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18 No.2 pp.215-22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6.18.2.215

A Study on the Dry Eye Disease and the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Jee-Hyun Park1), Jung-Hee Kim2), Kyung-Hee Hong3)*
1)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Shinsung University, Dangjin
2)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Suwon
3)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ung-Hee Hong Korea Optometric Association, Seoul TEL: 010-7127-2253, E-mail: 477477@hanmail.net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ry eye disease through the McMonnies and OSDI questionnaires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y eye disease and the quality of life by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syndromes on the quality of life (WHOQOL-BREF).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90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the Chungnam area from March through April of 2016. A total of 49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486 of them were retrieved and analyzed excluding 4 copies from those who insincerely responded.


Results:

Among the 486 respondents, the number of those with dry eye disease was 149 in the McMonnies questionnaire and 119 in the OSDI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number of those with dry eye disease in both the questionnaires was 62.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pondents classified as having dry eye disease in the McMonnies questionnai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psychology, and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pondents classified as having dry eye disease in the OSDI questionnai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domains of overall health, physical health, psychology, social relation, and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pondents classified as having dry eye disease in both the questionnaires showed a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the ordinary eyes in the domains of overall health, physical health, psychology, and environment with the scores at 6.23, 21.24, 19.23, and 25.68 respectively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Attention needs to be called to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to the domains of physical health with the awareness that dry eye disease could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all the domains.



대학생의 건성안과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박 지현1), 김 정희2), 홍 경희3)*
1)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당진
2)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수원
3)대한안경사협회 중앙회, 서울

    Ⅰ. 서 론

    건성안은 전 세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안구 표면 질 환 중 하나이다.1) 건성안은 상하이 지역의 20세 이상 의 사람에서 30.1%,2) 미국 노년층에서 14.6%의 유병 률3)을 보이는 등 공중보건 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2007년 국제 건성안 워크샵에 따르면 건성안은 안 구 표면의 손상과 눈물막 불안정, 시력 저하 및 불편 한 증상을 초래하는 안구 표면의 다원적인 질병으로 정의되었다.4) 또한 안구 통증, 피로 및 시력 장애를 일으켜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의 측면에서 일 상생활 및 직장의 생산성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 을 저해하는 공중 보건의 관심사이다.1) 그러나 안 건 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성안이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건성안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는 쉬르머 테스 트, NIBUT, TBUT 및 설문조사법이 있다. 설문조사 법으로 McMonnies 설문은 문진을 통해 간단하게 건 성안을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5) OSDI 설문은 시력과 관련된 삶의 질에 안구 건조의 구체적인 영향을 정량화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진을 통해 건성안을 확인 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McMonnies 와 OSDI 설문을 통하여 건성안여부를 확인하고, 건성 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 다. 또한 건성안이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 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건성안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2016년 3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충남지역 대학교 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 다. 총 49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한 486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hi-square test, Two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및 Simple regression analysis 분석을 실시하였고, 통 계적으로 유의수준은 p<0.05을 기준으로 하였다.

    건성안 판별은 문진을 통해 간단하게 건성안을 확 인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McMonnies 설문지와 시력과 관련된 삶의 질에 안구 건조의 구체 적인 영향을 정량화하여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 으로 보고된 OSDI 설문지를 사용하였다.5,6)

    삶의 질은 WHO에서 개발한 WHOQOL의 간편형인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WHOQOL-BREF 26 개의 항목은 전반적인 건강 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physical health domain), 심리적 영역(psychological domain), 사회적 관계 영역(social relationships domain), 환경 영역(environment domain)으로 나뉘어 져 있고 전체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의미한다.7)

    McMonnies와 OSDI 설문을 통한 건성안 판별을 위한 절단점은 선행연구를 통해 일치도가 가장 높은 McMonnies 7.5점과 OSDI 22.5점을 사용하여 건성 안과 정상안을 분석하였다.8)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렌즈착용유무, 흡연 및 음주 유무, 수면시간, 스마트폰 사용시간, 렌즈착용기간 그리고 일일렌즈 착용시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건성안과 정상안의 일반적 특성을 교차 분석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설문에 응답한 인원 486명 중 McMonnies의 절단점을 7.5점으로 하였을 때 건성안 짱은 149명(30.1%)이었고, OSDI의 절단점을 22.5점 으로 하였을 때 건성안은 119명(24.5%)이었다. OSDI 22.5점과 McMonnies의 7.5점의 절단점을 모두 포함 하는 건성안은 62명(12.8%)이었다. McMonnies 설문 과 OSDI 설문, 그리고 두 설문에 모두 해당되는 건성 안은 여자가 각각 77.2%, 79%, 88.7%로 남자보다 많 았으며 성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00, p=0.000, p=0.000). 콘택트렌즈 착용유 무는 건성안과 유의한 결과로 모든 설문에서 콘택트 렌즈를 착용하는 학생이 착용하지 않는 학생보다 건 성안이 많았다(p=0.000, p=0.029, p=0.010). 흡연 을 하지 않는 학생의 건성안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McMonnies 설문에서 만 음주를 하는 71.1% 학생에서 건성안을 나타내었다 (p=0.007).

    수면시간에 따른 건성안을 살펴보면 건성안의 수 면시간이 더 짧았고, OSDI설문과 두 설문에 모두 해 당되는 건성안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었다(p=0.002, p=0.000).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건 성안이 정상안 보다 다소 짧게 사용하고 있지만,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렌즈 착용 기간에 따른 McMonnies 설문과 OSDI 설문, 그리고 두 설문에 모두 해당되는 건성안은 2.78, 2.86, 3.38(년)으로 착용기간이 정상안 그룹보다 길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0, p=0.000, p=0.000). 일일렌즈 착용시간에 따른 건 성안도 모든 설문에서 정상안 보다 착용시간이 길었 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00, p=0.014, p=0.001)(Table 2).

    2. 건성안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McMonnies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 영역 중 신 체적 건강 영역과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에서 부 적 상관을 나타내었다(r=-.139, r=-.113, r=-.124). OSDI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의 모든 영역인 전반 적인 건강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 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 다(r=-.111, r=-.266, r=-.127, r=-.101, r=-.170) (Table 3).

    3. 건성안과 삶의 질의 평균비교

    McMonnies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의 사회적 관 계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영역, 신체적 건강 영 역, 심리적 영역, 환경 영역에서 각각 6.58, 22.42, 19.93, 26.86으로 정상안 보다 삶의 질이 낮았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43, p=0.000, p=0.003, p=0.006).

    OSDI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의 심리적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 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사회 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 각각 6.50, 22.4, 10.23, 26.64로 정상안 보다 삶의 질이 낮았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9, p=0.003, p=0.023, p=0.004).

    McMonnies와 OSDI 설문 모두에 해당되는 건성안 은 사회적 관계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 영역, 신 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환경 영역에서 각각 6.23, 21.24, 19.23, 25.68로 정상안 보다 삶의 질이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3, p=0.000, p=0.001, p=0.000)(Table 4).

    4. 건성안과 삶의 질 영역의 회귀분석

    삶의 질이 건성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삶의 질의 5개 영역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단순회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건강 영역이 건성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예측하였다(=-.213, **p=0.001). 삶의 질을 예측변수로 한 회귀직선에 의 한 설명력은 5.572%이다(Table 5).

    Ⅳ. 고찰 및 결론

    건성안은 안구 표면의 손상과 눈물 막 불안정, 시 력 저하 및 불편한 증상을 초래하는 안구 표면의 다 원적인 질병으로 안구 통증, 피로 및 시력 장애를 일 으키어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의 측면에서 일 상생활 및 직장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의 저 하를 가져온다.1,4)

    건성안 증상을 가진 경우에 건강관련 삶의 질 영역 의 점수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9), 안구건조증이 중증인 경우는 정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작업생산 성 손실과 일상 활동 저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 었다.10) 또한 안구건조증군에서 우울척도, 성인 ADHD 척도, 피츠버그 수면질 척도 등에서 유의한 차 이를 나타내어 정서문제인 우울뿐만 아니라 행동 및 인지 문제인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증상에도 연관 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11) 이러한 문제로 최근 들어 서 건성안 환자가 겪는 삶의 질 평가를 통해 환자가 겪고 있는 질병뿐 아니라 정서적인 문제까지도 대상 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12)

    건성안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는 세극등이나 각막곡률계를 이용하여 눈물막을 직접 확인하는 검사 와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각증상의 설문을 통해 간단하게 건성안을 판별하는 설문조사법이 있다. 설 문조사법으로 McMonnies 설문은 문진을 통해 간단 하게 건성안을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 고,5) OSDI 설문은 실제 건성안의 임상양상과 연관성 이 크고 신뢰도도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시력과 관련 된 삶의 질에 안구 건조의 구체적인 영향을 정량화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삶의 질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세 계보건기구는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 를 개발하였다. WHOQOL은 각각 4개의 항목을 가진 24개의 하부척도와 전반적인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해 다루는 4개의 일반적인 항목으로 총 100개의 문항으 로 구성되었다. 24개의 하부 척도는 4개의 영역 (Domain)으로 분류 되어 신체적인 건강 영역, 심리 적 관계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이다. 그 러나 WHOQOL은 100문항이라는 많은 문항으로 조 사의 어려움이 따라 간단하고 널리 이용될 수 있는 WHOQOL-BREF가 개발되었다.13)

    본 연구에서는 McMonnies 와 OSDI 설문을 통해 건성안을 확인하고, WHOQOL-BREF의 한국판을 사 용하여 건성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 다. WHOQOL-BREF는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평가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건성안 판별을 위한 McMonnies 와 OSDI 설문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절 단점 조합은 오동기 등에 의한 연구에서 OSDI 22.5 점 및 McMonnies의 7.5점이었다.8)

    McMonnies의 절단점을 7.5점으로 하였을 때 건성 안은 149명(30.1%)이었고, OSDI의 절단점을 22.5점 으로 하였을 때 건성안은 119명(24.5%)이었다. OSDI 22.5점과 McMonnies의 7.5점의 절단점을 모두 포함 하는 건성안은 62명(12.8%)이었다.

    McMonnies 및 OSDI 그리고 두 설문에 모두 해당되 는 건성안의 경우 정상안에 비해 수면시간이 유의하게 짧았으며, 렌즈착용기간은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고, 일일렌즈 착용시간은 정상안 보다 길게 나타났다.

    Cho 등11)의 연구에서 안구건조가 수면의 질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 즈와 미용 콘택트렌즈의 착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건성 안 진행이 야기 되어 렌즈착용여부가 안구건조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14,15) 본 연구 결과와 같았 으며, 수면시간과 콘택트렌즈착용기간 및 일일착용시 간이 안구건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건성안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McMonnies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 항목 중 신체적 건강 영역과 심리적 영역, 환경적 영역에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 으며, OSDI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의 모든 영역인 전 반적인 건강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 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역에서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건성안 증상이 삶의 질을 저하하였고, 특히 신체적 건 강영역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cMonnies 설문의 건성안은 삶의 질의 사회적 관 계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환경 영역에서 각각 정상안 보다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OSDI 설 문의 건성안은 심리적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 영역, 신체적 건강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경 영 역에서 정상안 보다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McMonnies와 OSDI 설문 모두에 해당되는 건성안은 사회적 관계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건강영역, 신체 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환경 영역에서 정상안 보 다 삶의 질이 낮았으며, 모든 설문에 의해 선별된 건 성안에서 정상안에 비해 유의하게 삶의 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이 건성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5 개의 하위 영역 중 신체적 건강 영역이 건성안 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고, 설명력 은 5.572%이었다. 이는 Paulsen 등9)의 연구에서 건 성안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특히 일상생활과 작업 생산성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김 등의 연구와 일치하였다.10)

    따라서 건성안이 전반적인 영역에서 삶의 질의 저 하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인식하고 건성안 치료에 있어 신체적인 영역을 넘어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 에도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지역과 일부 연령대를 대상으로 했다는 선 택 편견이 작용할 수 있고, 건성안 판별을 위한 타각 적 검사 없이 설문으로만 진행하였다는 제한점이 있 다. 따라서 추후 대상과 연령을 확대하고, 다양한 건 성안 판별법을 이용하여 건성안과 삶의 질을 평가하 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igure

    Table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N=486)

    Two sample t-test for the dry eye groups of independent variables

    Correlation coefficients in five domains of WHOQOL-BREF

    Comparison of the WHOQOL-BREF mean scores in five domains according to dry eye group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QOL

    Reference

    1. Uchino M, Schaumberg DA : Dry Eye Disease: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Vision. Curr Ophthalmol Rep. 1(2), 51-57, 2013.
    2. Tian YJ, Liu Y, Zou HD et al : Epidemiologic study of dry eye in populations equal or over 20 years old in Jiangning District of Shanghai. [Zhonghua yan ke za zhi]. Chinese journal of ophthalmology. 45(6), 486-491, 2009.
    3. Schein OD, Munoz B, Tielsch JM et al : Prevalence of dry eye among the elderly. Am J Ophthalmol. 124(6), 723-728, 1997.
    4. Definition, D. E. W. S. (2007) :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2007). Ocul Surf. 5(2), 75–92, 2007.
    5. Lee BJ, Hong JH, Jung DI et al :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J Korean Oph Opt Soc. 13(1), 15-20, 2008.
    6. Schiffman RM, Christianson MD, Jacobsen G et al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 Ophthalmol. 118(5), 615-621, 2000.
    7. World Health Organization : WHOQOL-BREF :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field trial version. pp.8-16, December 1996.
    8. Dong Ki Oh DK, Oh SJ, Jung BY et al : Comparison of McMonnies and OSDI Questionnaires for Screening Dry eye. Korean J Vis Sci. 16(4), 593-603, 2014.
    9. Paulsen AJ, Cruickshanks KJ, Fischer ME et al : Dry eye in the Beaver Dam Offspring Stud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 J Ophthalmol. 157(4), 799-806, 2014.
    10. Kim HJ, Park CJ, Lim BS et al : Effects of Dry Eye Symptoms o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in Newly Building. J Korean Oph Opt Soc. 19(3).389-396. 2014.
    11. Cho KJ, Kim HK, Lim MH et al : Depression, ADHD, Job Stress, and Sleep Problems with Dry Eye Disease. Journal of Psychiatry. 8, 270-270, 2015.
    12. Miljanović B, Dana R, Sullivan DA et al : Impact of dry eye syndrome on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Am J Ophthalmol. 143(3), 409–415, 2007.
    13. Min SK, Lee CI, Kim KI et al :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2000.
    14. Kim DJ, Park MC, Lee SH et al :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s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J Korean Oph Opt Soc. 17(2), 215-222, 2012.
    15. Kim MJ, Jang WY, Hwang HK :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SCL)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C-SCL). J Korean Oph Opt Soc. 16(4), 375-38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