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1 pp.11-22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1.11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Visual Function and Reading Ability by Tait-Wick and Duke-Elder Method

Hyun-Soo Choi*, Seong-Jong Park¥, Seok-Ju Lee*
Dept. of Optometry, Cheongam College, Professor, Sunche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ok-Ju Lee Dept. of Optometry, Cheongam College, Suncheon TEL: +82-31-740-7155, FAX: +82-31-740-7365, E-mail: sjlee43@scjc.ac.kr
January 31, 2019 March 22, 2019 March 25, 2019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function and reading ability by Tait-Wick and Duke-Elder methods.


Methods :

In this study, 151 subjects without ocular disease and refractive error were classified by the Tait-Wick and Duke-Elder methods and their reading ability was examined. The visual function test was distance and near heterophoria, near point of convergence, amplitude of accommodation, distance and near fusional vergence, accommodative facility. The reading abi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ReadAlyzer to measure duration of fixation, numner of regression, reading rate, saccadic in return sweep, and comprehension.


Results :

Convergence insufficiency significantly decreased by duration of fixation(t=-2.423, p=0.019), significantly increased by numner of regression(t=4.770, p=0.000), and significantly decreased by reading rate than normal group(t=-5.674, p=0.000). In the accommodative facility, the numner of regression view increased and the reading rate decreas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other abnorma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ading factor.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vergence insufficiency group seems that the reading rate is decreased because the duration of fixation is decreased and the numner of regression is increased because the convergence is not enough when reading. As the facility of accommodation decreased, increased the number of regression and decreased the reading rate. This suggests that even when the test distance is fixed at 40cm, a slight change in the accommodation stimulus occurs during reading and maladjustment has occurred. Some binocular dysfunction may affect the motional elements of reading, but they do not affect cognitive factors.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에 의한 시기능이상의 종류와 읽기능력의 상관성

최 현수*, 박 성종¥, 이 석주*
청암대학 안경광학과, 교수, 순천
    Cheongam College

    Ⅰ. 서 론

    요즘은 주어진 문장을 잘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문장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내는 능력이 요구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많은 독서량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에게 읽기능력에서 읽기속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읽기능력은 단어나 문장을 읽는 수준이며 언어의 종류, 텍스트의 배경색, 글자색, 주시거리, 글자의 크기와 모양, 조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읽 기능력은 읽기속도, 단어주시시간, 단어반복보기횟수, 줄 반복보기횟수와 같은 운동적 요소와 문장에 대한 이해도 인 내용적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 모든 요인을 측정 함으로써 평가되어질 수 있다.2) 이러한 읽기능력에 영향 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 다.3-5) 오랜 시간 편하게 독서하기 위해서는 눈의 조절기 능과 융합버전스 기능이 원활해야 한다는 연구6)와 조절지 체를 가진 경우 낮은 굴절력의 (+)렌즈를 착용하자 독서 속도와 이해력이 모두 증진되었다는 연구7)가 있었다. 이 연구들은 시기능상태가 독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이 며, 국내에서는 2011년 kim 등8)이 읽기능력과 양안시기 능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였고 착색 렌즈의 색상과 농도 에 따른 근거리에서 읽기 속도 연구,9) 종이책 독서 시 종 색수차에 따른 읽기속도와 순목횟수의 상관관계 연구 등 10) 몇몇 보고가 있었으며 2017년 Kim 등11)은 폭주부족안 이 정상안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독서속도가 느리다고 보 고하였다. 이러한 국내연구들에서 평가된 독서능력은 독 서의 운동적 요소인 읽기속도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며 이 것은 종합적인 독서능력분석이라고 보기 어렵다.

    독서능력의 분석도구는 과거에는 정해진 시간에 텍스 트를 읽게 하고 읽은 단어수를 산정하는 방식이었으나 요즘은 아이트래커를 사용하여 독서 시 안구운동 상태를 직접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2012년 Lee 등12)은 읽기능력의 직접측정법인 Visagraph II검사와 간접측정법인 DEM검사를 비교 분석하였고 독서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DEM검사보다 Visagraph II검사가 유 리하다고 보고하였다. 2017년 Krista 등13)은 굴절부등 약시로 진행 중인 7~12세 소아들을 대상으로 독서 속 도, 평균주시단어수 및 고정 기간을 ReadAlyzer로 기록 하였고, 굴절부등성 약시인 소아에서 독서속도가 유의하 게 감소하고 이것은 부등시성 약시로 인한 두 눈의 단일 시 불안정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시 기능에 따른 읽기능력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주제로 활발 히 연구되고 있으며 저자의 선행연구에서는 시기능이상 의 종류와 읽기능력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보고하였다.14) 그러나 선행연구는 피검사자들의 시기능이상의 종류를 분 류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는 시기능이상이 있는 대상자를 Tait-Wick과 Duke- Elder의 방법으로 분류하여 시기능이상의 종류와 읽기 능력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굴절이상이 없거나 교정시력이 1.0 이상이 고 고도근시 및 굴절부등시가 아닌 평균나이 24.7세의 남녀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양안시 이상은 Tait-Wick의 방법으로 폭주부족(CI), 폭주과다 (CE), 개산부족(DI), 개산과다(DE), 기본형외사위(Exo), 기본형내사위(Eso)로 분류하였고, 조절기능불량은 Duke- Elder의 방법으로 조절부족(AI), 조절과다(AE), 조절용 이성이상(Ai)으로 분류하였다.15) 연구 대상자들의 나이, 성별, 굴정이상도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2. 연구방법

    1) 읽기능력(Readability) 검사

    본 연구에서 사용한 Visagraph II(Readalyzer, Compevo, Stockholm, Swecen)는 여러 나라에서 안구운동과 읽기 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Visagraph II검사는 적외선 추적 장치가 부착된 특수 안경을 피검 자에게 착용시키고 기기에 내장된 지문과 동일한 내용의 한글 지문 책을 평소 독서거리에 놓았다. 이후 검사자는 적외선 추적 장치가 안구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적하는지 컴퓨터 모니터로 확인하였으며, 지문 책은 표지로 덮어 피검자가 내용을 미리 보는 것을 방지하였다. 검사자가 시작을 지시하면 피검자는 소리 내지 않고 지문을 읽도 록 한 후 끝까지 읽었으면 “끝”이라고 말하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프로그램에 내장된 10개의 질문을 모니터에서 직접 읽어주면서 피검자에게 예/아니오로 답하게 하고 이를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Visagraph II검사는 주변의 소음이 검사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피검자와 검 사자 2명만 들어가는 별도의 공간에서 진행하였으며, 검 사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은 최대한 억제 하였다.16-22) Visagraph II는 문자 100단어 기준으로 평 균주시횟수(average number of fixation), 단어반복보 기횟수(average numner of regression), 평균주시시간 (average duration of fixation), 평균읽기속도(average reading rate), 평균주시비율(average regression per fixation ratio), 양안협응률(cross correlation), 줄반복 보기횟수(saccadic in return sweep) 및 이해도(answer correct) 등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며 그 결과가 Fig. 1 에서와 같이 표현된다.

    2) 시기능이상 검사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를 Tait-Wick과 Duke-Elder 의 방법으로 분류하기 위해 원․근거리에서 사위도와 융 합버전스를 측정하였고 폭주근점, 최대조절력, 단안․양 안 조절용이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위검사는 본 그레페 법을 사용하였고, 융합버전스검사는 포롭터의 로타리프 리즘으로 측정하였다. 폭주근점검사는 ‘Push-up’방법을 사용하였고, 최대조절력검사는 (-)렌즈 부가법을 사용하 였다. 조절용이성검사는 ±2.00 D의 플리퍼를 사용하여 단안과 양안을 모두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23)

    3) 시기능이상의 종류

    본 연구에서는 Morgan의 기준 값과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였고 이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23-28)

    4) 통계처리

    읽기능력변인에 대한 시기능정상군과 이상군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통해 평가하였 고, 시기능이상의 정도에 따른 읽기능력변인의 상관성은 Pearson’s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모 든 통계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수 가 작아 비모수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p 값은 0.050 미 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Ⅲ. 결 과

    시기능이상이 읽기능력변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기 위해 Morgan의 기준값 및 Tait-Wick과 Duke-Elder 의 방법으로 정상군과 시기능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23-28) 그 결과 연구대상자 151명 중 융합버전스이상(FD), 개산 부족(DE), 개산과다(DI)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수가 각 각 2명, 2명, 3명으로 통계처리에 적합하지 않아 본 연 구에서 제외하였다. 이와 같이 분류한 대상자의 시기능 검사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4는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으로 분 류된 대상자의 시기능이상에 따른 읽기요소들의 평균이다.

    1. 정상군과 시기능이상군 간의 읽기능력 차이

    정위군과 시기능이상군 간의 단어주시시간, 단어반복보 기횟수, 줄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 이해도에 대한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평가하여 Table 5에 나타내었다.

    1) 단어주시시간 (Fixation duration)

    본 연구에서 사용한 Visagraph II검사에서 단어주시 시간은 피검자가 읽은 텍스트의 등급에 따라 다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10학년용 텍스트 표준평균값은 0.24 s 이다. 단어주시시간은 0.2 s보다 짧은 경우와 0.8 sec보 다 큰 경우 읽기능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분류된 대상군의 평균은 최소 0.29 sec에 서 최대0.34 sec로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 평균 단어주시시간은 시기능정상군의 평균이 0.34 sec로 가 장 컸다. 시기능이상군 중 폭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단어주시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0). 다른 시기능이상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단어반복보기횟수 (Number of regressions)

    본 연구에서 사용한 10학년용 텍스트 수준에서 단어 반복보기횟수의 표준값은 15/100 word이다. 연구결과 정상군, 기본형 내사위군, 조절과다군, 기본형 외사위군, 폭주과다군의 단어반복보기횟수는 표준값 이내였고 다 른 시기능이상군은 표준값을 초과하였다. 폭주부족군, 조절용이성 이상군의 단어반복보기횟수는 표준값의 2 배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폭주부족군과 조절용이성 이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단어반복보기횟수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

    3) 줄반복보기횟수 (Saccades in return sweeps)

    본 연구에서는 총 9줄로 구성된 한글 텍스트를 사용하 여 읽기가 종료되었을 때 반복해서 읽은 줄의 수가 기록 된다. 그 결과 정상군의 줄반복보기횟수는 평균 0.9회이 며 시기능이상군 중에서는 기본형 내사위군이 0.62회로 정상군에 비해 작았고, 다른 시기능이상군의 줄반복보기 횟수는 정상군보다 컸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읽기속도 (Reading rate)

    본 연구에서 사용한 10학년용 텍스트수준에서 읽기속 도의 표준값은 280 words/min 이다. 연구결과 정상군 의 읽기속도가 175.98 words/min 으로 가장 컸으며 모 든 시기능이상군의 읽기속도가 정상군보다 작았다. 이 중 폭주부족군과 조절용이성 이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읽 기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0).

    5) 이해도 (Comprehension)

    본 연구에서 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텍스트 읽기가 종 료된 시점에서 10개의 질문 문항을 통해 평가하였다. 정 상군의 이해도는 75.25% 이고 시기능이상군들의 이해 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시기능이상 정도와 읽기능력의 상관성

    시기능이상의 정도에 따른 읽기능력의 상관성은 Pearson’s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6에 나타내었다.

    Table 6에서와 같이 폭주부족군은 단어주시시간, 단어 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조절 용이성이상군은 단어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가 유의한 상 관성을 보였다. 폭주부족군은 근거리 외사위도가 클수록 단어주시시간과 읽기속도가 감소하였고(p<0.050), 단어 반복보기횟수가 증가하였다(p<0.050). 조절용이성이상군은 용이성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속도가 증가하였고(p<0.050), 단어반복보기횟수가 감소하였다(p<0.050). 다른 시기능 이상군에서는 읽기능력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 다(p>0.050). Fig. 2는 폭주부족군에서 근거리 외사위 도에 따른 읽기능력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A]는 근거 리 외사위도와 단어주시시간의 상관관계, [B]는 근거리 외사위도와 단어반복보기횟수의 상관관계, [C]는 근거리 외사위도와 읽기속도의 상관관계를 각각 보여준다.

    Fig. 3은 조절용이성이상군에서 조절용이성에 따른 읽기능력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A]는 조절용이성과 단어반복보기횟수의 상관관계, [B]는 조절용이성과 읽기 속도의 상관관계를 각각 보여준다.

    Ⅳ. 고 찰

    저자의 선행연구14)에서는 시기능 검사 후 시기능에 따 른 읽기능력의 변화를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시기능이 상의 종류를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으로 분 류하여 읽기능력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폭 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단어주시시간이 감소하였고 단어반복보기횟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읽기속도가 감소하였다. 이와 함께 폭주부족군의 근거리 외사위도가 증가할수록 단어반복보기횟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단 어주시시간과 읽기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줄반복 보기횟수와 이해도는 유의성과 상관성이 없었다.

    저자는 선행연구14)에서 외사위와 조절용이성이상이 있 는 경우 읽기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단어반복보기횟수 가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하였고, Kim 등8)의 연구에서는 사위도와 읽기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읽기능력의 중간 그룹이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에 비해 원·근거리에서 외사 위도가 높게 나왔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기본형 외사위군은 읽기능력이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모든 외사위가 읽기능력에 영 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므로 저자의 선행연구14) 와 Kim 등8) 이 분석한 결과에 대해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여러 읽기능력의 변인 중 시기능이상군 이 유의한 차이와 상관성을 보인 것은 주로 단어주시시 간, 단어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이며, 이해도는 어떠한 유의성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기능이상이 독서에 미치는 영향은 독서의 인지적 측면보다 운동적 측면에서 강하게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Engbert 등29)은 독서 시 언어 처리과정의 시스템과 안구운동제어 시스템 에 대한 연구에서 독서 시 안구운동의 제어과정이 언어 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인지과정에 큰 영향이 있다고 보 고하였다. 특히, 독서에 필요한 안구운동 중 단어주시시 간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Henderson30)은 안 구 추적 연구를 통해 단어주시시간과 내용 인지 과정 사 이에 긴밀한 연관성이 있으며 긴 단어주시시간이 더 큰 집중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John31)은 독서 시 안구 운동과 뇌의 fMRI를 분석하여 자연스러운 읽기에서 단 어주시시간이 주의력, 안구 운동 제어 및 언어 처리와 관련된 피질 구조의 활동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 다. 이것은 독서 시 단어주시시간이 텍스트를 이해하는 도중 인지처리 과정에 관계됨을 보여준다. 독서 시 단어 주시시간이 너무 짧거나 긴 경우를 제외하고 단어주시시 간은 내용을 이해하는 인지과정에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결과 폭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단어주시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로 인해 단어를 반복해서 보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읽기속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단어반복보기현상은 홱보기 안구운 동에 관계되며 Yang 등32)의 홱보기 안구운동 이론에 따 르면 사람들의 홱보기 안구운동은 네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첫째 단어와 문장의 뜻을 지각하는 과 정에서 소모되는 시간의 개인차, 둘째 개인의 언어능력, 셋째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텍스트 주변 미리보기, 넷째 언어의 종류가 주는 제약조건이 매 개변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홱보기 안구운동과 관련된 읽기요소는 단어반복보기와 줄반복보기이다. 즉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 단어와 줄을 반복해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군과 시기능이상군의 내용에 대한 이해수준을 비교하였으나 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 였다. 이와 같이 내용의 이해도가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에도 불구하고 단어반복보기횟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시기능이상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폭주부족군과 조절용이성이상군의 단어반복횟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인 것은 폭주부족과 조 절용이성이상에 의한 주시상태 및 조절반응의 불안정이 원인일 것이라고 사료되고 이로 인해 읽기속도가 감소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내용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읽 기속도가 중요시 되고 있기 때문에 독서 시 적절한 단어 주시시간과 단어반복보기횟수를 유지해야하며 향 후 시 기능훈련을 통해 폭주력과 조절용이성을 향상시킨다면 단어주시시간과 단어반복보기현상을 개선하여 읽기속도 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Ⅴ. 결 론

    본 연구결과 폭주부족과 조절용이성이상은 읽기요소 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기능이상은 독 서의 인지적 요소에는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으나 안구 운동적 요소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현대사회 는 예전에 비해 많은 독서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는 인지능력 뿐 아니라 읽기속도와 같은 운동능력 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안시기능과 읽기능력에 대한 추가연구를 통해 읽기능 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찾아 분석하고 향 후 양안시기능을 개선하여 읽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academic research funds of Cheongam College.

    Figure

    JMBI-21-1-11_F1.gif

    Visagraph II test Report.

    JMBI-21-1-11_F2.gif

    Change of Fixation durationreading rate[A], number of regression[B] and reading rate[C] according to near exophoria in convergence insufficiency.

    JMBI-21-1-11_F3.gif

    Change of regression [A] and number of reading rate [B] according to inertia of accommodation.

    Tabl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 standard that classifies the visual function abnormality

    The visual function status of the subjects

    Reading ability according to subject's visual function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variables of normal groups and abnormal groups of visual function

    Correlation of reading ability variables according to degree of binocular vision function

    Reference

    1. Lee TH, Kwon OS et al.: Hue shift model and hue correction in high luminance display. J Inst Electr Eng Korea 44(4), 60-69, 2007. http://www.riss.kr/link?id=A75081658
    2. Seo JY, Kim JW et al.: Human-friendly intelligent hue control system for display unit. J Korean Inst Intelligent Systems 17(1), 13-18, 2007. http://www.riss.kr/link?id=A76129689
    3. Rouse MW, Borsting EJ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 in adults. Ophthalmic Physiol Opt. 24(5), 384-390, 2004.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315652
    4. Lee KSH, London R: Duration of fixa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retrospective analysis. Optom Vis Perf. 3(4), 223-226, 2015.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1110195_Article_Duration_of_Fixation_in_Patients_with_Acquired_Brain_Injury_Retrospective_Analysis
    5. Park HM, Sung DY et al.: Effect of colour background for visual discomfort and reading. Korean J Vis Sci. 17(4), 431-441, 2015. http://www.riss.kr/link?id=A101743365
    6. Morad T, Lederman R et al.: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kills and different measurements of convergence amplitude. Curr Eye Res. 25(2), 117-121, 2002.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525966
    7. Iyer J, Harris P: The effect of low plus lenses on reading rate and comprehension. Optom Vis Perf. 1(2), 59-61, 2013. https://www.ovpjournal.org/uploads/2/3/8/9/23898265/ovp1-2_article_iyer_web.pdf
    8. Kim YJ, Lee MA et al.: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bility and binocular vision. J Korean Oph Opt Soc. 16(2), 171-177, 2011. http://www.riss.kr/link?id=A104881485
    9. Hwang KH, Lee CW et al.: The effect of tinted lens color and density on the error correction and the speed of reading at near. Korean J Vis Sci. 16(4), 476-484, 2014. http://www.riss.kr/link?id=A100272288
    10. Park MJ, Kim SI et al.: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speed and blinking rate according to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book reading. J Korean Oph Opt Soc. 20(3), 369-375, 2015. http://www.riss.kr/link?id=A104881737
    11. Kim SJ, Lee JH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color lens on reading abilit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eyes. Korean J Vis Sci. 19(2), 159-166, 2017.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7.19.2.159
    12. Lee KB, Kim HS et al.: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al eye movement and Visagraph II measurements. Korean J Vis Sci. 14(3), 213-221, 2012. http://www.riss.kr/link?id=A60253842
    13. Kelly KR, Just RM et al.: Slow reading in children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is associated with fixation instability and increased saccades. J AAPOS. 21(6), 447-451, 2017.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024763
    14. Choi HS, Park JE et al.: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abnormality and reading ability variables. Korean J Vis Sci. 20(3), 279-287, 2018. https://doi.org/10.17337/JMBI.2018.20.3.279
    15. Scheiman M, Wick B et al.: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1st ed., Seoul, Daihaks, pp.120, 2010. http://www.riss.kr/link?id=M11658988
    16. Lack D: Comparison of the developmental eye movement test, the visagraph numbers test with a test of the English language arts. J Behav Optom. 16(3), 1-5, 2005. https://www.oepf.org/sites/default/files/journals/jbo-volume-16-issue-3/16-3%20Lack.pdf
    17. Webber A, Wood J et al.: DEM test, Visagraph eye movement recordings, and reading ability in children. Optom Vis Sci. 88(2), 295-302, 2011. doi: 10.1097/OPX.0b013e31820846c0
    18. Ciuffreda MA, Ciuffreda KJ et al.: Visagraph baseline analysis and procedural guidelines. J Behav Optom. 14(3), 60-64, 2003. https://www.oepf.org/sites/default/files/journals/jbo-volume-14-issue-3/14-3%20Ciuffreda.pdf
    19. Tannen BM, Ciuffreda KJ: A proposed addition to the standard protocol for the visagraph II eye movement reading system. J Behav Optom. 18(6), 143-147, 2007. https://www.oepf.org/sites/default/files/journals/jbo-volume-18-issue-6/18-6%20Tannen.pdf
    20. Borsting E, Rouse M et al.: Repeatability of the visagraph II in the analysis of children's eye movements during reading. Optom Vis Dev. 38(2), 67-73, 2007. https://psycnet.apa.org/record/2007-11005-001
    21. Ciuffreda KJ, Tannen B: Eye movement basics for the clinician. 1st ed., St, Louis, Mosby, pp. 161-183, 1995. http://www.riss.kr/link?id=M1073458
    22. Poynter HL, Schor C et al.: Oculomotor functions in reading disability. Am J Optom Physiol Opt. 59(2), 116-127, 1982. https://www.ncbi.nlm.nih.gov/pubmed/7065104
    23. Su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 pp. 141-448, 2013.
    24. Tait EF: Accommodative convergence, Am J Opthalmol. 34(8), 1093-1107, 1951. https://www.ncbi.nlm.nih.gov/pubmed/14857099
    25. Grisham JD: The dynamics of fusional vergene eye movements in binocular dysfunction. Am J Optom Physiol Opt. 57(9), 645-655, 1980. https://www.ncbi.nlm.nih.gov/pubmed/7425088
    26. Amos JF: Diagnosis and management in vision care.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pp. 461-510, 1987. http://www.riss.kr/link?id=M1032587
    27. Donders FC: On the anomalies of accommodation and refraction of the eye. 1st ed., London, New Syndeham Society, pp. 206, 1984. http://www.dwc.knaw.nl/pub/bronnen/F.C._Donders-On_the_anomalies_of_accommodatio n_and_refraction_of_the_eye.pdf
    28. Duke-Elder S, Abrams D: System of ophthalmology. V5, St Louis, Mosby, pp. 451-486, 1970.
    29. Engbert, R, Nuthmann, A et al.: SWIFT: A dynamical model of saccade generation during reading. Psychol Rev. 112(4), 777-813, 2005. http://dx.doi.org/10.1037/0033-295X.112.4.777
    30. Henderson JM, Ferreira F: Effects of foveal processing difficulty on the perceptual span in reading implications for attention and eye movement control. J Exp Psychol Learn Mem Cogn. 16(3), 417–429, 1990. https://www.ncbi.nlm.nih.gov/pubmed/2140401
    31. Henderson JM, Choi W et al.: Neural correlates of fixation duration in natural reading: Evidence from fixation-related fMRI. NeuroImage 119, 390–397, 2015.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5.06.072
    32. Yang SN, McConkie GW: Eye movements during reading: a theory of saccade initiation times. Vision Res. 41(25-26), 3567-3685, 2001. https://doi.org/10.1016/S0042-6989(01)00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