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431-44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431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Fitting Test in Soft Contact Lens Wearers

Jung-Hee Kim1),Youngju An2),*
Department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University, Suwon1)
Catholic Institute of Visu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2)
Address reprint request to Youngju An Catholic Institute of Visu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TEL: +82-2258-7843
October 31, 2018 December 16, 2018 December 17, 2018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the wearing, purchase and fitting statu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consumer perception of base curv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visited optical shops and lens shops in Seoul from June to August 2018. A total of 98 answer sheets they submitted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compare subjective symptoms (dryness, glare, uncomfortable fitting, and decreased vision) according to whether fitting condition is screened (case history and push-up test, ect relevant to wearing sensation), and the odds ratio (OR) was obtain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When the contact lenses were purchased, the rate of which the visual acuity test was performed was 86.6% at optical shop and 64.7% at lens shop. When purchasing contact lens and the contact lens was not tested for fitting, they more experienced dryness (OR 4.41, 95% CI 1.25-15.62) and uncomfortable fitting (OR 2.68, 95% CI 1.08-6.64) than testing for fitting.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87.8% of contact lens wearers did not know about the term base curve, 92.9% did not listen to an explanation related to the base curve when purchasing contact lenses, and 96.9% did not experience with base curve test.


Conclusion :

It would be thought that satisfaction of the contact lens fitting of existing consumers should be improved by changing a proper base curve by confirming the fitting condition when prescribing soft contact lens.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의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

김정희1),안영주2),*
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수원1)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시과학연구소, 서울2)
    Dongnam Health University

    Ⅰ. 서 론

    1508년 Leonardo Da Vinci가 콘택트렌즈의 개념 을 처음 정립한 이래로1) 1888년 최초로 유리 재질의 콘택트렌즈가 발표되었으며, 1960년 Wichterle and Lim에 의해 연성콘택트렌즈가 개발되어 FDA 승인을 받아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2) 소프트 콘택트렌즈 는 초기 착용감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력교정 뿐만 아니라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 착용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한국인에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평균 나이는 25 세 전후로 전 세계의 평균 나이(31세 전후)와 비교하 여 낮은 평균 연령대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이전 연구에 따르면 콘택트렌즈의 착용으로 인하여 충혈(31%), 이물감(19%), 눈물흘림(16%)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3) 장시간의 콘택트렌즈 사용은 각 막신생혈관이나 각막지각 감퇴와 같은 합병증을 일으 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또한, 직장인들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40.4%가 일일 권장착용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여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나6) 앞으로 합병증을 경험하는 인구는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 상태는 착용감을 극대 화하고, 눈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 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7) 다양한 요소들이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피팅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 용되고 있으며, 그 중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에 의 해 영향을 받는8,9) 렌즈의 조임(lens tightness)은 전 체적인 피팅 상태에 대한 가장 신뢰할만한 예측인자 로 알려져 있다.8) 각막에 맞지 않는 베이스커브의 소 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루즈한 피팅은 렌즈가 과도 하게 움직이게 되어 착용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타이트한 피팅은 각막부종(edema)을 일으킬 수 있 다.10) 따라서 자신의 눈에 맞는 베이스커브의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 콘택트렌즈 시장의 큰 성장과 함께 소프트 콘 택트렌즈가 시력 교정의 한 수단으로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4) 현재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 팅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 착용자의 경우 기존에 착용하던 도수를 그대로 구매하는 습관으로 인하여 안경 착용자에 비하여 문 진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베이스커브의 변경 을 통하여 착용감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착용실 태 및 구입현황,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 그리고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를 조 사함으로써 소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문진의 중요 성을 제고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베이스커브 선별의 필요성을 알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매 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의 안경원 및 렌즈샵에 방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를 시행한 사람들에게 과거 안과 수술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자동굴절검사기기(MRK‐3100; Huvitz, South Korea)를 이용하여 각막곡률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전 설문조사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도의 문제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9부), 이전에 굴절 수술을 받은 경우(3 부), 그리고 사시 수술을 받은 경우(1부)를 제외한 총 98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 조사지는 김 등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도 구를 바탕으로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에 대한 인식 도와 자각적 증상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여 구성하였 다. 설문지는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2문항에 서는 복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appendix 1).

    데이터는 연속형인 경우 평균과 표준편차(범위)로 표기하였고, 범주형인 경우 빈도와 백분율로 표기하 였다.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의 비 교를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기대빈 도가 5보다 작은 셀이 전체의 20% 이상인 경우에는 Fisher의 정확 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 각적 증상에 대한 오즈비(odds ratio; OR)를 구하였 다. 모든 분석은 SPSS 18.0 version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정의하였다.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에 참여한 전체 응답자의 평균나이는 24.8±4.6 세였으며, 남자는 23명(23.5%)이었고, 여자는 75명 (76.5%)이었다(Table 1). 수평 경선의 각막곡률은 평 균 7.72±0.30 mm 이었고, 수직 경선의 각막곡률은 평균 7.97±0.28 mm 이었다.

    2.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착용 및 구입 현황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한 시기는 평균 17.7±3.7세였다. 일주일 동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횟수는 평균 4.6±2.1회였으며, 하루 착용 시간은 평균 8.9±3.1시간이었다. 사용하고 있는 소 프트 콘택트렌즈 유형은 일회용 렌즈 49명(50.0%), 1 개월 착용 렌즈 32명(32.7%), 2주 착용 렌즈 9명 (9.2%), 연속 착용 렌즈 8명(8.2%)이었다(Table 2).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안경원 65명(66.3%), 렌즈샵 32명(32.7%), 안과 1명(1.0%)순 이었고(Fig. 1), 구입 장소로 안경원을 선택한 이유는 접근성과 전문성이 있었으며, 렌즈샵을 선택한 이유는 렌즈 디자인의 다양성과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안경 대신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이유는 미용효과 50명(51.0%), 착용감이 우수하다 22명(22.4%), 관리 가 편리하다 17명(17.3%), 안경과 비교하여 교정효과가 우수하다 9명(9.2%) 순으로 조사되었다(Fig. 2).

    3. 소프트콘택트렌즈 구입 장소에 따른 시력 검사 현황

    콘택트렌즈 구입 시 시력검사를 받고 구입한 사람 은 79명(80.6%)이었고, 시력검사를 받지 않고 구입 한 사람은 19명(19.4%)이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구 입 장소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소프트 콘택 트렌즈를 안경원에서 구입한 경우 56명(86.2%)은 시 력 검사를 받았으며, 9명(13.8%)은 시력 검사를 받지 않았다. 렌즈샵에서 구입한 경우 22명(68.8%)은 시 력 검사를 받았고, 10명(31.2%)은 시력 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3).

    4.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입하여 착용한 후 피팅 상 태를 확인(착용감과 관련된 문진, 푸시업 테스트 등) 받은 경험이 있었던 경우는 27명(27.6%)이었고, 피팅 상태를 확인 받은 경험이 없었던 경우는 71명(72.4%) 이었다(Table 3).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자각적 증상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표3>과 같다. 콘택 트렌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 에는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 비해 건조함(각각, 91.5%와 74.1%)과 착용감 불편(각각, 64.8%와 40.7%)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24, p=0.027)(Table 3).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콘택트렌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 비해 건조함의 오즈 비는 4.41(95% 신뢰구간 1.25-15.62)배, 착용감 불 편의 오즈비는 2.68(95% 신뢰구간 1.08-6.64)배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5.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와 관련된 인식도에 서 ‘베이스커브라는 용어를 알고 있습니까?’라는 질문 에 ‘예’가 12명(12.2%), ‘아니오’가 86명(87.8%)으로 조 사되었다. ‘현재 사용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알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가 6명(6.1%), ‘아니오’가 92명(93.9%)으로 조사되었고, ‘소프트 콘택 트렌즈 구입 시 베이스커브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경험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있다’가 7명(7.1%), ‘없다’가 91 명(92.9%)으로 조사되었으며, ‘소프트 콘택트렌즈 구 입 시 베이스커브와 관련된 검사를 받으신 경험이 있습 니까?’라는 질문에 ‘있다’가 3명 (3.1%) ‘없다’가 95명 (96.9%)으로 조사되었다(Fig. 4).

    𡘳. 고 찰

    본 연구 결과 일주일 동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 용하는 횟수는 평균 4.6회, 하루 착용시간은 평균 8.9시간으로 나타났고, 하루에 최대 14시간까지 착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권장착 용시간이 8시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평균적으로 권장착용시간 이상 착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 등12)은 콘택트렌즈 합병증이 생기는 주요원인을 장시간의 착용(71.2%) 때문이라고 보고한 바 있으며, 소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권장착용시간에 대한 적 절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한 시기는 평균 17.7세로 낮은 연령대를 보였다. 이 등4)은 4년간 안 경원에서 처방된 콘택트렌즈의 추세를 연구한 결과 콘택트렌즈의 처방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추세의 원인은 미용에 대한 관심과 함께 안경원 및 렌즈샵의 증가로 인해 접근성이 높아 지고, 저가형 렌즈의 보급으로 구매의 용이성이 좋아 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안경원을 통 해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구입한 경우 86.2%가 시력 검사를 받은 후 구매한 반면 렌즈샵을 통해 구매한 경우에는 68.8%가 시력검사를 받은 후 구매한 것으 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부 렌즈샵의 불충분한 장비가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최적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팅을 위하 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소프 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를 선택하기 위하여 중심 각막곡률이 이용되었으나13) 여러 연구를 통하여 소프 트 콘택트렌즈의 피팅에 눈의 사상면 깊이, 각막의 직경, 각막의 비구면도 등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14,15) 이에 따라 Bibbly 등16) 은 렌즈의 사상면 깊이를 고려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직경의 병용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 다. 하지만 사상면 깊이가 같다고 하더라도 각막의 비구면도, 각막의 직경, 각공막윤부의 특징이 다를 경우 피팅의 결과가 달라지며,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눈에 착용하게 되면 콘택트렌즈의 사상면 깊이 변하 게 되는 한계가 있었다.8)

    각막지형도 검사는 전체 각막의 특성을 나타내고 하 드렌즈의 피팅 시 최적의 파라미터를 선택하는데 유용 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이전 연구에서는 이를 소프트 콘택트렌즈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 다. Young 등13)은 플라시도 디스크 기반의 각막지형 도 기기인 Medmont E300(Camberwell, Australia)를 이용하여 각막의 형상계수(shape factor), 비구면도, 수평과 수직에서 각막의 높이 등을 평가하였으나 최 적의 피팅을 위한 베이스커브를 결정을 위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그 후 2017년에는 수학적인 모델링을 통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 반경과 직경의 관련성을 평가 하였고, 단일한 베이스커브(8.6 mm)와 직경(14.2 mm) 의 조합으로 약 90.2%에서 성공적인 피팅이 가능하 다고 보고 하였다.8) 그러나 콘택트렌즈는 착용 시 수 축이 되고 실제로는 이러한 수축을 보상하기 위하여 더 큰 직경과 편평한 베이스커브의 렌즈가 필요하므 로,17) 소프트렌즈의 베이스커브를 선택하기 위하여 임상적 평가 즉, 시험 피팅(trial fitting)을 하는 것 이 가장 중요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Dumbleton 등18)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연속착용 렌 즈를 실제로 착용했을 때 주관적인 편안함 및 피팅 상 태에 대한 베이스커브의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가파른 경선의 각막굴절력이 45.50 D 이상일 경우 8.4 mm 베이스커브의 콘택트렌즈를 처방하며 소프트 콘택트렌 즈의 착용 후 주관적인 불편함을 호소할 경우 더 볼록 한 렌즈를 피팅 해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19) 하지만 인 종에 따라 각막의 모양에는 차이가 있고, 특히 아시아 인은 백인에 비해 더 작은 palpebral apertures19)와 홍채 직경20), 그리고 볼록한 각막21)을 가지고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대부분의 콘택트렌즈는 미국 에 기반을 둔 제조회사로부터 디자인되기 때문에 몇 몇의 인종에서는 낮은 피팅 성공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2) 이에 따라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적 절한 베이스커브를 처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피팅 상태의 확인 여부는 주관적으로 느끼는 시력 저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현대 인의 경우 실내에서의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상대적 으로 가까운 거리의 사물을 주로 보게 되고 이에 따 라 시력으로 인한 불편함을 덜 느끼는 것을 한 가지 요인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콘택트렌 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 건조함(오즈비 3.78)과 착용감 불편(오즈비 2.69)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안경원에 방문하는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베이스커브의 변경을 통하여 착 용감의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콘택트렌즈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콘택트렌즈를 구입 할 때 현재 사용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를 알고 있는 경우는 6.1%이었으며, 베이스커브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경험이 있었던 경우는 7.1%로 조사되었 다. 각막의 곡률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베이스커브 의 곡률이 작아 루즈한 피팅이 되면 렌즈의 과도한 움 직임을 유발하여 착용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10)

    Tomlinson and Bibby23)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 팅 시 베이스커브를 0.4 mm 조정함으로써 렌즈의 움 직이는 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190안을 대상으로 시험 피팅을 했던 선행 연구 에서 8.6 mm 베이스커브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주관적인 불편함과 엣지 리프트를 호소한 경우가 49 명이었으며, 그 중 베이스커브의 변경(8.4 mm)만으 로 91.8%(45명)가 만족했다고 하였다.18) 따라서, 소 프트 콘택트렌즈 처방 시 시판되고 있는 소프트 콘택 트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직경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베이스커브에 관한 교육 및 설명을 통 하여 시험 피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문진을 바탕 으로 한 피팅 상태의 확인을 통하여 가장 적절한 베 이스커브의 선별해줌으로써 소비자들의 자각적 증상 을 최소화하는데 안경사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appendix 2).

    본 연구는 결과 분석에 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인 방법을 이용했다는 점과 설문도구에 대한 응답자 내 신뢰도 및 검사-재검사 평가를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비자 인식 도와 관련된 질문에서 안경사가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처방 할 때 베이스커브와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였다 하더라도 이에 대한 설명의 생략으로 소비자가 검사 를 받았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베이스커브에 대한 소 비자 인식도를 알아보고 피팅 상태 확인 유무에 따른 자각적 증상을 평가함으로써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처 방하는 안경사에게 피팅 상태 확인의 중요성을 알리 고,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 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𡘴.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콘택트렌즈를 처방 후 피팅 상태 확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콘택 트렌즈를 구입할 때 시력검사를 받고 구입한 경우는 안경원의 경우 86.6%, 렌즈샵의 경우 70.6%로 조사 되었다. 콘택트렌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는 72.4%로 조사되었으며, 콘택트렌 즈를 구입할 때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 에는 피팅 상태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 비해 건조감과 착용감 불편 등의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87.8%가 베이 스커브라는 용어를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콘택트렌 즈 구매 시 92.9%가 베이스커브와 관련된 설명을 듣 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96.9%가 베이스커브 검사 를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소 비자들에게 베이스커브에 관한 교육 및 설명을 통하 여 시험 피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피팅 상태의 확인을 통한 적절한 베이스커브의 선별을 통해 기존 소비자들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착용 시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support of the Dongnam Health University in 2018.

    Figure

    KJVS-20-431_F1.gif

    Where to buy contact lenses?

    KJVS-20-431_F2.gif

    Why use contact lenses instead of glasses?

    KJVS-20-431_F3.gif

    Distribution of experience of visual acuity test according to purchase location of soft contact lens.

    KJVS-20-431_F4.gif

    Distributions related to recognition of base curves in contact lenses.

    Table

    Contact lens questionnaire

    Subject demographics

    Soft contact lens wear status

    Subjective symptoms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without and with fitting test

    Objective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wearing contact lenses with and without decentration

    Base curve and diameter of soft contact lenses according to manufacturer

    Reference

    1. Key JE: Development of Contact Lenses and Their Worldwide Use. Eye Contact Lens 33(6 Pt 2), 343-345, 200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975417
    2. Wichterle O, Lím D: Hydrophilic Gels for Biological Use. Nature 185, 117-118, 1960. https://www.nature.com/articles/185117a0
    3. Kim PS, Kim SD et al.: A Survey on Contact Lens Care in Young Adolescent Student. J Korean Ophthalmol Soc. 55(1), 54-58, 2014. http://www.riss.kr/link?id=A100533477
    4. Lee JH, Lee KS et al.: Contact Lens Prescribing Pattern in Korean During 2010 to 2013. J Korean Oph Opt Soc. 19(3), 323-329. 2014. http://www.riss.kr/link?id=A104881591
    5. Shin YJ, Moon JW et al.: Corneal Neovascularization and Corneal Hypesthesia as Contact Lens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47(1), 25-30, 2006. http://www.riss.kr/link?id=A100522664
    6. Kim KS, Kim SK et al.: The Survey on its Wearing Schedule of Workers Wearing Contact Lens. J Korean Oph Opt Soc. 20(1), 43-49. 2015. http://www.riss.kr/link?id=A104881789
    7. Jones L, Brennan NA et al.: The TFOS International Workshop on Contact Lens Discomfort: report of the contact lens materials, design, and care subcommittee. Invest Ophthalmol Vis Sci. 54(11), TFOS37-70, 2013.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058138
    8. Young G, Hall L et al.: Inter-relationship of Soft Contact Lens Diameter, Base Curve Radius, and Fit. Optom Vis Sci. 94(4), 458-465, 201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8099240
    9. Young G: Evaluation of soft contact lens fitting characteristics. Optom Vis Sci. 73(4), 247-254, 1996. https://www.ncbi.nlm.nih.gov/pubmed/8728492
    10. Lowther GE, Tomlinson A: Critical base curve and diameter interval in the fitting of spherical soft contact lenses. Am J Optom Physiol Opt. 58(5), 355-360, 1981. https://www.ncbi.nlm.nih.gov/pubmed/7258284
    11. Fan DS, Cheung EY et al.: Myopia progression among preschool Chinese children in Hong Kong. Ann Acad Med Singapore 33(1), 39-43,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008560
    12. Hong KH, Kim SJ: A Study of Medical Cos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yopic Patients in Korea. Korean J Vis Sci. 19(2), 149-158, 2017 http://www.riss.kr/link?id=A104223880
    13. Kim JH, Song JS et al.: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 Korean Ophthalmol Soc. 55(1), 20-31, 2014. http://www.riss.kr/link?id=A100533474
    14. Tomlinson A, Bibby MM: Movement and rotation of soft contact lens. Effect of fit and lens design. Am J Optom Physiol Opt. 57(5), 275-279, 1980. https://www.ncbi.nlm.nih.gov/pubmed/7386591
    15. Park HW, Kim TH: A Study on Contact Lens Wear Status of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bjects. Korean J Vis Sci. 19(1), 9-17, 2017. http://www.riss.kr/link?id=A103064029
    16. Young G, Schnider C et al.: Corneal topography and soft contact lens fit. Optom Vis Sci. 87(5), 358-366, 201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386354
    17. Garner LF: Sagittal height of the anterior eye and contact lens fitting. Am J Optom Physiol Opt. 59(4), 301-305, 1982. https://www.ncbi.nlm.nih.gov/pubmed/7102787
    18. Young G: Ocular sagittal height and soft contact lens fit. Cont Lens Anterior Eye 15(1), 45-49, 1992. https://www.contactlensjournal.com/article/0141-7037(92)80031-T/abstract
    19. Bibby MM: Sagittal depth considerations in the selection of the base curve radius of a soft contact lens. Am J Optom Physiol Opt. 56(7), 407-413, 1979. https://www.ncbi.nlm.nih.gov/pubmed/517631
    20. Ozkan J, Ehrmann K et al.: Lens parameter changes under in vitro and ex vivo conditions and their effect on the conjunctiva. Cont Lens Anterior Eye. 36(4), 171-175, 2013.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395396
    21. Dumbleton KA, Chalmers RL et al.: Effect of lens base curve on subjective comfort and assessment of fit with silicone hydrogel continuous wear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79(10), 633-637,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395917
    22. Kikkawa Y: Measurements of Corneal Diameter and Size of Palpebral Aperture. J Jpn Cont Lens Soc. 21(3), 76-79, 1979.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91316044_Measurements_of_corneal_diameter_and_size_of_palpebral_aperture.
    23. Lam CSY, Loran DFC: Designing contact lenses for oriental eyes. J Br Cont Lens Assoc. 14(3), 109-114, 199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141703791800035
    24. Congdon NG, Youlin Q et al.: Biometry and primary angle-closure glaucoma among Chinese, white, and black populations. Ophthalmology 104(9), 1489-1495,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307646
    25. Hickson-Curran S, Young G et al.: Chinese and Caucasian ocular topography and soft contact lens fit. Clin Exp Optom. 99(2), 149-156, 2016.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928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