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0 No.4 pp.569-57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569

Effects of Myopia Alleviation Lenses in accordance with Parents’ Refractive Errors

Yoon Chul Cho1,2),JoongGu Kang2),Hyun Sung Leem2),*
Happyness Optical Shop1)
Departmen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Eul-Ji University, Daejeon2)
E-mail: hsl@eulji.ac.kr
Address reprint request to Hyun Sung Leem 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Eulji University, Daejeon Tel: +82-31-740-7155, Fax: +82-31-740-7365
December 3, 2018 December 13, 2018 December 24, 2018

Abstract

Purpose :

The study looked at how effective each group wearing MyoVis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depending on their parents’ myopia condition.


Methods :

The study observed the changeof spherical equivalent among customers, who visited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6,of an optical shop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we observed MyoVision 152 eyes, MC Lens 86 eyes and Single Vision lens 270 ey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PSS ver18, which analyzes the changes in average values of MyoVision, MC Lens, and Single Vision for a year.In each group, the differences in the group were compared using the Paired T-test and then one-way ANOVA (post-hoc; Bonferroni)


Results :

Group-to-group comparisons showed that MyoVision and MC Lens have a shorterinhibition than Single Vision. In particular, MyoVisionand MC Lens showed different relief effec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refraction of parents.When both parents had normal refractive, the change between MyoVision and Single Vision lens was -0.35±0.05D. When the father had a refraction MC lens were -0.36±0.14D more effective than Single Vision. When only the mother had refraction, the mean value between MyoVision and Single Vision lens was -0.37±0.06D, and the mean between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was -0.38±0.08D. And when both parents had refraction problems, the mean value change between MyoVision and Single Vision lens was -0.28±0.07D, and -0.31±0.07D, respectively.


Conclusion :

MyoVision and MC Lens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the functions of mitigating myopia in within group comparisons, but MyoVision and MC Lens showed reducing myopia than Single Vision in between group.



부모의 굴절이상에 따른 근시완화렌즈 효과

조윤철1,2),강중구2),임현성2),*
행복한 안경원, 인천1)
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대전2)

    Ⅰ. 서 론

    시력저하의 원인 중 하나인 근시의 발생원인은 지 리적, 인종 그리고 경제적 여건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1) 특히, 한국을 비롯하여 동 아시아에서의 근시 유병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2,3) 전세계 적으로 높은 근시의 유병률을 줄이기 위해 근시의 원 인과 치료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6)근 시의 발생과 진행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근시의 유전과 후 천적인 원인에 대해서도 계속적으로 발표가 되고 있 다.8,9) Lin 등10)은 6세부터 17세까지의 386명을 대상 으로 근거리작업, 야외활동과 굴절이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 근거리작업 보다는 야외활동 이 굴절이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Lam 등8)은근시의 가족 집단을 분석한 연구에서 유전적인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현재 근시가 아니더라도 근시의 가족력을 가진 자녀 는 나중에 근시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발표하였다.11) 또한, 김12)의 연구에서도 부모 모두 근시가 있는 경우 에 자녀의 근시 유병률은 근시 부모가 없는 자녀의 근시 유병률보다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근시완화렌즈(Myopia Control lens; MC lens)는 누진굴절력렌즈(Progressive Addition Lens)의 형태 이다. 그러나 성인들의 누진굴절력렌즈에 비해서 원 거리 시야와 근거리 시야가 넓게 되어있고, 누진대는 짧게 설계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근거리 작 업ㅍ시 초점을 맟추는데 필요한 안구 근력의 노력을 최소화하여 근시 진행을 완화하게 된다고 보고되었 다.13) 이러한 MC렌즈는 -5.00D 미만의 근시가 있는 경우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이와 관련 해서 Edward 등15)은 이러한 안경의 착용이 근시진행 을 억제하는 효과가 없다고 하였으나 ,Gwiazda 등16) 은 첫 1년 동안만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으며 조절 성내사시가 있는 근시에서는 이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발표하였다.

    MyoVisonlens는 중심시와 주변시를 동시에 교정 하기 위하여 제작된 렌즈이다. 근시의 발병요인중 하 나로 안축장이 길어지는 것이 근시진행과 연관성에 대해 안축장 길이의 변화를 늦추기 위해서 중심시와 주변시를 동시에 교정해야 하는데 MyoVision 이 안 축장이 길어지는 것을 완화 시켜 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17) MyoVision 렌즈는 망막 뒤쪽에 맺히는 주변 부상을 망막 앞으로 맺히게 이동시켜 근시완화기능을 하도록 만든 렌즈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근시정도에 따라 MC lens, MyoVisonlens 그리고 Single Vision lens를 착용한 그룹들이 각각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 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한 안경원의 고객 중 2010년 1월에서 2016년 12월 사이에 방문한 7세 에서 20세 사이 안질환이 없는 근시안 MyoVision 152안, MC lens 86안, Single Vision lens 270안을 대상으로 등가 구면도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그 룹은 부모의 굴절이상을 기준으로 i) 부모 모두 굴절 이상이 없는 경우, ii) 아버지만 굴절이상이 있는 경 우, iii) 어머니만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iv) 부모 모 두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각 그룹 내에서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가 근시 완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최초검사는 실험 대상자의 원거리 교정시력과 근거 리 교정시력을 측정한후 자동 굴절검사기(HRK-7000, Huvitz, Korea)를 이용한 비조절마비 자동굴절검사 를 실시하였다. 사시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가림검 사와 푸시업 검사를 이용하였다.

    재방문검사는 대상자의 굴절검사에 따른 Single Vision 렌즈, MyoVision렌즈, MC 렌즈로 조제가공 한 안경을 대상자에게 제공하고 안경 착용 상태를 확 인한후 원거리와 근거리 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이 상이 없는 경우에는 일상생활중 안경착용을 하도록 하였고 착용법과 사용법을 설명 하였다. 6개월 후에 2차 재방문을 가능하도록 재방문 날짜를 잡았다. 6개 월 후 방문시에 안경렌즈의 착용상태를 확인하고 원 거리와 근거리 시력측정을 하였다. 착용하고 있는 안 경의 처방값과 현재의 처방값이 ±0.50D 이상의 굴 절력 차이가 있으면 새로운 렌즈로 교체하였다.

    12개월 후 재 방문시에도 안경렌즈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고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측정 및 자동굴절검사 를 실시 하였다

    2. 통계처리 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의 1년간 평균값 변화를 SPSS ver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각 그룹별로 처음 방문했을 때 와 1년 후 재방문 했을 때의 그룹 내 차이를 Paired T-test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이후 각 그룹간 비교에서 는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을 그룹 별로 비교하였고 부모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모 그룹을 네 그룹으로 나누어 One-Way ANOVA (Post Hoc; Bonferroni)분석을 통해 사후분석을 진 행 하였다.

    Ⅲ. 결과

    1. 그룹내 차이

    1년간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의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평균값 변화이다. MyoVision, MC lens, Single Vision 각각 처음 사용한 이후 1년 간의 굴절이상도 평균 변화값을 Paired T-test를 통 해 확인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p=0.000). 이것은 각각의 렌즈 모두 근시를 완화시 켜주는 기능에 있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2. 그룹간 차이 사후분석

    MyoVision 152안, MC lens 86안, Single Vision lens 270안 대상으로 각 그룹간 평균 변화값을 One-Way ANOVA Bonferroni를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 였다. 분석결과 MyoVision과 MC lens 그룹간 통계 적으로 유의한 변화값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그룹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변화값을 보였다(p=0.000).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그룹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화값을 보였다(p=0.000),(Table 2).

    3.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른 그룹간 차이

    1) 부모 모두 굴절이상도 정상일 때

    MyoVision 68안, MC lens 18안, Single Vision lens 72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모 모두 굴절 이상도가 정상인 그룹일 때, MyoVision과 MC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15±0.09D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249). 또한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 역시 -0.19±0.09D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980). 그러나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35±0.05D 통계적으로 유 의한 변화를 보였다(p=0.000),(Table 3),(Fig. 1)

    2) 아버지만 굴절이상일 때

    MyoVision 18안, MC lens 24안, Single Vision lens 68 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아버지가 굴절이상(Mean±SD: -2.96±2.1D)이고, 어머니는 정상일 때, MyoVision과 MC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22±0.19D로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p=0.759). 그리고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 역시 -0.14±0.16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1.000). 그러나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36±0.14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p=0.046),(Table 4), (Fig. 2).

    3) 어머니만 굴절이상일 때

    MyoVision 42안, MC lens 18안, Single Vision lens 64 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어머니가 굴절이상(Mean±SD: -2.37±2.3D)이고 아버지는 정상일 때, MyoVision과 MC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00±0.09D로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p=1.000). 반면에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7±0.06D의 변화를 보였고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은 -0.38±0.08D가 변화하여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화값을 보였다(p=0.000),(p=0.000),(Table 5), (Fig. 3).

    4) 부모 모두 굴절이상일 때

    MyoVision 24안, MC lens 26안, Single Vision lens 66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부모 모두굴절이상 (Mean±SD Father: -2.98±3.10D, Mother:-2.55 ±2.00D)일 때, MyoVision과 MC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03±0.08D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다(p=1.000). 그러나 어머니만 굴절이상을 갖는 그룹 과 마찬가지로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와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각각 -0.28±0.07D, -0.31±0.07D로 MyoVision 과 MC렌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를 보였다(p=0.000),(p=0.000),(Table 6),(Fig 4).

    Ⅳ. 고찰

    근시를 발생시키는 요인 중에서 조절과 관련된 것 으로 조절이 부족하게 되면 상이 망막 뒤쪽에 맺히고 흐린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때 선명한 상을 망막에 맺도록 하기 위해 안축장이 길어지도록 자극을 받게 되고 이러한 자극이 근시를 유발하게 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18,19)

    Tan 등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7~12 세 사이의 초등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1년 동안 근시 진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근시도는 평균 −0.87 D정 도 증가하였으며, 근시군이 비근시군보다 더 많이 진 행되었는데 이는 시험기간에 과다한 근거리 작업이 근시를 진행시키는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20)

    MC렌즈 연구 중에서미국에서 진행된 근시 교정 평가 실험(correction of myopiaevaluation trial, COMET) 연구가 있다. 6~11세의 어린이 462명을 대상으로 하 여 MC렌즈와 SV렌즈 그룹으로 나누어 3년간 착용하 도록 하였는데, 그 결과 MC렌즈 그룹의 3년간 근시 진행정도는 −1.28 D였으며, SV렌즈 그룹은 −1.48 D정도의 근시가 진행되어 그 차이가 불과 −0.20 D 밖에 되었다. 이 차이는 임상적인 측면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보고하였다.21)Edwards등15)은 홍콩학생들이 대상으로 누진굴절력렌즈(PAL;Progressive addition lenses)와 단초점(single vision;SV)를 비교하는 실 험을 하였는데, 연구한 바에 따르면 누진굴절력렌즈 가 근시의 진행을 완화시킨다는 어떠한 증거도 찾을 수 없다고 하였다.

    반면, 일본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MC렌즈를 착용 했던 그룹이SV렌즈 그룹에 비해서 근시가 −0.17 D 정도 더 적게 진행되었다.22) 싱가폴 연구에서는 MC 렌즈 그룹의 근시진행 정도가−0.66 D이였고, 단초 점렌즈 그룹은 −1.23 D의 진행정도를 보여서 MC렌즈 가 근시진행을 억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13)중 국에서는 어린이 210명을 대상으로 1년간 MyoVision 렌즈 착용시험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MyoVision렌 즈를 착용한 그룹이 일반 단초점 렌즈를 착용한 그룹 에 비해 근시진행이 30% 억제 되었다고 보고하였다.23)

    본 연구결과 각 그룹 내에서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모두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기능 에 있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Table 1). 그 러나 그룹간 비교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 보다 근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2).

    특히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라 MyoVision과 MC lens의 근시 완화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모두 굴절이상도가 정상일 때는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19±0.09D로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변화는 -0.35±0.05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값 이 나타났다. 즉, MyoVision lens가 Single Vision lens 에 비해 -0.35D 만큼 근시를 완화시켜준다고 볼 수 있 다. 아버지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에서는 변화량이 적었으나 MC lens는 Single Vision 보다 -0.36±0.14D 만큼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과 MC lens 간의 변화는 -0.00±0.09D로 큰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 반면에 MyoVision 과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7±0.06D의 변화를 보였고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의 평균값은 -0.38±0.08D가 변화하여 각각 Single Vision lens에 비해서 근시를 완 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모두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yoVision과 MC lens 간의 평균값 변화는 -0.03±0.08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어머니만 굴절이상을 갖는 그 룹과 마찬가지로 MyoVision과 Single Vision lens 간 의 평균값 변화와 MC lens 와 Single Vision lens 간 의 평균값 변화는 각각 -0.28±0.07D, -0.31±0.07D 로 MyoVision 과 MC렌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값을 보여 근시진행을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결 론

    본 연구결과 각 그룹 내에서 MyoVision, MC lens 그리고 Single Vision모두 근시를 완화시켜주는 기능 에 있어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나 그룹간 비교 에서는 MyoVision과 MC lens가 Single Vision 보다 근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라MyoVision과 MC lens 의 근시 완 화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모두 굴절 이상도가 정상일 때는 MyoVision lens 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만 굴절이상이 있을 때는 MC lens 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만 굴절이상이 있거나 부모 모두 굴절이상이 있을 때 는 MyoVision 과 MC lens 모두 Single Vision 에 비하 여 근시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부모의 굴절이상도에 따라 근 시완화렌즈의 효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서 는 본 연구에서 밝히지 못하였지만 추후 더 많은 연 구를 통해 각각의 근시완화렌즈가 갖는 특성을 분석 해 보면 그 원인이 밝혀질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KJVS-20-569_F1.gif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when both father’s spherical equivalent and mother’s spherical equivalent are normal.

    KJVS-20-569_F2.gif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only when father’s spherical equivalent is abnormal.

    KJVS-20-569_F3.gif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only when mother’s spherical equivalent is abnormal.

    KJVS-20-569_F4.gif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when both father’s spherical equivalent and mother’s spherical equivalent are abnormal.

    Table

    Change in spherical equivalent from baseline to 1 year for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within groups by time period.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between groups (Bonferroni Post Hoc).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groups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groups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 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 groups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s of spherical equivalent in MyoVisionlens, MC lens and single vision lensgroups between groups

    Reference

    1. Saw SM, Nieto FJ et al.: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77(10), 549-554,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100893
    2. Lin LL, Shih YF: Epidemiologic study of the prevalence and severity of myopia amongschoolchildren in Taiwan in 2000. J Formos Med Assoc. 100(10), 684-691, 200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760374
    3. Jung SI, Han JS et al.: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childhoo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Ophthalmol Soc. 57(9), 1430-1434, 2016.http://www.riss.kr/link?id=A102124092
    4. Kim H, Leam HS et al.: Degree of myopia according to lifestyle behavior in an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Vis Sci. 13(4), 261-268, 2011. http://www.riss.kr/link?id=A87025796
    5. Park YS, Park SJ et al: Analysis of family history of visual acuity. J Korean Oph Opt Soc. 13(3): 89-94, 2008. http://www.riss.kr/link?id=A104881108
    6. Smith MJ, Walline JJ: Controlling myopia prog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dolesc Health Med Ther. 6, 133-140, 2015.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316834
    7. Feldkämper M, Schaeffel F: Interactions of genes and environment in myopia. Dev Ophthalmol. 37, 34-49,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876828
    8. Lam DS, Fan DS et al.: The Effect of Parental History of Myopia on Children's Eye Size and Growth: Results of a Longitudinal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49(3), 873-876, 2008. https://www.ncbi.nlm.nih.gov/pubmed/18326705
    9. Kim JH, Lee H et al.: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yopia and near work in generational comparison. J Korea Acad Indust Cooperation Soc. 14(4), 1747-1754, 2013. http://www.riss.kr/link?id=A103341930
    10. Lin Z, Vasudevan B et al.: Near work, outdoor activ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refractive error. Optom Vis Sci. 91(4), 376-382, 2014.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637483
    11. Zadnik K, Satariano WA et al.: The effect of parental history of myopia on children's eye size. JAMA 271(17), 1323-1327, 1994. https://www.ncbi.nlm.nih.gov/pubmed/8158816
    12. Kim H: Analysis of Family History of Myopia. J Korean Oph Opt Soc. 23(3), 241-248, 2018. http://www.riss.kr/link?id=A105595907
    13. Leung JT, Brown B: Progression of myopia in Hong Kong Chinese schoolchildren is slowed by wearing progressive lenses. Optom Vis Sci. 76(6), 346-354, 1999.https://www.ncbi.nlm.nih.gov/pubmed/10416928
    14. Gwiazda J, Hyman L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versus single vision lenses on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44(4), 1492-1500,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657584
    15. Edwards MH, Li RW et al.: The HongKong progressive lens myopia control study: studydesign and main findings. Invest Ophthalmol Vis Sci. 43(9), 2852-2858,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202502
    16. Gwiazda JE, Hyman L et al.: Accommod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pia progression and their interaction with treatment in COMET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45(7), 2143-2151,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223788
    17. Zhu X, Winawer JA et al.: Potency of myopic defocus in spectacle lens compens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44(7), 2818-2827, 2003.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824218
    18. Goldschmidt E: The importance of heredity and environment in the etiology of low myopia. Acta Ophthalmol (Copenh). 59(5), 759-762, 1981.
    19. Lee EK, Lee DH et al.: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Refractive Error in Korean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34(7), 654-660, 1993. http://www.riss.kr/link?id=A19717031
    20. Tan NW, Saw SM et al.: Temporal variations in myopia progression in Singapore an children within an academic year. Optom Vis Sci. 77(9), 465-472, 2000.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014673
    21. Gwiazda J, Marsh-Tootle WL et al.: Baseline refractive and ocular component measures of children enrolled in the correction of myopia evaluation trial (COMET). Invest Ophthalmol Vis Sci. 43(2), 314-321,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818372
    22. Hasebe S, Nonaka F et al.: Myopia control trial with progressive addition lenses in Japanese schoolchildren: baseline measures of refraction, accommodation, and heterophoria. Jpn J Ophthalmol. 49(1), 23-30, 2005.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692770
    23. Sankaridurg P, Donovan L et al.: Spectacle lenses designed to reduce progression of myopia: 12-month results. Optom Vis Sci. 87(9): 631-641, 201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62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