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531-54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531

Acute Cytotoxicity Testing of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G) and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Mixture on the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Nam-youl Kim1),Koon-Ja Lee2),*
Institute Pasteur Korea1)
Dept. Optometry, Eulji University, Sungnam2)
E-mail: kjl@eulji.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Tel: +82-10-8989-7182
November 28, 2018 December 21, 2018 December 21, 2018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acute cytotoxic effect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PHMB/EGCG mixture on the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HCEpiC).


Methods :

HCEpiCs were cultured in the media of HCEpiC containing 0.00001~0.005% PHMB, 0.001~5% EGCG and 0.00005% PHMB/0.05% EGCG mixture respectively for 30, 60, 120 and 240 min. Cultured HCEpiC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Draq5 and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were evaluated using confocal microscope and ImageXpress UltraTM.


Results :

Cultured HCEpiC did not show cytotoxic effect at below 0.00005% PHMB and below 0.05% EGCG concentration. In the media containing 0.00005% PHMB/0.05% EGCG, acute cytototoxic effect was not found, whereas damaged HCEpiCS were increased and survival cells were decreased in the media incubated for 240 min.


Conclusion :

The mixture of 0.00005% PHMB/0.05% EGCG showed non acute cytotoxic effect on the cultured HCEpiCs, however it is needed to investigate its chronic cytotoxic effect.



보존제 PHMB(polyhexamethylene biguanide)-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 급성독성 평가

김남열1),이군자2),*
한국파스퇴르연구소1)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안경광학과2)

    Ⅰ. 서 론

    콘택트렌즈용 다목적용액(multipurpose solution, MPS)에는 콘택트렌즈의 세척과 오염방지 및 소독을 위하여 여러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14729에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에 대한 위생조건, 실험방법, 관리 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며, 다목적용액은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메티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Serratia marcescens. S. marcescens) 와 같은 4 종류의 세균에 대해서는 log 3(99.999%)의 살 균력을, 칸디다 알비캔스(Candida albicans, C.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F. solani)와 같 은 두 종류의 진균에 대해서는 log 1(99.9%)의 살균 력을 가져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 따라서 다목적 용액은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병원균을 소독하고 관리 용액의 세균오염을 막기 위해서 소독제 또는 방부제 성분의 항생물질이 한 종류 또는 두세 종류가 혼합물 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항생물질은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미생물을 효과적 으로 제거하여 콘택트렌즈를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 도록 도와주지만 항생물질 또는 용액에 포함된 여러 화합물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각막상피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따라서 다목 적용액을 제조하는 회사들은 ISO의 규정을 준수하고 독성을 줄이기 위하여 충분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최저 농도의 항생물질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3)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목적용액 에 포함된 항생물질은 안구에 독성을 유발하여 각막 상피세포의 세포사(apoptosis)를 유발하거나, 생존률 (cell viability)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고,4-6) 실리 콘하이드로겔렌즈와 특정 방부제 성분에 의해 각막염 색 등의 부작용이 유발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79)

    합성보존제 중 polyhexamethylene biguanide(PHMB) 는 강한 양전하를 띤 긴 사슬분자의 화합물로, 세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cell wall)의 인지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수술 부위 소독제, 수영장 소독제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 되고 있다.10) 또한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대한 ISO 규 정 균주인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 균, 녹농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칸디다 알비캔스, 푸 사리움 솔라니에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여,10-13) 콘택트렌 즈용 소독액이나 다목적용액에 많이 사용되어왔다. 대 부분의 다목적용액에서는 낮은 농도(1~20 μg/mL)의 PHMB를 사용하고 있고, PHMB를 낮은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포 독성이 없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고농 도(20 μg/mL 이상)에서는 세포독성이 있다고 보고되 었고,14) PHMB가 포함된 다목적용액을 사용한 경우 자 극감이 유발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어,13)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이면서 안구독성이 없는 방부제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녹차성분에 포함된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는 녹차 폴리페놀(polyphenol) 함량의 약 50~60%를 차지하는 물질로,15) 혈전증, 동맥경화, 염증 및 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16~18) 항산화효 과,19) 항균효과 및 항바이러스효과20-22)가 뛰어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낮은 농도의 EGCG는 항균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ISO 규정 균주인 칸디다 알비캔스에 살균효과가 없다고 보고되어23)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항균제로 사용되 지 않고 있다. 그러나 EGCG를 다른 항균제와 혼합으 로 사용하면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 균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24,25) PHMB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낮은 농도에서 ISO 규정 안질 환 균주에 대해서 충분한 항균작용을 한다고 보고되 었다.23) PHMB/EGCG 혼합물은 항산화효과가 우수 하기 때문에 각막상피세포 독성이 없다면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용 항균제로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다목적용액의 세포독성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과거 에는 다목적용액이 안구에 미치는 안전성과 안구 자 극감 유무의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26) 최근 에는 세포 배양 모델을 사용하여 독성효과를 확인하 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7-2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막상피세포 배양 모델을 이용하여 PHMB와 EGCG의 세포독성 및 PHMB/EGCG의 혼합물이 각막상피세포 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확인하여 PHMB/EGCG 혼합 물의 콘택트렌즈 관리용액 항균제로서의 가능성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재료

    1)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된 사람각막상피세포(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의 구매와 배양은 저자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구30) 방법과 동일하게 하 였다. ScienCell Research Labortorie(HCEpiCs, U Cat. No. 6510, USA)에서 HCEpiCs를 구매하여 사용 하였고, 계대 및 유지에는 세포 구매사에서 제시한 방 법과 배양액(CEpiCM, Cat. No. 6511, USA)을 사용하 였다. 세포는 5% CO2, 37℃의 조건으로 세포배양기 (CO2 Cell Culture Incubator, MCO-5ACTM, Panasonic, USA)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용기(NuncEasy FLASK 75cm2 NunclonDeltasurface, Cat, N. 156499, ThermoScientific, USA) 바닥면적 에 70%의 밀도로 각막상피세포가 자라면, 0.05%의 Trypsin-EDTA(Gibco, Cat, N. 25399-120)를 첨가 하여 상피세포를 배양용기 바닥면에서 분리하고, 분리 된 모든 세포 중 10%는 새로운 배양용기로 옮겨 유지 하고 나머지 세포들은 실험에 사용하거나 폐기하였다.

    2) PHMB, EGCG 및 PHMB/EGCG 혼합물 농도

    실험에 사용한 PHMB(Rotor, KOREA)와 EGCG(50299 FLUKA, SIGMA-ALDRICH, USA) 용액은 저자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구25)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순도 80%의 분말형태로 정제된 PHMB는 생리식염수에 녹여 0.01% 농도로 희석하여 1 ㎖ 씩 분주한 후 5℃에서 냉 장 보관하여 사용하였고, EGCG는 Sigma-Aldrich에서 판매되고 있는 순도 80%의 분말형태로 정제된 시약 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생리식염수에 디메틸 술 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0.2%를 희석한 후 EGCG의 최종농도가 0.3%가 되게 희석하여 1 ㎖씩 분주한 후 –20℃에서 냉동보관하여 사용하였다. EGCG 는 시약준비과정 및 실험과정에서 차광상태를 유지하 여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PHMB와 EGCG 의 각막상피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HMB는 0.00001~0.005%의 농도로, EGCG는 0.001~5%의 농 도로 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PHMB/EGCG 혼 합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선행연구결과25)를 바탕으로 ISO에서 규정한 세균과 진균에 충분한 항균효 과를 보이는 최소저해농도(PHMB는 0.00005%, EGCG 는 0.05%)를 사용하였다.

    2. 연구방법

    1) 각막상피세포 독성 확인을 위한 PHMB와 EGCG 용액 처리

    각막상피세포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도 저자 들이 이미 보고한 선행연구25)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 다. 배양된 각막상피세포를 384 well plate(384 well plate, Cat, N. 788091, Greiner Bio-one, Germany) 에 일정한 수만큼 옮기고 세포 안정화를 위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사용하였다. 각막상피세포의 배양액에 PHMB는 0.00001~0.005%의 농도로, EGCG는 0.001~5%의 농도 단독 화합물 용액으로 제조하였고, PHMB/EGCG 혼합물 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HMB와 EGCG 농도가 각각 0.00005%, 0.05%이 되도록 제조하여 넣어주고 배양하였다. 실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경우 다목 적용액이 콘택트렌즈 표면에 묻어서 결막이나 각막부 위에 닿는 양은 최소 10 μL에서 최대 100 μL로 매 우 적고, 안구에서 일어나는 눈물의 순환, 각막표면 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15~30분의 처리시 간이 실제 안구에 미치는 시간이라 볼 수 있다.31,32) 본 연구에서는 세포독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방부제 가 포함된 용액에서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12 시간,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독성을 관찰하였고, 매 실험마다 항생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추 가하여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세포배양액과 인산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PHMB 및 EGCG 용액과 동일한 양 만큼 사용하였다.

    2) 각막상피세포의 이미지 분석을 위한 처리 및 분석방법

    각막상피세포의 이미지 분석 방법도 선행연구30) 방 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PHMB 및 EGCG 용액을 처리한 각막상피세포는 4%의 파라포름알데히드용액 (paraformaldehyde solution in 4% in PBS, Cat, N. 199431LT, Affymetrix, USA)으로 10분간 고정 시키고, Draq5TM(1,5-bis{[2-(di-methylaminoethyl] amino}-4,8-dihydroxyanthracene-9,10-dio, CellSignalTechnology, Cat,N #4084, USA)를 사용 하여 세포핵 내에 존재하는 DNA를 염색하였다. Draq 5로 염색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막상피세포는 공초 점현미경(confocal microscopy, Axiovert 200MTM, CarlZeiss, Germany)과 ImageXpress UltraTM (autoconfocal high content-screening system, Molecular Devise, USA)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세포의 사진을 저장한 후 MetaXpressTM(Molecular Devise, version 2.0.0.13, USA)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포독성을 받은 각막세포를 구별하기 위하여 선 행연구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상세포와 손상된 세포 및 자살형태를 보이는 세포의 형태적 특징(세포와 핵 의 크기 및 염색된 세포핵의 형광 밝기)을 수치화한 기준에 따라 구별하였고, 세포독성은 세포 생존율 백 분율로 계산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막상피세포 는 반응시간이 길어지면 세포증식이 일어나 세포 수 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험군의 생존율은 각각의 처리 시간별로 대조군의 세포수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백분 위로 표시하였고, 분석은 상위 10% 및 하위 10% 값 을 제외한 나머지 80%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3) 통계분석

    실험군의 그룹 간 유의성은 측정값을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분석은 PRISM(GraphPad PRISM, Version 5.01, GraphPad Software,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 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 1).

    Ⅲ. 결과 및 고찰

    1. PHMB의 각막상피세포 독성 평가

    각막상피세포를 0.00001~0.005%의 PHMB가 포 함된 배양액에 넣고 반응시킨 후 2, 12, 24, 48 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고농도의 (0.005% 및 0.001%) PHMB 용액에서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각막상피세포의 수가 감소하였지만 낮은 농도(0.0005% 이하)에서는 시간이 경과해도 각막상 피세포 수는 증가하였고 0.00005%의 농도에서는 대 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PHMB 의 경우 0.0005% 이하의 농도에서는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없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독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2).

    PHMB의 경우 저항력이 높은 그람음성균과 진균에 대해서도 높은 살균효과를 보이며 특히 녹농균에 강력 한 살균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어 콘택트렌즈용 다목적 용액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이다.11,12) 황 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균에 대한 PHMB의 최소저해농도 는 각각 0.0002%, 0.0004%, 0.00025%, 0.00025%이 며, 진균인 칸디다 알비캔스와 푸사리움 솔라니에 대 한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00025%, 0.0002%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작용을 보인다고 보고되 었다.23) 또한 가시아메바에 대한 살균효과도 다른 항 균제에 비하여 탁월한 것으로 밝혀져23) 콘택트렌즈용 관리용액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33)

    그러나 PHMB는 세포 내 미토콘트리아에 독성을 유발하고34) 각막실질세포의 생존률을 저하시킨다고 보고되었고,35) 각막과 결막에 자극감을 유발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13) 다목적용액의 안구 내 독성 연구는 콘택트렌즈 표면에 결합된 다목적용액에 의해 나타나 는 독성효과27,32,36)와 콘택트렌즈 내부로 침투된 관리 용액 성분이 눈물로 서서히 방출되어37,38) 나타나는 독 성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PHMB 계열(polyhexanide, Dymed, polyaminopropyl biguanide)의 화합물은 FDA 4 그룹(이온성, 고함수)에 해당하는 콘택트렌즈 재질에는 상당량이 흡수되어 눈물로 방출된다고 보고 되었다.39) 본 연구결과 0.001% 이상의 PHMB 농도에 서는 각막상피세포독성이 관찰되었지만 0.005% 이하 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0.0005% 이하에서 48시간 반응시킨 후에도 세포 독성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리용액 제품에 사 용되는 0.00005% PHMB 농도에서는 PHMB가 콘택트 렌즈 재질내부로 흡수된 후 눈물로 용출되어 나타나는 각막상피세포 독성은 희박할 것으로 생각된다.

    2. EGCG의 각막상피세포 독성 평가

    각막상피세포를 0.001~5%의 EGCG가 포함된 배양 액에 넣고 2, 12, 24, 48 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고농 도의(5%) EGCG 용액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막상피세포 수가 감소한 반면,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시간이 경과해도 각막상피세포 수는 증가하였고, 0.05% 이하의 농도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 였다(Fig. 3). 따라서 EGCG의 경우 0.05% 이하의 농 도에서는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없지만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 항균물질인 EGCG는 천연식품 성분으로 안전 한 물질이지만, 고농도에서도 칸디다 알비캔스에 항 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녹농균과 세라티아 마르세 센스균, 진균인 칸디다 알비캔스 및 푸사리움 솔라니 에 대한 최소저해농도가 각각 0.2%, 0.3%, 0.3% 이 상, 0.3%로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 농도가 PHMB보다 약 100~1,500배 높은 것으로 보 고되었다.23) 따라서 충분한 살균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고농도로 사용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5% EGCG 농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막상피세포 수가 감소하였으며,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 었고, 0.05% 이하의 농도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 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GCG가 각막상피세포에 미 치는 독성은 다른 방부제에 비해 적으며, 관리용액에 0.05% 이하의 농도로 사용된다면 각막상피세포에 미 치는 독성은 미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3. PHMB와 EGCG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 독성 평가

    ISO에서 규정한 세균과 진균에 충분한 항균효과를 보이는 PHMB/EGCG 혼합물의 농도는 각 화합물의 최 소저해농도(PHMB는 0.00005%, EGCG는 0.05%)보다 낮지만23) 본 연구에서는 PHMB와 EGCG의 최소저해농 도로 PHMB/EGCG 혼합물을 만들고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농도의 PHMB(0.00005%)와 EGCG(0.05%) 용액도 함께 평가하였다. PHMB(0.00005%), EGCG(0.05%) 및 PHMB/EGCG(0.00005%/0.05%) 혼 합액을 넣은 배양액에서 30분, 1시간, 2시간 및 4시간 각 막상피세포를 배양하고 분석한 결과 30분, 1, 2, 4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에는 각막상피세포 수가 대조군과 유 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Fig. 4), 생존세포(survival cell)의 수도 차이가 없었다(Fig. 5). 그러나 전체세포 중 손상된 세포의 비율은 0.05% EGCG와 PHMB/EGCG (0.00005%/0.05%) 혼합액에서 4시간 배양한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독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able 1).

    PHMB/EGCG 혼합물의 경우 0.00005%/0.05%의 PHMB/EGCG 혼합물은 4 종류의 세균(황색포도상구 균,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아 마르세센스)과 2 종류의 진균(칸디다 알비캔스, 푸사리 움 솔라니), 총 6개의 ISO 규정 균주에 대하여 모두 충 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EGCG를 첨가함에 따라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PHMB 농도를 1/4 수준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23) 본 연구를 통하여 0.00005%/0.05% PHBM/EGCG 혼합물에 1시간, 2시간 처리한 경우에 는 각막상피세포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EGCG가 PHMB의 탁월한 항균효과를 유지하면서 각막 상피세포 독성을 낮춰주는 항균보조제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시간 배양한 경우에 손상 된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독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EGCG는 제품화되기에는 가격적인 면에서 경제성이 낮 은 이유로 아직 활용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역가(titer)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Ⅳ. 결 론

    각막상피세포 배양 모델을 이용하여 PHMB, EGCG 및 PHMB/EGCG 혼합물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급성 독성을 확인한 결과, PHMB는 0.00005% 이하의 농도에서, EGCG는 0.05% 이하의 농도에서 각막상피 세포 독성이 없었고,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에서 각막상피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PHMB/EGCG 혼합물의 경우 배양 시간이 길어지면서 손상된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독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Figure

    KJVS-20-531_F1.gif

    On the prepared mono-layer of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with corneal epithelial cell (HCEpiC) media in 384 well plates were exposed to PHMB and EGCG mixture. After incubation, HCPpiC were fixed with 4% of paraformaldehyde and stained nucleus with DraQ 5. Total cells and damaged cells were counted and compared with each group's proliferation and size of cytosol area by using confocal microscopy system to analysis the apoptosis of HCEpiC.

    KJVS-20-531_F2.gif

    Number of healthy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 in the media of HCEpiCs containing 0.00001~0.005% PHMB analyzed by image analysis.

    KJVS-20-531_F3.gif

    Number of healthy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 in the media of HCEpiCs containing 0.001~5% EGCG analyzed by image analysis.

    KJVS-20-531_F4.gif

    A number of total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 in the media of HCEpiCs containing 0.00005% of PHMB, 0.05% EGCG and 0.00005% PHMB/0.05% EGCG mixture analyzed by image analysis.

    KJVS-20-531_F5.gif

    A number of survival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 in the media of HCEpiCs containing 0.00005% of PHMB, 0.05% EGCG and 0.00005% PHMB/0.05% EGCG mixture analyzed by image analysis.

    Table

    The percentage of damaged 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 in the media of HCEpiCs containing 0.00005% PHMB, 0.05% EGCG and 0.00005% PHMB/0.05% EGCG mixture

    Reference

    1. ISO 14729. Ophthalmic optics-Contact lens care products-Microbiological requirements and test methods for products and regimens for hygienic management of contact lenses. Geneva, Int Organization Standardization, 2001. https://www.iso.org/obp/ui/#iso:std:iso:14729:ed-1:v1:en
    2. Epstein SP, Ahdoot M et al.: Comparative toxicity of preservatives on immortalized corneal and conjunctival epithelial cells. J Ocul Pharmacol Ther. 25(2), 113-119, 200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284328
    3. Ogunbiyi` L, Smith FX et al.: Disinfecting and preserv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 Patents, US4758595A, 1988.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758595
    4. Kim JM, Lee SJ et al.: Effects of benzalkonium chlorid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J Korean Opthalmol Soc. 7(2), 189-195, 2002. http://www.riss.kr/link?id=A104881838
    5. Ko EG, Na MS et al.: Cytotoxicity of clone 1-5C-4 cell lines and effect on rabbit cornea by soft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 (MPS). J Korean Opthalmol Soc. 12(3), 19-25, 2007. http://www.riss.kr/link?id=A104881214
    6. Chuang EY, Li DQ et al.: Effects of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s on human corneal epithelial survival and barrier function. Eye Contact Lens 34(5), 281-286, 2008. http://www.riss.kr/link?id=O49968773
    7. Carnt N, Jalbert I et al.: Solution toxicity in soft contact lens daily wear is associated withcorneal inflammation. Optom Vis Sci. 84(4), 309–315, 200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435514
    8. Jones L, MacDougall N et al.: Asymptomatic corneal staining associated with the use of balafilcon silicone-hydrogel contact lenses disinfected with a polyaminopropyl biguanidepreserved care regimen. Optom Vis Sci. 79(12), 753–761,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512683
    9. Zigler L, Cedrone R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silicone hydrogel lens wear with a new multipurpose disinfection care product. Eye Contact Lens 33(5), 236–243, 200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873626
    10. Lucas, AD, Gordon EA et al.: Analysis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in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Talanta 80(2), 1016-1019, 2009. http://www.riss.kr/link?id=O52559510
    11. Miller MJ, Callahan DE et al.: Disinfection efficacy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against ocular pathogens. CLAO J. 27(1), 16-22, 200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215601
    12. Scheuer C, Zhao F et al.: Multipurpose solutions and rates of biocidal efficacy. Eye Contact Lens 35(2), 88-91, 200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265330
    13. Pfster RR, Burstein N: The effects of ophthalmic drugs, vehicles, and preservatives on corneal epithelium: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Invest Ophthalmol. 15(4), 246-259, 1976.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62158
    14. Creppy EE, Diallo A et al.: Study of epigenetic properties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de (PHMB).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1(8), 8069–8092, 201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111876
    15. Graham HN: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 Med. 21(3),334-350, 199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14995
    16. Deana R, Turetta L et al.: Green tea epigallocatechin- 3-gallate inhibits platelet signalling pathways triggered by both proteolytic and non-proteolytic agonists. Thromb Haemost. 89(5), 866-874, 2003.https://www.ncbi.nlm.nih.gov/pubmed/12719785
    17. Chyu KY, Babbidge SM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green tea-derived catechin on developing versus established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null mice. Circulation 109(20), 2448-2453,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136500
    18. Katiyar SK, Challa A et al.: Prevention of UVB-induced immunosuppression in mice by th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3-gallate may be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IL-10 and IL-12 production. Carcinogenesis 20(11), 2117-2124, 199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545414
    19. Skrzydlewska E, Ostrowska J et al.: Green tea as a potent antioxidant in alcohol intoxication. Addict Biol. 7(3), 307-314,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126490
    20. Sakanaka S, Kim M et al.: Antibacterial substances in Japanese green tea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 cariogenic bacterium. Agric Biol Chem. 53(9), 2307-2311, 1989.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0021369.1989.10869665
    21. Sakanaka S, Aizawa M et al.: Inhibitory effects of green tea polyphenols on growth and cellular adherence of an oral bacterium, Porphyromonas gingivali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5), 745-749, 1996. https://www.ncbi.nlm.nih.gov/pubmed/8704303
    22. Sharquie KE, al-Turfi IA et al.: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ea in vitro and in vivo (in patientswith impetigo contagiosa). J Dermatol. 27(11), 706-710,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138536
    23. Lim SM, Lee KJ: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and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B) mixture. Korean J Vis Sci. 14(4), 413-424, 2012. http://www.riss.kr/link?id=A99577202
    24. Hu ZQ, Zhao WH et al.: Epigallocatechin gallate synergy with ampicillin/sulbactam against 28 clinical isol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Antimicrob Chemother. 48(3), 361-364, 2001. https://academic.oup.com/jac/article/48/3/361/736065
    25. Lee JY, Kim YS, Shin DH: Antimicrobial synergistic effect of linolenic acid and monoglyceride against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J Agric Food Chem. 50(7), 2193–2199, 2002. http://www.riss.kr/link?id=O31498921
    26. Kruszewski FH, Walker TL et al.: Evaluation of a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line as an in vitro model for assessing ocular irritation. Fundam Appl Toxicol 36(2), 130–140,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143482
    27. Santodomingo-Rubido J, Mori O et al.: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x multipurpose soft contact lens disinfecting solutions. Ophthalmic Physiol Opt 26(5), 476–482, 2006. http://www.riss.kr/link?id=O45211477
    28. McCanna DJ, Harrington KL et al.: Use of a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line for screening the safety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in vitro. Eye Contact Lens 34(1), 6–12, 2008. http://www.riss.kr/link?id=O48437360
    29. Gorbet MB, Tanti NC et al.: Corneal epithelial cell biocompatibility to silicone hydrogel and conventional hydrogel contact lens packaging solutions. Mol Vis. 16, 272–282, 201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169012
    30. Kim N, Lee KJ: Cytotoxicity of multipurpose contact lens solutions on the cultured corneal epithelial cell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J Korean Oph Opt Soc. 20(1), 51-60, 2015. http://www.riss.kr/link?id=A104881788
    31. Wolkoff P, Nojgaard J et al.: Eye complaints in the office environment: precorneal tear film integrity influenced by eye blinking efficiency.Occup Environ Med. 62(1), 4-12, 20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613602
    32. Nichols JJ, King-Smith PE: Thickness of the pre-and post-contact lens tear film measured in vivo by interferometry. Invest Ophthalmol Vis Sci. 44(1), 68-77,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506057
    33. Yoon Y, Yoo GC et al.: The inhibitory effect of multi-purpose solution on HCE and L929cells. Korean J Vis Sci. 1(1), 81-88, 1999. http://www.riss.kr/link?id=A40129433
    34. Dutot M, Warnet JM et al.: Cytotoxicity of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s: role of oxidative stress, mitochondrial activity and P2X7 cell death receptor activation. Eur J Pharm Sci. 33(2), 138-145,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8065213
    35. Pfister RR, Burstein N: The effects of ophthalmic drugs, vehicles, and preservatives on corneal epithelium: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Invest Ophthalmol. 15(4), 246-259, 1976.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62158
    36. Santodomingo-Rubido J, Mori O et al.: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ix multipurpose soft contact lens disinfecting solutions. Ophthalmic Physiol Opt. 26(5), 476-482, 2006.
    37. McCanna DJ, Harrington KL et al.: Use of a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line for screening the safety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in vitro. Eye Contact Lens 34(1), 6-12, 2008. http://www.riss.kr/link?id=O48437360
    38. Tanti NC, Jones L et al.: Impact of multipurpose solutions released from contact lenses on corneal cells. Optom Vis Sci. 88(4), 483-492, 2011. http://www.riss.kr/link?id=O55666883
    39. Powell CH, Lally JM et al.: Lipophilic versus hydrodynamic modes of uptake and releaseby contact lenses of active entities used in multipurpose solutions. Cont Lens Anterior Eye 33(1), 9-18, 2010. http://www.riss.kr/link?id=O53003133
    40. Rosenthal RA, Dassanayake NL et al.: Biocide uptake in contact lenses and loss of fungicidal activity during storage of contact lenses. Eye Contact Lens 32(6), 262–266, 2006. http://www.riss.kr/link?id=O4591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