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453-459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453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Jung Un Jang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E-mail: jju@eulji.ac.kr
Address reprint request to Jung Un Jang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TEL: +82-31-740-7122
November 2, 2018 December 24, 2018 December 24, 2018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t color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Methods :

Participant had a normal NPC and no dyschromatopsia, phoria and eye disease, also had no histories of eye surgery in 31 students of university. Their accommodative functi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50%, 80% density of the gray, blue, brown lens and non-colored lenses. Tests of accommodative functions performed includ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relativ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lag.


Results :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on lag we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was mo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than achromatic.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increased when wearing the blue color lens density by 50%. Also, accommodation facility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but, as the density of the color increased, the accommodation facility was decreased.


Conclusion :

As since the accommodation function changes according to density of the colored lenses, working distance and environment of the wearing colored len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장정운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성남

    Ⅰ. 서 론

    현대인은 눈으로 들어오는 유해 광선 차단, 눈부심 방지, 미용을 목적으로 착색렌즈와 선글라스를 즐겨 사 용하고 있다.1) 안경 렌즈에 착색을 할 경우엔 일부 색 상의 파장만 선택 투과하므로 색상이나 농도에 따라 렌 즈의 분광투과율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색의 좌표와 주 파장이 달라져 광선에 대한 눈의 반응이 달라지게 된 다.2-4) 최근 연구에서 최대조절력은 배경색에 따라 달 라진다고 하였다. 최대조절력은 배경색이 녹색일 때, 흰색일 때, 적색일 때 순으로 커진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조절반응이나 조절력의 변화가 발생하면 눈의 피로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 다.5) 또한, 착색렌즈를 착용한 경우 최대조절력이 향상 된다고 하였으며,6) 착색 렌즈를 착용할 때 사위도와 조 절력, 조절용이성이 변한다고 하였다.7~10) 이와 같이 우리 눈에 유입되는 색자극이 달라지게 되면 눈의 반응 이 변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조절 반응 또한 달라져 눈에 피로가 쌓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 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라 조절에 관계된 조절력, 조절 효율, 양성·음성 상대조절력 및 조절래그 변화가 유발 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폭주값이 정상, 안위이상과 색각이 상, 안질환이 없으며,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으며, 시력이 1.0인(정시안) 20대 남녀 대학생 31명(평균연 령은 21.43±1.51)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 실험렌즈

    실험에 사용된 착색 렌즈는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 진 CR-39, 굴절률(n)은 1.50, 아베수(v)는 38, 굴절력 은 0.00D이며, 무착색렌즈와 각각 50%, 80%의 농도 로 착색한 gray, blue, brown 렌즈를 사용하였다

    3. 검사방법

    조절력의 측정은 실험대상자의 눈 앞 40 cm 거리 에 주시 시표를 두고 천천히 단안 및 양안 가까이로 이동시키면서 자각적으로 시표가 처음으로 흐려졌다고 답하였을 때 시표의 이동을 중단하고 시표로부터 눈까 지의 직선거리를 cm로 측정하여 디옵터로 환산하였 다. 검사결과는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 다. 상대조절검사는 포롭터를 이용하여 눈 앞 40 cm 에 근거리 시표 중 0.7시표를 주시하게 하고 +0.25 D 씩 도수를 부가하여 음성상대조절과 −0.25 D씩 부가 하여 양성상대조절을 측정하였다. 조절용이성 검사는 피검사자로부터 40cm거리에 근거리시력 검사용 시표 를 설치하고 피검사자의 양안 앞에 +2.00D flipper를 눈앞에 위치시키고 0.7시표를 주시 시킨 후 시표가 선 명하게 보이면 반전시켰으며, 선명하게 보게 되면 1회 로 간주하고 1분당 선명하게 본 횟수(cycle per minue, cpm)를 기록하였다. 조절용이성검사는 단안, 양안 모두 진행하였다. 조절래그는 검사는 피검사자로부터 40cm거리에 근거리 검사용 시표를 설치하고 ±0.50D 고정크로스실린더 이용하여 시표의 선명도를 확인 하 는 방법으로 조명을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검사하였 다. 조절기능검사 측정순서는 단안과 양안의 조절기 능검사를 차례로 구한 다음, 착색렌즈를 착용한 상태 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하였으며, 피검사자는 조 절기능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안 근육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검사 사이에 약 3~5분 정 도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 수 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력 변화

    무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경우 양안의 평균 조절력 은 9.83±0.19D이며, 착색렌즈를 착용 시 조절력이 무 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Blue 80% 의 착색렌즈 착용 시 11.17±0.76D으로 가장 높게 나 타났다. 단안 조절력은 좌우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착색렌즈 농도별 조절력의 변화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644)(Table 1). 단안 평균 조절력변화는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 색렌즈 착용 시 조절력이 증가하였다.(Fig 1). 적색, 회색, 갈색, 녹색 네 가지 색상에서 각각 20%, 50%, 80%씩 농도를 달리하여 조절력을 측정한 선행논문에 서도 무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네 가지 색상 모두에서 눈의 조절력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1) 흰색 배경에 검정, 빨간, 녹색물체를 볼 때, 무착색렌 즈에 비해 착색렌즈를 착용한 경우에 최대 조절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7) 근거리 작업 시에는 조절과 폭주가 발생하는데, 근거리 작업 시 착색렌즈에 따른 색자극 때문에 눈의 집중도가 증가 하여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 시 조 절력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조절력의 변화가 blue렌즈 착용 농도에 따라 단안과 양안 조절력 모두 에서 증가를 보인 점은 검사시기가 오후에 진행되어 조절력의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2. 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래그 변화

    양안의 조절래그검사 결과 농도를 달리한 세 가지 색상의 착색렌즈 착용 시 무착색렌즈를 착용했을 때 보다 조절래그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brown 50%의 착색렌즈를 착용 시 조절래그가 0.90±0.87D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Table 2, Fig. 2). 본 연구 결과 착 색렌즈 착용 시 조절래그의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착색렌즈를 착용 시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근거리 작업 시, 장시간 조절 반응을 많이 하게 되어 피로도 가 증가 하고 그로 인해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을 적게 하게 되어11) 상대적으로 조절래그가 늘어나게 타나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상 군들에 대한 검 사시기가 오후에 진행되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이 행되는 시기에 측정되어 blue렌즈 착용 시 조절래그 가 증가 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3. 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른 상대조절 변화

    착색렌즈 착용 시 양안 평균 음성상대조절력은 무 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증가하였다. (Table 3). 양안 검사결과 음성상대조절력은 blue 80%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성상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가 장 크게 나타났다(Fig. 3). 서의 연구에 의하면 VDT 작업 후 상대조절력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서는 상대 조절력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12) 상대조절은 일 정한 크기로 고정된 폭주에서 조절반응량의 변화를 의미하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시표를 양안 단일시를 유지하는데 조절을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13-15) 근거리 작업 시 협동 안 운동을 위하여 조절과 폭주 의 균형을 유지하는 한계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 시 양안 단일시 유지를 위하여 조절개 입의 증가로 눈의 피로 도를 증가하여 무착색렌즈 착 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시 상대조절의 변화가 증가 한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4

    4. 렌즈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용이성 변화

    조절용이성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 용 시 모두 증가를 보였다. (Table 5, Fig. 4).착색렌 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용이성이 감소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1) 같이 본 연구에서도 blue와 brown 착색렌즈 외에서 착색렌즈의 농도가 증가함에 양안 조절용이성은 감소하여 선행논문과 유사한 결과를 보 였다. 이는 착색렌즈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시표의 선 명도가 낮아져 착색렌즈 농도가 진한 렌즈 착용 시 시표의 판명에 어려움을 느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 다. 하지만, 착색렌즈의 농도 80%의 blue, brown렌 즈 착용한 우안에서는 blue 50%, brown 80%착용 시 보다 조절용이성의 증가를 보였다. 검사를 진행한 시 기가 오후에 시행된 사항이 blue렌즈와 brown렌즈 착용 후 검사 시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 된 것으로 사료된다.

    𡘳.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착색렌즈 착용 시 조절기능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착색렌즈 착용 시 조절력의 증가를 보 였으나, 착색렌즈 색상과 농도차이에서는 조절력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blue렌즈 착용 시 농도에 따라 조절력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조절래그는 착색농도 에 따라 gray, brown렌즈 착용 시 조절래그의 감소 를 보였으나, blue렌즈 착용 시 조절래그의 증가를 보였다. blue렌즈 착용 시 농도에 따라 조절력과 조 절래그의 변화를 보인 점은 검사를 오후에 진행을 하 여 조절려과 조절래그의 변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 로 사료된다. 착색렌즈 착용 시 양안 음성상대조절력 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증가 하였으며, 양성상 대조절력은 blue 50%착용 시 크게 나타났다. 착색렌 즈 착용 시 양안 음성상대조절력은 무착색렌즈 착용 시 보다 증가 하였으며, 착색렌즈 착용 시 무착색렌 즈 착용 시 보다 조절용이성은 증가하였으며, 착색렌 즈 착용 시 단안에서의 조절용이성의 변화가 크게 나 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착색렌즈 선택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0-453_F1.gif

    Mean value of binocular and average value of monocular accommodative amplitude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KJVS-20-453_F2.gif

    Mean value of binocular and average value monocular accommodative lag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KJVS-20-453_F3.gif

    Mean value of binocular and average value monocular NRA and PRA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KJVS-20-453_F4.gif

    Mean value of binocular and average value mo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Table

    Mean value of accommodative amplitude of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on the OD,OS and OU

    Mean value of accommodative lag of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on the OD,OS and OU

    Mean value of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NRA) of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on the OD,OS and OU

    Mean value of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PRA) of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on the OD,OS and OU

    Mean value of accommodative facility of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on the OD,OS and OU

    Reference

    1. Choi HS: The influence of the Color and the Color Density of Lens on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nd the Accommodative Facility. Korean J. Vis. Sci. 14(1), 47-55, 2012.
    2. Nguyena VA, Howard IP, et al :Detection of the depth order of defocused images. Vision Research. 45(8), 1003-1011,2005. https://doi.org/10.1016/j.visres.2004.10.015
    3. Simmers AJ, Gray LS, et al: The influence of tinted lenses upon ocular accommodation. Vision Res. 41(9), 1229-1238, 2001. https://doi.org/10.1016/S0042-6989(00)00291-1
    4. Lee JE, Stein JJ, et al :Effect of Variable Tinted Spectacle Lenses on Visual Performance in Control Subjects. CLAO J. 28(2), 80-82, 2002.
    5. Daum KM: Accommodative dysfunction. Doc. Ophthalmol. 55(3), 177-198, 1983
    6. Kröger RH, Binder S: Use of paper selectively absorbing long wavelengths to reduce the impact of educational near work on human refractive development. Br. J. Ophthalmol. 84(8), 890-893, 2000. http://dx.doi.org/10.1136/bjo.84.8.890
    7. Oh BH, Lee JH, et al.: The change of the accommodative amplitude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of the spectacle lens or object. J. Korean Oph. Opt. Soc. 13(1), 119-124, 2008.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7273
    8. Choi HS, Park SJ, et al.: The change of Phoria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 Lens. J. Korean Oph. Opt. Soc. 16(3), 339-343, 2011.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7484
    9. Hwang KH, Lee CW, et al.: The effect of tinted lens color and density on the error correction and the speed of reading at near. Korean J. Vis. Sci. 16(4), 475-483, 2014
    10. Thompson HS, Hart WM, et al.: The pupil. In: Adler'sphysiology of the Eye, 9th Ed. Mosby-Year Book, pp412-441,1992.
    11. Kwon KI, Woo JY, et al.: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 by the Direction of Eye Movements During Computer Game. J Korean Oph Opt Soc. 17(2):177-184, 2012.
    12. Seo US: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VDT Work. J. Korean Oph. Opt. Soc. 17(3), 285-291, 2012.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7534
    13. Kim HM, Son JS, et al.: Comparison of Relative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and Addition Based on Occupation of Initial Presbyopia. J. Korean Oph. Opt. Soc.Vol. 14(4),59-63, 2009.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7379
    14. Lee JY, Yu DS, et al.: The Diurnal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Near Work. J. Korean Oph. Opt. Soc. 16(1),75-81, 2011.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567452
    15. Kim SR, Kwak H, et al.: The Changes in Convergence Function of Accommodative Anomaliesin their Twenties after Watching Video on a Smartphon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2(2):133-142, 2017.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189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