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2 pp.253-264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2.253

Effects of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nd optic science on major satisfaction

Eun-Sun Seo1), Jae-Min Park2), Kyoung-A Chung3)
1)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2)Dept. of Tourism Management, Dongshin University, Naju
3)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Naju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oung-A Ch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shin University, Naju TEL: 061-330-3147, FAX: 061-330-3550, E-mail: jka0414@hanmail.net

Abstract

Purpose:

This is intended to look into how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nd optic science puts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3 students majoring in optometry and optic science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utilized IBM SPSS Statistics 22 to implem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urvey indicated that 65(37.6%)students, the highest number, were motivated by career prospects when choosing the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s their major, whereas 76(43.9%)respondents showed a high dependence on their academic adviser with whom they wish to be counseled for their career path. All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dentity(β=.490, p<0.01), job career identity(β=.225, p<0.05) and self career identity(β=.175, p<0.05)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satisfaction to major prospects. All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dentity(β=.233, p<0.05), job career identity(β=.180, p<0.1) and self career identity(β=.452,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career identity(β=.259, p<0.05) presented significant results in satisfaction to life in academic course, whereas major and career identity as well as self career identity did not have effects on satisfaction to life in academic course.


Conclusions:

As major and career identity, job and career identity and self career identity were higher, satisfaction to major prospects and major education showed a higher 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ents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to life in academic course as job career identity becomes higher.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 은선1), 박 재민2), 정 경아3)
1)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2)동신대학교 관광경영학과, 나주
3)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나주

    Ⅰ. 서 론

    통계청의 2016년 3월 실업자 자료에 의하면 115만 5천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7만 9,000명 증가하였으 며, 성별로 보면 남자가 70만 1천명 증가하였으나, 여자는 45만 4천명으로 3천명 감소하여 실업률은 4.5%로 전년 동월대비 0.3%p 상승하였다.1) 최근 대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 은 채 고등학교 성적과 졸업 후 취업 전망에 따라 진 학함으로 진로와 취업 문제로 많은 좌절을 경험하며 졸업 후 취업이 잘 되지 않는 상황에서 진로에 대한 불안이 높아지고2) 이러한 불안감은 최근 대학가에 대 2병이란 신조어가 생겨났는데, 이때 쯤 전공을 본격 적으로 배우면서 자기가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다르거 나 적성에 맞지 않다는 점을 발견해서 힘들어하거나, 성인으로서의 책임감과 취직 문제 같은 삶에 대한 고 민과 두려움이 많아지는 어려운 시기를 표현하고 있 다. 이러한 진로 불안감은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 사 회적인 문제 중의 하나로 대학 생활기간 동안 생활이 나 그 이후 삶에 영향을 주고 있다.3) 학교에서 직업 세계로 전환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 기 전에 마음의 준비와 함께 삶의 내적인 동기를 높 이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인간관계를 경험해 야 하는 중요한 시간이다.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 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를 키우고, 스스로가 자신이 종 사할 분야에 대한 직업분야를 특징짓고 자신의 목표, 적성, 가치관을 바탕으로 인지한 올바른 직업의식을 형성하며, 자신의 일과 개인의 삶에서의 적절한 균형 을 갖추어야 한다.4)

    안경광학과는 학과 인식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 어 타 학과 학생들과 달리 진로의 방향이 결정되어진 상태이며 비교적 높은 취업률로 자신이 선택한 진로 에 대해 깊이 있는 고민과 평가가 부족한 상태에서 막연히 학과를 선택하기 쉽다.5) 학생들은 국가고시를 통하여 안경사 면허를 발급받기 때문에 다른 학과 학 생들 보다 다양한 전공과목으로 인한, 교육 과정에 여유로움 없는 과중한 학습, 임상실습, 또한 1학년 때 부터 해부학, 생리학 등의 기초 과목을 배워야하는 전공학과에 대한 특성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학 과를 선택하게 되면 스트레스, 우울감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 시켜 학과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학 습에 대한 흥미 상실로 인한 성적 불량, 대학의 면학 분위기 저해 그리고 자신의 선택에 신뢰하지 못하고 학교생활에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6,7)

    학교생활 부적응은 개인의 잠재된 가능성 개발 기 회의 박탈로 인해 자아 존중감은 낮아지고 재학 중 또는 졸업 후 전공을 포기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 다. 진로 및 취업문제로 많은 좌절과 갈등을 경험하 며 이러한 불안감은 불분명한 미래에 대한 근심과 걱 정과 같은 감정으로 진로과정 중에 욕구 좌절 및 갈 등을 나타내는 진로 불안감으로 졸업 후의 삶에도 영 향을 미쳐 직장인의 잦은 이직과 연결되며 직장을 구 하더라도 만족하지 못하거나 적응하기 어렵게 만든 다.2)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게 되면 본인 선택에 대한 높은 신뢰로 인한 높은 자존감과 이로 인해 잠재된 가능성의 개발 기회를 갖게 되어 스스로 발전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비전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7)

    진로정체감은 긍정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하는데 영 향을 미치며 모호한 환경적 상황에 직면하여 적합한 결정을 내리는 자기 확신과 관련이 깊다. 이러한 진 로정체감의 예측변수로서 전공만족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8)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를 결정하는 수 준이 높아지고 진로정체감 형성 및 확립이 진로선택 과 결정에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기 때문에 대학생들 이 자신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가운데 진로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지도가 중요하다.9)

    안경광학과의 교육목표는 국민의 안 보건향상 및 시력증진을 제공하기 위하여 책임지는 전문 보건의료 인으로 이론과 실습교육을 통해 보건의료 전문가로 양성하는데 있다.5) 따라서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이 졸 업 전 취업 준비와 적절한 진로 선택을 위하여 학생 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 관적인 자료가 필요하나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을 대 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도를 조사하여 안경광학과의 전공만족과 진 로계획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생활 지도, 진로 및 취업지도 상담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 고자 한다.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설문조사는 2015년 6월 11일부터 7월 20일까지 (40일간) 광주-전남 소재 안경광학과 학생들을 대상 으로 수업시간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기입식(self-administration)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180부의 설문지를 배 포하여 178부의 설문이 수집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자 5명을 제외한 총 173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도구

    1) 진로정체감

    진로정체감은 자신의 진로를 얼마나 명확히 인지 하고 확신하고 있는지를 말하는 것으로, 진로목표 (goal), 흥미(interest), 성격(personality), 재능 (talents) 등에 명확하고 안정적인 상(picture)을 가 진 상태를 의미한다.11,12) 이 연구에서는 Holland, Daiger, Power13)가 개발한 진로상황검사(MVS, My Vocational Situation)의 정체감 척도(Identity scale) 18문항을 Kim12)이 번안하고, Kwon과 Kim14) 이 간호대학생에 맞게 14문항으로 수정·보완한 도구 를 연구자가 안경광학과 학생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 하였다. Kim12)의 척도는 18개의 문항에 “그렇다” 또 는 “아니다” 중에 응답하게 되어 있고, 이 중 “아니다” 에 응답한 반응의 총 수로 계산하였으나, Kwon과 Kim14)의 척도는 4점 척도로 수정하여 합산한 점수를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5점 척도(1점-매우 그렇 다, 5점-전혀 그렇지 않다)로 응답을 하게 한 후, 5 점 만점의 평점을 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 정체감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2) 전공만족도

    Kim과 Ha의 연구15)에서 학과만족을 “개인이 설정 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라고 정 의하면서 자신이 현재 소속된 학과가 자신의 이상이 나 진로에 대한 기대와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 다고 하였다. Kim과 Ha의 연구15)에서는 미국 일리노 이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평가조사(Program Evaluation Survey)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과만족 척 도를 34문항으로 구성하였는데, 이 중 전공만족 관련 13문항을 추출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학과전망에 대한 만족 (4문항), 학과교육 에 대한 만족(5문항), 학과생활에 대한 만족(4문항)으 로 명명하였다. 각 문항은 1점 ‘매우 그렇다’에서 5점 ‘전혀 그렇지 않다’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역 코딩 후 요인별 5점 만점의 평점을 구하였으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 자료분석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를 사용하 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설문 응 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고, 측정변수들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검정(cronbach’s alpha test)를 실시하였고, 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증 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안경 광학과 전공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전공만족에 미치 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Ⅲ.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 보면 Table 1과 같다. 총 173명 중 남성이 101명 (58.4%), 여성이 72명(41.6%)로 나타났다. 집계되었 다. 응답자들의 학년은 1학년이 50명(28.9%), 2학년 이 45명(26%), 3학년이 53명(30.6%), 4학년이 25명 (14.5%)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안경 광학과에 입학 전, 전공에 대한 사전지식을 묻는 항 목에서는 ‘들어본 적이 있었다’와 ‘조금 알고 있었다’ 가 65명(37.6%)과 62명(35.8%)로 가장 많은 수를 나 타냈다. 또한 안경광학과를 선택한 동기에 대한 항목 에서는 직업에 대한 전망이 65명(37.6%)로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고 있었고, 가족들의 추천 역시 55명 (31.8%)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항목에서는 관련 안경원 또는 프랜차이즈 안경원, 병 원 등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대다수를 차지하 고 있었고, 기타 의견으로는 개원하겠다는 응답이 나 타났다. 진로에 대한 상담을 희망하는 사람으로는 지 도교수가 76명(43.9%)로 가장 높은 수를 나타내고 있어, 학생들의 지도교수에 대한 높은 신뢰를 나타냄 을 알 수 있었다.

    2.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

    본 연구에서 측정된 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 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변수는 구성요인 추출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고, 요인간 독립 을 가정하는 직각회전방식 중 베리맥스 회전방식 (Varimax Rotation)를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추출된 요인들이 설명 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공통성(Communality)이 0.5 이상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변수는 제거하였고, 자 료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한 KMO값은 0.5이상인 경우 적절하다는 기준을 적용하였다. 또한 추출된 요 인들의 전체 변수의 분산을 설명하는 총 분산의 누적 분산 설명력 역시 60% 이상인 경우, 요인들의 분산설 명에 적합하다는 기준을 적용하였다.

    1) 진로 정체감(Career Congestion)

    응답자들의 진로정체성을 구성하는 측정변수 14개 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한 결과, 진로정 체감의 모든 14개의 측정 변수는 모든 기준에 적합하 여 분석과정에서 문항 삭제없이 14개 문항, 3개 요인 으로 추출되었다. 각각의 요인명은 ‘전공진로 정체 감’, ‘직업진로 정체감’, ‘자아진로 정체감’으로 명명 하였고, 각각의 요인은 크론바흐 알파(Cronbach’ α) 검정을 통한 신뢰성을 분석한 결과 0.867, 0.797, 0.692로 나타나 0.6이상의 신뢰도를 상회하여 각 요 인들에 대한 신뢰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MO 값은 0.883,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은 0.000으로서 공통요인이 존재함을 규명하였고, 누적 된 분산설명계수는 60.768%로 나타나 진로정체감의 요인분석결과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Table 2).

    2) 전공만족도(Major Satisfaction)

    응답자들의 전공만족도를 구성하는 측정변수 14개 문항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실시 결과, 설문 문 항 4번의 경우 공통성이 0.5이상일 때 적절하다는 기 준에 적합하지 않아 삭제 하였고, 총 13개 문항으로 3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 요인명은 ‘학과전망 만족’, ‘학과교육 만족’, ‘학 과생활 만족’으로 명명하였고, 각 요인의 신뢰도를 알 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검정을 활용한 신뢰도 분석 결과 0.864, 0.832, 0.764로 나타나 비교적 높 은 신뢰도를 보였다. 요인분석에 대한 KMO값은 0.896,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의 유의확률은 0.000, 누적된 분산설명계수는 67.473%로 나타나 전공만족 도 요인분석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한 분석항목으로 그 타당함을 검증하였다(Table 3). 삭제된 문항을 포함 한 각 요인별 측정변수에 대한 정보는 [Appendix]를 통해 제시하였다.

    3.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 하여 전공만족의 각 요인을 종속변수로, 진로정체감 의 3개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 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회귀모형의 가정을 만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Durbin-Watson통계량 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통계량은 1.646∼1.909로 2 에 가까운 수치로 나타나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 하였다. 또한 독립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의 존재여부 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차한계가 0.1보다 작거나, 분산 팽창지수(VIF)가 10보다 큰 변수를 확인한 결과 나타 나지 않아 다중공선성도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 진로정체감과 학과전망 만족의 관계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이 느끼는 진로정체감이 학 과전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정체감의 모든 요 인, 전공진로에 대한 정체감(β=.490, p<0.01)과 직업 진로에 대한 정체감(β=.225, p<0.05), 자아 진로정 체감(β=.175, p<0.05) 요인은 학과전망 만족에 유의 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응답자들의 학과의 진로와 미래의 직업에 대하여 느끼는 진로정체 감이 높을수록 학과전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분석결과의 설명력은 0.323(32%) 로 적절한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Table 4).

    2) 진로정체감과 학과교육 만족의 관계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학과 교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정체감의 모든 요인인 전공진로에 대한 정체감(β=.233, p<0.05)과 직업 진 로정체감 요인(β=.180, p<0.1), 자아 진로정체감 요 인(β=.452, p<0.01)은 학과교육 만족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전공과 직업, 자아진로에 대한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교육에 만족을 느낀다는 것으로 응답자들의 진로정체감의 중 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라 해석할 수 있겠다. 분석 결과 의 설명력은 0.252(약25%)로 나타났다(Table 5).

    3) 진로정체감과 학과생활 만족의 관계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학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업진로에 대한 정체감(β =.259, p<0.05)이 학과생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전공진로정체감 요인과 자아 진로정체감 요 인은 학과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 가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 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라 해석할 수 있겠다. 반면에 전공진로와 자아 진로정체감은 학 과생활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Table 6).

    Ⅳ. 고 찰

    안경광학과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정체감이 학과전망, 학과교육, 학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은 진로상담 희망자로 지도교수가 76명 (43.9%)으로 지도교수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았고, 전공 관련업계 종사자 37명(21.4%), 부모님 35명 (20.2%)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학과차원에서 학과 교수를 비롯한 지도교수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학생들과의 지속적인 상담을 통한 진로지 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 하겠다. 더불어 학교 에서 뿐만 아니라 관련업계 종사자들과 연계한 산업 체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교와 산업체가 함께 학생들 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고 확고히 해주는 기회를 제공 해야 할 것이다.

    진로정체감은 청년의 주요 도전 과제 중의 하나로 진로정체감 형성에는 일관된 진로계획을 수립 할 수 있는 정도로 구체화된 자기 개념 또는 정체감 형성의 발달이 수반 된다.16) 이러한 맥락에서 진로정체감은 진로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설명 할 수 있는 변인으 로 분명한 진로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분명하고도 안 정적인 인생 목표, 흥미, 기술, 그리고 직업을 가지 며, 따라서 분명한 진로정체성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성격과 일치하는 직업과 직업 환경을 찾아 일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17)

    전공만족도 연구는 대학 교육의 과정을 밝혀주는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대학생의 진로 사회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중, 고등 교육 현장에서 진로 지도나 대학 진로 또는 취업 지도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18) 대학 입학 후 입학 동기, 전공 과 적성의 상이함으로 인해 전공에 대한 부적응과 불 만족이 야기되면 학과에 대한 부적정인 인식은 개인 의 전공 모호성을 만들어 학습에 대한 흥미상실로 인 한 성적 불량, 학교에서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소 외감 유발, 대학생활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한 불안, 신경증, 정신병 등 각종 심리적 문제 유발, 학과의 전 반적인 면학 분위기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잠 재적 가능성 개발의 기회를 박탈당하게 되어 개인적, 사회적 손실, 국가적 손실 등을 야기한다.15) 안경광학 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에 대한 선행 연구로 본인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한 학생의 비율 은 낮았지만, 전공 만족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만 족도가 높았으며, 전공을 스스로 결정하거나 부모님 의 의견으로 결정한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가 높았으 며,19) Lee와 Jung20)의 연구에서 전공 만족도는 성적, 취업에 대한 자신감, 안경업계의 전망을 밝게 보는 학생일수록 높게 분석되었다.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 간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공만족의 각 요인을 종속변수로, 진로정체 감의 3개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 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정체감 요인인 전공진로에 대 한 정체감(β=.490, p<0.01)과 직업진로에 대한 정체 감(β=.225, p<0.05), 자아 진로정체감(β=.175, p<0.05)의 모든 요인은 학과전망 만족에 유의한 결과 가 나타났다. 학과의 진로와 미래의 직업 및 자아에 대하여 느끼는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전망에 대 한 만족도가 높아진다. 전공진로에 대한 정체감(β =.233, p<0.05)과 직업진로에 대한 정체감 요인(β =.180, p<0.1), 자아진로정체감 요인(β=.452, p<0.01)은 학과교육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들이 느끼는 전공진로와 직업 및 자아에 대한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 아졌다. 직업진로에 대한 정체감(β=.259, p<0.05) 이 학과생활만족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전공진 로에 대한 정체감과 자아진로정체감은 학과생활만족 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학과생활에 있어 응 답자들은 직업진로에 대한 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생 활에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전공진로와 직업진로, 자아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전망과 학과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었고, 학생들이 선택한 직업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생들 은 학과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Cho21)의 연구에서도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진로정 체감과 전공만족도(r=.352,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 도는 대학생활 적응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 경호전공 대학생의 연구에서도 전공만족의 하 위요인인 교과만족, 학과의 사회적 인식만족은 진로 정체감의 하위요인인 전공진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22) 전공만족도는 장래 진로선택에 중요 한 영향을 미치며, 직업선택에 대한 자기 확신이 뚜 렷할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남을 보고한 Cho와 Lee23)의 연구결과가 이를 지지한다. 치위생과 학생들 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를 연구한 결과 적성과 흥미, 전공만족도, 자아존중 감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24) Yang과 Lee25)의 간호학과 학생들의 연구에서 도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 이 높게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전공만족 도가 높게 나타난 연구에서 전공만족도는 장래 진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직업선택에 대한 자기 확신이 뚜렷할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게 나타난 다.8,26,27,28)

    안경광학과 학생들은 학과 선택과 동시에 대부분 의 직업 또한 선택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학과로서 진로와 전망, 미래의 직업에 대 한 확신을 심어주고 진로정체감을 지속적으로 향상시 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현장실습과 사전체험을 통해 정 체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학과에서는 선택한 전공에 대한 안정감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수와 학 생간의 지속적인 상담을 통해 지속적인 소통을 유지 해야 할 것이다.

    학과에 대한 직업 진로정체감이 높을수록 학과생 활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되지만, 전공진로에 대한 정 체감과 자아진로에 대한 정체감은 학과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응답자들의 약 55%가 1학년과 2학년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공보다 교양수업에 대한 비중이 많아 본인의 자아 진로에 대한 확신과 전공 관련 진로 체험 기회 가 부족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저학년들의 원만한 학 교 및 학과생활을 위해 자아증진 프로그램 및 진로에 대한 방향을 세우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교육프로 그램을 운영하고,29) 지도교수들은 효율적인 학습법 개발, 전공지식과 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 고, 직업의 다양함과 사회적인 직업 변화를 파악하 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30) 또한 선배와의 만남 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전공 전망과 자아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 해 줄 필요가 있다.31)

    이에 따라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확 립되어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졸업 후 취업분야와 진로설정에도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173)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of Career Congestion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

    APPENDIX 1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Department Prospect Satisfaction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Department Education Satisfaction

    The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Department Life Satisfaction

    Reference

    1. Song JH: Employment Trend of March, 2016,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2706. Accessed 3 June, 2016.
    2. Lee JH, Kim HS, Park, HY et al.: A Research Study About Current State and Awaren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Ⅱ:Concentrate on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Confidence Level. J Korea Society of Occupation Therapy 20(1), 57-71, 2012.
    3. No UK: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Anxiety Changes and Testing Risk Factors. J Voca Educa Res. 30(1), 133-149, 2011.
    4. An YJ: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FI-R in terms of Undergraduate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Focused on the Freshmen of D University. J Career Edu Res. 28(4), 17-40, 2015.
    5. Seo ES, Chung KA: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 Vis Sci. 17(3), 213-225, 2015.
    6. Kim JY: The Relationship of Freshman's Adjustment of College Life and Depression. J Adolescent Welfare 10(4), 243-263, 2008.
    7. Chung KA, Cho JH: Differences between Major Satisfact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the Time of Department Selection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One University. J Convert Soc. 6(5), 143-155, 2015.
    8. Jung JS, Jeong MJ, Yoo IY: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 27-36, 2014.
    9. Harren VA: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 J Vocational Behavior 14(2), 119-133, 1979.
    10. Lee YJ: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 Level for University Students who Study Social Welfar, Kyonggi University MS Thesis, pp. 1-3, 2013.
    11. Holland JL, Holland JE: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414, 1977.
    12. Kim, B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p. 9-60, 1997.
    13. Holland JF, Daiger DC, Power PG: My vocational situation. 1st ed., Palo Alto, Consulting Psycology Press, 1980.
    14. Kwon YH, Kim CN: Effect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Community Nurs. 13(2), 216-229, 2002.
    15. Kim KH, Ha HS: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 Counseling 1(1), 7-20, 2000.
    16. Jung WJ: Correlatio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er Identity and Career Belief, Kyonggi University MS Thesis, pp. 8-11, 2010.
    17. Lee JH: The Relationships Between Clusters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Resilience and the Career Maturation of College Students. J Lea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tion 13(2), 39-59, 2013.
    18. Lim YS: A Study on Career Socializ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Focus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J Educational Res. 9, 107-129, 1993.
    19. Kim SJ, Ye KH: Relation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in students of Dept. of Optometry-Focusing on the ChungCheong Area. Korean J Vis Sci. 16(3), 249-260, 2014.
    20. Lee SM, Jung SA: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Optometry with Factors of Department Selection and Grade, Major Satisfaction. Korean J Vis Sci. 16(4), 455-462, 2014.
    21. Cho IY: The relationship of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J Korea Acad Ind Coop Soc. 15(5), 2937-45, 2014.
    22. Yeom DG, Kim CH, Kim WJ: Structural relations of security science major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Korean Security Sci Assoc. 43, 121-145, 2015.
    23. Cho H, Lee KY: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2), 163-173, 2006.
    24. Park KH, Choi HJ: Cor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al Hygiene 15(2), 279-286, 2015.
    25. Yang YO, Lee SO: The 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n the nursing students. J Korean Data Anal Soc. 14(2), 979-989, 2012.
    26. Kim NK: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identity of students in nursing, A-ju University MS Thesis, pp. 26-34, 2012.
    27. Kwon KN, Choi EH: Factors affecting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4(1), 19-28, 2010.
    28. Cho H, Lee KY: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2), 163-173, 2006.
    29. Kim CH, Kim JH, Hong SH: Comparison of caree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educational system. J Korea Acad Ind coop Soc. 12(1), 327-334, 2011.
    30. Moon IO, Lee KW: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ation 16(1), 83-91, 2010.
    31. Chung HJ, Chung HI: Effect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 21(3), 188-196,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