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457(Print)
ISSN : 2466-040X(Online)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Vol.21 No.1 pp.117-128
DOI : https://doi.org/10.17337/JMBI.2019.21.1.117

Study on the Pupil Center Offset and High-order aberration after Wearing Spherical Soft Contact Lens in Young Myopes

Hyeok-Kwon1),2), Dong-Kyu Lim3), Koon-Ja Lee4)*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SCO), Student, CA, USA
2)Dept. of Optometr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Eulji University, Student, Daejeon
3)Chaeum Optical Shop, Optometrist, Ansan
4)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Professor, Seongnam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oon-Ja Lee 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Seongnam TEL: +82-31-740-7182, E-mail: kjl@eulji.ac.kr
February 25, 2019 March 22, 2019 March 25, 2019

Abstract

Purpose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upil size, pupil center shift, pupil center offset and high-order aberration (HOA) after refractive correction with contact lenses in myopes.


Methods :

Thirty-three healthy adults (mean age: 23.0±2.9 years, mean equivalent spherical power: -3.28±1.67 D, 66 eyes) with no history of ocular surgery, and systemic disease were enrolled. The pupil sizes, pupil center shift, pupil center offset and HOA were measured three times under a scotopic (0.006 lx) condition adjusted by the instrument using a Wavefront Analyzer and the mean value was us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0.0).


Results :

After refractive correction with contact lenses, the pupil siz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6.72±0.65 mm (p<0.001), pupil center shift was 0.17±0.13 mm and pupil center offset was increased to 0.36±0.18 mm (p=0.005). After refractive correction with contact lenses, the directions of pupil center offset were not different compared to naked eye and superotemporally, inferotemporally, superonasally, inferonasally offset from pupil center were 46%, 36%, 9% and 9% respectively. Total HOAs and spherical aberration (S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36, p<0.001) after wearing contact lens, and coma aberration (C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A was correlated with pupil size (r=0.398), CA was correlated with pupil center offset (r=0.340).


Conclusion :

The pupil offset was increased after refractive correction with soft spherical contact lenses, however total HOAs and SA were decreased and CA did not change that the pupil center offset induced by contact lens wearing would not affect the visual quality.



근시안에서 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후 동공중심 offset과 고위수차에 관한 연구

권 혁1),2), 임 동규3), 이 군자4)*
1)Master of Science in Clinical Optometry, Ketchum University (SCCO), 학생, CA, USA
2)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대전
3)채움 안경원, 안경사, 안산
4)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성남
    Eulji University

    Ⅰ. 서 론

    동공은 시각 시스템에서 광학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눈 속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고 각막 주변을 통 과하는 빛을 차단해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 다. 동공의 크기는 연령, 조도, 조절의 정도에 따라 변화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구 수차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시력의 질(quality)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동공의 크기는 조절 자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며1), 약 물, 조도 및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에 의해서도 동 공크기가 변한다고 보고되었다.2-7) 시축(visual axis)은 동공중심점(entrance pupil center, 입사동)과 망막의 중심와(fovea)를 연결하는 축으로, 광축(optical axis)은 각막정점과 후극을 연결하는 축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시축과 광축은 일치하지 않고 광학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카파각(Kappa angle, 약 5゚)이라 하고, 임상적으로는 조준선(line of sight)과 동공중심 선(pupillary axis)이 이루는 카파각의 대응 값인 람다 각(Lambda angle)을 사용하고 있다(Fig. 1). 동공중심 점과 해부학적 각막정점(corneal vertex, 전극)은 일치 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어, 동공중심점이 각막정점과 떨어진 거리를 동공중심 offset으로 정의하며, 람다각과 동공중심 offset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8,9)

    동공중심점의 위치는 각막반사점(corneal reflex)으로 부터 귀 쪽에 위치하는데, 동공의 크기가 변하면 동공중심 점이 이동(shift)하고, 따라서 각막정점으로부터 위치가 변 하게 된다. 동공중심이 이동되는 양은 동공중심과 각막반 사점과의 거리로 계산되며(Fig. 2), 조도, 조절, 약물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10-12) 동공중심점은 굴절수술에서 중 요한 해부학적 기준점(anatomic landmark)으로 사용되 는데, 동공크기가 변하면 동공중심점이 이동하게 되고 동 공중심 offset도 변하게 된다. 동공중심점이 이동하면 고 위수차 중 코마수차가 증가하고,13) 눈부심, halos, 또는 고 스트 이미지를 유발할 수 있다.14) Tarbernero 등6)은 각막 굴절교정수술 시 7.00 mm 동공 기준으로 0.07 mm의 동 공중심 이동은 시력의 질이 저하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 며, Fay 등15)은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동공중심점 위치에 따라 눈부심, 최대교정시력 감소 및 대비감도 저하가 유 발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동공중심이동이 심한 경우에는 고위수차가 최대 20% 이상 더 유발된다고 보고하였다.4)

    수차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교정이 가능한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저위수차(low-order aberration)와 구 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코마수차 등을 포함하는 고위수차로 구분되며,17) 주시점과 입사동의 중심을 연결 하는 조준선에 의해 측정되며, 조준선과 광축이 일치할 때 최소화된다.18) 동공크기에 따른 수차변화에 대해서 Wang 등19)은 동공크기가 커질수록 고위수차가 증가한 다고 하였고, 또 다른 연구에서는 동공 크기가 커질수록 구면수차와 코마수차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었고,20) 다른 여러 연구에서도 보고되었지만 동공중심점 변화에 따른 수차변화에 대한 분석은 고려되지 않았다.11) 동공중심점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약물, 조절 및 조도에 대한 연구가 진 행되었고, 고위수차 변화에 대한 결과도 보고되었다.2-7) Porter 등4)은 동공중심이동이 클수록 고위수차(highorder aberration, HOA)가 많이 유발된다고 하였고, 코마수차(coma aberration)는 각막의 정점과 동공의 기하학적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증가한다고 보고 되어,16) 동공크기 뿐만 아니라 동공중심점의 위치에 따 라서도 고위수차가 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David 등21)은 3 mm 동공에서 동공중심점의 변화는 고위수차 에 변화를 주지만 양이 적어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으나, 4 mm 동공크기에서는 동공중심점의 변화가 고위수차에 변화를 준다고 하였다. Lu 등13)은 각막정점으로부터 동 공중심점 위치가 멀어지면 코마수차가 증가하며, 코마수 차의 증가는 시력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22,23)

    이상과 같이 동공의 크기와 각막정점으로부터의 동공 중심점 위치가 고위수차에 영향을 주어 시력의 질에 영 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굴절력이 변하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경우에는 동공 크기가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24) 따라서 멀 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설계할 때 동공크기를 반영하여 설 계하고 있으며, 동공크기를 반드시 측정하고 처방할 것 을 권하고 있다. 그러나 단초점 콘택트렌즈의 경우에는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가 굴절교정 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고,25) 동공크기가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광학 적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임상에서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 지 않았으나 Lim 등26)은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 교정 후 동공 크기가 감소하고, 이때 구면수차는 감소하지만 코마수차는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동공크기가 감소하 면 코마수차가 감소하게 되는데27) 단초점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의 크기가 작아짐에도 불구하고 코마수차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코마수차는 동공크기 이 외의 다른 요인이 작용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 크기 변 화에 따른 동공중심 위치가 고위수차와 시력의 질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 에서는 단초점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 변화, 동공중심점 이동 및 동공중심점 offset과 안구의 고위수차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건강한 젊은 성인 근시안 중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과질환 및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 람과 단안의 교정시력이 0.8 미만, 양안의 교정시력이 1.0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 33명(남자: 11명, 여자: 22명, 평균 연령: 23.0±2.9세, 평균 등가구면굴절력: -3.28± 1.67 D, 총 66안)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검사하였다. 모든 검사과정과 규약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번호: EU17-43)의 승인을 받 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실험 목적 과 검사 방법에 대하여 구두와 서면으로 충분한 설명 후 참여 동의를 얻고 검사하였다.

    2. 연구 방법

    1) 구면 콘택트렌즈

    본 연구에서는 구면 디자인의 하루 교체용 컬러 콘택트 렌즈(Lacelle, Bausch+Lomb, USA)를 사용하였다.

    2) 검사방법

    (1) 자각식 굴절검사를 이용한 굴절이상도 측정

    굴절이상도는 Wavefront Analyzer(KR-1W,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측정한 후, 포롭터 (VT-SE,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정밀 측정하였다.

    (2) 콘택트렌즈 피팅상태 확인

    콘택트렌즈의 중심이탈(centration), 움직임은 고위 수차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고 20분 기다린 후 피팅 상태를 평가하였다. 피 팅 상태는 동적움직임, 중심안정, 래그(lag) 및 푸쉬업 (push-up) 검사를 통해 피팅상태를 확인하였다.

    (3) 동공크기 및 동공중심이탈 측정

    동공크기는 검사실의 조도를 100lx로 조정하고 5분의 적응시간 후 Wavefront Analyzer(KR-1W,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기기에서 조정되는 암소시(0.006 lx) 상태에서 3회 측정하였으며, 동공중심점은 Adobe photoshop CC(Creative Cloud™)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분석에 사 용하였다. 동공크기 및 동공중심이탈은 나안상태와 콘택 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두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4) 고위수차 측정

    고위수차는 Wavefront Analyzer(KR-1W,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기기에서 조정되는 암소시(0.006 lx) 상태에서 콘택트렌즈 착용 전(나안 상태)과 후 각각 동공 크기 4 mm 영역안의 고위수차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RMS(root mean square)로 계산된 전체 고위수 차와 코마수차 및 구면수차 측정값을 사용하였다.

    (5) 데이터 분석

    측정값에 대한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21.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굴 절교정 전과 후 동공크기, 동공중심이탈의 비교는 대응 표본검사(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소프트 콘택 트렌즈에 착용 후 동공크기, 동공중심이탈과 고위수차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 며,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다.

    Ⅲ. 결 과

    1. 굴절교정 전과 후 동공크기

    나안상태에서 근시안의 굴절이상도는 –3.28±1.67 D 로 조절자극을 받지 않은 근시안의 암소시 상태의 동공크 기는 6.94±0.61 mm, 굴절교정도수의 콘택트렌즈 착용 후 동공크기는 6.72±0.65 mm로, 굴절교정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7.293, p<0.001), (Table 1). 굴절이상도와 동공크기의 상관성을 보았을 때 굴절교정 전과 후 모두 굴절이상도가 높을수록 동공크기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0.356, p=0.003), (r=-0.327, p=0.007).

    2. 굴절교정 전과 후 동공중심 이동(shift)

    굴절교정 후 근시안의 동공중심점은 나안상태와 비교 하여 상이측, 상비측, 하이측, 하비측(각각 28%, 25%, 21%, 24%)으로 이동되어 개인에 따라 이동방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동량은 평균 0.17±0.13 mm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상자에 따라 이동량이 거의 없는 경 우와 0.52 mm 이동한 경우가 나타나 개인에 따른 차이 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3. 굴절교정 전과 후 동공중심 offset

    조절자극을 받지 않은 근시안의 암소시 상태에서 나 안상태의 동공중심점 offset은 각막정점으로부터 0.28± 0.16 mm, 굴절교정도수의 콘택트렌즈 착용 후에는 0.36 ±0.18 mm로 굴절교정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771, p=0.007), (Table 3).

    나안 상태에서 동공중심점 offset 방향은 각막반사점 으로부터 상이측, 하이측, 상비측, 하비측 방향이 각각 44%, 35%, 7%, 13%로 상이측 방향이 가장 많았다. 콘 택트렌즈 착용 후에도 offset 방향은 상이측, 하이측, 상 비측, 하비측이 각각 46%, 36%, 9%, 9%로 상이측 방향 이 가장 많았다(Table 4), (Fig. 3).

    4. 굴절교정 전과 후 고위수차의 변화

    굴절교정을 하지 않은 근시안에서 나안 상태의 안구 전체 고위수차와 코마수차, 구면수차는 각각 0.104±0.034 ㎛, 0.045±0.019 ㎛, 0.029±0.013 ㎛이며 소프트 콘택트 렌즈로 굴절교정한 후에는 0.097±0.027 ㎛, 0.050± 0.021 ㎛, 0.020±0.011 ㎛로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 는 굴절교정 후 굴절교정 전보다 감소하였으며(p=0.036, p<0.001), 코마수차는 차이가 없었다(p=0.074), (Table 5).

    5. 동공크기와 안구 고위수차의 관계

    나안상태의 안구 전체고위수차와 동공크기의 상관성은 없었으나(p=0.224), 코마수차는 동공크기가 클수록 감소 하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268, p=0.03), 구면수차는 동공크기가 클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38, p=0.006).

    굴절교정 후에도 안구 전체고위수차와 동공크기는 상 관성이 없었고(r=-0.191, p=0.125), 코마수차는 동공 크기가 클수록 감소하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262, p=0.034), 구면수차는 동공크기가 클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98, p=0.001), (Fig. 4).

    6. 동공중심 이동량과 안구 고위수차의 관계

    굴절교정 후 동공중심 이동과 고위수차는 상관성이 없 었다. 본 연구에서는 암소시 상태에서 동공크기가 6.94 mm로 7.00 mm에 가까운 값을 갖고 있어, Tarbernero 등6)은 7.00 mm 동공 기준으로 0.07 mm 이상의 동공 중심이동은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동공중심이동이 0.07 mm 이하인 그룹과 0.07 mm 이상인 그룹으로 분류하여 고위 수차를 비교하였다.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동공중 심이동이 적은 그룹은 각각 0.03±0.02 mm, 0.01±0.01 mm, 동공중심이동이 많은 그룹은 0.22±0.11 mm, 0.01 ±0.01 mm로 차이가 없었다(p=0.329, p=0.652). 그러 나 코마수차는 동공중심이동이 적은 그룹은 0.01±0.01 mm, 동공중심이동이 많은 그룹은 0.02±0.01 m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7), (Table 6).

    7. 동공중심 offset과 안구 고위수차의 관계

    나안상태에서 안구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동공중 심 offset 정도와 상관성이 없었으나(p=0.599, p=0.990), 코마수차는 동공중심 offset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73, p=0.027). 굴절교정 후에도 안구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동공중심 offset 과 상관성이 없었으나(p=0.392, p=0.451), 코마수차는 동공중심 offset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약한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R=0.353, p=0.004), (Fig. 5).

    Ⅳ. 고 찰

    본 연구에서는 근시안에서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 정 후 동공 크기와 동공중심 offset을 조사하고 동공크 기와 동공중심 offset 및 동공중심이동이 고위수차에 영 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동공크기와 고위수차 분석에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Hartmann Shark 방식의 KR-1W 수차분석계를 사용하였다.

    동공크기는 굴절이상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고,27,28,) 본 연구에서도 굴절이상도에 따라 약한 양 의 상관관계가 있어 근시도가 클수록 동공크기가 큰 것 으로 나타났지만, Orr 등25)은 굴절이상도와 동공크기가 상관없다고 보고하였고, 연구자마다 상이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에 대한 연 구로 Orr 등25)은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 후 0 D와 3 D 의 조절자극에서 동공크기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 였고, Lim 및 Lee26)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 교정 후 동공크기는 약도 근시안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중·고도 근시안에서는 감소한다고 하였다.26) 본 연구에 서도 약도근시안(-4.00 D 이하, 70%)과 중·고도 근시 안(-4.00~ -7.00 D, 30%)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 과, 근시도가 낮은 그룹, 높은 그룹 모두 굴절교정 후 동 공크기가 감소한 결과를 얻어 약도근시안에서 선행연구 결과와 상이한 결과를 얻었는데 이 또한 대상자를 확대 하여 추가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위수차는 동공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특히 구 면수차는 동공크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코마수차 도 동공크기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9,30,) 이 중 코마수차는 안광학적 요소들의 시축이 동공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게 되며, Zernike 다 항식에서 Z(3,+1)의 수평 코마수차와 Z(3,‒1)의 수직 코 마수차가 존재한다. Chavala 등31)은 수평코마는 시력의 질과 관련이 있으나 수직 코마는 관련이 없다고 보고하 였고, 이러한 코마수차는 각막의 정점과 동공의 기하학 적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코마수차가 증가하며, 동공크기와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16)

    Lim 등32)은 비구면디자인의 콘택트렌즈 착용 시 구 면수차는 감소하며 이는 동공크기와 콘택트렌즈 디자인 과 상관성이 있고, 코마수차는 증가하였지만 동공크기와 상관성이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가 감소하였고 구면수차는 감 소하였지만, 코마수차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에서는 Lim 등32)의 연구와 달리 구면 디자인의 콘택트 렌즈로 굴절교정을 하였고 동공크기가 감소할수록 구면 수차가 감소하였기 때문에, 동공크기 변화가 구면수차에 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Kim 등33)은 구면 콘택트렌즈에 비해 비구면 콘택트렌즈에서 구면수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지만 시력의 질은 임상적으로 차이가 없 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에서도 구면수차가 감소 한 양이 임상적으로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 다. 고위수차 중 코마수차는 동공크기가 증가할수록 증 가한다고 보고되었지만27), 일부 연구자들은 동공크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고 하였다.29) 본 연구에서는 동공크 기가 증가할수록 코마수차는 감소하는 약한 상관성을 보 였으며 이는 Lim 등26)의 연구와 일치한다. 코마수차는 Lim 등32)과 마찬가지로 콘택트렌즈 착용 후 증가하였는 데 콘택트렌즈 착용 후 코마수차가 증가한 것에 대해서 는 여러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동공중심 이동과 동공중심 offset이 원인요인으로 사료된다.

    동공중심의 위치는 기하학적 각막 중심(동공중심선이 입사하는 점)에서 약간 상비측에 위치한다. 다양한 원인 에 의해 동공이 커지면 동공중심은 기하학적 각막 중심 에 가깝게 이동하며14), 동공중심이동은 축동될 때 산동 시 보다 크다고 보고되었으나.34) 약물, 조절 및 조도에 따 라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Porter 등4)은 산동제 점안 으로 동공중심점이 하비측 방향으로 0.29 mm 이동했다 고 하였고, Yang 등14)은 박명시 상태에서 산동제로 인한 산동 시 동공중심이 0.16 mm 상이측으로 이동하였다고 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약물에 의해 동공크기가 변하고 동공중심점이 이동한다고 보고되었다.6,13,26) Wyatt 등2)은 박명시(mesopic)상태에서 명소시(photopic) 상태 로 조도가 변할 때 축동과 함께 동공중심이 상비측으로 0.13 mm 이동하였다고 하였고, Donnenfield 등3)은 조 도에 따른 동공 산동 시 동공 중심이 상비측으로 0.12 mm 이동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약물이나 조절 및 조도에 따라서 동공크기가 변화하면 동공중심이 이동하는데 이 때 다양한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동공중심 이동 방향은 상이측, 상비측, 하이측, 하비측이 각각 28%, 25%, 21%, 24%로 나타났는데 이동방향은 굴절교정수술에서는 매우 중요하 다. 각막굴절교정 수술 시 평균 동공 5~6.5 mm에서 각 막 절제를 시행하며 산동 시 동공크기가 이 보다 커지게 되면 동공 중심 offset이 발생되고 눈부심(glare), 달무 리(halos), 복시(double vision) 증상이 나타날 수 있 다.35-37) 이 중 동공크기는 구면수차에 영향을 주고 눈부 심(glare)이나 달무리(halo)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동 공중심 offset은 코마수차에 영향을 주고 복시(double vision)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38)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한 후 동공 크 기가 감소하였고, 대상자에 따라 이동량이 상이하지만 평균 0.17±0.13 mm 이동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동공중 심 이동량은 시기능 관점에서 중요한데, Tarbernero 등 11)은 7.00 mm 동공을 기준으로 0.07 mm 이상의 동공 중심이동이, 3.00 mm 동공을 기준으로는 0.20 mm 이 상의 동공중심 이동이 시력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보고하 여 산동된 상태에서는 동공중심 이동이 작은 양이라도 시 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암소시 상태에서 동공이 산동된 상태에서 동공중심 이동을 확인 하였고, 그 결과 굴절교정 전 동공크기는 6.94 mm였고 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0.07 mm 이상 이동된 경우는 대상자의 76%로 나타나 콘택트렌즈 착용 후 암소 시 상태에서는 동공중심 이동으로 인한 시력의 질이 저하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동공중심이동이 0.07 mm 이하인 그룹과 0.07 mm를 초과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공중심이동이 적은 그룹과 높은 그룹에 서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차이가 없었지만 코마수 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공중심이 이동되면서 동공중심 offset 또한 달라지는 데, 본 연구에서는 나안상태에서 동공중심 offset은 0.28± 0.16 mm, 콘택트렌즈 착용 후에는 0.36±0.18 mm로 굴절 교정 후 동공중심 offset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동공중심 offset은 안구고위수차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동공중심 offset이 많을수록 코마수차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이것은 Lu 등13) 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나안상태 및 굴절교정 후 동 공중심 offset 방향은 상이측, 하이측, 상비측, 하비측이 각각 46%, 36%, 9%, 9%로 상이측 방향이 가장 많았으 며, 이것은 Lu 등1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결론적으로 구면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동공크기가 감 소하였고 이에 따라 동공중심 위치도 각막 정점으로부터 멀어졌지만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감소하였고, 이 동과 동공중심 offset에 의한 코마수차는 변화가 없었다.

    Ⅴ. 결 론

    1. 근시안의 나안상태에서 동공크기는 6.94±0.61 mm, 구면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 후에는 6.72±0.65 mm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가 감소하였고, 굴절 교정 전과 후 모두 굴절이상도가 높을수록 동공크 기는 증가하였다.

    2. 나안상태에서의 동공중심 offset은 각막정점으로부터 0.28±0.16 mm, 굴절교정 후에는 0.36±0.18 mm 로 굴절교정 후 증가하였고, 콘택트렌즈 착용 후 동공중심 이동량은 0.17±0.13 mm로 나타났다.

    3. 나안상태와 굴절교정 후 안구 전체고위수차는 동공 크기와 상관성이 없었으며, 코마수차는 동공크기 가 클수록 감소하였고, 구면수차는 동공크기가 클 수록 증가하였다.

    4. 동공중심이동과 동공중심 offset은 전체고위수차와 의 상관성은 없었으나, 코마수차는 동공중심이동 과 동공중심 offset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그러 나 구면콘택트렌즈에 의한 굴절교정 후 동공크기 는 감소하고 동공중심이 이동하여 동공중심 offset 이 증가하였지만 안구 전체고위수차와 구면수차는 감소하고 코마수차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구면디자인의 단초점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나 타난 동공중심 offset이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Eulji University research grants.

    Figure

    JMBI-21-1-117_F1.gif

    Schematic sketch of a selection of ocular axes and angles formed by these axes. FP; Fixation point, K; Kappa angle, λ; Lambda angle.

    JMBI-21-1-117_F2.gif

    Diagram demonstrating the geometrical corneal center, pupil center, visual axis, and coaxially sighted corneal reflex.

    JMBI-21-1-117_F3.gif

    Scatterplots of the location of the pupil center relative to the coaxially sighted corneal reflex (point 0) in myopes uncorrected and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JMBI-21-1-117_F4.gif

    Correlation between pupil size and ocular higher-order aberrations with 4 mm pupil size in myopes corrected with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HOAs; Higher-order aberrations.

    JMBI-21-1-117_F5.gif

    Correlation between pupil center offset and ocular high-order aberrations with 4 mm pupil size in myopes corrected with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HOAs; High-order aberrations.

    Table

    The mean refractive errors and pupil sizes in myopes uncorrected and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Direction and amount of pupil center shift in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in scotopic condition

    The mean distance of the pupil center offset to the coaxially sighted corneal vertex in myopes uncorrected and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Direction of pupil center offset relative to the coaxially sighted corneal reflex in myopes uncorrected and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under scotopic condition

    The mean higher-order aberrations with 4 mm pupil size in myopes uncorrected and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Comparison of high-order aberrations of low pupil center shift and high pupil center shift in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es in scotopic condition

    Reference

    1. Mathur A, Gehrmann J et al.: Influences of luminance and accommodation stimuli on pupil size and pupil center loc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55(4), 2166-2172, 2014.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595386
    2. Wyatt HJ: The form of the human pupil. Vision Res. 35(14), 2021-2036, 1995.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7660606
    3. Donnenfeld E: The pupil is a moving target: centration, repeatability, and registration. J Refract Surg. 20(5), 593-596, 2004.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523981
    4. Porter J, Yoon G et al.: Aberrations induced in wavefront-guided laser refractive surgery due to shifts between natural and dilated pupil center locations. J Cataract Refract Surg. 32(1), 21-32, 2006.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516775
    5. Wildenmann U, Schaeffel F: Variations of pupil centration and their effects on video eye tracking. Ophthalmic Physiol Opt. 33(6), 634-641, 2013.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4102513
    6. Tabernero J, Atchison DA et al.: Aberrations and pupil location under corneal topography and Hartmann-Shack illumination condit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50(4), 1964-1970, 2009. DOI: https://iovs.arvojournals.org/article.aspx?articleid=2125768
    7. Lim DK, Lee KJ: The effect of accommodation stimulus on pupil size and accommodation response in young myopes corrected with soft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 49-58, 2018. DOI: https://doi.org/10.17337/JMBI.2018.20.1.49
    8. Mandell RB, Chiang CS et al.: Location of the major corneal reference points. Optom Vis Sci. 72(11), 776-784, 1995. DOI: http://europepmc.org/abstract/med/8587765
    9. Mandell RB: Locating the corneal sighting center from videokeratography. J Refract Surg. 11(4), 253-259, 1995.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7496981
    10. Cui C: Choice of reference axis in ocular wavefront aberration measurement.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15(9), 2488-2496, 1998. DOI: https://doi.org/10.1364/JOSAA.15.002488
    11. Wilson MA, Campbell MC et al.: The Julius F. Neumueller Award in Optics, 1989: change of pupil centration with change of illumination and pupil size. Optom Vis Sci. 69(2), 129-136, 1992.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584551
    12. Sobaci G, Erdem U et al.: Changes in pupil size and centroid shift in eyes with uncomplicated in-the-bag IOL implantation. J Refract Surg. 23(8), 796-799, 2007.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7985799
    13. Lu F, Wu JX et al.: Association between offset of the pupil center from the corneal vertex and wavefront aberr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1(1), 8-13, 2010. DOI: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72708
    14. Yang Y. Thompson K et al.: Pupil location under mesopic, photopic, and pharmacologically dilated conditions. Investigative Ophthalmol Vis Sci. 43(7), 2508-2512, 2012.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091457
    15. Fay AM, Trokel SL et al.: Pupil diameter and the principal ray. J Cataract Refract Surg 18(4), 348-351, 1992. DOI: https://www.jcrsjournal.org/article/S0886-3350(13)80069-7/pdf
    16. Karimian F, Feizi S et al.: Refractive error may influence mesopic pupil size. Curr Eye Res. 35(2), 130-136, 2010.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0136423
    17. Williams D, Yoon GY et al.: Visual benefit of correcting higher order aberrations of the eye. J Refract Surg. 16(5), 554-559, 2000.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019871
    18. Thibos LN, Applegate RA et al.: Standards for reporting the optical aberrations of eyes. J Refract Surg. 18(5), 652-660, 2002.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361175
    19. Wang Y, Zhao et al.: Changes of higher order aberration with various pupil sizes in the myopic eye. J Refract Surg. 19(2), 270-274, 2003.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2699188
    20. Walsh G: The effect of mydriasis on the pupillary centration of the human eye. Ophthalmic Physiol Opt. 8(2), 178-182, 1988.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3211558
    21. David A, Mathur A et al.: Effects of pupil center shift on ocular aberrations. Invest Ophthalmol Vis Sci. 55(9), 5862-5870, 2014.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5125597
    22. Taneri S, Oehler S et al.: Influence of mydriatic eye drops on wavefront sensing with the Zywave aberrometer. J Refract Surg. 27(9), 678-685, 2011.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1446641
    23. Liang J, Williams DR et al.: Aberrations and retinal image quality of the normal human eye. J Opt Soc Am A Opt Image Sci Vis. 14(11), 2873-2883, 1997.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9379245
    24. Edward SB, Vinita AH et al.: Clinical manual of contact lenses. 4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pp. 401-408, 2014.DOI: http://www.riss.kr/link?id=M13447879
    25. Orr JB, Seidel D et al.: Is pupil diameter influenced by refractive error? Optom Vis Sci. 92(7), 834-840, 2015.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6002005
    26. Lim DK, Lee KJ: Changes in pupil size after wearing soft contact lenses in myopes. Korean J Vis Sci. 19(4), 433-441, 2017. DOI: https://doi.org/10.17337/JMBI.2017.19.4.433
    27. Seong PJ: Optometry, 8th ed., Seoul, Daihaksealim, pp. 45-70, 2013.
    28. Cakmak HS, Cagil N et al.: Higher-order aberrations in myopic eyes. J Ophthalmic Vis Res. 5(1), 3-9, 2010.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2737320
    29. Cox I, Holden BA: Soft contact lens-induced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nd its effect on contrast sensitivity. Optom Vis Sci. 67(9), 679-683, 1990.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2234826
    30. Rae SM, Allen PM et al.: Increasing negative spherical aberration with soft contact lenses improves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in young adults. Ophthalmic Physiol Opt. 29(6), 593-601, 2009.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663925
    31. Chalita MR, Chavala S et al.: Wavefront analysis in post-LASIK eyes and its correlation with visual symptoms, refraction, and topography. Ophthalmology 111(3), 447-453, 2004. DOI: https://iovs.arvojournals.org/article.aspx?articleid=2414457
    32. Lim DK, Kwon H et al,: Changes in spherical aberration and coma aberration after wearing aspheric soft contact Lens in young myopes. Korean J Vis Sci. 20(4), 469-482, 2018. DOI: https://doi.org/10.17337/JMBI.2018.20.4.469
    33. Kim JM, Lee KJ: Comparison of higher-order aberrations and visual quality in eyes wearing aspheric and spherical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17(3), 344-354, 2015. DOI: http://www.riss.kr/link?id=A10107467
    34. Camellin M, Gambino F et al.: Measurement of the spatial shift of the pupil center. J Cataract Refract Surg. 31(9), 1719-1721, 2005.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6246774
    35. Martinez CE, Applegate RA et al.: Effect of pupillary dilation on corneal optical aberrations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rch Ophthalmol. 116(8), 1053-1062, 1998.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9715686
    36. Mrochen M, Kaemmerer M et al.: Increased higher order optical aberrations after laser refractive surgery: a problem of subclinical decentr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7(3), 362-369, 2001.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11255046
    37. Pande M, Hillman JS: Optical zone centration in keratorefractive surgery. Entrance pupil center, visual axis, coaxially sighted corneal reflex, or geometric corneal center. Ophthalmology 100(8), 1230-1237, 1993. DOI: https://www.ncbi.nlm.nih.gov/pubmed/8341507
    38. Chalita MR, Chavala S et al.: Wavefront analysis in post-LASIK eyes and its correlation with visual symptoms, refraction, and topography. Ophthalmology 111(3), 447-453, 2004. DOI: https://iovs.arvojournals.org/article.aspx?articleid=2414457