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Chromism이란 “화합물의 가역적인 변화과정” 으로 색 변화가 일어나는 반응이다. chromism은 외부의 자 극에 따라 전기 변색 (electrochromism), 광변색 (photochromism), 열변색(thermochromism), 용매 변색 (solvatochromism), 압력 변색(barochromism), 산-염기 변색(sorptochromism), 자기 변색(magnetochromism) 등으로 구분하며, 이 중 광 변색 (photochromism)은 빛에 의해 화학물질의 결합상태 가 변하여 흡수스펙트럼이 다른 이성체가 가역적으로 생성되는 현상을 말한다1). 이러한 광 변색은 19세기 말 경 유기물과 무기물 등에서 발견되었으며, 1950년대부 터 광 변색 물질의 합성 방법과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가 시작되었다. Fritzsche가 1867년에 오렌지 색상을 띄는 tetracene용액이 밝은 곳 에서는 색이 없지만 어 두운 곳에서는 색깔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고하였고, Meer는 고체상태의 dinitroethane 칼륨염이 밝은 곳 에서 붉은색을 나타내고 어두운 곳에서는 노란색으로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1899년 Markwald는 이러한 색 의 변화를 “phototropy”라고 하였으며, 1950년 Hirschberg는 phos(light)와 chroma(color)에서 “photochromism”이라 명명한 후 현재까지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2).
광 변색 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 분야는 spiropyran 계 화합물이다. spiropyran 계 화합물은 ring 구조와 또 다른 hetrocyclic ring 구조가 결합된 형태로 자외선에 의해 C-O결합이 분 리되어 ring이 깨어지면서 안정된 closed form에서 불안정한 merocyanine form이 되면서 발색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3).
광 변색 현상을 이용한 응용분야는 크게 빛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와 물리·화학적 성질 변화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빛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 변화와 관 련된 것은 자외선에 의해 변색되는 광학렌즈, 보안시 스템, 영상시스템, 광정보 저장 등이 있으며, 물리· 화학적 성질 변화와 관련된 것은 굴절률, 용해도, 전 도성, 상전위, 점도 및 표면 습윤성 등이 있다4-5). Scheme 1
광 변색 화합물의 응용분야는 위와 같이 다양하나 실제로 가장 많이 응용되는 분야로는 밝은 빛으로부 터 눈을 보호하고 미용목적에도 도움이 되는 선글라 스와 같은 기능을 하는 광 변색 안경을 들 수 있다. Scheme 2
눈은 빛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동공이 넓어지고 가늘게 떠지는 등의 안구 주변부의 반복적인 불수의 운동이 일어나고, 이는 자각적으로 느끼지는 못하지 만 눈의 피로를 가중시킨다. 또한 눈은 외부의 태양 광선에 자주 노출 될 경우 시력감퇴나 백내장 같은 안과 질환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이고 60세 이상 노인 의 실명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6-8). 이러한 눈의 피로 나 안과질환은 눈에 입사하는 과도한 빛의 양에 좌우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야외활동 시 선글라스나 광 변색 안경 등으로 자외선 등의 빛의 양을 줄여 외 부의 태양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광 변색 안경은 광 변색 유기화합물과 중합 또는 표면 코팅하여 제조하며9-13), 실내에서는 투명한 시 력교정용 안경으로 사용하다가 야외에서 햇빛을 받으 면 선글라스와 같이 변색되어 빛을 여과하기 때문에 눈이 힘들게 활동 할 필요가 없어 하루 종일 눈의 긴 장을 풀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꾸준한 인 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안경과 함께 굴절이상 교정 으로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경우 안경과 달리 광 변 색 콘택트렌즈는 판매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광 변색 물질 중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 어져 있는 spiropyran을 합성하여 캐스트몰드공법과 샌드위치공법을 통해 광 변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여 기능성 콘택트렌즈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시약 및 재료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2. 기기 및 분석
Bruker AC-250 MHz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1H-NMR 데이터를 측정하였으며, 1H-NMR 용매는 d6-DMSO와 CDCl3를 사용하였다. 흡광도의 측정은 GENOVA NANO (Bibby Scientific, UK)을 사용하 였다. 접촉각의 측정은 DSA 100 (Krüss)을 사용하여 습윤성을 평가하였고, 함수율은 gravimetric method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광 변색 물질의 합성14)
3-1. 3-(3',3'-dimethyl-6-nitrospiro[chromene- 2,2'-indolin]-1'-yl)propanoic acid 제조
둥근바닥플라스크에 2,3,3-Trimethylindolenine (1.0g, 6.25mmol)을 넣고 1ml MEK에 녹인 후에 3-Iodopropionic acid(1.5g, 0.75mmol)을 넣고 8 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이 후 실온에서 식힌 다 음 최소량의 Et2O에 녹인 후 차가운 Hexane으로 침 전시켜 1-(2carboxylethyl)-2,3,3-trimethyl-3Hindol- 1-iumiodide(2.32g, 93%)을 얻었다.
그리고 둥근바닥플라스크에 1-(2carboxylethyl)- 2,3,3-trimethyl-3H-indol-1-iumiodide(1.6g, 6.916mmol)와 MEK 10ml를 넣은 후에 알루미늄 호 일로 플라스크를 감싸 빛을 차단 시켰다. 여기에 Piperidine(0.611g, 7.19mmol)과 2-hydroxy-5- nitro-benzaldehyde(1.155g, 6.916mmol)을 넣고 80℃에서 3시간 교반 후 실온에서 식힌 다음 교반 없 이 12시간 보관하였다. 이 후 0℃로 식힌 후 최소량 의 MeOH에 녹인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 후 MEK로 침전시켜 샌드위치공법에 사용될 화합물인 3-(3',3'-dimethyl-6-nitrospiro[chromene-2,2'-i ndolin]-1'-yl)propanoic acid (SP1) (1.432g, 52%) 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 8.03 – 7.99 (m, 2H, H5, H7), 7.19 (dd, 1H, H6’), 7.09 (d, 1H, H4’), 6.95 – 6.88 (m, 2H, H4, H5’), 6.74 (d, 1H, H8), 6.61 (d, 1H, H7’), 5.86 (d, 1H, H3), 4.32 – 4.24 (m, 4H, HE, HF), 3.70 – 3.47 (m, 2H, HA), 2.78 – 2.55 (m, 2H, HB), 1.26 (s, 3H, C3’-Me2), 1.15 (s, 3H, C3’-Me2)
3-2. 2-((3-(3',3'-dimethyl-6-nitrospiro[chromene -2,2'-indolin]-1'-yl)propanoyl)oxy)ethyl methacrylate 의 제조 Scheme 2. Synthesis conditions of 2-((3-(3',3'- dimethyl-6-nitrospiro[chromene-2,2'-indolin]-1'-yl )propanoyl)oxy)ethyl methacrylate (SP2).
둥근바닥플라스크에 SP1 (0.2g, 0.52mmol), HEMA(0.067g, 0.58mmol), DMAP(0.013g, 0.1mmol) 를 THF 10ml에 녹이고 0℃를 만들었다. 여기에 DCC(0.12g, 0.57mmol)를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추출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생성물을 DCM 15ml에 녹이고 분별깔때기로 옮긴 후 증류수 30mL 와 흔들어 수용액 층을 3번 추출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 다. 분리한 유기물은 MgSO4로 건조시키고 거름종이를 통해 걸러냈다. 걸러진 유기물은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 후 최소량의 EtOAc에 녹인 후 차가운 Hexane으로 재결정 하여 2-((3-(3',3'-dimethyl-6-nitrospiro[ chromene-2,2'-indolin]-1'-yl)propanoyl)oxy)eth yl methacrylate (SP2)(0.0247g, 9.25%)을 얻었다. Table 1
1H-NMR (400 MHz, CDCl3) δ: 8.03 – 7.98 (m, 2H, H5, H7), 7.18 (dd, 1H, H6’), 7.09 (d, 1H, H4’), 6.95 – 6.88 (m, 2H, H4, H5’), 6.72 (d, 1H, H8), 6.61 (d, 1H, H7’), 6.07 (s, 1H, CI=CH2), 5.86 (d, 1H, H3), 5.55 (s, 1H, CI=CH2), 4.32 – 4.23 (m, 4H, HE, HF), 3.70 – 3.47 (m, 2H, HA), 2.78 – 2.55 (m, 2H, HB), 1.91 (s, 3H, CI-Me), 1.26 (s, 3H, C3’-Me2), 1.15 (s, 3H, C3’-Me2)
4. 콘택트렌즈 제조
콘택트렌즈의 제조는 캐스트몰드공법(cast mould method)과 샌드위치공법(sandwich method)을 사용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모노머의 비율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1) 캐스트몰드공법에 의한 제조
HEMA, EGDMA, NVP, MMA를 기본으로 하여 본 연구 에서 합성한 2-((3-(3',3'-dimethyl-6-nitrospiro[ chromene-2,2'-indolin]-1'-yl)propanoyl)oxy)ethy l methacrylate (SP2)를 광 변색 콘택트렌즈 제조를 위해 첨가하였으며, 개시제로 AIBN을 사용하였다. 혼합된 모 노머는 캐스트몰드공법을 이용하여, 오븐(95℃, 6시간)에 서 열중합 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콘택트렌즈는 생리식염수(0.9%)에 24시간 수화시킨 후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실험에 사용 된 시료는 SP-C로 명명하였다. Table 4
2) 샌드위치공법에 의한 제조
HEMA, EGDMA, NVP, AIBN을 캐스트몰드공법 을 이용하여 오븐(95℃, 4시간)에서 1차 열중합 하였 다. 1차 중합한 콘택트렌즈의 전면에 미용렌즈 제조 에 사용되는 바인더(Table 2.)와 본 연구에서 합성한.
3-(3',3'-dimethyl-6-nitrospiro[chromene-2,2' -indolin]-1'-yl)propanoic acid (SP1)을 혼합한 용 액을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흐름코팅(flow coating) 하여 상온에서 6시간 경화하였다. 이후 HEMA, EGDMA, NVP, AIBN이 혼합된 모노머를 몰드(암)에 넣고 몰드(수)에 부착되어 있는 코팅막이 형성된 콘 택트렌즈와 결합하여 오븐(95℃, 4시간)에서 2차 열 중합 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콘택트렌즈는 생리식염수(0.9%)에 24시간 수화시킨 후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실험에 사용 된 시료는 SP-S로 명명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광 변색 물질의 광학적 특성
광 변색 화합물은 용액상태에서 자외선을 받으면 화합물의 고리구조가 열려 개환된 상태로 되고 유색 을 띄게 되며 자외선을 조사를 중지한 상태나 어두운 곳에서는 폐환되어 무색을 나타낸다. 광변색 물질 (SP1,SP2)의 광학적 특성은 3.0 ⨉ 10-3 wt% 톨루엔 용액 으로 하여 석영셀에 넣어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광변색 유도를 위한 UV lamp는 315-400nm의 광을 방출하는 특성을 지닌 Sankyo Denki의 UV black light blue lamp(F4T5BLB,4W,134.5×15.5)를 사용 하였다. 시료는 1분간 자외선(365nm)을 조사한 후 즉시 측정하였으며, 10분 동안 어두운 곳에 두어 다 시 측정하였다.
그 결과 SP1화합물과 SP2화합물에서 자외선에 의 해 보라색으로 변색되고, 어두운 곳에서 투명하게 되 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Fig. 2-4). Fig. 3
자외선 조사 이전의 close form의 최대흡광도는 UV-A 전역에 걸쳐 나타났으며, 자외선 조사 직후의 open form의 가시광선영역에서의 최대흡광도는 556nm(SP1)와 561nm(SP2)영역에서 나타났다. 또한 흡광도의 피크가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batho chromic shift와 흡수대의 세기가 증가하는 hyper chromic effect가 확인되었다(Fig. 5-6).
2.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광학적 특성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한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광학 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UV black light blue lamp(365nm)로 상온에서 1분간 노출시켜 광변색 콘 택트렌즈의 광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광 변색 유도를 위한 UV lamp는 315-400nm의 광을 방출하는 특성을 지닌 Sankyo Denki의 UV black light blue lamp(F4T5BLB,4W,134.5×15.5) 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1분간 자외선(365nm)을 조사 한 후 즉시 측정하였으며, 10분 동안 어두운 곳에 두 어 다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캐스트몰드공법(SP-C)으로 제조한 콘택 트렌즈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색상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샌드위치공법(SP-S)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는 보라색으로 변색 되었으며, 이 후 암실에서 10분 후 광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가 역적으로 투명해졌다(Fig.7-9). 또한 흡광도의 피크 가 장파장으로 이동하는 batho chromic shift와 흡 수대의 세기가 증가하는 hyper chromic effect가 확 인되었다. Fig.8
이는 캐스트몰드공법에 첨가된 EDGMA의 높은 cross-linking 으로 인해 광 변색 물질이 하이드로겔 매트릭스 분자구조에 갇혀 개환이나 폐환이 이루어지 지 못한 것으로 생각 된다. 반면, 샌드위치공법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사용되는 바인더의 cross-linking이 낮아 광 변색 물질이 느슨하게 있어 개환과 폐환이 손쉽게 이루어 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있어 샌드위 치공법에 의한 제조가 더 적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변색되는 시간에 비해 가역적 으로 돌아가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이유는 spiropyran은 친수성환경에서는 개환된 상태가 안정 하여 자외선에 의해 빨리 변색되는 특성이 있고, 소 수성환경에서는 닫힌 폐환된 상태가 안정하여 어둠속 에서 빨리 투명해지는 특성이 있어16-17), HEMA의 친 수성으로 인해 자외선에 의한 광 변색은 빠르지만, 어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투명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함수율과 접촉각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함수율과 접촉각을 측정하 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 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약 35% 정도로 나타났으 며, 샌드위치공법으로 만든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약 40% 정도로 나타났다. 대조군으로 제조한 콘택트 렌즈의 함수율은 약 42% 정도이었다.
광 변색 물질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이 대 체적으로 낮게 나온 이유는 광 변색 물질의 구조에서 친수성을 나타내는 OH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 함수율 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그 중에 서 캐스트몰드공법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소수성 을 가지는 spiropyran이 모노머로써 첨가될 경우 하 이드로겔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함수율을 크게 낮추었 을 것이며,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의 경우 spiropyran이 적은 부피의 바인더 내에 고농 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 하이드로겔의 함수율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제조된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 과, 캐스트몰드공법에 의해 제조된 SP-C에서 Ref.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촉각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나 습윤성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된 SP-S의 경우 Ref.와 비 교하여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10).
캐스트몰드공법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소수성 을 가지는 spiropyran과 공중합 되면서 콘택트렌즈 전체가 소수성을 나타냈을 것이며,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경우 렌즈 내부에만 광 변 색 물질이 있어 접촉각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 을 것이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물성에 중요한 함수율 이나 접촉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광 변색 콘택 트렌즈의 제조를 위해서는 샌드위치공법이 적합할 것 으로 생각된다.
Ⅳ. 결 론
본 연구는 광 변색 콘택트렌즈 제조에 필요한 광 변색물질을 합성하여 광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캐스트몰드공법과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광 변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고, 각각의 물리,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캐스트몰드공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변화가 전혀 없으면서 소수성을 나타내어 광 변색 콘택트렌즈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샌드위치공법에 의해 제조 된 광 변색 콘택트렌즈는 Ref.에 비해 함수율과 접촉 각 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빠른 광 변색 특성 을 나타내어 야외활동 시 자외선 차단이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