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1 pp.37-45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1.37

A Study on the Refractive St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onju, Gangwon-do

Hun-Taek Na, Maeng-Sig Joung, Hong-Seon Kim*
Dept. of Ocular Optics, Gangneung Yeongdong College, Professor, Gangneung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ong-Seon Kim Dept. of ocular optics, Gangneung Yeongdong College, Gangneung TEL: +82-33-610-0151, E-mail: nht0227@naver.com
February 1, 2019 March 22, 2019 March 22, 2019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the basic data of regional refraction change by comparison of the refractive st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onju, Gangwon-do.


Methods :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classified into 6 groups, according to age, such as 58 eyes of 8 years, 69 eyes of 9 years, 55 eyes of 10 years, 60 eyes of 11 years, 33 eyes of 12 years, and 23 eyes of 13 years. The spherical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was classified as mild myopia of less than –2.00 D, moderation myopia of –2.00 D ~ -5.00 D, and high myopia of –5.00 D or higher. A total of 298 myopic eyes were performed refraction before and after cycloplegic refraction(CR).


Results :

Uncorrected visual acuity of 101 eyes having 0.5~0.6 was shown the highest, spherical mean value was –0.83±0.25 D, the refraction range was –0.25 D to –1.50 D, and average age was 10.2 years. In comparison of spherical powers according to age, the manifest refraction(MR) value of children at 8 years was –1.15±0.64 D, CR value was –0.92±0.75 D, and myopia under CR was 0.24±0.36 D lower(t=-4.745, p<0.050), and the MR value of children at 13 years was –1.40±1.36 D, CR value was –1.26±1.26 D, and myopia under CR was 0.21±0.21 D lower (t=-2.614, p<0.050). As a result of comparing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the MR and the CR values of mild myopia in 8 years children were –1.02±0.44 D and –0.79±0.62 D, respectively, and the myopia under CR was 0.24±0.37 D lower(t=-4.473, p<0.050), and that in 13 years children were –0.86±0.51 D and – 0.75±0.51 D, respectively and the myopia under CR was 0.19±0.20 D lower(t=-1.810, p<0.050)


Conclusion :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herical power and mild myopia between 8 and 13 years children, when compared with the MR and the CR values of spherical pow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onju, Gangwon-do.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ractive power increases finely at all ages except for 9 years.



강원도 원주지역 초등학생의 굴절상태에 관한 연구

나 훈택, 정 맹식, 김 홍선*
강릉영동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강릉

    Ⅰ. 서 론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시력은 생후 6개월에서 한 살 때까지 0.1~0.2, 그리고 나이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발달하여 만 5~6세에 정상적인 시력에 이르게 된다. 하 지만 일부에서는 정상시력에 도달하지 못한 채로 남아있 는 경우도 있다.1-3)

    근시의 경우 약 7세에서 시작되어 9~11세부터 근시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약 20세 전후에서는 근시의 발생률 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2010년 보고에서는 5세 이상에서 근시율 53.3%, 원시율 11.2%, 난시율 55.0%로 조사 보고되었으며,5) 2015년 교육부가 발표한 결과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26.7%, 초등학 교 4학년에서 48.7%으로 시력 이상이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으며, 특히 중학교 및 고등학교로 갈수록 굴절이상 은 심각해지는데 중학생의 약 66.6%가 안경을 써야 할 시력교정 대상자이고 고등학생은 약 71.4%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6)

    학령기 이후부터 약 40세까지의 굴절 변화는 이전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접어들 어 근시가 덜 진행되며,7) 약 40세 이후부터는 대부분 원 시성 경향을 보이고, 약 60대에는 원시성 경향이 더 증 가한다고 한다.8)

    굴절이상은 유전, 근거리 작업, 지능, 사회경제적 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인종, 나이, 지리 적 배경, 전신질환이나 안질환은 굴절이상의 유병률에 영향 을 준다고 한다.9-14) 최근, 전라도15) 및 경상도16) 지역에 대 한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강원도 지역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굴절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지역의 초등학생 굴절상태를 비교하여 지역적 굴절 변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Ⅱ. 대상 및 방법

    1. 검사대상

    2011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강원도 원주지역에 위치한 안과를 내원한 초등학생 대상자 중 굴절이상 외 에 사시, 약시 등의 안과질환이 없는 8세 58안, 9세 69 안, 10세 55안, 11세 60안, 12세 33안, 13세 23안 모두 298안의 근시안으로 남자 150안, 여자 148안을 대상으 로 하였다. 그리고 난시를 포함한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 중 114안이 해당되었다(Table 1).

    2. 검사방법 및 분석

    나안시력은 0.1 미만, 0.1~0.2, 0.3~0.4, 0.5~0.6, 0.7~0.8, 0.9~1.0 모두 6그룹으로 분류하였다(Table 2, 3). 또한 근시의 구면 굴절력의 분류는 경도근시 –2.00 D 미만, 중등도근시 –2.00 D~–5.00 D 미만, 고도근시 –5.00 D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나이에 따른 굴절 정도의 비교에서는 8세부터 13세까지 초 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성 굴절검사(Manifest Refraction: MR) 및 조절마비 굴절검사(Cycloplegic Refraction: CR) 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장비로는 Auto-Refraction (Speedy-K Nikon, Nikon, Tokyo, Japan)와 Retinoscope (WelchAllyn Ref 18245, WelchAllyn, New York, USA)를 사용하였 다. 자동굴절검사는 3회 이상 반복하였고, 조절마비 검사 는 Mydrin-P(Phenylephrine 0.5%, Tropicamide 0.5%) 과 Cyclogly(Cyclolpentolate 1.0%) 점안액을 3회 이상 점안하였으며, 동공반사가 없는 것을 펜라이트로 확인한 후에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 였고, 굴절검사의 비교는 paired t-test로 유의성을 검 정하였다. 그리고 모든 결과의 유의수준은 p<0.050 나 타났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나안시력에 따른 굴절도 비교

    나안시력에 따른 굴절 이상도를 분류한 결과 근시안의 경우 나안시력 0.1 미만은 안구수가 가장 적은 5안이었 으며 평균 구면값은 –4.90±0.52 D이고, 굴절범위는 – 4.00 D에서 –5.25 D 범위로, 나이는 평균 11.1±2.1세로 나타났다. 반면 나안시력이 가장 좋은 0.9~1.0에 해당되 는 범위에서는 10안으로 평균 구면값은 –0.35±0.17 D이 고, 굴절 범위는 –0.25 D에서 –0.75 D까지이며 나이는 평균 10.3±1.9세로 평균 나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0.5~0.6의 나안시력 범위의 경우가 101안으로 가장 많 은 안구수가 해당되었으며, 평균 구면값은 –0.83±0.25 D 이고, 굴절 범위는 –0.25 D에서 –1.50 D로 평균 나이는 10.2±1.5세로 나타났다. 그리고 0.3~0.4의 나안시력 범위는 86안으로 두 번째로 많은 안구 수에 해당되며, 평균 구면값은 –1.26±0.37 D이고, 굴절 범위는 –0.25 D 에서 –2.00 D까지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상대적으 로 나안시력이 낮은 0.1~0.2에 해당되는 범위의 평균 나이는 9.7±1.4세로 근시안에서 평균 나이가 가장 적 게 나타났다(Table 2).

    Kim 등17)의 연구에서는 경기도 L 지역 안과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근시안의 나안시력 0.1에서는 –1.99 D로, 0.3에 서는 –1.31 D로, 0.5에서는 –0.80 D로, 그리고 0.8~0.9 에 서는 –0.46 D의 굴절 범위로 강원도 원주 지역 안과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 비슷한 수준의 굴절 범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Baek 등18)의 연구에서는 S 대학병원 안 과 내원환자를 대상으로 나안시력 범위가 0.1에서는 –2.36 D로, 0.5에서는 –1.22 D로, 0.8에서는 –0.88 D로 나타났 으며, 1.0에서는 –0.72 D의 굴절 범위로 본 연구보다는 조 금 더 높은 굴절 범위로 측정되었다.

    2. 나이에 따른 구면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나이에 따라서 구분하여 구면 굴절력의 MR과 CR 정 도를 비교하였다. 근시안의 구면 굴절력을 기준으로 8세 어린이의 MR 평균값은 –1.15±0.64 D, CR 평균값은 – 0.92±0.75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6 D 낮게 측 정되었다(t=-4.745, p<0.050). 안구 수가 가장 많은 9 세 어린이의 경우 MR 평균값은 –1.36±0.79 D, CR 평 균값은 –1.25±0.84 D로 CR의 근시도가 0.12±0.20 D 낮게 측정되었으며(t=-4.256, p<0.050), 11세 어린이의 MR 평균값은 –1.18±0.79 D, CR 평균값은 –1.05±0.76 D로 CR의 근시도가 0.14±0.17 D 낮게 측정되었다 (t=-5.522, p<0.050). 그리고 가장 나이가 많은 13세 어린이의 MR 평균값은 –1.40±1.36 D, CR 평균값은 – 1.26±1.26 D로 CR의 근시도가 0.21±0.21 D 낮게 측정 되었다(t=-2.614, p<0.050) (Fig. 1)(Table 3).

    나이가 가장 어린 8세 어린이의 비교에서 가장 많은 MR과 CR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안구 수 가 장 많았던 9세 어린이의 비교에서는 가장 적게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8세에서 13세까지의 비교에서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나이에 따른 난시 굴절력의 MR 과 CR 비교

    난시 굴절력의 MR과 CR 평균값 비교에서는 8세 어린 이의 MR 값은 –1.00±0.77 D, CR 값은 –0.93±0.82 D 로 CR 값이 0.09±0.14 D 낮게 측정되었다(t=-2.281, p<0.050). 10세 어린이의 MR 값은 –0.44±0.22 D, CR 값은 –0.31±0.29 D로 CR 값이 0.13±0.15 D 낮게 측 정되었으며(t=-3.990, p<0.050), 11세 어린이의 MR 값 은 –0.50±0.20 D, CR 값은 –0.44±0.17 D로 CR값이 0.07±0.11 D 낮게 측정되었다(t=-2.485, p<0.050). 그리고 가장 나이가 많은 13세 어린이의 MR 값은 – 0.58±0.25 D, CR 값은 –0.44±0.30 D로 CR 값이 0.14± 0.13 D 낮게 측정되었다(t=-3.162, p<0.050). 각 연령 별 차이에서 상대적으로 난시도가 낮은 11세 어린이의 난시굴절력의 MR과 CR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 며, 나이가 가장 많은 13세 어린이의 난시 굴절력의 차 이가 가장 많이 났다. 그리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ig. 2)(Table 4).

    4. 굴절 정도에 따른 MR 과 CR 비교

    나이와 함께 각각의 근시 정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고 도로 세분하게 구분하여 MR과 CR 정도를 비교하였다. 8 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평균값은 –1.02±0.44 D, CR 평균값은 –0.79±0.62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7 D 낮 게 측정되었다(t=-4.473, p<0.050). 중등도 근시의 MR 평균값은 –2.50±0.87 D, CR 평균값은 –2.30±0.67 D로 CR의 근시도가 0.20±0.27 D 낮게 측정되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632, p<0.080). 9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평균값은 –1.01±0.35 D, CR 평균값은 –0.89±0.43 D로 CR의 근시도가 0.14±0.22 D 낮게 측정되었다(t=-3.906, p<0.050). 중등도 근시 의 MR 평균값은 –2.60±0.65 D, CR 평균값은 –2.53± 0.67 D로 CR의 근시도가 0.07±0.15 D 낮게 측정되었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739, p<0.060).

    11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평균값은 –0.89±0.32 D, CR 평균값은 –0.79±0.34 D로 CR의 근시도가 0.11±0.16 D 낮게 측정되었다(t=-4.397, p<0.050). 중등도 근시의 MR 평균값은 –2.83±0.59 D, CR 평균값은 –2.56±0.70 D로 CR의 근시도가 0.28±0.20 D 낮게 측정되었고 통 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t=-4.264, p<0.050). 그리고 13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평균값은 –0.75±0.51 D, CR 평균값은 –0.75±0.51 D로 CR의 근시도가 0.19 ±0.20 D 낮게 측정되었다(t=-1.810, p<0.050). 중등 도 근시의 MR 평균값은 –2.08±0.14 D, CR 평균값은 –2.00±0.00 D로 CR의 근시도가 0.08±0.14 D 낮게 측정되었고(t=-1.000, p<0.210), 고도근시의 MR 평균 값은 –5.25±0.00 D, CR 평균값은 –4.75±0.00 D로 CR의 근시도가 0.50±0.00 D 낮게 측정되었으나 샘플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 (Fig. 3)(Table 5).

    본 연구에서 근시안의 연령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구 면 굴절력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나이에 따른 구면 굴절력 비교에서는 나이가 가장 어린 8세 어린이의 MR 값은 – 1.15±0.64 D, CR 값은 –0.92±0.75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6 D 낮게 측정되었으며(t=-4.745, p<0.050), 나이가 가장 많은 13세 어린이의 MR 값은 –1.40±1.36 D, CR 값은 –1.26±1.26 D로 CR의 근시도가 0.21±0.21 D 낮게 측정되었다(t=-2.614, p<0.050). 또한 근시 정도에 따른 MR과 CR 정도를 비교한 결과 8세 어린이의 경도 근시의 MR 값은 –1.02±0.44 D, CR 값은 –0.79± 0.62 D로 CR의 근시도가 0.24±0.37 D 낮게 측정되었 으며(t=-4.473, p<0.050), 13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MR 값은 –0.86±0.50 D, CR 값은 –0.75±0.51 D로 CR의 근시도가 0.19±0.20 D 낮게 측정되었다(t=-1.810, p<0.050).

    8세에서 13세 어린이의 구면 굴절력 및 경도근시 차 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뿐만 아 니라 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미세하게 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세 어린이에서는 –1.00 D ~ -1.25 D의 굴절력을 가진 어린이들의 MR값과 CR값이 거의 차이가 없었던 것이 비교에서 차이가 적게 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근시 정도의 따른 MR과 CR 비교에서는 중등도 또는 고도근 시 즉, 근시도가 높은 그룹으로 갈수록 항상 굴절력 차 이가 많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나이에 따른 근시안의 MR과 CR의 차이비교에 관하여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im 등19)의 연구에서는 인천 Z 안경원을 방문한 6~14 세 사이의 근시안 아동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와 조절 마비 굴절검사를 실시한 결과 구면 굴절력 및 원주 굴절 력의 차이가 연령과는 상관성이 없었고, 근시와 난시 정 도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굴절력 값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와는 CR 후에 자동굴절검사기만을 사용한 방법 및 상대적으로 10~12 세 안구수가 가장 많이 분포한 것이 약간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Moon 등20)의 연구에서는 고도근시인 –6.50 D ~ -7.00 D의 범위에서 0.43 D의 근시 감소가 나타났으며, 초등학 생을 대상으로 –4.00 D ~ -5.00 D와 –6.50 D ~ -7.50 D 두 범위의 현성 굴절검사와 조절마비 굴절검사 비교에 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되었다. 그리고 어린이들 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굴절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Mydrin- P와 Cyclogly 점안액을 함께 사용한 이유는 동양인이 서 양인보다 조절마비제의 효과가 덜 나타나 Mydrin-P와 Cyclogly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는 보고가 있었기 때문이다.2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과 굴절이상 정도가 항상 비 례하여 굴절이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으며, MR과 CR의 차이도 굴절 정도에 따라 항상 예측 하여 나타나지도 않았다. 따라서 근거리 환경에 취약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정확한 굴절검사뿐만 아니라 시력 관리에 필요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Ⅳ. 결 론

    강원도 원주지역 연령별 초등학생 근시안을 대상으로 구면 굴절력의 MR과 CR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나이가 가장 어린 8세 어린이의 비교에서 가장 많은 MR 과 CR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구 수 가장 많았던 9세 어린이의 비교에서는 가장 적게 차이가 나타났다. 8세에 서 13세 어린이의 구면 굴절력 및 경도근시 차이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나이가 많아질수록 미세하게 굴절력이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연령별 차이에서 상대적으로 난시도가 낮은 11세 어린이의 난시굴절력의 MR과 CR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나이가 가장 많은 13세 어린이의 난시 굴절력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났 다. 그리고 근시 정도의 따른 MR과 CR 비교에서는 8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CR의 근시도가 0.24±0.37 D 낮 게 측정되었으며, 13세 어린이의 경도근시의 CR의 근시 도가 0.19±0.20 D 낮게 측정되었다. 근시도가 높은 그 룹으로 갈수록 항상 굴절력 차이가 많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근거리 환경에 취약 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조절마비제를 점안한 정확한 굴 절검사 시행 및 시력관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JMBI-21-1-37_F1.gif

    Comparisons of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age.

    JMBI-21-1-37_F2.gif

    Comparisons of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age.

    JMBI-21-1-37_F3.gif

    Comparisons of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Table

    Characteristic of subject

    Comparison of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Myopia spherical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age

    Cylinder power between MR and CR according to age

    Comparisons of spherical pow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yopia

    Reference

    1. Kim HS: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about abnormal vision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Vis Sci. 3(1), 1-11, 2001. DOI: http://www.riss.kr/link?id=A40129523
    2. Yang HN, Koo BS: Inter-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myopia and hyperopia among children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26(5), 639-644, 1985. DOI: http://www.riss.kr/link?id=A105787758
    3. Kim JH: The developing a algorism for the predicting myopia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PhD Thesis, pp. 7-11, 2004. DOI: http://www.riss.kr/link?id=T9540502
    4. Peyman GA, Sanders DR et al.: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pp. 198, 1980. DOI: http://www.riss.kr/link?id=M997763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pp. 490-503, 2010. DOI: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6.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Results, 2015, Available at https://www.data.go.kr/dataset/3038854/fileData.do. Accessed January 30, 2019. DOI: https://www.data.go.kr/dataset/3038854/fileData.do
    7. Brown EVL: Use-abuse theory of changes in refraction versus biologic theory. Arch Ophthalmol. 28(5), 845-850, 1942. DOI: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16838
    8. Slataper FJ: Age norms of refraction and vision. Arch Ophthalmol. 43(3), 466-481, 1950. DOI: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phthalmology/article-abstract/620964
    9. Hammond CJ, Andrew T et al.: A susceptibility locus for myopia in the normal population is linked to the PAX6 gene region on chromosome 11: a genomewide scan of dizygotic twins. Am J Hum Genet. 75(2), 294-304, 2004.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307048
    10. Zylbermann R, Landau D et al.: The influence of study habits on myopia in Jewish teenager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30(5), 319-322, 1993.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8254449
    11. Saw SM, Tan SB et al.: IQ and the association with myopia i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45(9), 2943-2948, 2004.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326105
    12. Angle J, Wissmann DA: The epidemiology of myopia. Am J Epidemiol. 111(2), 220-228, 1980.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7355884
    13. Shu U, Takeuchi F et al.: Transient myopia with severe chemosis associated with exacerbation of disease activity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J Rheumatol. 19(2), 297-301, 1992.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29833
    14. Hemenger RP, Garner LF et al.: Change with age of the refractive index gradient of the human ocular lens. Invest Ophthalmol Vis Sci. 36(3), 703-707, 1995.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7890500
    15. Kim IS, Jan JU: A study of the refractive errors comparison between city and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n Oph Opt Soc. 21(2), 147-152, 2016. DOI: http://www.riss.kr/link?id=A104248875
    16. Lee KS, Park SO et al.: Refractiv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san-si, Gyeongbuk, Korean J Vis Sci. 19(4), 443~451, 2017. DOI: http://www.riss.kr/link?id=A104715125
    17. Kim SM, Shim HS et al.: Relationship between uncorrected visual acuity and refraction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J Korean Oph Opt Soc. 18(2), 173-178, 2013. DOI: http://www.riss.kr/link?id=A104881254
    18. Baek SC, Lee DH et al.: Relationship between uncorrected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visual acuity test of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45(6), 1001-1008, 2004. DOI: http://www.riss.kr/link?id=A100449949
    19. Kim DY, Lee KJ et al.: Comparison of noncycloplegic autorefraction, manifest refraction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in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Oph Opt Soc. 15(2), 123-130, 2010. DOI: http://www.riss.kr/link?id=A104881536
    20. Moon NJ, Kim JC et al.: The study on the necessity of cycloplegic refraction in school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29(3), 377-385, 1988. DOI: http://www.riss.kr/link?id=A105771110
    21. Miranda MN: Residual accommodation. Arch Ophthalmol. 87(5), 515-517, 1972.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5028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