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443-45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443

Reliability of Autorefractometry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i-Seok Lee
Departmen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Technolog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i-Seok Lee 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TEL: 031-880-5433
November 1, 2018 December 11, 2018 December 12, 2018

Abstract

Purpose :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autorefractometer after laser refractive surgery


Methods :

We measured and compared spherical and cylinder powers of those undergone LASEK surgery with 1.0 of naked vision after at least 3 months of the surgery with an autorefractometer(CANON Full Auto Ref-Keratometer RK-F1, Japan) and a retinoscope(Streak Retinoscope 18200, WelchAllyn, USA), and also applied spherical equivalent powers. The refractive status before surgery was 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myopia according to the results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meter, and then analyzed again the reliability of the autorefractometer after surgery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refractive status. The agreement of two methods was identified using Bland-Altman(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LoA)).


Results :

After the surgery, when comparing spherical, cylinder and equivalent powers in the whole data measured by autorefractometry and retinoscop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p<0.01).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s, all sort of refractive errors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p<0.01) except for cylinder power of the medium myopia. In general, the refractive errors especially spherical and spherical equivalent powers by autorefractometry were shown a myopic trend from -0.38 D to -0.53 D.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 hyperopic trend of approximately +0.30 D using retinoscopy. In comparison of two objective refractions, it was shown a myopic trend as –0.51 ± 0.45 D(LoA +0.36 D ~ –1.39 D) and compatible.


Conclusion :

Even though it would be positive in terms of compatibility of the methods, it is necessary that the glasses should be prescribed by subjective refraction since autorefractometry is shown myopic in those undergone the surgery and suffering from myopic regression.



레이저 굴절교정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의 신뢰성

이기석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여주

    Ⅰ. 서 론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방법들 중 레이저를 이용한 굴절 교정 수술의 한 종류인 LASEK(Laser Assisted as Sub-Epithelial Keratomileusis)은 2000년 Cimberle과 Camellin1)이 논문을 통해 이 수술방법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이후 다른 종류의 각막 굴절 수 술방법들과 함께 지금까지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굴절교정수술로 파급되어 왔다. 이러한 성장 속에 많 은 비정시안들이 안경과 콘택트렌즈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그에 반해 야기되는 부작용들 중에 근시 퇴행(myopic regression)으로 인한 재수술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에 보고되고 있다2-9). 근시 퇴행의 원인으로 나이, 각막곡률, 각막두께, 레이저 조사 직 경 등이 연관된 요소들로 알려져 있다2,10,11). 수술 후 발생된 근시 퇴행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교정하기 위 한 방법들로 안경교정, 콘택트렌즈, 재수술 등이 있 지만, 재수술의 교정효과11,12)보다는 부담감이 커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추가 교정을 위한 굴절이상도 검사를 위해 일 반적인 굴절검사 과정 중 1차 데이터로서 자동굴절검 사기기(autorefractometer)를 사용하게 된다.

    자동굴절검사법(autorefractometry)는 지난 50년 동안 비약적인 발전으로 높은 정확성과 반복성(repeatability) 을 제공하였으며 굴절검사의 속도와 효율성 증가 등 13,14) 많은 장점들로 검영법(retinoscopy)보다 임상 굴 절검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록 매질 이 상(media opacity)이나 안구 수차(ocular aberration) 에 대해 잠복된 부정확성을 갖고 있어 Strang 등15)이 임상에서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안경처방은 문 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236명을 대상으로 자 동굴절검사기기와 자각적 굴절검사 값을 비교하여 74%가 ±0.50D에서 일치하였으며16), 정상인 208명 을 대상으로 한 등가구면굴절력값 비교에서도 단지 – 0.10±0.35D(LoA –0.79 to +0.59 D)차이17)를 보여 높은 신뢰성을 보고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굴절검사에서 일반인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한 굴절 수술을 받은 대상자들의 굴절검사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측면이 제시되고 있다. LASIK 수술 전과 비교에 서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자각적굴절검사법 결과 비교에서 구면굴절력과 실린더굴절력에 큰 차이가 발 생하였으며18), PRK 수술자14)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Siganos 등18)도 LASIK 수술을 받은 73 안을 조절마비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자각적굴절검사 법에 의한 결과 비교에서도 구면과 실린더 굴절력에 서 큰 차이를 보였다고 하였으며, 이는 수술 후 각막 절개와 비절개된 각막의 형태의 굴절 특성이 자동굴 절검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각막이 약간의 다 초점과 불규칙한 난시 굴절 요소의 정도 증가 등으로 비구면성이 뒤바뀌기 때문이라고 하였다.19) 하지만, 레이저를 이용한 각막교정굴절 수술 후 근시 퇴행으 로 자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굴절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하고, 특히 LASEK 수술 후에 대한 결과 보고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정상 시력을 회복한 수술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검영법과 함께 자동굴절검사법 의 신뢰성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의 굴절검사에서 자 동굴절검사기기를 이용한 1차 데이터의 활용에 도움 을 주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LASEK(Laser Assisted as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수술 최소 3개월 후 최소 2번 이상 나안시력 1.0이상 이 유지하고 있는 수술 경험자 57명(114안)을 대상자 로 하였다(Table 1). 검사는 나안시력과 자동굴절검 사법(CANON Full Auto Ref-Keratometer RK-F1, Japan)과 검영법을 이용하여 구면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등가구면굴절력과 함께 비교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수술 전의 자동굴절검사법으로 측정한 굴절이상도 결과를 기준으로 –6.00D이상은 고도, -3.25D에서 –6.00D이하는 중도, -3.00D이하는 저 도근시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Table 2).

    2. 분석방법

    통계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1®를 이용하 여 자동굴절검사법으로 얻은 수술 전의 굴절이상 정도 를 기초로 하여 굴절이상 정도를 분류하고, 수술 후 자 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을 통해 얻은 굴절이상도를 비 교하기 위해 비모수방법(non-parametric method)인 Willcox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두 굴 절검사 방법의 일치-불일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등가구면굴절력(Spherical equivalent power, SE)값 을 기초로 한 Bland-Altman(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Lo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 굴절력

    본 연구에 참여한 LASEK 수술 경험이 있고 수술 3 개월 후 나안시력이 1.0이 유지하고 있는 57명(114안) 의 굴절상태를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을 이용하여 전체와 각 굴절정도에 따른 구면, 실린더 그리고 등가 구면굴절력의 평균값을 각각 측정하였다(Table 3).

    2.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전체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비교

    자동굴절검사기기와 검영기를 이용한 타각적 굴절 검사법으로 얻은 전체 대상자들의 비교에서는 구면굴 절력 –0.05±0.55D와 0.34±0.35D로 약 0.39D, 실린 더굴절력 –0.33±0.31D와 -0.08±0.16D로 약 0.25D, 등가구면굴절력 –0.21±0.54D와 0.31±0.33D로 약 0.52D의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Fig 1).

    3.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고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수술 전 굴절상태가 –6.00D 이상의 고도근시이었 던 대상자의 수술 후 두 타각적 굴절검사법 비교에서 는 실린더굴절력을 제외한 구면굴절력 0.11±0.60D 와 0.55±0.51D로 약 0.40D의 차이 그리고 등가구면 굴절력 –0.02±0.58D와 0.49±0.46D로 약 0.47D의 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Fig 2).

    4.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중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수술 전 굴절상태가 -3.25D< XD <-5.75의 중도 근 시이었던 대상자의 수술 후 두 타각적 굴절검사법 비교 에서는 구면굴절력 -0.04±0.55D와 0.33±0.29D로 약 0.37D의 차이, 실린더굴절력 –0.32±0.29D와 – 0.08±0.16D로 약 0.40D 차이 그리고 등가구면굴절 력 -0.20±0.52D와 0.29±0.28D로 약 0.49D의 차이 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Fig 3).

    5.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저도 근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수술 전 굴절상태가 -3.00D이하의 저도 근시이었던 대상자의 수술 후 두 타각적 굴절검사법 비교에서는 구 면굴절력 -0.17±0.54D와 0.21±0.26D로 약 0.38D의 차이, 실린더굴절력 -0.35±0.33D와 -0.07±0.14D로 약 0.28D 차이 그리고 등가구면굴절력 -0.35±0.51D 와 0.18±0.26D로 약 0.53D의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내었다(Fig 4).

    6. Bland-Altman을 이용한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의 일치도(등가구면굴절력)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을 통해 얻은 두 검사법의 차의 평균값은 –0.51±0.45D이며 회귀식은 Y= -0.543 + 0.612X로 나타났으며, 측정치의 상한 과 하한값은 +0.36D와 –1.39D 이었다. 또한 두 검사 법의 등가구면굴절력 평균값 범위는 약 –0.75D에서 +0.75D에서 형성하였다(Fig 5).

    𡘳. 고 찰

    레이저를 이용한 각막교정 수술로 많은 비정시안들이 안경과 콘택트렌즈로부터 자유로워졌지만, 근시퇴행으 로 인한 불편함과 추가수술의 부담감으로 재 교정을 위 해 시력검사를 하게 된다. 수술 전의 정상적인 각막의 형태에서의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차이는 Pesudovs17)이 자각적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의 등가구면굴절력이 평균 –0.10±0.35D에 불과하다고 보고한바와 같이 정 확성과 신뢰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달 라진 눈의 변수들로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사용은 또 다 른 오차를 야기하고 1차 데이터로서 타각적굴절검사의 신뢰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 술 후 정상시력안들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 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정확성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타각적굴절검사 법으로 측정한 데이터에서 실린더축을 제외한 이유는 PRK(Photorefractive keratectomy)14)와 LASIK(Laser in situ keratomileusis)18)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와 자각적굴절검사의 비교에서 실린더굴절력의 축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특히 검영법에서의 실린더축 정확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 기 때문에 구면, 실린더 그리고 등가구면굴절력을 비 교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LASEK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법과 검영법에 의한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의 전체 평균비교에서 약 0.39D, 실린더에서 약 0.25D 그리고 등가구면굴 절력에서 약 0.52D의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RK14), LASIK18,20)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 와 자각적굴절검사와 비교 연구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자동굴절검사법이 검영법보다 근 시 경향을 나타냈으며, 실린더굴절력보다 구면에서 더 큰 근시 성향을 보였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Siganos18) 는 각막 상피의 굴절계수(refractive index)는 실질과 다르고 그 변화는 각막의 굴절력의 영향을 줄 수 있다 는 것과 레이저 조사 시의 작은 optic zone이라고 하 였으며20), Olsen 등14)은 PRK 이후 각막은 약간의 다 초점과 불규칙한 난시 굴절 요소의 정도 증가 등 비구 면성이 뒤바뀌기 때문이라고 언급하였다.

    수술 전 굴절이상도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수술 후 두 타각적 방법으로 측정한 구면, 실린더, 등가구 면굴절력 비교에서 구면굴절력에서는 고도 약 0.40D, 중도 약 0.37D, 저도 약 0.38D로 전체적으로 0.37D 이상의 비슷한 굴절력 차이를 보였으며, 실린더굴절 력에서는 고도 약 0.24D, 중도 약 0.40D, 저도 약 0.28D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고도 근시 를 제외하면 편차가 다소 있었고, 등가구면굴절력에 서는 고도 약 0.47D, 중도 약 0.49D, 저도 약 0.53D 의 차이를 보여 전체적으로 약 0.50D로 두 검사법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동굴절검사법이 약 0.50D정 도의 근시 경향으로 더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며, Mirshahi A 등20)은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는 자각적 굴절검사보다 근시 성향으로 나타난다고 한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 였지만 고도근시에서 실린더굴절력의 통계적으로 차 이가 나지 않는 이유는 추후 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 요할 것으로 보인다.

    검영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보면 전체 대상자의 구 면굴절력 0.34±0.35D, 실린더굴절력 –0.08±0.16D, 등가구면굴절력 0.31±0.33D로 실린더굴절력의 약한 근시성난시를 제외하고는 약한 원시 경향을 보였으 며, 수술 전의 굴절이상도에 따른 분류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특히, 고도 근시였던 대상자들의 굴 절이상도가 저도 근시 보다 약 0.34D정도의 원시를 보였지만, 구면, 실린더, 등가구면굴절력 모두 수술 후 나안시력이 1.0을 볼 수 있는 충분한 굴절상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술자의 나안시력이 1.0의 좋은 시 력은 원시와 난시를 갖고 있는 비정시안에서도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21) 단순히 나안시력이 정상이라고 해서 정상시력으로 간주해서는 안될 것으로 보인다.

    반복성과 재현성 평가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 검 사법의 측정값들 간의 불일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두 검사법의 평균차이를 이용한 Bland-Altman 방법 (Bland-Altman limits of agreem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차이가 0에 가까우면 바이어스(bias) 의 가능성은 적지만, 본 연구에서는 약 –0.51D로 자 동굴절검사법에 의한 굴절이상도가 검영법보다 근시 의 경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 치의 상한과 하한값의 범위가 +0.36D와 –1.39D로 근 시 범위가 넓고 회귀식 또한 Y= -0.543 + 0.612X로 나타나 근시 경향으로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LoA 범위 안에 형성하고 있어 두 검사법의 호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Pesudovs17)가 보고한 LASIK 수 술 후 자각적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의 등가구면굴절 력을 비교에서 호환성이 있어 같은 보고하였다. Olsen H 등19)이 보고한 LASIK 수술 후 자동굴절검사(Nidek ARK-700A, Japan)와 자각적굴절검사의 등가구면굴 절력값 비교에서 -0.78±0.91D, LoA –2.56 to +1.00D 결과를 얻어 본 연구에서의 –0.51±0.45D, LoA –1.39 to +0.36D결과와 비교하면 평균값과 LoA(Limits of Agreement) 측면에서 정확성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LASEK 수술 후의 자동굴절검사는 전체적으로 근시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굴절검사와 함께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 시 과교정의 오류를 범 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안경착용 인구의 증가로 인한 레이저를 이용한 각 막굴절교정수술 후 근시퇴행으로 불편함을 경험한 또 는 경험할 대상자의 수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교정을 위한 굴절 검사의 중요성은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굴절검사기기 의 사용에 있어서 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𡘴. 결 론

    호환성 측면에서는 본 연구와 Pesudovs17) 연구결 과에서 긍정적 결과를 보였지만, 본 연구를 비롯한 많은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레 이저를 이용한 굴절수술 후의 자동굴절검사는 단지 자각적굴절검사의 시작점22)으로서 정확한 안경교정 과 처방에 있어서는 대신할 수 없으며23) 자각적굴절 검사로 확인을 해야 한다. 비정상적인 각막 형태의 타각적굴절검사는 경험이 충분한 검사자의 검영법이 자동굴절검사법보다 더 정확할 수 있어24) 검영기 활 용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0-443_F1.gif

    Comparison of post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between AR and Reti. in sph.(z=-7.05, p<0.01), cyl.(z=-6.48, p<0.01) and S.E.(z=-8.34, p<0.01) of all degree of myopia.(Sph.: Sperical power, Cyl.: Cylinder power, S.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R: Autorefractometry, Reti.: Retinoscopy)

    KJVS-20-443_F2.gif

    Comparison of post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between AR and Reti. in sph.(z=-2.91, p<0.01), cyl.(p>0.05) and S.E.(z=-3.22, p<0.01) of high myopia.(Sph.: Sperical power, Cyl.: Cylinder power, S.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R: Autorefractometry, Reti.: Retinoscopy)

    KJVS-20-443_F3.gif

    Comparison of post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between AR and Reti. in sph.(z=-5.29, p<0.01), cyl.(z=-4.81, p<0.01) and S.E.(z=-6.26, p<0.01) of medium myopia.(Sph.: Sperical power, Cyl.: Cylinder power, S.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R: Autorefractometry, Reti.: Retinoscopy)

    KJVS-20-443_F4.gif

    Comparison of post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between AR and Reti. in sph.(z=-3.10, p<0.01), cyl.(z=-3.28, p<0.01) and S.E.(z=-4.02, p<0.01) of low myopia.(Sph.: Sperical power, Cyl.: Cylinder power, S.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R: Autorefractometry, Reti.: Retinoscopy)

    KJVS-20-443_F5.gif

    The agreement in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s of AR and Reti. in the post-LASEK participants with vision of 1.0. The lines indicate median agreement(-0.51 D) and the 95% LoA (-1.39 to +0.36 D).

    Table

    The profiles of participants undergoing LASEK surgery

    Pre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autorefractometry in degree of myopia

    Postoperatively refractive errors measured by autorefractometry and retinoscopy in the degree of myopia

    Reference

    1. Cimberle M: LASEK has more than 1 year of successful experience, Ocul Surg News U.S. Edition, July 15, 2000. Available at https://www.healio.com/ophthalmology/refractive-surgery/news/print/ocular-surgery-news/%7b8d2dda95-8145-4ad0-9808-d602560c6006%7d/lasek-has-more-than-1-year-of-successful-experience. Accessed November 10, 2018. https://www.healio.com/ophthalmology/refractive-surgery/news/print/ocular-surgery-news/%7b8d2dda95-8145-4ad0-9808-d602560c6006%7d/lasek-has-more-than-1-year-of-successful-experience
    2. Kim WK, Yang H et al.: Analysis of enhancement rate according to age after refractive surgery with schwind amaris. J Korean Ophtalmol Soc. 54(2), 224-230, 2013. http://www.riss.kr/link?id=A99605739
    3. Chayet AS, Assil KK et al.: Regression and its mechanism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 moderate and high myopia. Ophthalmology 105(7), 1194–1199, 1998. https://www.ncbi.nlm.nih.gov/pubmed/9663221
    4. Liu Z, Li Y et al.: Seven-year follow-up of LASIK for moderate to severe myopia. J Refract Surg. 24(9), 935–940,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044235
    5. Zalentein WN, Tervo TM et al.: Seven-year follow-up of LASIK for myopia. J Refract Surg. 25(3), 312–318, 200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370828
    6. Saeed A, O'Doherty M et al.: Analysis of the visual and refractive outcome following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retreatment over a four-year follow-up period. Int Ophthalmol. 27(1), 23-29, 200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384919
    7. Lee EJ, Lim DH et al.: Clinical outcome of retreatment after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6(2), 180-189, 2015.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4605189
    8. Bae SH, Kim KS: The effect of reablation on the undercorrected eye after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1(2), 371-376, 2000. http://www.riss.kr/link?id=A19719285
    9. Heo JY, Kim MS: Causes of the lower uncorrected visual acuity than 20/40 after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2(11), 1549-1554, 2001. http://www.riss.kr/link?id=A19719848
    10. Thoft RA, Friend J: The X, Y, Z hypothesis of corneal epithelial maintenance. Invest Ophthalmol Vis Sci. 24(10), 1442-1443, 1983. https://www.ncbi.nlm.nih.gov/pubmed/6618809
    11. Rani A, Balasubramanya R et al.: Outcome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retreatment in high myopes. J Refract Surg. 19(2), 159-164,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701722
    12. Kim JH, Lee HY et al.: Clinical result of myopic LASIK enhancement. J Korean Ophthalmol Soc. 43(8), 1402-1411, 2002. http://www.riss.kr/link?id=A30067613
    13. Safir A, Hyams L et al.: Studies in refraction. I. The precision of retinoscopy. Arch Ophthalmol. 84(1), 49-61, 1970. https://www.ncbi.nlm.nih.gov/pubmed/5423607
    14. Oyo-Szerenyi KD, Wienecke L et al.: Autorefraction/autokeratometry and subjective refraction in untreated and photorefractive keratectomytreated eyes. Arch Ophthalmol. 115(2), 157-164,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046248
    15. Strang NC, Gray LS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 tolerance to autorefractor prescriptions. Clin Exp Optom. 81(3), 112-118, 199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482260
    16. Perrigin DM, Grosvenor T et al.: Comparison of Dioptron Nova refractive data with conventional refractive data. Am J Optom Physiol Opt. 61(7), 479-483, 1984. https://www.ncbi.nlm.nih.gov/pubmed/6465281
    17. Pesudovs K: Autorefraction as an outcome measure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30(9), 1921-8,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342056
    18. Siganos DS, Popescu C et al.: Autorefractometry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9(1), 133-137,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551680
    19. Olsen H, Hjortdal JO et al.: Comparison of objective methods for quantifying the refractive effect of photo-astigmatic refractive keratectomy using the MEL-60 excimer laser. Acta Ophthalmol Scand. 75(6), 629-633,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527320
    20. Mirshahi A, Wesemann W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reliability of autorefractometry after LASIK for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Am J Ophthalmol. 150(6), 774-779, 201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951976
    21. Raasch TW: Spherocylindrical refractive errors and visual acuity. Optom Vis Sci. 72(4), 272-275, 1995. https://www.ncbi.nlm.nih.gov/pubmed/7609953
    22. Bullimore MA, Fusaro RE et al.: The repeatability of automated and clinician refraction. Optom Vis Sci. 75(8), 617-622, 1998. https://www.ncbi.nlm.nih.gov/pubmed/9734807
    23. Goss DA, Grosvenor T: Reliability of refraction-a literature review. J Am Optom Assoc. 67(10), 619-630, 1996. https://www.ncbi.nlm.nih.gov/pubmed/8942135
    24. Jorge J, Queirós A et al.: Retinoscopy/ autorefraction: which is the best starting point for a noncycloplegic refraction?. Optom Vis Sci. 82(1), 64-68, 20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6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