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 타났다(r=0.39, p<0.05),(Table 5). 위쪽과 코쪽, 아 래쪽의 두께는 모두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코쪽 부 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r=-0.23, p<0.05), (Table 5),(Fig. 2).

    𡘳. 고 찰

    빛간섭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은 망막의 구조를 고해상도의 화질로 보여주며 그 두 께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 OCT기기 의 등장으로 황반변성,망막질환과 시신경, 망막신경 섬유층과 연관된 질환들에 대한 진단이나 이해가 높 아졌다. OCT기기를 이용하여 망막중심의 황반과 그 주변부황반의 두께를 측정한 값과정상인 성인의 평균 값과 비교하여 황반변성, 황반부종, 망막관련 질병을 진단에 도움을준다.그리고 시신경유두주변부의 망막 신경섬유층(RNFL;Retina Nerve Fibers Layer)의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인의 평균값과 피검사자의 측정 값을 비교하여 시신경을 진단하고 이해하는데 사용되 었다.12)-13) 강 등8)은 소아들의 빛간섭단층촬영을 통 하여 얻은 지표중에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녹내 장의 진단에 유용하고 녹내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 를 보인다고 하였다.

    Rao 등14) 은 소아들의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시신경섬유층의 두께는 단순히 OCT 결과에서 나타나 는 성인들의 정상 측정값에 비교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하 등15)은 20세 이하의 피검자들을 OCT로 측정한 시신경섬유층과 21세이상 피검자들을 OCT로 측정한 시신경섬유층의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미성년인 피검자와 성인피검자 의 OCT측정평균값이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데이더 의 평균값이 많은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수 가 적은 소아들의 OCT데이터의 값이 필요하며 평균 지표 값으로 도움이 되는 연구들이 소개되었다.

    Li 등16)은 중국인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황 반두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로 나이, 성별, 굴절이 상도(SE ; Spherical Equivalent)와의 상관성을 연구 한 결과 이 세가지 요인들은 중국인 초,중등 학생들의 황반두께와는 낮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고 추가적인 연구로 다른 요인들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황반에 영 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Rao 등14)은 소아들의 망막신경섬유층에 가장 높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이, 성별, 안축장, 굴절이 상도 중 안축장과 굴절이상도가 RNFL층의 두께에 다 른요인들 보다 영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강 등8)은 아들의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하여 얻은 지표중에서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녹내장의 진단 에 유용하고 녹내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고 하였다.Yamashita 등은 OCT기기로 촬영한 정상 인의 시신경섬유층의 두께와 다른 요인과의 상관성 연구에서 안축장의 길이와 신경섬유층의 두께가 연관 이 있는 것으로 발표했다17).

    Yamashita 등은 정상인의 안축장과 황반두께 사 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안축장과 대부분의 황반부의 두께에서 음의상관성을 나타낸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18).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에서 안축장의 길이와 망막 의 황반부두께 그리고 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여보 고 그 값을 굴절이상별로 근시, 정시, 원시군으로 분 류하여 안축장의 길이가 중심부분의 황반의 두께와 시신경섬유층의 두께와의 어떠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Song 등은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결과가 근시 의 정도가 증가하고 안축장이 증가에 따라서 황반의 중심오목부분의 두께의 평균은 증가한다고 하였고 안 쪽황반부(inner macular)와 바깥쪽(outer macular) 황반부의 평균두께는 감소한다고 하였다19).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같으며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도 안축장의 증가에 따른 주변부황반의안쪽, 바깥쪽 황반부의 두께는 음의 상관성으로 얇아졌고 원시, 정 시안보다 안축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게 나 타난 근시안 그룹에서 안쪽, 바깥쪽의 황반부의 두께 가 얇게 측정되었고 중심부 황반부인 중심오목에서만 다른 그룹보다 더 두껍게 측정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소아들과 성인에서 공통되게 안축장의 증가는 망막의 주변부황반두께와 음의 상관성, 중심부 황반 두께와 양의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통계학적 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Lee 등20)은 중국의 4세 이상 18세 이하의 중국의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황반두께와 주변부신경섬유층 두께의 상관성연구에서 주변부 안쪽황반에서 귀쪽부 분(inner temporal macular), 코쪽 부분(inner nasal macular)의 두께와 주변부 신경섬유층의 평균두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발표하였고 이 결과 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고 황반부의 두께와 안축 장의 길이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Kim 등은 정시안을 대상으로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사 용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황반두께 연구를 발표했다21). 아동그룹(19세미만)의 중심부 황반두께와 그 주변부안 쪽 황반두께, 그리고 주변부바깥쪽 황반부의 두께가 본 연구의 데이터와 유사하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는 근시안을 포함하고 있어서 안축장 증가에 따라서 두께 가 감소하여 주변부황반의 두께가 Kim 등은 연구보다 조금 더 얇게 측정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21).

    Song 등은 소아를 대상으로 시신경과 망막신경섬유 층의 두께를 측정한 연구에서 신경섬유층의 상측, 비측, 하측, 이측의 평균두께수치가 본 연구의 수치와 유사하 게 나타났고, 대상자의 연령과 신경섬유층의 상관성을 분 석한 연구는 상측(P>0.05), 하측(p<0.05)의 두께는 연령 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비측(P>0.05)과 이측(P>0.05) 은 연령의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안 축장과의 상관성으로 분석한 결과와 코쪽(p<0.05)을 제외 한 나머지 귀쪽(r = 0.396),(p<0.05), 상측(P>0.05), 하측 (P>0.05)에서 같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13).

    근시의 정도가 높을수록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도 원시성그룹에서 정시 그룹, 근시그룹 순서로 안축장의 길이가 더 길게 측정 되었고 근시의 진행과 안축장의 길이변화의 관계를 확 인 할 수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소아들의 망막의 황반 부와 시신경섬유층의 두께를 1대의 OCT기기를 이용하 여 측정하였고 안축장을 IOL Master기기만을 이용하 여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여러 장비를 이용하여 황반부 두께와 망막신경섬유층의두께 그리고 안축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고 또한 아동대상자군의 표본이 적고 그 숫자가 근시성안에 편중되어 있다. 하 지만 안질환이 없는 우리나라 정상아동들의 OCT측정 수치를 안축장의 길이와 함께 제시하여 황반부, 신경 섬유층의 각각의 부분의 두께와 안축장의 관계를 제시 하였고 굴절이상별로 평균값을 제시해 이후에 우리나 라 소아들의 OCT를 이용한 연구에 도움이 되는 데이 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0-421_F1.gif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centermacularthicknessin subjects.

    KJVS-20-421_F2.gif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nasal RNFL thicknessin subjects.

    Table

    Comparison of axial length and diopter in three refractive groups.

    Comparison of macular thicknesses in three refractive groups.

    Correlation betweenmacular thickness and axial length in subjects.

    Comparison of RNFL thickness in refractive error groups.

    Correlation of RNFLthickness with axial length in subjects.

    Reference

    1. Ma GJ, Lee GJ et al.: The effect of ocular growth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who live in Seoul. Korean J Vis Sci. 4(1), 1-9, 2002. http://www.riss.kr/link?id=A40129569
    2. Kim JM, Eom CD et al.: Myopia Progression of Korea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11 Years: a Two-years Longitudinal Study. Korean J Vis Sci. 10(2), 107-121, 2008. http://www.riss.kr/link?id=A75737090
    3. Lee SM: Myopia Progress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wo-year Longitudinal Study: in Jeonbuk. Korean J Vis Sci. 13(4), 269-278, 2011. http://www.riss.kr/link?id=A87025797
    4. Lee WS, Ye KH et al.: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08 th 2012. J Korean Oph Opt Soc. 19(1), 121-133, 2014. http://www.riss.kr/link?id=A104881661
    5. Kim JM, Jang BS et al.: The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students who live in Ilsan. Korean J Vis Sci. 8(1), 35-51, 2006. http://www.riss.kr/link?id=A75724341
    6. Samuel NE, Krishnagopal S: Foveal and Macular Thickness Evaluation by Spectral OCT SLO and Its Relation with Axial Length in Various Degree of Myopia. J Clin Diagn Res. 9(3), NC01-NC04, 2015.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954643
    7. Choi BS, Jang SK et al.: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with Two Different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s. J Korean Ophthalmol Soc. 57(7), 1118-1125, 2016. http://www.riss.kr/link?id=A101959167
    8. Kang DK, Kim YD et al.: Retinal Nerve Fiber Thickness in Children With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50(6), 887-892, 2009. http://www.riss.kr/link?id=A76493511
    9. Kang MS, Yu SY et al.: The Repeatability of Layer Thickness Measurements with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Normal Eyes. J Korean Ophthalmol Soc. 57(5), 786-793, 2016. http://www.riss.kr/link?id=A101856495
    10. Hwang YH, Kim YY: Correlation between optic nerve head parameters and retinal nerve fibre layer thickness measured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myopic eyes. Clin Exp Opthalmol. 40(7), 713-720, 2012. https://www.ncbi.nlm.nih.gov/pubmed/22429807
    11. Shin JH, Lee HJ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Axial Length, Refractive Power and Foveal Thickness Measured by OCT in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46(4), 701-706, 2005. http://www.riss.kr/link?id=A100522516
    12. Suh SJ, Seo HR et al.: Age-Related Differences of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ata in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54(2), 289-295, 2013. http://www.riss.kr/link?id=A100524529
    13. Song JH, Kim ER et al.: Analysis of RNFL Thickness and Optic Nerve Head Measured with OCT in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48(10), 1346-1353, 2007. http://www.riss.kr/link?id=A100522990
    14. Rao A, Sahoo B et al.: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children <18 years by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emin Ophthalmol. 28(2), 97-102, 2013.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448566
    15. Ha SW, Rho SH: Age-related Difference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ata in Koreans. J Korean Ophthalmol Soc. 46(12), 2037-2044, 2005. http://www.riss.kr/link?id=A100522442
    16. Li T, Zhou X et al.: Assessment of Retinal and Choroidal Measurements in Chinese School- Age Children with Cirrus-H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LoS ONE 11(7), e0158948, 2016. https://www.ncbi.nlm.nih.gov/pubmed/27391015
    17. Yamashita T, Sakamoto T et al.: Correlations Between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Axial Length, Peripapillary Retinal Tilt, Optic Disc Size, and Retinal Artery Position in Healthy Eyes. J Glaucoma 26(1), 34-40, 201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7753756
    18. Yamashita T, Sakamoto T et al.: Association of retinal thickness and optic disc-to-fovea angle to axial length of young healthy eyes. Clin Ophthalmol. 9, 2235-2241, 2015.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664037
    19. Song AP, Wu XY et al.: Measurement of retinal thickness in macular region of high myopic eyes using spectral domain OCT. Int J Ophthalmol. 7(1), 122-127, 201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634877
    20. Lee JW, Yau GS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Macular Thickness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Chinese Children. Medicine (Baltimore) 94(8), e567, 2015.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715254
    21. Kim SH, Choi KS et al.: Macular Thickness Changes with Age and Gender in Emmetropia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Korean Ophthalmol Soc. 52(3), 299-307, 2011. http://www.riss.kr/link?id=A8253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