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543-551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543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Mi-A Jung1),Eun-Hee Lee2),*
Dept. of Optometry,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Yeoju1)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ung2)
E-mail: ehlee@kdu.ac.kr
Address reprint request to Eun-Hee Lee 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ung TEL: +82-43-879-3701
November 30, 2018 December 12, 2018 December 12, 2018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the changes of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refractive error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Methods :

The mean age of adults who underwent LASIK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37.34 ± 7.42 years, and 108 adults(48 males, 60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fractive errors, intraocular pressure, and corneal ablation amount were measured using an autorefractor, a noncontact tonometer, and an excimer laser. All test value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0.05.


Results :

The mean intraocular pressure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was 15.08 ± 2.60mmHg in males and 14.16 ± 2.67mmHg in fe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4.22mmHg in males and 3.61mmHg in females. Spherical equivalent power were -3.89 ± 2.17D in males and -4.45 ± 2.92D in females before corneal refractive surgery, and -0.10 ± 0.46D in males and -0.04 ± 0.46D in femal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corneal ablation amount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53.95㎛ in males and 61.26㎛ i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decrease of intaocluar pressure(r=0.2299, p<0.001). As the growth of corneal ablation amount in males, the decrease of intraocular pressu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growth of refractive error, the amount of de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was also significant. The decrease of intraocualr pressure were 3.04 ± 2.18mmHg in low refractive error, 4.10 ± 2.16 mmHg in middle refractive error, and 4.65 ± 3.29 mmHg in high refractive error.


Conclusion :

We found that intraocular pressure decrease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by noncontact tonometer and the change of intraocular pressure which is an important index for glaucoma diagnosis, may affect the judgment of eye disease. We think that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heth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is necessary for the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과 안압변화의 상관관계

정미아1),이은희2),*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1)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2)

    Ⅰ. 서 론

    각막굴절교정수술은 안경, 렌즈 등의 물리적인 시 력보조도구 없이도 시력교정을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 이다. 그러나 이 수술은 각막의 절삭을 동반하기에 필연적으로 각막중심두께가 감소한다. 선행 연구에서 각막중심두께가 감소하였을 때 안압이 낮게 측정된다 는 것은 보고되어 있으며,1-4) 안압은 녹내장 진단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5) 따라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낮아진 안압은2-4), 정확한 안압측정을 곤란하게 만들 어 녹내장 등의 각종 시신경 이상의 진단과 치료를 늦추게 한다. 6,7) 더구나 수술 후 발생하는 염증과 각 막혼탁의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점안액은 8,9) 스테로이드에 민감한 일부 환자의 경우에서 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데,10-13) 낮게 측정된 안압 때 문에 실제 안압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여 말기 녹내 장으로 진행된 사례도 있다.12,14) 이러한 문제의식으 로 그동안 각막굴절교정수술과 안압과의 관계를 밝히 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고,2,15-23) 낮게 측정되는 안압 을 보정하기 위한 각종 연구도 뒤를 이었다.24-28)

    각막굴절교정수술이 안압을 감소시키는 요인에는 각막중심두께와 교정굴절력 및 전면각막곡률의 변화와 일부의 경우 스테로이드 사용 등이 있는데,4,11,12,23,29,30) 이 모든 요인들의 근본원인은 각막의 절제, 절삭이라 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막절삭량과 안압의 상관관 계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연구는 안전하고 적정한 각막절삭량에 대한 것이거나31,32), 각막굴절교정술과 안압과의 관계를 조사하면서 각막 절삭량이 안압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는 통합적인 검토에 그쳤을 뿐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각막절삭량을 단일의 주제로 선정하여, 각막절삭량과 안압과의 관계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월부터 2018년 8월 사이 에 서울에 소재한 ○○병원에서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기위하여 내원한 2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 의 취지에 동의한 사시, 안질환 또는 전신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08명(남자 48명, 여자60명), 216안을 대상 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7.34±7.42 세(남자 37.04±7.15세, 여자 37.58±7.68세)이다. 굴 절이상은 대상자의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Spherical equivalent, SE)에 따라 –2D 이하를 경도, -2~-6D 를 중등도, -6D 이상을 고도 근시로 세 그룹으로 분 류하였다.

    2. 검사방법

    굴절이상은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굴절 검사기(ARK-510A, NIDEK, JAPAN)를 사용하여 수 술 전, 라식 수술 4주후 굴절이상도를 3회 측정한 평 균값의 등가구면 굴절력을 사용하였다.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안압 측정은 골드만 압평안압계보다 각막곡 률에 영향을 주지 않아 더 안전하고 정확한 방법이라 고 보고되어 있는33,34) 비접촉식 안압계(NT-2000, NIDEK, JAPAN)를 사용하여 수술 전, 라식 수술 4 주 후 3회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고, 각막절삭량 은 엑시머레이저(NT-2000, NIDEK, JAPAN)을 사 용하여 절삭된 값을 비교하였다.

    3. 통계분석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을 사용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의 집단간 평균차이는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의 결과 값으로 나타냈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 일 때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총 대상자 108명 남자 96안, 여자 120안 중 각막굴절 교정수술 전 안압은 남자가 15.08±2.60mmHg, 여자가 14.16±2.67mmHg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은 남자 10.86±2.69 mmHg, 여자 10.55±2.41mmHg로 수술 전 보다 남, 녀 모두 낮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막굴절 교정 수술 전 남자 –3.89±2.17D, 여자 –4.45± 2.92D에 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남자-0.10±0.46D, 여자 – 0.04±0.46D로 나타났다. 각막굴절교정수술의 절삭량 은 남자 53.95㎛, 여자 61.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안압 감소량은 남자가 4.22mmHg, 여자가 3.61mmHg로 나타났다(Table 1).

    2. 각막절삭량과 안압감소량과의 상관관계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과 안압의 감소량 에는 유의한 상관성(r=0.2299, p<0.001)을 보였다 (Fig. 1.). 그러나 성별로 나누었을 때는 남녀별 상관 성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각막절삭 량이 많아질수록 안압의 감소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자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Fig. 2.).

    3. 굴절이상도와 절삭량·안압감소량과의 관계

    굴절이상도가 높을수록 각막절삭량이 증가하였고 (Fig. 3.),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의 감소량도 커져 경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3.04±2.18mmHg, 중등도의 굴절이상에서는 4.10± 2.16mmHg, 고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4.65±3.29mmHg가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Fig. 4.).

    Ⅳ. 고찰 및 결론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한 각막굴절교정수술은 중심 부 외측 각막 간질을 레이저로 절삭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방법이다.22,23) 본 연구에서는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각막절삭량과 안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과의 안 압 감소량과의 상관관계는 각막절삭량이 증가할수록 안압감소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에서 각막절삭량이 증가할수록 안압감소량이 커 졌고 각막절삭량과 안압 감소량 사이에 유의한 상관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성별 에 따른 차이는 절삭량 이외에 수술 전 각막두께와 잔 여각막두께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 에서는 수술 전 각막두께에 대한 자료를 포함하지 못 하여 대상자의 수술 전 중심각막두께와 수술 후 잔여 각막두께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지 못 했다는 제한점 이 있다. 따라서 각막두께에 대한 추가 분석으로 수술 전 각막두께가 남녀의 결과 값 차이에 영향을 미쳤는 지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굴절이상도에 따른 각막절삭량과 안압 감소량과의 관계는 경도, 중등도, 고도 근시로 분류했을 때 고도 근시에서 안압 감소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굴절 이상도와 안압감소량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각막절삭량이 증가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23) 결론적으로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이 증가할 수록에 안 압이 낮게 측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막굴절 교정 수술은 정확한 안압의 측정을 어렵게 함으로써, 안압과 관련된 안질환의 초기대응을 늦어지게 할 수 도 있다. 더구나 수술 후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점안 액으로 높아진 안압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방치하 는 경우에는 심각한 비가역적인 시신경 손상까지 불 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12-14), 안압을 측정할 경우에는 각막굴절교정수술 여부에 대한 문진이나 병력조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막굴절교정수 술 후에 낮게 측정된 안압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0-543_F1.gif

    Decrease in ocular pressure by corneal ablation amount.

    KJVS-20-543_F2.gif

    Decrease in ocular pressure with Corneal ablation amount by gender.

    KJVS-20-543_F3.gif

    The change of Corneal ablation amount by Refractive error.

    KJVS-20-543_F4.gif

    Decrease in ocular pressure by the change of Refractive error.

    Table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of subject

    Reference

    1. Chen Y, Zhao G et al.: Accuracy of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using NCT after LASIK. Yan Ke Xue Bao 20(2), 68-70,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301097
    2. Cennamo G, Rosa N et al.: Non-contact tonometry in patients that underwent photorefractive keratectomy. Ophthalmologica 211(6), 341-343,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380350
    3. Bashford KP, Shafranov G et al.: Considerations of glaucoma in patients undergoing corneal refractive surgery. Surv Ophthalmol. 50(3), 245-251, 20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850813
    4. Faucher A, Gregoire J et al.: Accuracy of Goldmann tonometry after refractive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3(6), 832-838,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292664
    5. Jung SK, Lee SK et al.: Intraocular pressure change by the hemodialysis. J Korean Ophthalmol Soc. 36(12), 2195-2201,1995.http://www.riss.kr/link?id=A75478068
    6. Najman-Vainer J, Smith RJ et al.: Interface fluid after LASIK misleading tonometry can lead to end-stage glaucoma. J Cataract Refract Surg. 26(4), 471–472,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819625
    7. Siganos DS, Papastergiou GI et al.: Assessment of the Pascaldynamic contour tonometer in monitoring intraocular pressure in unoperated eyes and eyes after LASIK. J Cataract Refract Surg. 30(4), 746-751,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093634
    8. Hofmeister EM, Bishop FM et al.: Randomized dose-response analysis of mitomycin-C to prevent haze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high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39(9), 1358-1365, 2013. https://www.ncbi.nlm.nih.gov/pubmed/23830559
    9. Vetrugno M, Quaranta GM et al.: A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of fluorometholone 0.2% and fluorometholone 0.1% acetate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Eur J Ophthalmol. 10(1), 39-45,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744204
    10. Seiler T, Holschbach A et al.: Complications of myopic photorefractive keratectomy with the excimer laser. Ophthalmology 101(1), 153-160, 1994. https://www.ncbi.nlm.nih.gov/pubmed/8302549
    11. Levy Y, Hefetz L et al.: Refractory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J Cataract Refract Surg. 23(4), 593-594,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209999
    12. Yamaguchi T, Murat D et al.: Diagnosis of steroid-induced glaucoma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J Refract Surg. 24(4), 413-415,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8500094
    13. Razeghinejad MR, Katz LJ: Steroid-induced iatrogenic glaucoma. Ophthalmic Res. 47(2), 66-80, 2012. https://www.ncbi.nlm.nih.gov/pubmed/21757964
    14. Kim WK, Cho EY et al.: The Incidence of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when Using 0.1% Fluorometholone after PhotorefractiveKeratectomy. J Korean Ophthalmol Soc. 56(7), 985-991, 2015. http://www.riss.kr/link?id=A100899618
    15. Mardelli PG, Piebenga LW et al.: The effect of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on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using the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Ophthalmology 104(6), 945-948, 1997. https://www.ncbi.nlm.nih.gov/pubmed/9186434
    16. Koh SI, Kim SD et al.: The effect of the changes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urvature on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after LASIK. J Korean Ophthalmol Soc. 40(9), 2464-2472, 1999. http://www.riss.kr/link?id=A19718946
    17. Shields MB, Ritch R: Glaucoma, Intraocular Pressure and Tonometry, 2nd ed., St. Louis, Mosby, pp. 407-428, 1996.
    18. Kirwan C, O’Keefe M: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in LASIK and LASEK patients using the Reichert Ocular Response Analyzer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J Refract Surg. 24(4), 366-370,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8500086
    19. Sánchez-Navés J, Furfaro L et al.: Impact and permanence of LASIK-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the cornea on pneumotonometric measurements: contributions of flap cutting and stromal ablation. J Glaucoma 17(8), 611-618,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 19092455
    20. Lee KM, Kim MK et al.: Risk Factors of the Steroid Induced Ocular Hypertension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1(10), 1333-1337, 2010. http://www.riss.kr/link?id=A82398309
    21. Kim WK, Cho EY et al.: Analysis of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underestimation measured with non contact tonometry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5(2), 167-172, 2014. http://www.riss.kr/link?id=A99941029
    22. Cho HH, Park MH et al.: Comparison of Measured Intraocular Pressure Change According to the Methods of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2(3), 308-314, 2011. http://www.riss.kr/link?id=A82534454
    23. Kim H, LEE K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orean J Vis Sci. 15(3), 273-285, 2013. http://www.riss.kr/link?id=A99789845
    24. Hornová J, Sedlák P et al.: Refractive procedures-LASIK and intraocular pressure in myopic eyes. Cesk Slov Oftalmol. 56(2), 98-103,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0874788
    25. Lee DH, Seo S et al.: Accuracy and predictability of the compensatory function of Orbscan II in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after laser in situ kerato 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8(2), 259-264,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821207
    26. Cheng AC, Fan D et al.: Effect of corneal curvature and corneal thickness on the assessment of intraocular pressure using noncontact tonometry in patients after myopic LASIK surgery. Cornea 25(1), 26-28, 2006.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331036
    27. Fournier AV, Podtetenev M et al.: Intraocular pressure change measured by Goldmann tonometry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4(7), 905-910, 1998. https://www.ncbi.nlm.nih.gov/pubmed/9682108
    28. Hong LH, Lee MK et al.: Comparison of Intraocular Pressure Correction Programs in Pentacam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54(1), 26-32, 2013. http://www.riss.kr/link?id=A100524446
    29. Shah S: Accurate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ㅡthe myth of modern ophthalmology?. Ophthalmology 107(10), 1805-1807,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013176
    30. François J: Corticosteroid glaucoma. Ann Ophthalmol. 9(9), 1075-1080, 197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43229
    31. Lee DH, Kwon OY, Kim JM: The comparison of corneal ablation amount by MEL-60 excimer laser and schwind multiscan excimer laser systems. J Korean Ophthalmol Soc. 44(5), 1048-1053, 2003. http://www.riss.kr/link?id=A30067941
    32. Kim TH, Lee DH, Lee HI: The safety of 250 μm residual stromal bed in preventing keratectasia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J Korean Med Sci. 22(1), 142-145, 2007.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297268
    33. Montés-Micó R, Charman WN: Intraocular pressure after excimer laser myopic refractive surgery. Ophthalmic Physiol Opt. 21(3), 228-235, 200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396396
    34. Hsu SY, Chang MS et al.: Intraocular pressure assessment in both eyes of the same patient after laser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35(1), 76-82, 2009.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101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